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667B1 - Roly poly spoon - Google Patents

Roly poly sp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667B1
KR102210667B1 KR1020180095551A KR20180095551A KR102210667B1 KR 102210667 B1 KR102210667 B1 KR 102210667B1 KR 1020180095551 A KR1020180095551 A KR 1020180095551A KR 20180095551 A KR20180095551 A KR 20180095551A KR 102210667 B1 KR102210667 B1 KR 10221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ortion
spoon
hemisphere
connect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0171A (en
Inventor
장수민
Original Assignee
장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민 filed Critical 장수민
Priority to KR102018009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66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와,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spoon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the horizontal level even if i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stores the incl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is formed concave so that food can be accommodated;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convexly upward to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 second curved portion bent downwardly and inclined upward at an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It includes a hemispherical hemisphe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urved part and a center of gravity loa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emisphere. Spoon is a technical poi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ituitary means for restoring the inclination of.

Description

오뚝이 숟가락{Roly poly spoon}Roly poly spoon

본 발명은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spoon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the horizontal level even if i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restores the inclination.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움푹하게 함몰된 헤드부분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잡고 헤드부분에 음식을 안정적으로 담아 입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In general, a spoon is used when eating food using a recessed head portion, and functions to hold the handle for gripping and stably put the food in the head portion and move it to the mouth.

이러한 숟가락은 성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기는 하나,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를 의미하는 유아는 손이 작아 숟가락을 직접 들고 음식물을 먹을 때 서투른 숟가락질에 의해 숟가락이 테이블 등의 바닥에 낙하되면서 주변이 더러워지거나 숟가락에도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These spoons are suitable for use by adults, but infants, meaning children from 1 year to 6 years old, have small hands, so when they hold the spoon themselves and eat food, the spoon is on the floor of a table, etc.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urroundings become dirty or the spoons become dirty as they fall.

말하자면, 대부분의 유아는 성인들처럼 숟가락을 손가락 사이에 넣고 안정적으로 잡지 못하기 때문에 숟가락을 테이블에 떨어뜨리기 일쑤고, 이와 같은 습관으로 국이나 밥을 제대로 떠먹을 수 없어서 밥을 먹는 것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most infants can't stably hold a spoon between their fingers like adults, so they often drop the spoon on the table, and this habit makes them lose interest in eating rice because they can't eat soup or rice properly. The problem is that it is caused.

특히 유아는 위생관념에 대한 의식이 많이 낮기 때문에 숟가락을 사용하고 테이블에 내려놓을 때 아무렇게나 놓는 행동을 하게 되므로. 입에 들어가는 헤드부분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fants are very conscious of hygiene, so they use a spoon and put it down on the 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ad part entering the mout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able, which is not hygienic.

이를 해결해보고자,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공개번호: 20-2012-0001487)'에서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테이블 면에 올려질 때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각각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과 젓가락지지점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와 젓가락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in'Spoon and Chopsticks with Support (Public Publication No.: 20-2012-0001487)', when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placed on the table, the food receiving part of the spoon and the food holding part of the chopsticks respectively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spoon support and a chopstick support are formed at the spoon support and chopstick support respectively.

하지만 상술된 특허에 제시된 숟가락지지부와 젓가락지지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어떠한 방향으로 놓아도 자동 정방향으로 놓이지않아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However, the spoon support portion and the chopstick support portion prop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are not automatically placed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if the spoon and chopsticks are placed in any direction, so the problem of poor hygiene has not been solved.

