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95B1 -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95B1
KR102210395B1 KR1020190071990A KR20190071990A KR102210395B1 KR 102210395 B1 KR102210395 B1 KR 102210395B1 KR 1020190071990 A KR1020190071990 A KR 1020190071990A KR 20190071990 A KR20190071990 A KR 20190071990A KR 102210395 B1 KR102210395 B1 KR 10221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ty
user
medical information
matching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252A (ko
Inventor
고승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브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브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브로스
Priority to KR102019007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3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52A/ko
Priority to KR1020210010837A priority patent/KR102419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질병과 관련없는 제3 자가 환우회 커뮤니티에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 환자와 그 가족들이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TY SERVICE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전세계 사람들에게 여러 가지 주제와 관련된 정보, 의견 및 경험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넷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일상이나 관심사를 인터넷의 특정 공간에 게시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통된 관심사에 대한 의견이나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여러 종류의 인터넷 커뮤니티가 등장했다.
그 중에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이 자신과 관계를 맺는 다른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사교 및 친분을 위한 커뮤니티가 있는가 하면, 특정 분야나 이슈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그와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데 특화된 커뮤니티도 있다. 그러한 특화된 커뮤니티의 일종으로 같은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 가족들이 모인 환우회 커뮤니티가 있다. 환우회 커뮤니티에서는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한 증상이나 예후, 그 질병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효능이나 부작용, 최신의 치료법, 유명한 병원 등에 대한 정보가 주로 공유된다.
환우회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는 정보에는 개인의 의료경험이나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들이 종종 포함이 되기 때문에, 해당 질병과 관련없는 사람들이 단순한 흥미나 홍보 목적으로 환우회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656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당 질병과 관련없는 사람들이 환우회 커뮤니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여 환자나 그 가족들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홍보나 흥미를 목적으로 한 제3 자의 커뮤니티 활동을 사전에 차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항목 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 중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항목 별 값과 비교하여 상기 매칭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항목 별 가중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스코어는 상기 항목 별 가중치가 반영된 가중 합산 스코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이 반복 진단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에 대한 전용 약제가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상기 커뮤니티의 하위 커뮤니티에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사용자들의 거주지, 상기 거주자들이 질병을 치료하는 병원, 상기 거주자들의 주치의, 상기 거주자에 대한 처방 약제 또는 상기 거주자들의 의료비 지출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로부터 자동탈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일정기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의료정보를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링된 집단의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링된 집단을 위한 신규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 가입에 필요한 가입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커뮤니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링크나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 기록, 처방전, 의료비 영수증, 약제비 영수증, 진단서, 수술확인서, 의료비 보험금 청구 정보 또는 인적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칭 테이블 또는 상기 매칭 테이블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는,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의료정보 분석부,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커뮤니티 매칭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의 등급을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서의 활동 권한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의 진료 건 수가 많은 병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병원을 상기 커뮤니티에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 가족들에게만 커뮤니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커뮤니티 멤버들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인원이 과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적절히 분산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 및 활동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신규 커뮤니티를 생성하거나 기존 커뮤니티를 삭제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에 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환자나 그 가족에게 유의미한 질병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프로모션을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내 활동이나 멤버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질병과 관련없는 제3 자가 커뮤니티에 유입되는 데 따른 비효율성은 제거하면서, 환자와 그 가족들간의 교류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칭 테이블(1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S13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S15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멤버가 클러스터링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커뮤니티에서 자동 탈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가 삭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커뮤니티가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기관(10),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및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커뮤니티 운영서버(20)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분리된 독립된 서버로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커뮤니티 운영서버(20)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커뮤니티 운영서버(20)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기관(10)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제공하는 외부 기관이다. 기관(10)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취득 또는 수집하는 병원, 약국, 정부기관, 보험사 또는 기타 기관일 수 있다. 기관(10)이 제공하는 의료정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질병에 대한 치료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료정보는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한 진료기록, 처방받은 처방전, 사용자가 지출한 의료비 영수증, 약제비 영수증,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단서, 수술확인서, 의료비 보험금 청구 정보 또는 인적 식별정보(즉, 환자나 그 가족에 대한 개인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관(10)이 제공하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 커뮤니티에 매칭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가령,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공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한 결과 해당 사용자가 질병 A를 앓고 있는 환자이거나 그 가족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를 질병 A와 관련된 커뮤니티 A에 매칭시킨다. 그리고, 매칭된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커뮤니티 A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커뮤니티 운영서버(20)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해당 사용자가 커뮤니티 A와 매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사용자가 커뮤니티 A에 가입하는 데 필요한 가입코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30)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커뮤니티 A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링크나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10)으로부터 수신한 의료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질병과 관련있는 사람만 커뮤니티에 액세스하게 하므로, 질병과 관련없는 제3 자가 커뮤니티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뮤니티 멤버들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매칭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료정보 DB(110), 의료정보 분석부(120), 커뮤니티 매칭부(130), 매칭 테이블(140), 서비스 제공부(150), 커뮤니티 관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및 데이터 입출력 수단(180)을 포함한다.
