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66B1 -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66B1
KR102210766B1 KR1020190145950A KR20190145950A KR102210766B1 KR 102210766 B1 KR102210766 B1 KR 102210766B1 KR 1020190145950 A KR1020190145950 A KR 1020190145950A KR 20190145950 A KR20190145950 A KR 20190145950A KR 102210766 B1 KR102210766 B1 KR 10221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posture correction
wearing
muscl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배
Original Assignee
서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20190145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다양한 착용 부재에 결합되는 근력 강화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착용 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다수 개의 부목 부재(splint member), 상기 부목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타 부목 부재와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부목 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관절 부재(joint member) 및 상기 관절 부재로 연결된 2개의 부목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 혹은 양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2개의 부목 부재가 관절 부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경우 서로 맞닿게 형성되어 있는 움직임 제한 부재(motion restrictive memb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잘못된 자세의 원인인 약화된 근육의 근력을 강화함으로써 잘못된 자세를 근본적으로 교정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MUSCLE STRENGTHENING DEVICE FOR POSTURAL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 다양한 착용 부재에 결합되는 근력 강화 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잘못된 습관과 신체 활동량 부족으로 바른 자세에 필요한 근육들의 근력이 약화되고, 상기 근육의 반대 동작을 하는 근육들(길항근, antagonistic muscle)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건강과 미용에 바람직하지 않은 나쁜 자세가 형성됨이 밝혀져 있다.
나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인대와 근육을 신장(stretching)하는 기술들 및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에 저항하는 동작을 이용해 근육의 근력을 강화(strengthening)하는 착용 부재에 대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KR 20-0395827 Y1 KR 10-1452780 B1
삭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쁜 자세의 원인인 약화된 근육의 근력을 강화함으로써 나쁜 자세를 근본적으로 교정하고,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세가 더 악화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근력강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허문헌 1) KR20-0395827 Y1의 경우와 같이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짧아진 근육과 인대를 수동적으로 신장하는 기술들은 근육의 근력 강화 효과가 없으며, 근육의 신장 효과가 일시적일 뿐 아니라 수동적인 근육의 신장 운동에만 의존하면서 이미 약화된 근육의 근력이 더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 KR10-1452780 B1과 같이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에 저항하는 능동적인 동작을 이용해 약화된 근육의 근력을 강화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동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이미 짧아진 상태인 근육들에 작용하는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이 자세를 웅크러들게 하는 문제가 동반된다.
본 발명은 나쁜 자세의 원인인 약화된 근육의 근력을 강화함으로써 자세를 근본적으로 교정하고, 인장탄성 소재의 복원력으로 인해 자세가 더 나빠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는, 착용 부재(wearable member)에서, 상기 착용 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다수 개의 부목 부재(splint member); 상기 부목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타 부목 부재와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부목 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관절 부재(joint member); 상기 관절 부재로 연결된 2개의 부목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 혹은 양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2개의 부목 부재가 관절 부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경우 서로 맞닿게 형성되어 있는 움직임 제한 부재(motion restrictive member);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절 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수 개의 부목 부재들이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포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부목 부재는, 상기 착용부재의 일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착용 부재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척추 관절과 상지 및 하지의 관절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관절 부재는, 탄성체 또는 힌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목 부재 및/또는 상기 움직임 제한 부재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움직임 제한 부재는, 두 종류 이상의 경도를 갖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근력 운동을 위한 착용 부재는 내의, 탄성 의류, 자세교정 의류를 포함하는 의류와 자세교정 밴드, 브래지어, 콜셋, 보조기(orthosis), 보호대(brace), 피부 부착 패드 중 어느 하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 부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 생활을 하면서, 손쉽게 약화된 자세근육의 근력을 강화함으로써 일시적인 결과가 아닌 근본적인 자세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탄성 의류, 자세교정 밴드, 콜셋, 브래지어, 보조기, 보호대, 피부 부착 패드 등에 적용되어 추가적인 근력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자세교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가 구비된 자세교정 의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후면도, 측면도이다.