이런 문제점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술된 바를 해결할 수 있는 근접 기술들이 미미한 상태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숟가락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In spite of these problems, the proximity technologies that can solve the above are insignificant, so it is a time when research 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a new concept spoon to improve them is urgently required.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487호, 2012.03.06.자 공개.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2-0001487 in Korea, published on March 6, 20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poon with a spoon that automatically maintains the horizontal level and restores the inclination even if it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및 숟가락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설치되고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 상기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 상기 반구체의 상부에 상기 반구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절곡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연결체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상기 반구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2연결체;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과, 상기 볼록편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기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기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부재; 및 상부가 오목하여 상기 반구체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상기 제1만곡부 및 상기 제2만곡부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면서, 상기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ead portion formed concave so that food can be accommodated;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convexly upward to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 second curved portion bent downwardly and inclined upwardly at an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even if the spo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horizontally and the tilting means for restoring the inclination; including, wherein the pickling means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first bent piece and the second A hemispherical hemisphere fastened by a coupling member made of a bent piece and installed under the first curved portion; A center of gravity loa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emisphere; A first connector protruding relatively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hemisphere so that the second bent piece can be positioned on the hemisphere; A second connect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member by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nector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connector and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hemisphere; A convex piece formed to be convex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ent piece, the first bent piece vertically bent downwar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convex piece,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iece that is vertically bent in an inward direction The coupling member made of the second bent piece; And a support whose upper portion is concav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wherein the head por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have a length ratio of 4 to 5: 1 to 2: 6 to 8, Even if the hemispher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inclination of the spoon is restored while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horizontal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만곡부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curv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by 40 to 50° at a point of 1.1 to 1.4/3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게중심체는, 상기 반구체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enter of grav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ight of 1 to 5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숟가락은, 유아가 숟가락을 테이블에 아무렇게나 내려놓는 행동을 하여 숟가락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됨으로써, 위생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 is, by the act of putting the spoon down on the table by the infant, and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horizontal level even if the spo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nclination is restor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duce interest in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수단의 상세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pi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뚝이 숟가락은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제2만곡부(300) 및 오뚝이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고자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including the head portion 100,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and the holding means 400, below I will explain in more detail in

본 발명의 헤드부(100)는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head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concave so that food can be accommodated.

말하자면 헤드부(100)는 숟가락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인바, 통상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에 국이나 밥 등의 음식물이 담기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That is to say, since the head part 100 is a part constituting the tip of the spoon, it is generally formed in an oval shape to provide a space for food, so that food such as soup or ri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formed in a concave center. do.

여기서 헤드부(100)의 형상은 통상적인 숟가락과 유사하지만, 유아의 입이 작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선단이 상향으로 들려있는 형태로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hape of the head part 100 is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spoon, but since the mouth of the infant is small,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tip is lifted up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eaten.

단, 헤드부(100)는 당업계에서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자명한 구성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since the head unit 100 is a self-evident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derived in the art,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first curved por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tend convexly upward to the end of the head portion 100.

즉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단부에 상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그 하부에 오뚝이수단(400)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That is,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is formed to be bent upwardly at the end of the head portion 100, thereby acting to stably fasten the peg means 400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내용인즉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끝단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아가 테이블 상에 숟가락을 어떠한 방향으로 떨어뜨리면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숟가락이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400)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at the end of the head portion 100, so that the spoon is automatically horizontally maintained even if the infant drops the spoon on the table in any direction and tilts at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inclination of the spoon is restored, a space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means 400 is provided.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에 의하면, 제1만곡부(200)가 상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이 아닌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오뚝이수단(400)이 설치되더라도 숟가락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헤드부(100)가 테이블의 표면에 닿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헤드부(100)와 제2만곡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만곡부(200)가 상향으로 골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untless experiments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has a fla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ather than an upwardly rounded shape, the spoon cannot be horizontal even if the pickling means 400 is installed. It was confirmed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head part 100 touches the surface of the table frequently occurs. Accordingly, it will have an important meaning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formed between the head portion 100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formed to be curved or rounded upward.

본 발명의 제2만곡부(300)는 제1만곡부(200)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구성이다.The second bent portion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downwardly to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is inclined upward.

상세하게는, 제2만곡부(300)는 제1만곡부(200)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다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이룸으로써, 오뚝이수단(400)에 의해 헤드부(100)와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Specifically,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bent downwardly to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then inclined upward again, thereby forming a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head portion 100 by means of the pile-up unit 400. It acts to achieve stable.