의료정보 DB(110)는 커뮤니티 운영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의료정보를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한다. 의료정보 DB(110)는 수신한 의료정보를 개별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의료정보 분석부(120)는 매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이때, 의료정보 분석부(120)가 분석하는 의료정보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직접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의료정보 DB(110)에 저장된 의료정보를 읽어낸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 분석부(12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 중에서 매칭 테이블(140)에 기재된 각 항목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찾고 그것이 커뮤니티의 각 항목과 부합하는 지 판단한다. 그리고, 부합하는 항목들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1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기 위해, 의료정보 분석부(12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매칭 테이블(140)에 기재된 각 항목(141), 즉, 진단명, 약제 처방 및 비약제 처방 등에 대응하는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찾은 정보들이 제1 커뮤니티의 진단명, 약제 처방 및 비약제 처방과 부합하는 지 판단한다. 가령, 사용자의 의료정보 중 진단명에 대응하는 정보가 진단명 A라면, 사용자의 의료정보는 제1 커뮤니티의 진단명 항목에 부합한다. 반대로, 사용자의 의료정보 중 약제 처방에 대응하는 정보가 약제 B라면, 사용자의 의료정보는 제1 커뮤니티의 약제 처방 항목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의료정보가 제1 커뮤니티의 각 항목에 부합하는 지 판단한 후, 부합하는 항목에 배정된 스코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제1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이때, 실시예로서, 커뮤니티의 각 항목에는 가중치(142)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는 가중치가 반영된 가중 합산 스코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명에 대한 가중치가 1이고, 약제 처방에 대한 가중치가 0.5이고, 비약제 처방에 대한 가중치가 0.3이고, 각 항목별 배정된 스코어가 1점이라고 한다. 이때, 사용자의 의료정보가 제1 커뮤니티에 대해 진단명 및 비약제 처방 항목에만 부합한다면, 사용자의 제1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는 부합되는 항목의 가중 합산 값인 1.3점이 된다.
