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599B1 -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599B1
KR102211599B1 KR1020190070146A KR20190070146A KR102211599B1 KR 102211599 B1 KR102211599 B1 KR 102211599B1 KR 1020190070146 A KR1020190070146 A KR 1020190070146A KR 20190070146 A KR20190070146 A KR 20190070146A KR 102211599 B1 KR102211599 B1 KR 10221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u
smart card
switch
contact pad
card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813A (ko
Inventor
배경민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9007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5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마트 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카드는 SE(Secure Element), SE와 카드 리더기 간의 통신을 위한 접촉패드,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SE와 연결되며, MCU의 제어에 따라 SE가 접촉패드 및 MCU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 SMART CARD AND CONTROL METHOD THEROF }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E(Secure Element) 기반의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 및 통신 서비스 등을 위해 IC(Integrated Circuit) 칩이 내장된 카드(이하,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카드 내에 SE(Secure Element)라 불리는 보안을 위한 IC 칩이 실장되며, 카드 리더기는 이 SE와 통신하기 위해서 비접촉식(ISO 14443) 혹은 접촉식(ISO 7816) 통신방식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SE 칩 역시 규격에 정의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통신방식만을 지원하며, 기능확장을 위해 추가적인 인터페이스(interface)가 필요한 경우에는 규격 외의 통신 인터페이스 포트를 지원하는 SE 칩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비교적 고가의 SE 칩을 사용하여야 하며 추가적인 프로토콜 구축 작업을 거쳐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10)의 기존 내부 구조는 SE(11), 카드 리더기와 접촉되는 구성인 접촉패드(12) 및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MCU(13)가 일자 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경우, MCU(13)가 SE(11)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포트(14)를 가지는 SE(11)가 필요한데, 이러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포트(14)를 구비한 SE(11)는 부가적인 회로 구성와 별도의 프로토콜 작업으로 인해 제조 원가가 일반 SE보다 비싸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인터페이스 포트의 구축 없이도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SE(Secure Element), 상기 SE와 카드 리더기 간의 통신을 위한 접촉패드,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SE와 연결되며,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 및 상기 MCU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MCU는 상기 SE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MCU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는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의 트랜젝션이 완료되면,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을 끊고 상기 MCU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CU는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E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접촉식 통신규격인 ISO 7816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생체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인식 센서 및 상기 MCU는 상기 카드 리더기와 접촉된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판독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멀티플렉서(Muxtiplexer)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방법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 SE(Secure Element)가 상기 SE와 카드 리더기 간의 통신을 위한 접촉패드 및 MCU(Micro Controller Unit)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SE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MCU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의 트랜젝션이 완료되면,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을 끊고 상기 MCU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는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E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프로토콜은 접촉식 통신규격인 ISO 7816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포함된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 인식 센서 및 상기 MCU는 상기 카드 리더기와 접촉된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판독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멀티플렉서(Muxtiplex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가 기존 규격 및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하여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IC 카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발기간의 단축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스마트 카드의 기존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스위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스마트 카드(100)는 SE(110), 접촉패드(120), MCU(130) 및 스위치(140)를 포함한다.
SE(110)는 개인 정보, 애플릿(applet) 정보, 통신사 정보 및 금융 서비스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로, 사용자 정보, 세부 결제 정보, 서비스 정보 등을 암호화 및 인증하는 보안 요소이다.
SE(110)는 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SE(110)는 일반적으로 접촉패드(120)를 통해 카드 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접촉패드(120)는 일반적으로 8개의 접점으로 이루어진 금속 패턴을 가진 접촉면을 통해 카드 리더기와 밀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8개의 접점은 각각 회로 전압(VCC), 리셋(RST), 외부 클럭(CLK), 접지(GND), 전압 공급 단자(VPP) 및 입출력단자(I/O) 등으로 구성된다.
접촉패드(120)는 SE(110)의 전면부 상에 배치되며, 스위치(140)를 통해 SE(110)와 연결될 수 있다.
MCU(130)는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간단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스마트 카드(100)의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스마트 카드(100)는 OTP, 생체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등 다양한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MCU(130)가 해당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저장 및 연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100)가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MCU(1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등을 저장 및 처리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생체 인식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위치(140)는 물리적 또는 디지털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100)의 내부 회로 구조는 스위치(140)가 SE(110), 접촉패드(120) 및 MCU(1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는 'T'자 구조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스위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0)는 SE(110) 및 MCU(130)가 서로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MCU(130)가 활성화되고, SE(110)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40)는 SE(110)와의 연결(41)을 항상 유지하며, MCU(130)의 제어에 따라, SE(110)가 접촉패드(120) 및 MCU(13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CU(130)는 도 3과 같이, SE(110)가 스위치(140)를 통해 MCU(130)와 연결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도 4와 같이 SE(110)가 MCU(130)와의 연결을 끊고 접촉패드(1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140)는 SE(110) 및 접촉패드(120)와 연결되고 MCU(130)와의 연결은 끊어짐으로써 SE(110) 및 접촉패드(12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SE(110) 및 카드 리더기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SE(11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의 제1 연결(41, 42) 및 도 4의 제2 연결(41, 43)은 모두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통신 프로토콜은 접촉식 통신규격인 ISO 7816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즉, 카드 내부 회로 구조를 스위치(140)를 추가한 'T'자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SE(110)와 MCU(130)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포트가 없이도 기존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활용하여 SE(110) 및 MCU(130)간에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SE(110)가 MCU(130)와의 연결을 끊고 접촉패드(1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하기 위한 특정 이벤트는 MCU(130)에서 제공되는 확장된 기능에 따른 사용자 입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100)는 생체 인식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MCU(130)는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SE(110)가 MCU(130)와의 연결을 끊고 접촉패드(1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는 생체 인식 컨트롤러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인식 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망막 인식 센서, 음성 인식 센서, 얼굴 인식 센서 등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생체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판독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지문 정보를 입력하고, 지문 인식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MCU(130)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 정보와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MCU(130)는 도 3에 나타난 연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운 지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상태로 동작한다. 만약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MCU(130)는 사용자가 인증되었다고 판단하고, 도 4에 나타난 연결 상태로 변경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한다.
도 4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바대로 카드 리더기와 SE(110)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카드(100)를 이용하여 출입, 결제, 인증 등을 수행 가능한 연결 구조이다.
즉, 사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만, 스위치(140)의 연결구조가 도 4와 같이 변경됨으로써 카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카드 결제 등을 위해 스마트 카드(100)의 지문 인식 센서가 위치한 부분을 파지하면서 카드 리더기에 스마트 카드(100)를 접촉하면, 사용자 인증 및 결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촉패드(120)를 통해 SE(110) 및 카드 리더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어 하나의 트랜젝션이 완료된 경우에는, MCU(130)가 SE(110) 및 접촉패드(120)와의 연결이 끊어지고, SE(110) 및 MCU(130)가 서로 연결되도록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SE(110) 및 카드 리더기 간에 통신이 수행될 때, 생체 인식 센서 및 MCU(130)는 카드 리더기와 접촉된 접촉패드(120)를 통해 카드 리더기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생체 인식 센서 및 MCU(130)를 위한 별도의 배터리를 스마트 카드(100)에 내장하지 않고도, 카드 리더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다(S510).
이후, 특정 이벤트에 따라, SE가 접촉패드 및 MCU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한다(S520).
이때, SE가 스위치를 통해 MCU와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SE가 MCU와의 연결을 끊고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촉패드를 통해 SE 및 카드 리더기 간의 트랜젝션이 완료되면, SE가 접촉패드와 연결을 끊고 MCU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드에 포함된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SE가 MCU와의 연결을 끊고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가 기존 규격 및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하여 확장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IC 카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개발기간의 단축 또한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다양한 제어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ⅱ) 특정 이벤트에 따라, SE가 접촉 패드 및 MCU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스마트 카드 110: SE
120: 접촉패드 130: MCU
140: 스위치

