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095B1 -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95B1
KR102210095B1 KR1020190046363A KR20190046363A KR102210095B1 KR 102210095 B1 KR102210095 B1 KR 102210095B1 KR 1020190046363 A KR1020190046363 A KR 1020190046363A KR 20190046363 A KR20190046363 A KR 20190046363A KR 102210095 B1 KR102210095 B1 KR 10221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wire
cap
insertion hol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936A (ko
Inventor
노진표
한붕전
Original Assignee
노진표
주식회사 만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표, 주식회사 만양 filed Critical 노진표
Priority to KR102019004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는 일 양상에 따르면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는 퓨즈와, 절연캡과, 외통과, 내통과, 퓨즈 삽입홀 캡을 포함한다. 퓨즈는 과전류 등 이상 시 쉽게 용단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절연캡은 내부 접속단자를 보호하고, 외통은 양단의 절연캡 사이에 고정된다. 내통은 외통 내부에 수용되며, 내통에는 퓨즈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고, 퓨즈 수용홀은 도체인 탄성부재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타측이 개구되어 퓨즈가 삽입된다. 퓨즈는 부하측 절연캡에 형성된 퓨즈 수용홀을 통해 삽입되며 돌출된 퓨즈 접속부가 형성된 퓨즈 삽입홀 캡이 퓨즈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며 퓨즈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퓨즈 삽입홀을 개폐시킨다.