일 실시예로서, 의료정보 분석부(120)는 복수의 커뮤니티에 대해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할 수 있다. 가령, 의료정보 분석부(120)는 제1 커뮤니티에 대해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 후, 제2 커뮤니티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커뮤니티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의료정보 분석부(120)가 계산한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에 따라 사용자를 커뮤니티에 매칭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의료정보 분석부(120)가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면, 계산된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를 해당 커뮤니티에 매칭한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한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커뮤니티를 매칭할 수 있다. 즉, 의료정보 분석부(120)가 복수의 커뮤니티에 대해 각각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경우, 기준값 이상의 매칭 스코어를 갖는 커뮤니티가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그 경우,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기준값 이상의 매칭 스코어를 갖는 모든 커뮤니티를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가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의 전용 약제를 포함하는 경우,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도 사용자를 특정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뮤니티가 당뇨병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이고, 제2 커뮤니티의 약제 처방 항목 값이 약제 B가 오직 당뇨병에만 처방되는 전용 약제인 경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약제 B를 처방받은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가 당뇨병을 확진 받은 것으로 보고 제2 커뮤니티에 대한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미만이더라도 사용자를 제2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전염병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매칭을 위한 기준값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역 등 전염병이 발생된 상황에서, 커뮤니티 매칭부(130)는 해당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전염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의 매칭 기준값을 전염병이 해결되는 시점까지 하향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염병에 보다 용이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매칭 테이블(140)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료정보 분석부(120)가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기 위해 참조하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매칭 테이블(14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커뮤니티 별로 각 항목의 값(143) 또는 각 항목에 대한 가중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되는지 여부에 따라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가령, 커뮤니티 매칭부(130)에 의해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경우, 서비스 제공부(150)는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부(150)가 커뮤니티 운영서버(20)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제1 커뮤니티의 운영서버 또는 운영자가 제공된 서비스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1 커뮤니티의 가입 요청을 승인하거나 접근 권한을 오픈할 수 있도록 해당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와 매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50)가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사용자가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제1 커뮤니티에 가입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1 커뮤니티 가입을 가입코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30) 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하는 커뮤니티 액세스 링크나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관리수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특정 커뮤니티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해당 커뮤니티의 멤버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클러스터링 하고 클러스터링 결과에 따라 분류된 각 사용자들을 해당 커뮤니티의 하위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뮤니티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사용자가 질병을 치료하는 병원, 사용자의 주치의,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제 또는 사용자의 의료비 지출 수준들을 기준으로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여러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사용자들을 그에 맞는 하위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즉,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 중 서울대병원에 다니는 사용자들을 분류한 후 제1 커뮤니티의 하위 커뮤니티인 서울대병원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위 커뮤니티의 마스터로는 하위 커뮤니티를 대표할 수 있는 사람, 예를 들어 서울대병원의 의사를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커뮤니티 멤버의 내실화를 위해, 특정 질병의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라도 일정기간 이상 해당 질병에 대한 의료정보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그 사용자는 해당 질병이 완치된 것으로 보고 커뮤니티와의 매칭을 자동 해제(또는, 커뮤니티에서 자동탈퇴)할 수 있다. 그리고, 매칭이 해제된 사용자가 그 커뮤니티에서 활동하지 못하도록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 커뮤니티 간의 매칭을 자동 해제하는 조건은 커뮤니티의 질병 별로 상이할 수 있다. 가령 진료 주기가 짧은 질병에 대해서는 매칭의 자동 해제를 위한 대기기간(즉, 의뢰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고, 진료 주기가 긴 질병에 대해서는 매칭의 자동 해제를 위한 대기기간(즉, 의뢰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사용자가 커뮤니티 간의 매칭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또는, 사용자가 커뮤니티로부터 자동탈퇴되어) 특정 커뮤니티의 멤버 수가 기준값 이하로 내려가면, 그 커뮤니티를 자동 삭제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 리소스를 효율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관리부(160)는 기관(10)으로부터 수신하는 의료정보를 클러스터링하고, 클러스터링 된 집단의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신규 커뮤니티에 대한 수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클러스터링 된 집단과 관련된 질병의 커뮤니티를 자동으로 신규 생성하거나, 신규 생성하도록 관리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외부 기관(10)이나 외부 서버(20), 또는 외부 단말기(30) 간의 통신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입출력 수단(180)은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간의 데이터 전송 및 통신을 위한 입/출력 수단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부(170) 및 데이터 입출력 수단(180)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성 및 그 동작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반복 진단 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를 해당 커뮤니티에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질병이 감기와 같은 일반 