KR102211713B1 -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13B1
KR102211713B1 KR1020190025238A KR20190025238A KR102211713B1 KR 102211713 B1 KR102211713 B1 KR 102211713B1 KR 1020190025238 A KR1020190025238 A KR 1020190025238A KR 20190025238 A KR20190025238 A KR 20190025238A KR 102211713 B1 KR102211713 B1 KR 10221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filter
electric du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686A (ko
Inventor
윤하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이치비에코
Priority to KR102019002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된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오염된 공기를 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는 회전집진부와, 이 회전집진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하는 전기집진부와, 이 전기집진부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집진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고 전기집진부에서 1차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함으로써, 작업설비에서 배출된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오염공기를 1차 및 2차에 걸쳐 복합적으로 집진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COMPLEX TYP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미스트 및 미세분진 등의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집진처리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과 같이 물건을 생산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용접가스나 분진 등으로 작업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분진은 기계의 손상을 불러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노출시 작업자의 안전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집진기는 위와 같은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로서,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어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걸러내어 공기를 정화시킨다.
특히, 보일러 배기나 발전소 등으로부터 대량으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대기 중에 방출하기 전에 산업폐가스 중에 포함되는 다양한 분체물이나 기름성분 등을 포함하는 미스트나 더스트에 의해 대기를 오염시킨다.
이들 미스트나 더스트를 포함하는 산업폐가스를 직접 대기 중에 방출하는 것은 지구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줌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특정 배출시설들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배출허용기준에 의하여 처리 후 배출하는 것이 강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업폐가스를 발생하는 업체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전처리로서 산업폐가스를 대기오염치 배출기준치 이하로 정화하여 대기방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오염공기에 포함된 미립자를 처리하여 청정공기로 정화하는 전기 집진장치에는 포집원리에 따라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집진장치의 포집원리는 방전극으로부터 발생시킨 코로나 방전에 의해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고, 대전된 미립자를 쿨롱의 힘을 이용하여 대측이 되는 집진전극에 전기적으로 당겨서 포집하게 된다.
특히, 오일미스트(OIL MIST) 등과 같은 미세한 미립자의 처리에 더욱 효율적이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금속가공, 다이케스팅 등 각종 오일미스트 및 미립자가 발생하는 공장 등 여러 산업현장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가 프리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포집되고, 이렇게 걸러진 오염공기는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이 이온아이저에서 플러스 전기, 플러스 전기를 갖도록 대전 된 후 콜렉터 셀을 통과하면서 대전 된 미세 이물질이 집진판에 흡착되어 포집 처리되면서 악취가 탈취되어 청정공기로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정화기 또는 공기조화기 등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는 코로나 방전으로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 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1단 하전 방식의 전기집진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1단 하전 방식의 전기집진장치는 높은 고전압을 인가시켜 방전극과 접지극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으로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입자(먼지)를 하전시키고, 극성을 가진 하전된 입자를 이동시켜 집진하게 된다.
