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48B1 - 골전도 아크 헤드셋 - Google Patents

골전도 아크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48B1
KR102209848B1 KR1020190174705A KR20190174705A KR102209848B1 KR 102209848 B1 KR102209848 B1 KR 102209848B1 KR 1020190174705 A KR1020190174705 A KR 1020190174705A KR 20190174705 A KR20190174705 A KR 20190174705A KR 102209848 B1 KR102209848 B1 KR 102209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one conduction
hearing aid
headset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골전도 아크 헤드셋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은 홀더가이드에 슬라이딩 위치조절되는 보청기 홀더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는 골전도 보청기와,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아크 형태의 고탄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외부홀더, 및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감싸는 일측이 개방된 벽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홀더가 장착되는 내부홀더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어 안정된 구조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개골과 기구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 흔들림에도 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아크 헤드셋{BONE CONDUCTION ARC HEADSET}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는 형태의 헤드셋에 보청기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고 좌우측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아크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소리를 듣는 과정은, 파동의 형태로 이루어진 소리가 공기 분자를 진동시켜 귀의 고막을 진동시키고, 진동된 고막의 작용으로 인해 소리를 식별하게 된다.
그러나 청각 장애인이나, 청신경이 노후한 노인 등은 고막의 진동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또한, 정상인도 조용한 환경에서 기도(air conduction)를 통해 소리 청취가 가능하지만. 소음 환경 하에서는 그 소음의 강도에 따라 기도에 의한 소리 청취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난청자의 경우는 아예 기도에 의한 소리 청취가 어렵다.
이에 머리뼈를 직접 진동시켜 골전도를 통해 청각신경을 자극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음향장치에 대한 기술이 근래에 많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골전도 헤드셋 혹은 골전도 이어폰이 개발되어, 산업 환경, 레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난청 환자들을 대상으로, 골전도 보청기 헤드셋(Sound Arc)이 개발되어 난청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골전도 헤드셋의 형태는 두부와 기계와의 밀착 정도와 흔들림을 결정지어, 소리 전달에 중용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대부분 해외 제품으로 국내 성인의 두부에 맞지 않아, 효과적인 골전도 헤드셋과 골전도 보청기가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골전도 헤드셋의 진동자에 대한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진동자의 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헤드셋의 몸체 (body)에 대한 표준화가 없어,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나, 골전도 헤드셋의 진동자의 개발에만 집중되어 진동자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헤드셋의 몸통(Body)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골전도 헤드셋의 효율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골전도 보청기는 30년 이상 해외 기업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난청 환자들에게 많은 의료혜택을 주고 있음. 기존에는 두개골에 골전도 보청기를 고정시키는 수술적 접근이 필요했으나, 최근 수술을 하지 않고, 헤드셋으로 보청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해외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국내 환자들이 사용시, 두개골과 보청기 사이의 틈새로 인해 보청기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586140호(2006.05.25.)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는 안정된 구조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개골과 기구 사이에 틈이 없게 부드럽게 압박할 수 있는 구조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전도 보청기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측과 좌측의 구분이 없이 양측에 다 사용할 수 있는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의 진동을 기기 몸체에 최소한으로 전달하게 하여,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측두골에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게 하는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골전도 보청기의 반대측에 이어폰이 내장되게 하여 이어폰과 골전도 보청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은 홀더가이드에 슬라이딩 위치 조절되는 보청기 홀더와,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는 골전도 보청기와, 일단에 상기 홀더 가이드가 삽설되어 고정되고, 사용자 머리 장착시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아크 형태의 고탄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외부홀더, 및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감싸는 일측이 개방된 벽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홀더가 장착되는 내부홀더를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골전도 보청기 홀더는 금속재 또는 고밀도 합성수재로 구성하고, 내측은 사용자의 머리뼈 부분에 밀착되어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파를 전달하는 패드면을 구성하고 상기 패드면의 상부에는 골전도 보청기가 장착되는 마운트가 돌출성형되고 상기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 가이드가 삽설되어 조임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이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홀더의 내측에 막대형상의 탄성체로 구성된 보강구조를 삽설하고, 상기 외부홀더를 상기 내부홀더의 장착부에 장착하면 상기 보강구조가 클램핑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하고, 내부홀더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었을 때 압박하는 힘이 분산되어 통증을 완화하도록 연질의 고무 재질로 구성한다.