질환인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질병에 대해서는 사용자를 커뮤니티와 매칭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한 결과 또는 사용자를 각 커뮤니티에 매칭한 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20)에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지역에서 유의하게 특정 질병 진단자가 급속하게 증가하여 해당 질병의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 수가 증가하는 경우 등에 해당 지역 사용자를 대상으로 경고 메시지를 커뮤니티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되는 시점부터 그 커뮤니티에서 자동탈퇴되는 시점까지를 질병의 치료 소요 기간으로 보고, 해당 질병을 치료하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 시간, 각 의료기관 별로 해당 질병을 치료하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 시간, 또는 각 주치의 별 해당 질병을 치료하는 데 걸리는 평균 소요 시간을 사용자 단말기(20)에 커뮤니티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이름, 나이, 질병, 치료 병원, 주치의, 치료기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이름, 나이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에 대해서는 암호화를 하거나 비식별화를 통해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커뮤니티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이 영업 시간 이외 시간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영업 시간 외 시간에만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액세스를 제한하거나, 영업 시간 외 시간에 액세스 하는 경우에 포인트 등 리워드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영업 시간 외에 커뮤니티에 액세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를 커뮤니티의 마스터로 지정하고, 지정된 커뮤니티 마스터가 해당 커뮤니티에서의 배너 광고 등을 게재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운영하는 사람은 커뮤니티 마스터와 배너 광고 수익을 나눌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커뮤니티 운영의 지나친 상업화를 막기 위해, 커뮤니티 마스터는 커뮤니티와 관련된 개인, 기관 또는 회사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제를 복용중인 환자들의 하위 커뮤니티에 대하여 해당 약제의 제약사만 커뮤니티 마스터가 될 수 있게 하거나, 특정 병원에 다니는 환자들의 하위 커뮤니티에 대하여 해당 병원만 커뮤니티 마스터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주치의에 의한 진료를 받는 환자들의 하위 커뮤니티에 대하여 해당 주치의만 커뮤니티 마스터가 되게 할 수 있다. 다만, 그 병원이나 주치의가 해당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걸리는 소요 기간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그 병원이나 주치의가 질병을 치료하는 데 남들보다 더 오래 걸린다는 의미이므로, 그 하위 커뮤니티의 마스터가 될 수 있는 권한은 다른 주치의나 병원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커뮤니티에 매칭되는 사용자들을 등급으로 구분하고, 그 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커뮤니티 활동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정회원, 준회원, 전문가회원의 세 등급으로 구분하고, 정회원에게는 제한없는 활동 권한을 부여하고, 준회원에게는 일부 컨텐츠의 열람을 제한하는 등 제한적인 활동 권한을 부여하고, 전문가회원에게는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는 권한만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정회원 자격은 제1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보유한 환자에게 부여하고, 준회원 자격은 제1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에 관심이 있는 환자의 가족이나 해당 질환의 연구원에게 부여하고, 전문가회원 자격은 제1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의 전문의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등급별 차등적인 권한 부여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질병의 진료건수가 많은 병원이나 의료기관을 분석하여, 해당 병원이나 의료기관을 그 특정 질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에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병원별 처방 내역을 확인하고, 그로부터 어떤 병원이 어떤 질병을 많이 치료하는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특정 질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에 추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를 커뮤니티에 매칭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확인을 받은 이후에 커뮤니티 매칭을 진행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몇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사용자에 따라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커뮤니티 가입은 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라도 실제로는 관련 질병을 보유하지 않은 예외적인 사례가 있을 수 있어 사용자 확인과정을 통해 매칭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처럼 개별 사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수집함으로써,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매칭 테이블(140) 및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기 위해 참조되는 관련 라이브러리들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가령,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된 이후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진료기록 등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의료정보로서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새롭게 수집된 의료정보들을 반영하여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매칭 테이블(140)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질병이 진단된 초기 단계에서 처방되는 약제와 질병이 호전되어 가는 단계에서 처방되는 약제가 다를 수 있어, 질병의 치료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의료정보를 수집하여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로직에 반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속적 업데이트를 통해, 초기에는 기본적인 약제의 성분, 효능 등을 기반으로 매칭 테이블(140)과 관련 라이브러리를 구성하고,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참여한 후 수집되는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초기의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로직을 고도화하고 커뮤니티 매칭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 가족들에게만 커뮤니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커뮤니티 멤버들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인원이 과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적절히 분산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 및 활동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신규 커뮤니티를 생성하거나 기존 커뮤니티를 삭제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에 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환자나 그 가족에게 유의미한 질병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프로모션을 제공함으로써 커뮤니티 내 활동이나 멤버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질병과 관련없는 제3 자가 커뮤니티에 유입되는 데 따른 비효율성은 제거하면서, 환자와 그 가족들간의 교류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동작을 설명한다. 각 동작의 주체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수동태로 표현된 동작은 그 주체가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임을 참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10 단계 내지 S170 단계를 포함한다.