이와 같은, 1단 하전 방식의 전기집진장치는 방전극과 상대 접지극 사이에 양극 또는 음극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극 부분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성하여 집진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고전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으로 공기를 이온화시킴으로써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키고, 유해가스를 이온화 기키는 과정에서 NOx, SOx, 산성물질 또는 알데히드 등의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자 포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방전극에 더욱더 큰 고전압을 인가시켜야 함으로써, 전압의 상승에 따라 전류 또한 상승하여 전력소모가 많고, 코로나 발생을 위해서 금속성의 방전극과 접지극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일미스트 집진기는 단순하게 한쪽 방향으로만 원심분리가 이루어져서 오일미스트와 오일스모크를 완전히 포집하기에는 집진효율이 낮아 집진 전의 전처리 과정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가공기술과 이에 따르는 오일미스트를 효과적으로 집진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3209호 (2015년05월28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5067호 (2015년04월28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9702호 (2016년03월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작업설비에서 배출된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오염공기를 1차 및 2차에 걸쳐 복합적으로 집진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부에 별도의 투입설비가 없이 작업설비에서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유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팬의 원심회전력에 의해 오염공기를 외곽으로 분산시켜 오염공기의 확산성능을 향상시키고 타공플레이트와 부직포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쉐브론필터에 의해 오염공기의 기류속도를 저감시키고, 이온화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고전압의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고, 셀필터에 의해 전극성의 오염공기를 고전압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진처리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집진처리된 공기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로서, 오염된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오염된 공기를 원심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는 회전집진부(20);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집진부(2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하는 전기집진부(30); 및 상기 전기집진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부(3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투입부(10)는, 상기 회전집진부(20)에 의해 생성된 음압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집진부(20)는,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회전집진케이스;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후방 외곽으로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팬; 상기 회전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외곽둘레에서 내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타공이 형성된 타공플레이트;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내곽둘레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부직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타공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에 공기가 외곽둘레로 유입되는 소정거리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팬은,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오염물을 서로 응집시키도록 원심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기집진부(30)는, 상기 회전집진부(2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전기집진케이스; 상기 전기집진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기류속도를 충돌판에 의해 저감시키는 쉐브론필터; 상기 쉐브론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는 이온화필터; 및 상기 이온화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방전된 전극성의 공기를 셀전극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하는 셀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쉐브론필터는, 공기의 기류속도를 3∼5m/sec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온화필터는, 순간적으로 DC 12KV의 고전압을 흐르게 하여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셀필터는, 전극성을 가진 공기에 DC 6KV의 고전압이 흐르면서 셀표면에 전극이 발생되어 정전식으로 집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40)는,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천공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집진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고 전기집진부에서 1차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함으로써, 작업설비에서 배출된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오염공기를 1차 및 2차에 걸쳐 복합적으로 집진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투입부에서 회전집진부의 모터와 팬에 의해 생성된 음압에 의해 오염공기가 흡입됨으로써, 투입부에 별도의 투입설비가 없이 작업설비에서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유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집진부로서 회전팬과 구동모터와 타공플레이트와 부직포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회전팬의 원심회전력에 의해 오염공기를 외곽으로 분산시켜 오염공기의 확산성능을 향상시키고 타공플레이트와 부직포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집진부로서 쉐브론필터와 이온화필터와 셀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쉐브론필터에 의해 오염공기의 기류속도를 저감시키고, 이온화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고전압의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고, 셀필터에 의해 전극성의 오염공기를 고전압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로서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판을 구비함으로써, 집진처리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집진처리된 공기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투입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집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타공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부직포필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쉐브론필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회전집진부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쉐브론필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회전집진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투입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집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타공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부직포필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쉐브론필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회전집진부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쉐브론필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의 회전집진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는, 투입부(10), 회전집진부(20), 전기집진부(30), 배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산업현장에서 미스트 및 미세분진 등의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효율이 높이고 모든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 대량분진, 미세분진 및 연기 발생되는 복합적인 산업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다목적 복합형 전기집진기로서, 미스트 등과 같이 오염된 공기를 회전식 집진과 전기식 집진에 의해 복합식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복합식 집진장치이다.
투입부(10)는, 가공설비에서 소재의 절삭가공시 발생되는 미스트 등과 같이 오염된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수단으로서, 대략 원통으로 형성되어 가공설비과 흐입관을 개재해서 연결되어 회전집진부(20)의 모터와 팬에 의해 생성된 음압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투입부(10)의 전방에는 투입팬 등과 같은 송풍수단이 설치되어 이러한 송풍수단에 의해 가공설비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투입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회전집진부(20)는,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미스트 등과 같이 오염된 공기를 원심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는 집진수단으로서, 도 3, 도 6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집진케이스(21), 회전팬(22), 구동모터(23), 타공플레이트(24), 부직포필터(25)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집진케이스(21)는, 투입부(1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재로서, 투입부(10)의 하류에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으로 확장되어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회전팬(22)은,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 후방 외곽으로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수단으로서, 터보팬으로 이루어져,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의 오염물을 흡입하여 서로 응집시키도록 음압과 원심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팬(22)에 의하면, 투입부(10)의 흡입구로 들어온 미스트가 고속 회전에 의해 고압력으로 흡입되어, 미스트와 분진을 서로 뭉쳐서 유동시키게 된다.