특히 제2만곡부(300)의 단부는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도 2의 β)으로부터 40~50° 상향 경사진 각도(도 1 및 도 2의 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preferably made of an angle (α in FIGS. 1 and 2) inclined upward by 40-50°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β in FIG. 2 ).

만약 제2만곡부(300)의 단부가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40° 미만의 경사각도를 이루면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 놓일 때 제2만곡부(300)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50°를 초과하는 경사각도를 이루면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 놓일 때 헤드부(100)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기울어져 테이블 상에 헤드부(100)가 접촉되기 때문에 헤드부(100)의 오염이 불가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If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art 300 has an inclination angle of less than 40° from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curved part 300, the phenomenon that the spoon is relatively inclined toward the second curved part 300 when placed on the table. It can be seen that this appears, and if the inclination angle exceeds 50° from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curved part 300, when the spoon is placed on the table, it is relatively more inclined toward the head part 100 and the head on the table Since the portion 100 is in contact, it was confirmed that contamination of the head portion 100 is inevitable.

이런 이유로, 제2만곡부(300)의 단부는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40~50° 상향 경사진 각도(α)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formed at an angle α that is inclined upward by 40-50° from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아울러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은 제1만곡부(200)의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제2만곡부(300)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말은 즉, 제2만곡부(300)의 1.1~1.4/3인 지점이 되는 곳이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을 의미하는데, 1.1/3 지점 미만인 부분에 최저점이 형성될 경우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든 헤드부(100)가 테이블 상에 접촉되어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1.4/3 지점을 초과한 부분에 최저점이 형성될 경우 이역시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든 헤드부(100)가 테이블 상에 접촉되어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이 제1만곡부(200)의 단부로부터 1.1~1.4/3인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starts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is inclined upward by 40-50° at a point 1.1 to 1.4/3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This means that the point at 1.1 to 1.4/3 of the second bent part 300 means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bent part 300. If the lowest point is formed in the part less than 1.1/3, the spoon Regardless of which direction the spoon is tilted in any direction, if the horizontal of the spoon is not stably achieved due to the contact of the head portion 100 on the table, and the lowest point is formed in the portion exceeding the 1.4/3 point, then no matter which direction the spoon is tilted The lowest point β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1.1 to 1.4/3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because the head portion 100 is in contact with the table and the horizontal of the spoon cannot be stably achieved. It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to be formed in.

본 발명의 오뚝이수단(400)은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반구체(41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체(420)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구성이다.By being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the pitted devic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maintained horizontally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420 even if the hemisphere 41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spoon is tilted.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luggage to be restored.

우선 본 발명의 숟가락에 오뚝이수단(400)을 적용한 이유는, 유아가 서툰 숟가락질에 의해 숟가락이 기울어져 테이블 상에 숟가락의 헤드부(100)가 접촉되면 위생상 좋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소해볼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기 위함이다.First of all, the reason why the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poon 400 is that the spoon is tilted due to poor spooning of the infant and the head part 100 of the spoon is in contact with the table, so that it is not good for hygiene. It is to present new means to induce interest in childre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수단(400)의 상세도이다. 즉 도 3은 도 1에 표기된 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1만곡부(200)와 반구체(41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재(45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오뚝이수단(400)의 반구체(410), 무게중심체(420), 제1연결체(430) 및 제2연결체(440)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도 3-(a)와 도 3-(b)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pile means 4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shown in FIG. 1, and FIG. 3-(a) shows a coupling member 450 for stably fastening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the hemisphere 410, Figure 3-(b) shows the hemisphere 410, the center of gravity 420, the first connector 430 and the second connector 440 of the pitted ear means 400, and Figure 3-(c) Fig. 3-(a) and Fig. 3-(b) show the fastened state.