S110 단계에서, 기관(10)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한다.
S130 단계에서, 매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수신한 의료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의료정보 중에서 매칭 테이블(140)에 기재된 각 항목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찾고 그것이 커뮤니티의 각 항목과 부합하는 지 판단한다. 그리고, 부합하는 항목들의 스코어를 합산하여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수신한 의료정보를 매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분석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관련 실시예들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50 단계에서, S130 단계에서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 계산된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를 해당 커뮤니티에 매칭한다. 일 실시예로서, 한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커뮤니티가 매칭될 수 있다. 즉, S130 단계에서 복수의 커뮤니티에 대해 각각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 경우, 기준값 이상인 매칭 스코어가 둘 이상일 수 있다. 그 경우, 기준값 이상의 매칭 스코어를 갖는 모든 커뮤니티가 사용자에게 매칭될 수 있다. 의료정보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커뮤니티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관련 실시예들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70 단계에서, S1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가령, S1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경우,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가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된다. 이때, 커뮤니티 운영서버(20)에 제공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와 매칭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뮤니티의 운영서버 또는 운영자는 제공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1 커뮤니티의 가입 요청을 승인하거나 접근 권한을 오픈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사용자 단말기(30)에 제공되는 커뮤니티 서비스는 사용자가 제1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데 필요한 가입코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30)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커뮤니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액세스 링크나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공된 가입코드, 액세스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통해 제1 커뮤니티에 가입하거나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된 이후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진료기록 등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의료정보로서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새롭게 수집된 의료정보들을 반영하여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매칭 테이블(140)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질병이 진단된 초기 단계에서 처방되는 약제와 질병이 호전되어 가는 단계에서 처방되는 약제가 다를 수 있어, 질병의 치료 단계별로 지속적으로 의료정보를 수집하여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로직에 반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업데이트 단계를 통해, 초기에는 기본적인 약제의 성분, 효능 등을 기반으로 매칭 테이블(140)과 관련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였더라도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참여한 후 수집되는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초기의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매칭 스코어 계산 로직의 고도화 및 커뮤니티 매칭의 정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 가족들에게만 커뮤니티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커뮤니티 멤버들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질병과 관련없는 제3 자가 커뮤니티에 유입되는 데 따른 비효율성은 제거하면서, 환자와 그 가족들간의 교류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S13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130 단계는 S130 단계 및 S133 단계를 포함한다.
S131 단계에서, 사용자의 특정 질병에 대한 반복 진단 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는 특정 질병에 대해서는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을 신중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반복 진단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해당 질병에 대해 확진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반복 진단 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이면 S13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133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S150 단계로 진행한다.
S133 단계에서, 커뮤니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한다. 사용자의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기재한 바 여기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S15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150 단계는 S151 단계, S153 단계, S155 단계 및 S157 단계를 포함한다.
S151 단계에서, 사용자의 의료정보의 처방전 정보에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의 전용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사용자에게 어떤 질병의 전용 약제가 처방되었다면 사용자는 그 질병에 대해 확진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질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에는 설사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미만이더라도 사용자를 매칭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S151 단계에서 의료정보의 처방전 정보에 전용 약제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55 단계로 바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153 단계로 진행한다.
S153 단계에서,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 이상이면 사용자를 커뮤니티에 매칭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55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70 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한편, 일 실시예로서, 전염병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해서는 커뮤니티 매칭을 위한 기준값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역 등 전염병이 발생된 상황에서, 해당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해당 전염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의 매칭 기준값을 전염병이 해결되는 시점까지 하향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염병과 관련된 커뮤니티에 보다 쉽게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S155 단계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해당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았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57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70 단계로 바로 진행한다. S155 단계에서 사용자 확인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사용자에 따라 특정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커뮤니티 가입은 원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커뮤니티를 매칭하기 전에 사용자의 진정한 의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하나의 이유이고, 또한,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라도 실제로는 관련 질병을 보유하지 않은 예외적인 사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확인 과정을 통해 매칭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다른 이유이다. 아울러, 이처럼 개별 사례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수집함으로써, 매칭 테이블(140) 및 관련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S157 단계에서, 사용자를 해당 커뮤니티에 매칭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에게는 해당 커뮤니티에 액세스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 멤버가 클러스터링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뮤니티 멤버의 클러스터링 방법은 S210 단계, S230 단계 및 S250 단계를 포함한다.