또한, 보강구조는 상기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게 동작하고,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와 이격된 내부홀더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압력이 분산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전도 보청기 홀더와 이격된 내부홀더의 단부는 2부분 이상이 사용자 머리와 접촉되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은 일단에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가 타단에는 이어폰이 탑재되거나, 상기 내부홀더는 일단에는 이어폰이 탑재되고, 상기 내부홀더의 타단에 결합되는 외부홀더에는 골전도 보청기 홀더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골전도 보청기 홀더에는 골전도 보청기가 삽설되거나 또는 골전도 이어폰이 삽설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기 골전도 보청기 홀더가 슬라이딩되게 구성하고, 탄성체의 금속재로 구성하여 사용자 머리에 착용 시 상기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뼈를 압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에 의하면,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어 안정된 구조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개골과 기구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 흔들림에도 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에 의하면, 골전도 보청기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고, 우측과 좌측의 구분이 없이 양측에 다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에 의하면,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측두골에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해 소리가 전달되기 때문에 소리의 전달이 큰 손실없이 최대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에 의하면, 골전도 보청기와 이어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어폰을 통해서도 전화 및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전도 아크 헤드셋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전도 아크 헤드셋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전도 아크 헤드셋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셋은 골전도 보청기(160)를 장착할 수 있는 보청기 홀더(130)를 구비한 아크 형태의 헤드셋으로 구성되어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는 안정된 구조로 두개골과 기구 사이에 틈이 없게 하여 머리 흔들림에도 밀리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100)은 일단에 홀더 가이드(140)가 삽설되어 고정되고, 사용자 머리 장착시 보청기 홀더(130)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아크 형태의 고탄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외부홀더(120)와 외부홀더(120)가 장착부는 내부홀더(110)를 포함한다.
먼저, 홀더 가이드(140)는 탄성체의 금속재로 구성하여 사용자 머리에 착용 시 상기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뼈를 보청기 홀더(130)가 압박하도록 구성한 다.
보청기 홀더(130)는 홀더 가이드(140)에 슬라이딩되어 위치조절되게 구성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머리에 착용 시 홀더 가이드(140)의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뼈를 압박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보청기 홀더(130)는 금속재 또는 고밀도 합성수재로 구성하고, 내측은 사용자의 머리뼈 부분에 밀착되어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파를 전달하는 패드면(131)을 구성하고 패드면(131)의 상부에는 골전도 보청기(160)가 장착되는 마운트(132)가 돌출성형되고 마운트(132)의 일측에는 홀더 가이드(140)가 삽설되어 조임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32)에는 골전도 보청기(160)나 골전도 이어폰의 돌출된 진동판이 삽설되는 홀을 구성하여 골전도 보청기(160)가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참고로 통상의 골전도 이어폰은 보이스코일과 마그넷을 구비한 요크를, 요크의 상면에 부착한 진동판 및 진동블록을 끼워, 하우징내의 천장면에 늘어뜨려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비교적 큰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외부홀더(120)는 외부홀더의 내측에 막대형상의 탄성체로 구성된 보강구조체(123)를 삽설하여, 외부홀더(120)를 내부홀더(110)의 장착부에 장착하면 상기 보강구조체가 클램핑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골전도 아크 헤드셋의 일부분 분해 사시도를 참고하면, 외부홀더의 내측에 막대형상의 탄성체가 삽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홀더(120)의 내측에는 막대형상의 보강구조체(123)가 삽설되는 홈(124)을 장방형으로 구성하고, 장방형의 홈(124)에 보강구조체(123)를 삽설고정하고 내부홀더(110)를 조립하여 보강구조체(123)가 외부홀더(120)의 내측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구조체(123)는 본 발명의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100)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보청기 홀더(130)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게 동작하고, 보청기 홀더(130)와 이격된 내부홀더(110)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압력이 분산되게 구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또한, 외부홀더(120)의 일단에는 "U"자형의 홀더 가이드(140)의 양단부가 삽설되는 홀더삽입공(122)을 형성하고, ㅅ합입된 홀더 가이드(140)의 양단부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홀더지지부(121)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내부홀더(110)는 외부홀더(120)가 상부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내부홀더(110)는 상부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장착부(111)와 장착부(111)를 감싸는 일측이 개방된 벽체부(112)로 구성되어 장착부(111)에 외부홀더가 장착되도록 구성한다.