말하자면, 오뚝이수단(400)은 반구체(410), 무게중심체(420), 제1연결체(430), 제2연결체(440), 결합부재(450) 및 받침대(460)로 이루어짐으로써,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기울어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In other words, by being made of a hemisphere 410, a center of gravity 420, a first connector 430, a second connector 440, a coupling member 450 and a pedestal 460, Even if the spoon is tilted in any direction, it maintains the level and restores the tilt to its original state.

첫째, 반구체(410)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뚝이수단(400)의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결합부재(450)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다.First, the hemispherical body 41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us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by a coupling member 450 so that the piping of the piping means 400 can be operated.

말하자면 반구체(410)는 오뚝이수단(40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무게중심체(420)가 내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반구체(410) 하면의 반구 형상에 의해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That is to say, the hemisphere 410 forms the main frame of the puppet means 400, and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420 is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to form a hemispherical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misphere 410 It acts to make the five-tuk move possible.

내용인즉 반구체(41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숟가락의 오뚝이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hemisphere 41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poons can be operated.

둘째,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구성이다.Second, the center of gravity 420 is a configuration that is loa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emisphere 410.

이러한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진 무거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반구체(410)의 내부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숟가락이 오뚝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작용을 한다.This center of gravity 420 is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r weight than the hemisphere 410, a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hemisphere 410, thereby holding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spoon can operate. do.

즉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내부 중앙의 최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숟가락의 무게중심을 잡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질 때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420 can hol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oon while being fix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enter of the hemisphere 410, so that when the spoon is inclined or collap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table, the horizontal is automatically leveled. As it is maintained, the inclina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pit can be operated.

특히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무게중심체(420)가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배 미만이면 숟가락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하여 테이블 상에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5배를 초과하면 보다 탁월한 구조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숟가락의 다양한 구조적인 형상에 따라 무게중심체(420)의 무게 변화는 반구체(410)의 무게에 대비하여 1~5배 사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gravity 420 has a weight of 1 to 5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410.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f the center of gravity 420 is less than 1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41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oon cannot be stably held, so that no matter in which direction the spoon is tilted on the table, the horizontal of the spoon is stabl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made, and if it exceeded 5 times, a more excellent structural effect did not appear, so it is preferable to use a weight center body 420 having a weight of 1 to 5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410 Do. However, the weight change of the center of gravity 420 according to the various structural shapes of the spoon can be variously changed between 1 and 5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410.

셋째, 제1연결체(430)는 반구체(410)의 상부에 반구체(4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제2절곡편(453)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ird, the first connector 430 is formed to protrud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misphere 410 on the top of the hemisphere 410 so that the second bent piece 453 can be positioned.

즉 제1연결체(430)는 반구체(410)의 상면에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450)의 제2절곡편(453)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작용을 한다.That is, the first connector 43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misphere 410 with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hemisphere 410, so that the second bent piece 453 of the coupling member 450 can be located. It acts to provide space.

넷째, 제2연결체(440)는 제1연결체(430)의 상부에 제1연결체(43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450)의 내부에 안착되는 구성이다.Fourth, the second connector 440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connector 430 on the top of the first connector 430, and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hemisphere 410 is formed, thereby combining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seated inside the member 450.

말하자면, 제2연결체(440)는 제1연결체(4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부재(450) 내부의 제2끼움공간(S2)에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작용을 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connector 440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430 and acts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itting space S2 inside the coupling member 450 in a fitting manner.

이때 제2연결체(440)의 직경이 제1연결체(430)의 직경보다는 크지만 반구체(410)의 직경보다는 작기 때문에, 반구체(410)와 제2연결체(440) 사이의 제1연결체(430) 외측 둘레를 따라 제2절곡편(453)이 끼움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제1끼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nnector 44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or 430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misphere 410, the first connector between the hemisphere 410 and the second connector 440 A first fitting space (S1) in which the second bent piece 453 can be fastened in a fitting manner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or 430.