S2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프로필 정보가 세팅된다.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세팅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기술한 바 여기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210 단계에서, 사용자의 프로필을 참조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사용자들을 클러스터링 한다. 특정 커뮤니티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정 커뮤니티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매칭된 경우, 해당 커뮤니티의 멤버들을 하위 커뮤니티들로 분산시키기 위해 소정의 기준에 따라 클러스터링 한다. 제1 커뮤니티에 너무 많은 사용자가 매칭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사용자가 질병을 치료하는 병원, 사용자의 주치의, 사용자에게 처방된 약제 또는 사용자의 의료비 지출 수준들을 기준으로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클러스터링 한다.
S250 단계에서, 앞서 클러스터링된 결과에 따라 분류된 각 사용자들을 각각의 하위 커뮤니티에 매칭한다. 예를 들어, S230 단계에 의해, 제1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 중 서울대병원에 다니는 사용자들이 클러스터링 된 경우, 클러스터링 된 사용자들을 제1 커뮤니티의 하위 커뮤니티인 서울대병원 커뮤니티에 매칭한다.
도 7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뮤니티 인원이 과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적절히 분산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 및 활동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커뮤니티에서 자동 탈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커뮤니티에서 자동 탈퇴되는 방법은 S310 단계, S330 단계 및 S350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커뮤니티 멤버의 내실화를 위해, 특정 질병의 커뮤니티에 매칭된 기존 사용자라도 일정기간 이상 해당 질병에 대한 의료정보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그 사용자는 해당 질병이 완치된 것으로 보고 커뮤니티와의 매칭을 자동 해제한다. 그리고, 매칭이 해제된 사용자가 그 커뮤니티에서 활동하지 못하도록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액세스를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S310 단계에서, 사용자가 커뮤니티 탈퇴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의 커뮤니티 탈퇴조건은 해당 커뮤니티의 관련 질병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가령 진료 주기가 짧은 질병의 커뮤니티에 대해서는 자동탈퇴를 위한 대기기간(즉, 의료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짧고, 진료 주기가 긴 질병의 커뮤니티에 대해서는 자동탈퇴를 위한 대기기간(즉, 의료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사용자의 의료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기간이 일정기간(즉, 대기기간)을 이상이면 커뮤니티 탈퇴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탈퇴 방법은 S33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탈퇴 방법은 종료한다.
S330 단계에서, 사용자를 해당 커뮤니티에서 자동탈퇴 시킨다.
S3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동탈퇴된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당 커뮤니티에 대한 사용자의 액세스를 차단한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액세스를 차단하기 위해 앞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커뮤니티 가입코드를 무효화하거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액세스 링크 및 그 활성화 수단을 무효화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질병이 완치된 멤버를 탈퇴시킴으로써, 실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와 그 가족들만 커뮤니티에 접근하도록 하여 커뮤니티 멤버들의 내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뮤니티가 삭제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삭제 방법은 S410 단계, S430 단계, S450 단계 및 S470 단계를 포함한다.
S410 단계에서, 커뮤니티의 멤버 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의 멤버 수는 현재 해당 커뮤니티에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의 수 또는 해당 커뮤니티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의 수를 확인하여 알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커뮤니티의 확인된 멤버 수가 기준값 이하인지 판단한다. 기준값 이하이면, 해당 커뮤니티를 삭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삭제 방법은 S45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삭제 방법은 그대로 종료한다.