Claims (18)

  1.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SE(Secure Element);
    상기 SE와 카드 리더기 간의 통신을 위한 접촉패드;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상기 SE와 연결되며,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 및 상기 MCU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및
    사용자의 지문 판독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로 구비되는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MCU는,
    상기 SE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MCU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의 트랜젝션이 완료되면,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을 끊고 상기 MCU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생체 인식 센서 및 상기 MCU는,
    상기 카드 리더기와 접촉된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E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접촉식 통신규격인 ISO 7816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
  10. 스마트 카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벤트에 따라, SE(Secure Element)가 상기 SE와 카드 리더기 간의 통신을 위한 접촉패드 및 MCU(Micro Controller Unit)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SE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MCU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에 포함된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SE가 상기 MCU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의 트랜젝션이 완료되면, 상기 SE가 상기 접촉패드와 연결을 끊고 상기 MCU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생체 인식 센서 및 상기 MCU는,
    상기 카드 리더기와 접촉된 상기 접촉패드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기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생체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판독이 가능한 지문 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SE 및 상기 카드 리더기 간에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E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접촉식 통신규격인 ISO 7816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제어 방법.
KR1020190070146A 2019-06-13 2019-06-13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146A KR102211599B1 (ko) 2019-06-13 2019-06-13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146A KR102211599B1 (ko) 2019-06-13 2019-06-13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13A KR20200142813A (ko) 2020-12-23
KR102211599B1 true KR102211599B1 (ko) 2021-02-03

Family

ID=7408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146A KR102211599B1 (ko) 2019-06-13 2019-06-13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5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603B1 (ko) * 2015-10-20 2016-04-19 김승훈 Rf 지문형 스마트 콤비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603B1 (ko) * 2015-10-20 2016-04-19 김승훈 Rf 지문형 스마트 콤비 카드 및 이를 이용한 거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13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8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biometric and non-biometric smart card devices
EP1457922B1 (en) Smart card that can be configured for debugging and software development using secondary communication port
JP4653087B2 (ja) プログラム及びセキュアモジュールホルダー
US11010570B2 (en) Voltage regulation
US11416726B2 (en) Power management
US20190392436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card and method for operating power source by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card
US20090152361A1 (en) Memory card based contactless devices
EP1325466A1 (en) Dual mode smart card and associated methods
CN112639826B (zh) 生物特征接口
US1035405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JP2003030613A (ja) 記憶装置及び記憶装置を備えたデータ処理装置
RU2575989C2 (ru) Банковская карта с отображающим экраном
KR102211599B1 (ko) 스마트 카드 및 그 제어 방법
WO2009038446A1 (en) A portable secure identity and mass storage unit
JPWO2005122070A1 (ja) Icカードモジュール
CN101520853B (zh) 增强型智能卡及其实现方法
JP7283345B2 (ja) 指紋認証icカード
KR20220115919A (ko)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된 여권 데이터 기반의 보안 인증
KR102429775B1 (ko) 바이오 인식용 스마트 카드의 돌입전류 유입방지장치
CN114391149A (zh) 具有加密电路的生物计量装置
JP7493402B2 (ja) 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JP4640920B2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方法
KR20230175171A (ko) 모바일 단말기용 하이브리드 카드 리더기
EP3086272A1 (en) Selecting an application on a card
TW202001688A (zh) 指紋辨識智慧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