다섯째, 결합부재(450)는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반구체(41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Fifth, the coupling member 450 is a configuration for stably fastening the hemisphere 4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이러한 결합부재(450)는 제1만곡부(200)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451)과, 볼록편(451)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1절곡편(452)과, 제1절곡편(452)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2절곡편(4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450 includes a convex piece 451 that is convex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a first bent piece that is vertically bent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vex piece 451 ( 452 and a second bent piece 453 that is vertically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first bent piece 452.

이렇게 볼록편(451), 제1절곡편(452) 및 제2절곡편(453)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50)의 내부에는 제2연결체(44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끼움공간(S2)이 형성됨으로써, 숟가락에 오뚝이수단(4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econd fitting space S2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44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450 consisting of the convex piece 451, the first bent piece 452, and the second bent piece 453. )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the pitted means 400 on the spoon.

여섯째, 받침대(460)는 반구체(410)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Sixth, the pedestal 46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410.

즉 받침대(460)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을 때 오뚝이수단(400)의 오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받침대(460)는 반구체(410)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recess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edestal 460 prevents contamination of the pitted means 400 when the spoon is not used and allows it to be stably stored, and the pedestal 460 has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hemisphere 410 can be stably positioned. It is desirable to have a recess structure.

이때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의 전체 거리비를 설명해 보자면,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 b, c 참조)In this case, to explain the total distance ratio of the head portion 100,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the head portion 100,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4 ~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ngth ratio of 5: 1 to 2: 6 to 8. (See a, b, and c in Fig. 2)

만약 헤드부(100)가 4 길이비율 미만이면 음식물을 수용하기에 부족한 길이를 가지고, 5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헤드부(1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유아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불편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헤드부(100)는 4~5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head part 100 is less than 4 length ratio, it has insufficient length to accommodate food, and if it exceeds 5 length ratio, the length of the head part 100 is too long,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when infants consume foo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portion 100 has a length ratio of 4 to 5.

그리고 제1만곡부(200)가 1 길이비율 미만이면 오뚝이수단(4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어렵고, 2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제1만곡부(2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오뚝이수단(400)을 설치하더라도 숟가락을 테이블에 놓았을 때 헤드부(100) 또는 제2만곡부(300) 방향으로 편향되어 기울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제1만곡부(200)는 1~2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is less than 1 length ratio, it is difficult to create a space for stably installing the piling means 400, and when the length ratio exceeds 2, the length of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is too long. ), even if the spoon is placed on the table, there is a risk of being def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00 or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and tilted, so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preferably has a length ratio of 1 to 2 .

이어서 제2만곡부(300)가 6 길이비율 미만이면 헤드부(100)와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오뚝이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테이블에 숟가락을 놓으면 헤드부(100) 쪽으로 편향되어 기울어지기 마련이고, 8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이역시 오뚝이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헤드부(100)와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제2만곡부(300)는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f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is less than 6 length ratio, the balance with the head portion 100 cannot be achieved, so even if the spoon is placed on the table, it is inclined toward the head portion 100, 8 If the length ratio is excee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lance with the head part 100 cannot be stably achieved even if the puppet device 400 is provided,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rved part 300 has a length ratio of 6 to 8. Do.

이처럼 다양한 실험에 따라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질 때 오뚝이수단(400)의 역할을 가장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various experiments, the head part 100, the first curved part 200, and the second curved part 300 play the role of the pick-up means 400 when they have a length ratio of 4 to 5: 1 to 2: 6 to 8. It will be possible to perform most stably.