S450 단계에서, 해당 커뮤니티에 대한 삭제 요청을 발생한다. 발생된 삭제 요청은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또는 커뮤니티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앞서 발생된 삭제 요청에 따라 해당 커뮤니티는 삭제되고, 해당 커뮤니티가 삭제된 것을 반영하기 위해 매칭 테이블(140)이 업데이트된다.
도 9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커뮤니티로부터 자동 탈퇴되어 특정 커뮤니티의 멤버 수가 기준값 이하로 내려가면, 그 커뮤니티를 자동 삭제함으로써 커뮤니티 운영 리소스를 효율화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규 커뮤니티가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커뮤니티 생성 방법은 S510 단계, S530 단계, S550 단계, S570 단계 및 S590 단계를 포함한다.
S510 단계에서, 수신된 의료정보들이 클러스터링 된다. S510 단계에 의해 클러스터링 된 집단 중 기존 커뮤니티를 구성하지 않는 집단이 있을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클러스터링 되었지만 기존 커뮤니티를 구성하지 않는 집단의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이때, 집단의 밀집도는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의 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집단의 구성원 수가 소정의 값 이상이면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커뮤니티 생성 방법은 S55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커뮤니티 생성 방법은 그대로 종료한다.
S550 단계에서,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 집단을 위한 신규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한다. 생성 요청은 커뮤니티 운영서버(20) 또는 커뮤니티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S570 단계에서, 신규 커뮤니티 생성을 위한 승인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승인이 이루어졌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커뮤니티 생성 방법은 S59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 커뮤니티 생성 방법은 그대로 종료한다.
S590 단계에서, 신규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서, 커뮤니티가 신규 생성된 것을 반영하기 위해 매칭 테이블(140)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뮤니티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신규 커뮤니티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커뮤니티를 운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컴퓨터 프로그램(231, 291)으로서 구현되어 컴퓨팅 장치에 설치(install)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 시스템 버스(250), 통신 인터페이스(270),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231, 2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230)와, 컴퓨터 프로그램(231, 2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70)는 외부의 기관(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정보를 컴퓨터 프로그램(231, 291)에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231, 291)은 매칭 테이블(140)을 참조하여 제공된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검증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를 커뮤니티에 매칭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매칭된 경우,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선별적 액세스 수단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231, 219)의 기능은 외부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기 생성된 각 커뮤니티의 각 항목 별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의료정보를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클러스터링에 따른 집단 중 상기 매칭 테이블에 각 항목 별 정보가 포함된 기 생성 커뮤니티가 부존재 하는 집단의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클러스터링에 따른 집단 중 상기 기 생성 커뮤니티가 부존재 하는 집단의 밀집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기 생성 커뮤니티가 부존재 하고 상기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 집단을 위한 신규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커뮤니티 생성의 승인 시, 상기 신규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칭 테이블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항목 별 값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 중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항목 별 값과 비교하여 상기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테이블은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항목 별 가중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스코어는 상기 항목 별 가중치가 반영된 가중 합산 스코어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이 반복 진단된 횟수가 소정의 횟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에 대한 전용 약제가 상기 의료정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의 질병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클러스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클러스터링의 결과에 따라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사용자들을 상기 커뮤니티의 하위 커뮤니티에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상기 사용자들의 거주지, 거주자들이 질병을 치료하는 병원, 상기 거주자들의 주치의, 상기 거주자에 대한 처방 약제 또는 상기 거주자들의 의료비 지출 수준을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상기 커뮤니티로부터 자동탈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일정기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탈퇴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데 필요한 가입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커뮤니티에 액세스할 수 있는 액세스 링크나 액세스 링크의 활성화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 기록, 처방전, 의료비 영수증, 약제비 영수증, 진단서, 수술확인서, 의료비 보험금 청구 정보 또는 인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칭 테이블 또는 상기 매칭 테이블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16.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기 생성된 각 커뮤니티의 각 항목 별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의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스코어를 계산하는 의료정보 분석부;
    상기 계산된 매칭 스코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커뮤니티 매칭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 대한 선별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및