도 3에는 상부에 내부홀더(110)가 그 아래에는 외부홀더(120)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홀더(110)는 장착부(111)가 내부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장착부(111)의 양벽에는 벽체부(112)가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태의 홈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홈에 외부홀더(120)를 압착삽입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마감하여 내부홀더와 외부홀더가 분리되지 않게 결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이 실제 착용된 참고도면을 보면(도 4와 도 5 참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보청기의 위치를 우측과 좌측의 구분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진동을 기기 몸체에 최소한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대신에 측두골에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해 소리의 전달력이 최대화 하도록 작동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 착용시 좌측그림에서는 본 발명의 보청기 홀더가 착용자의 우측귀의 측두골에 맞닿아 있으며 하나의 압력(Pa)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도 5는 본 발명의 보청기 홀더의 타단부가 착용자의 좌측귀의 측두부 2곳에 압력(Pb)이 가해지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압력 분포로 말미암아 두개골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를 수 있어 안정된 구조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개골과 기구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머리 흔들림에도 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사람의 청감 경로는 고막을 통해 청신경을 자극하는 경로와 뼈를 통해 청신경을 자극하는 경로로 나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골전도 보청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의 골전도 이어폰이나 보청기에서와 같이 뼈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은 저음역대의 음향재생에는 충실하지만 고음역대의 재생에는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보청기홀더의 반대측에 일반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추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보청기 홀더(130)가 결합된 내부홀더(110)의 타단부(이격된 내부홀더의 단부)는 이어폰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2부분 이상이 사용자 머리와 접촉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었을 때 압박하는 힘이 분산되어 통증을 완화하도록 연질의 고무 재질로 구성하나, 필요에 따라 일단에는 보청기 홀더(130)가 타단(125)에는 이어폰이 탑재되게 구성하여 한 쪽은 골전도 보청기를 다른 한쪽은 통상의 이어폰을 통하여 음이 전달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내부홀더의 일단에는 이어폰을 탑재하고, 내부홀더와 결합되는 외부홀더의 타단에는 보청기 홀더가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보청기 홀더는 골전도 보청기가 삽설고정되게 마운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골전도 보청기 대신에 골전도 이어폰도 삽설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전도 아크 헤드셋에 의하면, 우측과 좌측의 구분이 없이 보청기홀더의 위치를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청기의 진동을 기기 몸체에 최소한으로 전달하게 하여,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측두골에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해 소리의 전달력이 최대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골전도 아크 헤드셋
110 : 내부홀더 120 : 외부홀더
121 : 홀더지지부 122 : 홀더삽입공
123 : 보강구조체 124 : 홈
130 : 보청기 홀더 140 : 홀더 가이드
160 : 골전도보청기

Claims (10)

  1. 홀더가이드에 슬라이딩 위치조절되는 보청기 홀더;
    상기 보청기 홀더에 장착되는 골전도 보청기;
    일단에 상기 홀더 가이드가 삽설되어 고정되고, 사용자 머리 장착시 상기 보청기 홀더가 사용자의 머리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아크 형태의 고탄성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외부홀더;및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감싸는 일측이 개방된 벽체부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홀더가 장착되는 내부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기 홀더는
    금속재 또는 고밀도 합성수재로 구성하고, 내측은 사용자의 머리뼈 부분에 밀착되어 골전도 보청기의 진동파를 전달하는 패드면을 구성하고 상기 패드면의 상부에는 골전도 보청기가 장착되는 마운트가 돌출성형되고 상기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홀더 가이드가 삽설되어 조임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홀더의 내측에 막대형상의 탄성체로 구성된 보강구조체를 삽설하고, 상기 외부홀더를 상기 내부홀더의 장착부에 장착하면 상기 보강구조체가 클램핑 압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부홀더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었을 때 압박하는 힘이 분산되어 통증을 완화하도록 연질의 고무 재질로 구성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체는
    상기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시
    상기 보청기 홀더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게 동작하고, 상기 보청기 홀더와 이격된 내부홀더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압력이 분산되게 구성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홀더와 이격된 내부홀더의 단부는
    2부분 이상이 사용자 머리와 접촉되게 구성한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은
    일단에는 상기 보청기 홀더가 타단에는 이어폰이 탑재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부홀더는 일단에는 이어폰이 탑재되고, 상기 내부홀더와 결합되는 외부홀더의 타단에는 보청기 홀더가 결합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홀더에는
    골전도 보청기가 삽설되거나 또는 골전도 이어폰이 삽설되는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가이드는
    상기 보청기 홀더가 슬라이딩되게 구성하고, 탄성체의 금속재로 구성하여 사용자 머리에 착용 시 탄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뼈를 압박하도록 구성한 골전도용 아크 헤드셋.











