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56B1 -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56B1
KR102211456B1 KR1020200108250A KR20200108250A KR102211456B1 KR 102211456 B1 KR102211456 B1 KR 102211456B1 KR 1020200108250 A KR1020200108250 A KR 1020200108250A KR 20200108250 A KR20200108250 A KR 20200108250A KR 102211456 B1 KR102211456 B1 KR 10221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case
binding
case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송 filed Critical (주)청송
Priority to KR1020200108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는 한편,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는 한편,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는 산업 및 일상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동력원으로서, 통상 발전소에서 변전소를 거쳐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변전소로부터 최종소비자인 공장이나 주택 등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신주를 설치하고 전신주에 배전선로를 취부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신주에 취부되는 배전선로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고 있으며, 배전선로는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고정시켜 주는 전신주의 애자 등 기구물의 노후, 번개에 의한 소손, 수목이나 조류의 접촉 등에 의해 배전선로의 절연이 파괴될 경우 변전소 또는 전기공급 보호기기 등의 개폐기가 동작하여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정전이 발생하면, 산업 설비의 구동이 중단되고, 가정 내에서의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의 동작이 정지되어 막대한 피해가 발생되므로 배전선로의 고장 발생시에는 단시간 내에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배전선로의 고장지점의 탐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물망처럼 광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배전선로의 어느 곳에서 절연이 파괴되어 과전류가 흘렀는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특정 고장 지점을 색출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0516호(2011.04.26.)에는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장치는 케이스에 대한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0516호(2011.04.26.)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하는 한편,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배전선로로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 또는 중앙관제실(200)과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및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에서 측정되는 상시 전류 및 전압정보를 상기 신호송신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지는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으로써, 상기 케이스(110)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제1,2케이스(112,114)의 일측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310); 상기 제1,2케이스(112,114)의 타측을 결속하는 결속수단(320); 및 상기 결속수단(320)을 보호하는 보호수단(33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타이밴드(1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수단(320)의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제1,2케이스(112,114)가 상기 절첩부재(310)를 중심으로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배전선로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인입 또는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고 고장 등의 원인에 의해 배전선로 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의 수신장치 또는 중간정보수집기로 송신함으로써 과전류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면서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과전압 발생시 과전압 발생 장소가 즉시 파악되면서 배전선로의 고장 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2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케이스로의 배전선로의 인입이나 케이스로부터 배전선로로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서 개폐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보호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보호수단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이하 "관리시스템"이라 한다)(100)은 22,900V의 고압을 공급하는 전선로인 배전선로(1)의 전류 및 전압을 상시 측정하며, 배전선로(1)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경우 고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송신하여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알려준다.
이때, 상기 배전선로(1)는 통상적으로 전신주(10)에 설치된 지지대(20) 상부의 절연물체인 애자(30)에 취부되어 가설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관리시스템(100)은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는 상기 관통공(110a)을 관통하는 배전선로(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상기 배전선로(1)를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와,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감지부(150),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 및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에 배전선로(1)가 관통하는 관통공(110a)이 형성되는 것으로, 기설치된 배전선로(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케이스(112,114)를 체결시에는 배전선로(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결수단으로서 금속재질의 타이밴드(116)를 이용하여 제1,2케이스(112,114)를 조여주게 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철심체(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철심체(120) 역시 제1,2철심체(122,124)로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제1,2케이스(112,114) 내에 각각 구비되어 배전선로(1)를 감싸게 되며, 상기 철심체(120)의 일측에는 유도코일(130)이 권취되어 배전선로(1)가 통전되는 경우 유도전류가 생성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를 입력받으면 과전류인지를 비교하고, 과전류이면 기기의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시에는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전류를 감지하고,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전압을 감지하여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송하여 동작상태를 알려준다.