Description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FUSE REPLACEABLE WIRE FUSE}
본 발명은 전선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시 용단된 퓨즈만 교체할 수 있는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주로부터 전력 수용가로 이어지는 전력공급 배전 경로 상에는 전선퓨즈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배전 경로 상에 설치되는 전선퓨즈는 저압 가공 인입선의 주상측에 설치하여 과전류 등으로부터 인입선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선퓨즈는 퓨즈의 용단 시 용단된 퓨즈만을 교체할 수 없어 인입선을 자르고 전선퓨즈를 다시 연결해야 한다. 이 경우 반복되는 전선퓨즈 교체로 인하여 인입선의 길이가 짧아져 전체 인입선을 모두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과전류 등으로 인한 퓨즈 용단 시 전선퓨즈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용단된 퓨즈만 교체할 수 있는 전선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퓨즈 용단을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선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용단된 퓨즈의 교체를 별도의 전용 공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전선퓨즈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는 퓨즈와, 전선측 절연캡과 부하측 절연캡과, 외통과, 내통과, 퓨즈 삽입홀 캡을 포함한다.
퓨즈는 과전류 등 이상 시 쉽게 용단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고, 전선측 절연캡 또는 부하측 절연캡은 인입선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내부 접속단자를 보호하고, 외통은 양단의 절연캡 사이에 고정된다.
내통은 외통 내부에 수용되며, 내통에는 퓨즈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고, 퓨즈 수용홀은 도체인 탄성부재가 일측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타측이 개구되어 퓨즈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부하측 절연캡에는 퓨즈가 퓨즈 수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퓨즈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퓨즈 삽입홀 캡에는 퓨즈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며 퓨즈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퓨즈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부하측 절연캡에 결합되어 상기 퓨즈 삽입홀을 개폐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의 외통과 내통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의 퓨즈는 표면이 통전시 발광되도록 발광 도료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전류 등으로 인한 퓨즈 용단 시 인입선을 절단한 후 전선퓨즈를 교체하지 않고 용단된 퓨즈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 용단을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단된 퓨즈의 교체를 별도의 전용 공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퓨즈가 삽입되는 부위를 절개한 단면을 포함하는 퓨즈가 삽입된 전선퓨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퓨즈가 삽입되는 부위를 절개한 단면을 포함하는 퓨즈가 제거된 전선퓨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퓨즈로 외통과 부하측 절연캡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가 삽입된 전선퓨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퓨즈가 삽입되는 부위를 절개한 단면을 포함하는 퓨즈가 삽입된 전선퓨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퓨즈가 삽입되는 부위를 절개한 단면을 포함하는 퓨즈가 제거된 전선퓨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퓨즈로 외통(120)과 부하측 절연캡(115)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100)는 퓨즈(190)와,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와, 절연캡(110, 115)과, 외통(120)과, 내통(140)과, 퓨즈 삽입홀 캡(180)을 포함한다.
퓨즈(190)는 과전류 등 이상 시 쉽게 용단되는 가용성 소재를 내부에 포함하는 통형 퓨즈(Cartridge fuse)이며, 내부 가용성 소재는 납 또는 주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용성 소재가 용단될 시 전선퓨즈(100)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이 퓨즈(190)만을 교체할 수 있다.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는 전선퓨즈(100) 양측단에 위치하며 인입선이 연결된다.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는 전선측 인입선(160)이 연결되는 전선측 인입선 전속단자(130)와 부하측 인입선 접속단자(135)로 전선퓨즈(100) 양 측면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인입선이 피복층으부터 탈피되어 노출된 도전성 심성을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의 인입홈(미도시)에 삽입한 후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를 압축하여 사용한다.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는 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접속단자(미도시)는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와 마찬가지로 전선퓨즈(100) 양 쪽에 각각 위치한다. 내부 접속단자는 일측이 인입선 접속단자(130 또는 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퓨즈(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 접속단자 또한 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선측 인입선 접속단자(130)와 연결되는 내부 접속단자와 부하측 인입선 접속단자(135)와 연결되는 내부 접속단자는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부하측 인입선 접속단자(135)는 퓨즈(19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절연캡(110, 115) 또한 인입선 접속단자(130, 135)와 마찬가지로 전선퓨즈(100) 양 쪽에 각각 위치하며, 절연소재로 형성되어 내부 접속단자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한다. 전선측 절연캡(110)과 부하측 절연캡(115)도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부하측 절연캡(115)에 퓨즈(19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절연캡(110, 115)은 외통(120)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외통(1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형상으로 수용되는 수용된 퓨즈(190)를 보호하며, 전체 또는 적어도 퓨즈(190)가 수용되는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통(140)은 퓨즈(190)가 직접적으로 수용된다. 내통(140)은 전체가 투명 소재로 형성되거나 퓨즈(190)가 수용되는 부위가 퓨즈(190)의 용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통 투명체(145)를 포함할 수 있다. 내통(140)은 퓨즈(190)룰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퓨즈 수용홀(175)이 형성되어 있다. 퓨즈 수용홀(175)은 원통형 형상으로 일측에 도체의 탄성부재(150)가 고정되고 형성되어 있고, 타측이 개구되어 있다. 탄성부재(150)가 고정되는 퓨즈 수용홀(175)의 일측은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퓨즈 수용홀(175)의 일측은 전선측 인입선 접속단자(130)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탄성부재(150)는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탄성부재(150)는 일측이 퓨즈 수용홀(175)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탄성부재(150)의 타측에 퓨즈(190)가 접촉되는 도체판(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탄성부재(150)는 퓨즈(190)가 삽입되어 압축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해를 위해 탄성부재(150)는 단면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퓨즈 수용홀(175)의 개구된 타측으로 퓨즈(190)가 삽입된다.
부하측 절연캡(115)에는 퓨즈(190)가 퓨즈 수용홀(17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퓨즈(190)가 삽입될 수 있는 퓨즈 삽입홀(170)이 퓨즈 수용홀(175)에 대응되는 위치 즉, 퓨즈 수용홀(175)의 개구부와 퓨즈 삽입홀(170)의 개구부가 맞닿아 퓨즈(1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퓨즈 삽입홀(170)은 양 측면이 모두 개구되어 있다. 부하측 절연캡(115)이 내부에 수용하는 내부 접속단자 또한 퓨즈(190)가 삽입될 수 있는 홀 또한 퓨즈 삽입홀(170)과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퓨즈 삽입홀 캡(180)은 퓨즈 삽입홀(170)을 통해 퓨즈 수용홀(175)에 삽입된 퓨즈(190)가 퓨즈 삽입홀로 다시 빠져 나오지 못하게 퓨즈 삽입홀을 막는 마개의 역할을 한다. 퓨즈 삽입홀(170) 캡에는 삽입된 퓨즈(190)가 탄성부재(150)를 압축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된 퓨즈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된 퓨즈 접속부가 퓨즈 삽입홀(170)에 삽입되며 삽입된 퓨즈(190)를 눌러 퓨즈(190)가 탄성부재(150)를 압축하며 고정되도록 한다. 퓨즈 접속부는 도체를 포함하고 있어 퓨즈(190)의 한쪽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퓨즈 접속부는 또한 부하측 내부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퓨즈 삽입홀 캡(180)은 일측(상하좌우 중 어느 한쪽)이 부하측 절연캡(115)에 결합되어 있다.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예로 힌지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퓨즈 삽입홀 캡(180)은 퓨즈 삽입홀(17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퓨즈(190)를 삽입한 상태에서 퓨즈 삽입홀 캡(180)을 닫으면, 전선측으로는 퓨즈(190)의 일측 단자와, 탄성부재(150)와, 전선측의 내부 접속단자와, 전선측의 인입선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부하측으로는 퓨즈(190)의 타측 단자와, 퓨즈 접속부와, 부하측의 내부 접속단자와, 부하측의 인입선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퓨즈(100)의 퓨즈(190)가 용단되면 퓨즈 삽입홀 캡(180)을 열어 용단된 퓨즈(190)를 꺼내고 새 퓨즈(190)를 삽입하고 퓨즈 삽입홀 캡(180)을 닫으면 전선퓨즈(100)의 교체가 완료된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100)에 사용되는 퓨즈(190)는 표면이 통전시 발광되는 발광 도료로 도포된 퓨즈(190)일 수 있다. 따라서, 전선퓨즈(100)가 인입선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면 외통(120)의 투명한 부분과 내통 투명체(145)를 통해 육안으로 퓨즈(190)의 발광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퓨즈(190)의 용단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퓨즈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전선퓨즈(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어 탄성부재(15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로 퓨즈 삽입홀 캡(180)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퓨즈(190)는 퓨즈 삽입홀 캡(180)을 개방한 상태에서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인식할 수 있고, 도 1과의 탄성부재(150) 형상의 차이로부터 퓨즈(190)가 탄성부재(150)를 압축하며 삽입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 또한 퓨즈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전선퓨즈(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퓨즈 수용홀(175)과 퓨즈 삽입홀(170)의 형상을 참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퓨즈의 측면도로, 외통(120)의 투명한 부분과 내통 투명체(145)를 통해 퓨즈(190)의 용단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전시 퓨즈(190)가 발광할 수 있는데 이 또한 외통(120)의 투명한 부분과 내통 투명체(145)를 통해 발광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전선퓨즈
110: 전선측 절연캡 115: 부하측 절연캡
120: 외통
130: 전선측 인입선 접속단자 135: 부하측 인입선 접속단자
140: 내통 145: 내통 투명체
150: 탄성부재
160: 전선측 인입선 165: 부하측 인입선
170: 퓨즈 삽입홀 175: 퓨즈 수용홀
180: 퓨즈 삽입홀 캡
190: 퓨즈