    기관으로부터 수신되는 의료정보를 클러스터링하고, 상기 클러스터링에 따른 집단 중 상기 매칭 테이블에 각 항목 별 정보가 포함된 기 생성 커뮤니티가 부존재 하는 집단의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기 생성 커뮤니티가 부존재 하고 상기 밀집도가 기준값 이상인 집단을 위한 신규 커뮤니티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관리자에게 송신하고, 상기 신규 커뮤니티 생성의 승인 시, 상기 신규 커뮤니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매칭 테이블에 추가하는 커뮤니티 관리부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커뮤니티에 매칭된 상기 사용자에게 복수의 등급 중 어느 하나의 등급을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등급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티에서의 활동 권한을 다르게 부여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의료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커뮤니티와 관련된 질병을 진료한 병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병원을 상기 커뮤니티에 추천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90071990A 2019-06-18 2019-06-18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90A KR102210395B1 (ko) 2019-06-18 2019-06-18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010837A KR102419256B1 (ko) 2019-06-18 2021-01-26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90A KR102210395B1 (ko) 2019-06-18 2019-06-18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37A Division KR102419256B1 (ko) 2019-06-18 2021-01-26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52A KR20200144252A (ko) 2020-12-29
KR102210395B1 true KR102210395B1 (ko) 2021-02-02

Family

ID=7409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90A KR102210395B1 (ko) 2019-06-18 2019-06-18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3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331A (ja) * 2014-12-04 2016-06-20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方法、患者支援プログラム及び患者支援装置
US20180366232A1 (en) * 2008-09-12 2018-12-20 Epic Systems Corporation Patient Community System with Anonymized Electronic Medical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564A (ko) 2010-12-02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환자 건강정보 기반의 환자대 환자관계 추천방법
KR101228586B1 (ko) * 2011-06-29 2013-01-31 (주)인성정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7983B1 (ko) * 2016-06-21 2018-06-15 송제윤 그룹 기반의 당뇨 정보 공유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25498A (ko)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66232A1 (en) * 2008-09-12 2018-12-20 Epic Systems Corporation Patient Community System with Anonymized Electronic Medical Data
JP2016110331A (ja) * 2014-12-04 2016-06-20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方法、患者支援プログラム及び患者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52A (ko)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935B1 (en) Providing notifications to authorized users
Kho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ivacy preserving electronic health record linkage tool in Chicago
Slade et al. Trends in the dur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2001–2006
AU2005227771B2 (en) A Privacy Preserving Data-Mining Protocol
US11552952B1 (en) Providing notifications to authorized users
McKay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comparing multiple sclerosis clinic users and non‐users in British Columbia, Canada
Price et al. An observational study of pati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mode of admission to acute stroke services in North East, England
Cocoros et al. A COVID‐19‐ready public health surveillance system: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sentinel system
Rogers et al. CARES: improving the care and disposition of psychiatric patients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Coleman et al. Predicting suicide attempts for racial and ethnic groups of patients during routine clinical care
Eckman et al. Varieties of interoperability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health-care information infrastructure
Hill et al. A proposed 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 architecture and complementary federal preemption of state health information privacy laws
Britt et al. Determinants of GP billing in Australia: content and time
KR102419256B1 (ko)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boumrad et al. Rural‐urban trends in health care utilization, treatment, and mortality among US veteran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Rasschaert et al. Meeting the challenges in cancer care management during the SARS-CoV-2 pandemic: a retrospective analysis
Glassman et al. The role of medical necessity and cost-effectiveness in making medical decisions
Adigun et al. Urgent care center and emergency department utilization for non-emergent health conditions: analysis of managed care beneficiaries
US20160092879A1 (en) Switch Server System Interoperable With Mobile Devices Providing Secure Communications For Transactions
KR102210395B1 (ko) 의료정보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Golden et al. Enhancement of health surveys with data linkage
Chen et al. Effect of controlled substance use management on prescribing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among high-risk users
Pershad et al. Use of tent for screening during H1N1 pandemic: impact on quality and cost of care
Hagiwara et al. The effectiveness of risk communication regarding drug safety information: a nationwide survey by the Japanese public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erris et al. Comparing person-level matching algorithms to identify risk across disparate datasets among patients with a controlled substance prescription: retrospectiv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