상기 전류감지부(14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류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류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감지부(150)는 아날로그 형태의 유도 전압값을 디지털 형태의 전압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160)는 디지털 형태의 전류 및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과전류인지 유무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는 고유정보(예를 들어,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내장메모리를 가지는 마이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전송하는 신호송신부(170)는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등의 여러가지로 구현될 수 있지만, 설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무선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신호송신부(17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송신모듈(172)과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의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 정보 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하는 안테나(1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GSM, CDMA, IMT 2000, 와이브로, 무선 TRS, UHF, VHF,AM, FM등 상용화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
또한, 근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등으로 정보를 송출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 및 상시정보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송신모듈(172)은 블루투스(blue tooth), 직비(ZIPBee)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174)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내장함도 가능하지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신호 송출이 원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는 충전지(18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충전지(182)는 상기 유도코일(130)에서 생성되는 유도 전류를 충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지(182)의 충전전원은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정전압IC 및 DC/DC컨버터의 구성은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로 전원부(180)의 충전지(182)를 충전하고 이를 제어부(160)의 구동전원으로 공급하고 줌으로서,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더라도 반영구적으로 구동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배전선로(1)상에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100)을 설치하고, 배전선로(1)에 전기가 통전되면, 철심체(120)가 자화되고 이로 인해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부(180)를 구성하는 충전지(182)로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지(182) 전원에 의해 제어부(160)가 구동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전류감지부(140)와 전압감지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유도 전류 및 전압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유도코일(130)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로부터 전류정보가 설정된 허용전류를 초과하는지를 비교하고, 허용전류를 초과하면 배전선로(1)상에 과전류가 통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기번호 및 설치위치 등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된 고장정보는 신호송신부(170)를 구성하는 무선송신모듈(172)을 거쳐 실시간으로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안테나(174)를 통해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고장이 아닌 경우에도 전압 및 전류값인 상시정보도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 또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 경우 중앙관제실(200)의 수신장치(210)나 수신장치(210)와 연계되는 중간정보수집기(220)로 고장정보가 전송되면 중앙관제실(200)에서 고장정보를 통해 기기의 설치 위치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인력을 투입하여 해당 배전선로(1)를 복구하게 된다.
상기 배전선로(1)에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장상태의 경우에도 관리시스템(100)은 충전지(182)의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배전선로(1)의 고장정보를 전송해 줄 수 있어 안정적인 신호 송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0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개방은 제1,2케이스(112,114) 간이 벌어지면서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관통공(110a)이 개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닫힘은 이와 반대로 제1,2케이스(112,114) 간이 닫히면서 관통공(110a)이 개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개폐부(300)는 제1,2케이스(112,114)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에 대한 개폐를 통해 케이스(110)로의 배전선로(1)의 인입이나 케이스(110)로부터 배전선로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개폐부(300)는 제1,2케이스(112,114)의 일측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310) 및 제1,2케이스(112,114)의 타측을 결속하는 결속수단(320)을 포함한다.
절첩부재(310)는 경첩 등으로 이루어지며, 제1케이스(112)의 일측 상부와 제2케이스(114)의 일측 하부를 연결한다.
결속수단(320)은 제1케이스(112)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판(321), 제2케이스(114)의 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322), 하부판(3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판(322)을 통과하는 결속바(323) 및 결속바(323)로 나사결합되면서 제1,2케이스(112,11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24)를 포함한다.
하부판(321)은 일단부가 제1케이스(1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판(322)는 하부판(321)과 대향되도록 일단부가 제2케이스(114)의 타측 하부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판(322)은 결속바(323)가 통과하는 중공(322a)이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첩부재(310)를 중심으로 한 제2케이스(114)의 회전시, 상부판(322)이 결속바(323)로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속바(32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속부재(3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결속바(323)로 나사결합된다.
결속부재(324)는 조임 회전에 따라 상부판(322)으로 밀착되면서 상,하부판(322,321)이 밀착되도록 한다.
케이스(110)는 제1,2케이스(112,114)가 결속되면서 닫힐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결속부재(324)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부판(322)으로부터 밀착해제되면서 상,하부판(322,321)이 밀착해제되도록 한다.
케이스(110)는 제1,2케이스(112,114)가 결속해제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제1,2케이스(112,114)는 케이스(110)의 개방시, 절첩부재(31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분리됨이 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10) 개방시, 케이스(110)로부터 타이밴드(116)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1,2케이스(112,114)를 각기 지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폐부(300)는 결속수단(320)을 보호하는 보호수단(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수단(330)은 일단부에 개방구(331a)가 형성되어 결속수단(320)의 외측에서 케이스(110) 방향으로 이동되며 결속수단(320)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는 보호캡(331) 및 보호캡(331)을 제1케이스(1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판(332)을 포함한다.
보호캡(331)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며, 개방구(331a)를 통해 결속수단(3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결속수단(320)을 보호한다.