Claims (3)

  1. 퓨즈와, 인입선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내부 접속단자를 보호하는 절연캡과, 양단의 절연캡 사이에 고정되는 외통을 포함하는 전선퓨즈에 있어서,
    도체의 탄성부재가 일측에 고정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개구된 퓨즈 수용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통;
    퓨즈가 퓨즈 수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퓨즈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하측 절연캡;
    퓨즈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며 퓨즈 수용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퓨즈 접속부가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부하측 절연캡에 결합되어 상기 퓨즈 삽입홀을 개폐시키는 퓨즈 삽입홀 캡을 포함하되,
    퓨즈 삽입 상태에서 퓨즈 삽입홀 캡이 닫히면, 퓨즈와, 퓨즈 접속부와, 부하측의 내부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퓨즈와, 탄성부재, 전선측의 내부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통과 내통의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퓨즈의 용단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퓨즈는 표면이 통전시 발광되는 발광 도료로 도포된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6363A 2019-04-19 2019-04-19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KR10221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63A KR102210095B1 (ko) 2019-04-19 2019-04-19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363A KR102210095B1 (ko) 2019-04-19 2019-04-19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36A KR20200122936A (ko) 2020-10-28
KR102210095B1 true KR102210095B1 (ko) 2021-02-10

Family

ID=73018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363A KR102210095B1 (ko) 2019-04-19 2019-04-19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0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1B1 (ko) * 2007-05-25 2008-01-22 주식회사 일렉콤 고체절연형 파워퓨즈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194U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발광부를 갖는 봉입형 퓨즈
KR200446192Y1 (ko) * 2007-06-27 2009-10-08 한국전력공사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1B1 (ko) * 2007-05-25 2008-01-22 주식회사 일렉콤 고체절연형 파워퓨즈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936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4273B (zh) 高电压增强同轴熔断器组件、系统及制造方法
JP6524051B2 (ja) 導体の接続構造および導電モジュール
US9735516B2 (en) Car charging connector
US8669840B2 (en) Fuse assembly
CN110364878A (zh) 用于大电流应用的安全系统
CN102272864A (zh) 具有视觉故障指示器的过电压放电器
CA2898506C (en) Medium voltage controllable fuse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CN103081174A (zh) 用于电池组的连接装置
KR101066526B1 (ko) 비대칭구조된 개폐기용 접속재의 절연캡
CN103493170A (zh) 熔断器
KR102210095B1 (ko) 퓨즈 교체형 전선퓨즈
CN101171657A (zh) 模块化的指示性熔断器保持器
EP3511971B1 (en) Multi-part symmetrical fuse assembly
US8471671B2 (en) Fuse and arc resistant end cap assembly therefor
JP2017188198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5322389A (zh) 用于保护电气装置的设备的有源元件的断开指示器
CN102509677B (zh) 全绝缘户外弹射式熔断器
KR101698569B1 (ko) 삽입형 발열 식별기 커넥터
KR200446192Y1 (ko) 압축단자 개선형 전선퓨즈
CN210006687U (zh) 一种双路防水熔断器装置
CN109841465B (zh) 户外封闭式熔断器
KR20200039969A (ko) 전선 퓨즈
CN213845163U (zh) 一种新型电磁式电源总开关
KR200188860Y1 (ko) 형광등 결선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