도 2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로, 몸통을 옆으로 구부리는 동작을 하면서, 옆구리 부위의 근력을 강화하는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절 부재, 움직임 제한 부제가 구비된 부목 부재의 일부 실시예 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절 부재 및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부목 부재가 착용 부재에 형성된 포켓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착용 부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능동적인 동작으로 근력강화 장치를 휘게 하면서 근력을 강화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도 1의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가 구비된 자세교정 의류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 후면도,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가능한 동작의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절 부재 및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부목 부재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절 부재 및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부목 부재가 착용 부재에 형성된 포켓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100)는, 착용 부재(wearable member/10), 다수 개의 부목 부재(splint member/110), 관절 부재(joint member/120), 움직임 제한 부재(motion restrictive member/130)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부목 부재(110)는 착용 부재(10)의 일면에 접한다.
관절 부재(120)는, 부목 부재(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타 부목 부재와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부목 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움직임 제한 부재(130)는, 관절 부재(120)로 연결된 2개의 부목 부재의 각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2개의 부목 부재가 관절 부재(12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경우 서로 맞닿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움직임 제한 부재가 2개의 부목 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되어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100)는, 착용 부재(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관절 부재(120)를 통해 연결된 다수 개의 부목 부재(110)들이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포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부목 부재(110), 관절부재(120), 움직임 제한 부재(130)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포켓(140)을 자세교정 의류에 형성하여 상기 근력 강화장치를 삽입한 후에 봉제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포켓에 여닫이가 가능한 지퍼를 구비되게 형성하여 상기 근력 강화장치를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포켓 형성 후 봉제 결합하는 방법 외에도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목 부재(110)를 착용 부재(10)에 초음파 용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목 부재, 관절 부재,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를 착용 부재에 결합해 실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부목 부재(110)는 바람직한 자세를 취할 때의 인체 표면을 감싸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유도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부목 부재의 폭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관절 부재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 즉 탄성이 있는 일체의 구조로 형성되어 내측면과 외측면의 양측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해 부목 부재(11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부목 부재 사이의 복수의 위치에 실시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관절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관절축과 상기 관절축을 수용하는 수단, 즉 힌지로 구비됨으로써, 관절 부재의 양단에 연결되는 부목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부목 부재(110)의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에, 관절 부재(120)와 인접한 위치에 움직임 제한 부재(13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제한되도록 실시할 수 있으며, 부목 부재(110) 및/또는 움직임 제한 부재(130)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탄성이 있는 소재의 복원력을 저항으로 이용하여 상기 동작에 사용되는 근육들의 저항성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동작이 일상 생활에서 활용되는 동작인 경우에는, 움직임 제한 부재(130)에 의한 저항이 일상적인 생활에서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움직임 제한 부재(130)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기능을 하지 않는 유격부(131)를 구비하여, 유격부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불편 없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움직임 제한 부재(130)의 경도가 2 종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작을 할 때 경도가 작은 움직임 제한 부재(132)의 복원력이 먼저 저항으로 작용하고, 경도가 큰 움직임 제한 부재(134)일수록 더 늦게 작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능동적 저항성 운동의 저항의 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감성적으로 자연스러운 저항성 근력 운동을 하게 하는 동시에 저항의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착용 부재(10)의 다양한 위치에, 부목 부재(110), 관절 부재(120), 움직임 제한 부재(130)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를 결합함으로써 척추 관절과 상지 및 하지의 여러 관절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이용한 능동적 저항성 운동이 가능하며, 도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b)에서와 같이 착용 부재(10)의 등 뒤의 양쪽 견갑골에 걸친 부위의 가로 방향으로 부목 부재, 관절 부재,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가 인체 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슴을 펴면서 어깨를 뒤로 제끼는 동작을 하면서, 어깨와 등 뒤쪽 근육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착용 부재의 허리 뒤의 위아래 방향으로 부목 부재, 관절 부재,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가 인체 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실시함으로써 몸통을 뒤로 제끼는 동작으로 허리 근육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도 1(c) 및 도 2에서와 같이 양 옆구리 부위에는 위 아래 방향으로 부목 부재, 관절부재, 움직임 제한 부재가 구비된 근력 강화장치가 인체 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몸통을 옆으로 구부리는 동작을 하면서, 옆구리 부위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는, 도 1에서 일 실시예로 사용된 착용 부재인 탄성 의류 외에도 탄성이 있거나 몸에 밀착하는 다양한 의류와 자세교정 밴드, 브래지어, 콜셋 등에 적용이 가능함을 물론이며 다양한 부위와 관절에 사용되는 보조기(orthosis), 보호대(brace), 피부 부착 패드 등에 결합되어 복잡한 구조의 동적 부목의 근력 강화 효과를 생산 비용을 줄이는 단순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얻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착용 부재