KR1020190174705A 2019-12-26 2019-12-26 골전도 아크 헤드셋 KR10220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705A KR102209848B1 (ko) 2019-12-26 2019-12-26 골전도 아크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705A KR102209848B1 (ko) 2019-12-26 2019-12-26 골전도 아크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48B1 true KR102209848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705A KR102209848B1 (ko) 2019-12-26 2019-12-26 골전도 아크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6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마이알 노인성 난청 해소를 위한 골전도 방식의 청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40B1 (ko) 2000-12-27 2006-06-02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도스피커
JP2007312050A (ja) * 2006-05-18 2007-11-29 Keiichi Uchiyama 骨伝導ユニット装着具
KR101849041B1 (ko) * 2017-01-10 2018-04-1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004360B1 (ko) * 2018-06-19 2019-07-2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모듈과 진동모듈이 결합된 2way 튜브형 음향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40B1 (ko) 2000-12-27 2006-06-02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도스피커
JP2007312050A (ja) * 2006-05-18 2007-11-29 Keiichi Uchiyama 骨伝導ユニット装着具
KR101849041B1 (ko) * 2017-01-10 2018-04-16 허진숙 골 전도용 헤드셋
KR102004360B1 (ko) * 2018-06-19 2019-07-29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모듈과 진동모듈이 결합된 2way 튜브형 음향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61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마이알 노인성 난청 해소를 위한 골전도 방식의 청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US8433080B2 (en)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CA2438969A1 (en) Bone conduction hearing aid
US10735844B2 (en) Wearable device
EP3125576A1 (en) Universal speaker
JP2007165938A (ja) 受話装置
KR101537380B1 (ko) 골전도 스피커 모듈이 구비된 골전도 이어폰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JP7262850B2 (ja) 乳様突起及び耳介を同時に刺激する耳鳴り治療専用の骨伝導ヘッドセット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KR102209848B1 (ko) 골전도 아크 헤드셋
CN110677760A (zh) 耳机
JP2021525039A (ja) 骨伝導用ヘッドセット
KR102234553B1 (ko) 골전도 보청기의 착용 압력 측정을 위한 헤드 장치
US20210084399A1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KR100769289B1 (ko) 귓바퀴를 진동시키는 진동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어셋
WO2019053990A1 (ja) 骨伝導音響伝達装置
KR100847673B1 (ko) 골도 진동자에 사용되는 에어-쿠션형 매스토이드 및매스토이드의 음향 진폭 및 임피던스 조절 방법
KR200282696Y1 (ko) 피에조 타입의 골전도 스피커
JP7431425B1 (ja) 音声伝達装置
JP7204223B2 (ja) 聴音装置、聴音装置用クレードル
JPH1075493A (ja) 開放型ヘッドホン
KR101945769B1 (ko) 골전도 블루투스 증폭기
JP2002045790A (ja) 振動伝達装置及び携帯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