아울러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제2만곡부(300) 및 오뚝이수단(400)을 포함하는 숟가락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스테인리스 소재의 경우, 경질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유아가 사용할 때 치아에 숟가락이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입 안에 상처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숟가락의 표면에 실리콘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oon including the head portion 100, the first curved portion 200, the second curved portion 300, and the plucking means 400 may be made of a stainless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stainless steel, since it has a hard characteristic, there is a concern that a wound may occur in the mouth as the spoon hits the teeth when used by an infant. In order to prevent this concern, it is desirable to apply a silicone coating to the surface of the spo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헤드부
200: 제1만곡부
300: 제2만곡부
400: 오뚝이수단
410: 반구체
420: 무게중심체
430: 제1연결체
440: 제2연결체
450: 결합부재
451: 볼록편
452: 제1절곡편
453: 제2절곡편
460: 받침대
S1: 제1끼움공간
S2: 제2끼움공간
100: head
200: first curved portion
300: second curved portion
400: pick-up tool
410: hemisphere
420: center of gravity
430: first connector
440: second connector
450: coupling member
451: convex piece
452: first bending piece
453: second bending piece
460: pedestal
S1: first fitting space
S2: 2nd fitting space

Claims (5)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및
숟가락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설치되고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
상기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
상기 반구체의 상부에 상기 반구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절곡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체;
상기 제1연결체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상기 반구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2연결체;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과, 상기 볼록편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기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상기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부재; 및
상부가 오목하여 상기 반구체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상기 제1만곡부 및 상기 제2만곡부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면서, 상기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A head portion concavely formed to accommodate food;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convexly upward to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 second curved portion bent downwardly and inclined upward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Including; even if the spo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horizontal is automatically maintained and the inclination is restored.
The pil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fastened by a coupling member consisting of a first bent piece and a second bent piece,
A hemispherical hemisphere installed under the first curved portion;
A center of gravity load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hemisphere;
A first connector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hemisphere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misphere to allow the second bent piece to be positioned;
A second connect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member by protruding from the first connector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connector and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hemisphere;
A convex piece formed to be convex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the first bent piece vertically bent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vex piece, and an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iece that is vertically bent inward The coupling member made of the second bent piece; And
Including; an upper portion is concav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hemisphere;
The head por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have a length ratio of 4 to 5: 1 to 2: 6 to 8, and automatically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even if the hemispher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p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 of the spoon is restored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만곡부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urved portion,
A spo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by 40-50°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to 1.1 ~ 1.4/3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체는,
상기 반구체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er of gravity,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ight of 1 to 5 times the weight of the hemisphere.
KR1020180095551A 2018-08-16 2018-08-16 Roly poly spoon KR102210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en) 2018-08-16 2018-08-16 Roly poly sp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en) 2018-08-16 2018-08-16 Roly poly spo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71A KR20200020171A (en) 2020-02-26
KR102210667B1 true KR102210667B1 (en) 2021-02-02

Family

ID=6963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en) 2018-08-16 2018-08-16 Roly poly spo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66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en)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strucpure of mascara c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487U (en) 2010-08-24 2012-03-06 김명수 Spoon and chopstick with supporting part
KR20130122873A (en) * 2012-05-01 2013-11-11 윤석수 The meal tool easy to h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en)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strucpure of mascara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71A (en)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0655B2 (en) Hanging tray for single open beverage
KR102210667B1 (en) Roly poly spoon
US11026526B2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JP5078292B2 (en) Stable self-help tableware
CN209235602U (en) A kind of stabilization tableware for AD patient
JP3118634U (en) Tableware
US20070029276A1 (en) Drinking vessel
KR20180000188U (en) Spoon
KR102198098B1 (en) Sanitary spoon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US20160324346A1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CN216602401U (en) Novel child dining mat with double-sucker structure
JP3236253U (en) Food utensils
US20230276966A1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KR100937551B1 (en) Rice paddle
CN210354164U (en) Fruit tray for observing moon
CN105747731A (en) Child bowl
KR102407302B1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KR20190122042A (en) Head-up hygienic chopsticks
JP3131326U (en) Easy chopstick rest
JP3024142U (en) Food dish
TWM559130U (en) Disposable tableware
KR200382199Y1 (en) Non tumble cup
JP3152565U (en) Clean sanitary chopsticks
KR20130007332U (en) Support member of spoon and chopsticks for spoon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