100: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110: 부목 부재
120: 관절 부재
130: 움직임 제한 부재
131: 유격부
132: 경도가 작은 움직임 제한 부재 134: 경도가 큰 움직임 제한 부재
140: 포켓

Claims (7)

  1. 착용 부재(wearable member)에서,
    상기 착용 부재의 일면에 접하는 다수 개의 부목 부재(splint member);
    상기 부목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타 부목 부재와 연결되고, 서로 연결된 부목 부재들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관절 부재(joint member);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 부재로 연결된 2개의 상기 부목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 혹은 양측면에 결합되되, 2개의 상기 부목 부재가 관절 부재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할 때 서로 맞닿을 때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상기 착용 부재의 사용자의 저항성 근력운동을 수행하게 하는 움직임 제한 부재(motion restrictive member);
    2개의 상기 움직임 제한 부재 사이에, 혹은 상기 움직임 제한 부재와 상기 부목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착용 부재의 사용자의 일상 생활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유격부;가 구비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착용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절 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수 개의 부목 부재들이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포켓;을 더 포함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부목 부재는 상기 착용 부재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척추 관절과 상지 및 하지의 관절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관절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힌지 관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부목 부재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6. 청구항 1에서,
    상기 움직임 제한 부재는 두 종류 이상의 경도를 갖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7. 청구항 1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착용 부재는 내의, 탄성 의류, 자세교정 의류를 포함하는 의류와 자세교정 밴드, 브래지어, 콜셋, 보조기(orthosis), 보호대(brace), 피부 부착 패드 중 어느 하나인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KR1020190145950A 2019-11-14 2019-11-14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KR10221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0A KR102210766B1 (ko) 2019-11-14 2019-11-14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50A KR102210766B1 (ko) 2019-11-14 2019-11-14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766B1 true KR102210766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50A KR102210766B1 (ko) 2019-11-14 2019-11-14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853U (ko) * 1998-05-27 1999-12-27 오재부 자세교정용 벨트
KR200395827Y1 (ko) 2005-06-09 2005-09-14 기용호 자세교정용 벨트
CN203829105U (zh) * 2014-01-10 2014-09-17 庄义明 小学低年段写字肘关节正姿教学用具
KR101452780B1 (ko) 2012-10-24 2014-10-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세교정과 근력강화를 위한 스마트 근 기능성 옷
KR20170068415A (ko) * 2017-05-29 2017-06-19 김한수 척추 교정 장치
JP2018166944A (ja) * 2017-03-30 2018-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関節用サポー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853U (ko) * 1998-05-27 1999-12-27 오재부 자세교정용 벨트
KR200395827Y1 (ko) 2005-06-09 2005-09-14 기용호 자세교정용 벨트
KR101452780B1 (ko) 2012-10-24 2014-10-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세교정과 근력강화를 위한 스마트 근 기능성 옷
CN203829105U (zh) * 2014-01-10 2014-09-17 庄义明 小学低年段写字肘关节正姿教学用具
JP2018166944A (ja) * 2017-03-30 2018-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関節用サポータ
KR20170068415A (ko) * 2017-05-29 2017-06-19 김한수 척추 교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651B1 (ko) 감각운동자극 의류 및 방법
EP2473072B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7913323B2 (en) Garment
KR101821869B1 (ko) 기능성 브래지어
US10736364B2 (en)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KR200493255Y1 (ko) 교정밴드를 구비한 체형 보정용 속옷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US20210235786A1 (en) Garment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KR102210766B1 (ko) 자세교정을 위한 근력강화 장치
CN113382648A (zh) 衣服
US20210346188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JP5080672B1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KR101945802B1 (ko) 자세교정을 위한 어깨끈 가이드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WO2020037011A1 (en) Garment
JP4761925B2 (ja) サポートウェア
CN111163658A (zh) 姿势恢复服装装置系统
CN113873976B (zh) 可穿戴的张力设备
CA2457827A1 (en) The perfectore - a rubber or elastic body harness
CN101653649A (zh) 颈肌锻炼器
JP2022523678A (ja) 着用可能な張力装置
KR101403146B1 (ko) 상지(上肢)의 근골격계 상해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20220003787A (ko) 기능성 슈트 상의
KR200271169Y1 (ko) 밴드형 써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