고정판(332)은 제1케이스(112)의 타측에 고정되며 보호캡(33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보호캡(331)에 대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호수단(330)은 결속수단(3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함으로써 우수 등에 의한 결속바(323)와 함께 결속부재(324)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속바(323)로부터 결속부재(324)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속부재(324)는 보호캡(331)이 결속수단(32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에 대한 개방시, 보호캡(331)으로 수용되면서 보관의 불편함을 개선하는 한편, 외부로의 분실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300)는 제1,2케이스(112,114)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에 대한 개폐를 통해 케이스(110)로의 배전선로(1)의 인입이나 케이스(110)로부터 배전선로(1)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300)는 배전선로(1)로의 케이스(11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배전선로 10: 전신주
20: 지지대 30: 애자
120: 철심체 130: 유도코일
140: 전류감지부 150: 전압감지부
160: 제어부 170: 신호송신부
180: 전원부 200: 중앙관제실
210: 수신장치 220: 중간정보수집기
300: 개폐부 310: 절첩부재
320: 결속수단 330: 보호수단

Claims (1)

  1. 배전선로(1)가 관통하며, 제1,2케이스(112,114)로 분할되면서 타이밴드(116)에 의해 배전선로(1)에 고정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배전선로(1)를 감싸는 철심체(120); 상기 철심체(120)에 권취되어 배전선로(1)가 통전되면 유도전류가 생성되는 유도코일(130); 상기 유도코일(130)에 유도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감지부(140); 및 상기 전류감지부(140)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가 과전류이면 고장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160);로 구성되는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00)는 상기 제1,2케이스(112,114)의 일측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재(310); 상기 제1,2케이스(112,114)의 타측을 결속하는 결속수단(320); 및 상기 결속수단(320)을 보호하는 보호수단(330)을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320)은 상기 제1케이스(112)의 타측에 고정되는 하부판(321); 상기 제2케이스(114)의 타측에 고정되며 결속바(323)가 통과하는 중공(322a)이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판(322); 상기 하부판(3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322)을 통과하는 결속바(323); 및 상기 결속바(323)로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2케이스(112,114)를 결속하는 결속부재(324)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수단(330)은 일단부에 개방구(331a)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수단(320)의 외측으로 끼움결합되는 보호캡(331); 및 상기보호캡(331)을 상기 제1케이스(1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판(33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타이밴드(1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수단(320)의 결속해제에 따라 상기 제1,2케이스(112,114)가 상기 절첩부재(310)를 중심으로 배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배전선로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 인입 또는 상기 제1,2케이스(112,114) 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KR1020200108250A 2020-08-27 2020-08-27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KR10221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50A KR102211456B1 (ko) 2020-08-27 2020-08-27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250A KR102211456B1 (ko) 2020-08-27 2020-08-27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456B1 true KR102211456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250A KR102211456B1 (ko) 2020-08-27 2020-08-27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ko) 2009-01-09 2011-04-26 황인기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516B1 (ko) 2009-01-09 2011-04-26 황인기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16B1 (ko)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측정 및 전송 장치
KR101643358B1 (ko)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US8760151B2 (en) Ajustable overhead conductor monitoring device
KR101772605B1 (ko) 가공송전선로의 고장정보 데이터 수집장치
JP6204505B2 (ja) センサ用ctと発電用ctが線路上に並列に分離設けられる電流変成システム、及びこれを無線通信網で管理する統合システム
US5565783A (en) Faul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5550476A (en) Faul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US5656931A (en) Fault current sensor device with radio transceiver
KR101317220B1 (ko) 센서용 ct와 발전용ct가 선로 상에 병렬로 분리 설치되는 전류 변성 시스템, 및 이를 무선 통신망으로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
KR101840033B1 (ko)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KR101842669B1 (ko)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KR102213565B1 (ko) 배전선로 무인 통합관리시스템
EP1595150A1 (en) A monitoring device for a medium voltage overhead line
KR102029009B1 (ko) 배전선로 자동화의 시스템
KR101959949B1 (ko)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1665984B1 (ko) 송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KR102211456B1 (ko) 배전선로의 지능화 관리시스템
AU2010208752A1 (en) End user electricity network, use, method and assembly
CN208520949U (zh) 分布式电源配电网单相接地故障定位性能测试装置
CN105892326A (zh) 电线电路自动化控制及防盗报警装置
KR101038254B1 (ko) 전력선의 유도전류를 이용한 충전기능이 구비된 전력설비 상태감시용 유,무선통신시스템
CN105186429A (zh) 一种交流架空地线的取能终端
KR101765066B1 (ko)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CN201742083U (zh) 避雷器漏电故障报警器
CN203014501U (zh) 具有自供电功能的无线数据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