구동모터(23)는, 회전팬(22)의 후면에 회전축을 개재해서 연걸되어 회전팬(22)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정속회전 및 가속회전이 가능하록 회전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 등과 같은 동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동모터(23)는, 투입부(10), 회전집진부(20) 및 전기집진부(30)의 집진기의 풍량 설계가 가능하며 내부에 장착이 가능한 방수등급 IP55의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플레이트(24)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에 삽입되되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 외곽둘레에서 내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5㎜이상의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원통형이나 사각통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공플레이트(24)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부에 공기가 원심회전력에 의해 외곽둘레로부터 유입되도록 회전집진케이스(21)의 내벽면에서 10㎜이상의 소정거리(d) 만큼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필터(25)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공플레이트(24)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타공플레이트(24)의 내곽둘레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로서, 부직포로 이루어져 내부로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부직포필터(25)는, 난연성 부직포로 이루어져 외곽으로 보내진 미스트가 모터쪽 배출구로 나갈때 소량의 미스트가 포집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기집진부(30)는,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회전집진부(20)에서 1차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집진수단으로서, 전기집진케이스(31), 쉐브론필터(32), 이온화필터(33), 셀필터(34)로 이루어져 있다.
전기집진케이스(31)는, 회전집진부(2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케이스부재로서, 원통형상의 회전집진케이스(21)에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연결된 사각통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기집진케이스(31)의 하부에는 전기집진부(30)를 바닥면에 지지하여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전제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지지대(31a)가 입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쉐브론필터(32)는, 전기집진케이스(31)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전기집진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기류속도를 저감시키는 필터부재로서, 이러한 쉐브론필터(32)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동홀이 어긋나게 형성된 충돌판(32a)에 의해 공기의 기류속도를 3∼5m/sec로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쉐브론필터(32)는 회전팬(22)을 이용하여 고속 회전된 미스트의 기류속도가 12∼18m/sec으로 충돌판(32a)을 통과하여 미스트 잔량이 집진될 수 있도록하고 이온화필터(33)와 셀필터(34)의 전기식 집진기에 도달하기전 미스트의 기류속도를 3∼5m/sec로 감속시키게 된다.
이온화필터(33)는, 쉐브론필터(32)의 하류에 설치되어 전기집진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되어 쉐브론필터(32)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는 필터부재로서, 이러한 이온화필터(33)는 순간적으로 DC 12KV의 고전압을 흐르게 하여 통전시키게 된다.
셀필터(34)는, 이온화필터(33)의 하류에 설치되어 이온화필터(33)에서 방전된 전극성의 공기를 셀전극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로서, 이러한 셀필터(34)는 전극성을 가진 공기에 DC 6KV의 고전압이 흐르면서 셀표면에 전극이 발생되어 정전식으로 집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40)는, 전기집진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전기집진부(30)에서 2차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서, 전기집진부(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분산시키도록 복수개의 배출홀(42)이 천공된 천공판(41)이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집진부에서 오염된 공기를 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고 전기집진부에서 1차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함으로써, 작업설비에서 배출된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오염공기를 1차 및 2차에 걸쳐 복합적으로 집진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투입부에서 회전집진부의 모터와 팬에 의해 생성된 음압에 의해 오염공기가 흡입됨으로써, 투입부에 별도의 투입설비가 없이 작업설비에서 오염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시에 오염공기의 유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집진부로서 회전팬과 구동모터와 타공플레이트와 부직포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회전팬의 원심회전력에 의해 오염공기를 외곽으로 분산시켜 오염공기의 확산성능을 향상시키고 타공플레이트와 부직포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필터링하여 이물질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집진부로서 쉐브론필터와 이온화필터와 셀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쉐브론필터에 의해 오염공기의 기류속도를 저감시키고, 이온화필터에 의해 오염공기를 고전압의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고, 셀필터에 의해 전극성의 오염공기를 고전압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배출부로서 천공홀이 형성된 천공판을 구비함으로써, 집진처리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켜 집진처리된 공기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투입부 20: 회전집진부
30: 전기집진부 40: 배출부

Claims (10)

  1. 오염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장치로서,
    오염된 공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오염된 공기를 회전력에 의해 1차 필터링하는 회전집진부(20);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집진부(2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전기적으로 2차 필터링하는 전기집진부(30); 및
    상기 전기집진부(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집진부(3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부(30)는,
    상기 회전집진부(2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전기집진케이스;
    상기 전기집진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기류속도를 충돌판에 의해 저감시키는 쉐브론필터;
    상기 쉐브론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유입된 공기를 통전에 의해 방전시키는 이온화필터; 및
    상기 이온화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방전된 전극성의 공기를 셀전극에 의해 정전식으로 필터링하는 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쉐브론필터는, 복수개의 유동홀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복수개의 충돌판에 의해 공기의 기류속도를 3∼5m/sec로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집진부(20)는,
    상기 투입부(10)의 하류에 확장되도록 형성된 회전집진케이스;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후방 외곽으로 원심력을 제공하는 회전팬;
    상기 회전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외곽둘레에서 내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타공이 형성된 타공플레이트;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타공플레이트의 내곽둘레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부직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타공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에 공기가 원심회전력에 의해 외곽둘레로부터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벽면에서 10㎜이상의 소정거리(d) 만큼 이격된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팬은,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집진케이스의 내부 후방 외곽으로 원심회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부직포필터는, 난연성 부직포로 이루어져 외곽으로 보내진 미스트가 모터쪽 배출구로 나갈때 소량의 미스트가 포집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는, 상기 회전집진부(20)에 의해 생성된 음압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필터는, 순간적으로 DC 12KV의 고전압을 흐르게 하여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필터는, 전극성을 가진 공기에 DC 6KV의 고전압이 흐르면서 셀표면에 전극이 발생되어 정전식으로 집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는,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도록 천공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KR1020190025238A 2019-03-05 2019-03-05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KR10221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38A KR102211713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38A KR102211713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86A KR20200106686A (ko) 2020-09-15
KR102211713B1 true KR102211713B1 (ko) 2021-02-02

Family

ID=72450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38A KR102211713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8751A (ja) * 2015-04-10 2016-12-01 岩崎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206045705U (zh) * 2016-09-27 2017-03-29 东莞市咏益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油雾收集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09B1 (ko) 2013-03-12 2015-05-28 주식회사 비투지코리아 전기집진장치
KR20150045067A (ko) 2013-10-18 2015-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흄 역류방지 수단을 갖는 전기집진 장치
KR200479702Y1 (ko) 2015-12-23 2016-03-03 이정환 지속 운전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8751A (ja) * 2015-04-10 2016-12-01 岩崎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206045705U (zh) * 2016-09-27 2017-03-29 东莞市咏益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油雾收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86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204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4687595B2 (ja) 電気集塵装置
CN103691240A (zh) 一种高容尘量高效率的复合静电空气净化装置
KR102148770B1 (ko) 필터와 원형집진판이 동일한 챔버에 구성되는 일체형 집진기
KR101577340B1 (ko) 복합형 집진 장치
PL233491B1 (pl) Elektrostatyczny filtr powietrza
WO2006092702A2 (en) Cleaner for air polluted by fine dusts and relative purifying process
CN101579592B (zh) 在粒子中引发涡旋的系统和方法
KR20100082478A (ko) 복합 플라즈마 집진기
KR102211713B1 (ko) 복합식 전기 집진장치
KR101310818B1 (ko) 오일미스트 포집장치
CN204546110U (zh) 数控铣床静电油气净化装置
KR200302935Y1 (ko) 2단 하전식 전기 집진기
CN201220145Y (zh) 自循环静电焊烟洁净装置
KR100475863B1 (ko) 고효율 집진장치
JP2004141826A (ja) 電気集塵器
KR100561550B1 (ko) 정전분사세정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101837972B1 (ko) 예비하전 기능을 가진 일체형 여과 집진장치
US20120103184A1 (en) Electrostatic filtration system
KR200343967Y1 (ko) 정전분사세정집진장치
KR101648117B1 (ko) 복합형 집진 장치
KR101549600B1 (ko) 유해나노입자 제거장치
Bologa et al. Collection of fine particles by nove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07708759U (zh) 一种机械加工产生油雾的治理系统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