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81B1 -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781B1
KR102209781B1 KR1020160092596A KR20160092596A KR102209781B1 KR 102209781 B1 KR102209781 B1 KR 102209781B1 KR 1020160092596 A KR1020160092596 A KR 1020160092596A KR 20160092596 A KR20160092596 A KR 20160092596A KR 102209781 B1 KR102209781 B1 KR 10220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urrency
node
transaction
block
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467A (ko
Inventor
이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9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화폐의 유통과 통화량 등을 관리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에서 통화 정책을 토대로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가상화폐의 거래가 발생하면,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 검증에 따른 보상액이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존의 블록 체인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virtual currency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가상화폐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화폐의 유통과 통화량 등을 관리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가상화폐가 유통되어, 이 가상화폐를 토대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은 가상 화폐 발행 및 거래를 통한 사이버 머니 통합 처리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한다.
가상화폐 중에서 '비트코인(bitcoin)'으로 대표되는 암호화 가상화폐가 있다.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 가상화폐는 기존의 가상화폐와 다르게 P2P(Peer to Peer) 기반으로 동작하며, 거래가 완료되면 장부역할을 하는 신규블록이 생성되고, 기존 블록과 연결된다. 또한, 각 신규 블록마다 타임스탬프가 기록되고, 상기 타임스태프는 거래(transaction)가 발생한 시간을 증빙하는 정보가 된다.
그런데 이러한 P2P 기반의 암호화 가상화폐 거래 방법은, 가상화폐가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기존의 가상화폐 거래 방법은, 전체 통화량을 파악하기도 힘들어, 통화량 증가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통화량 감소에 따른 디스플레이션을 제어할 수가 없다. 또한, 종래의 암호화 가상화폐는 실물 화폐와는 다르게 가상화폐가 신규로 발행만 될 뿐 폐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상화폐의 가치 변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340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상화폐를 용이하게 관리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서비스 노드에서 통화 정책을 토대로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가상화폐의 거래가 발생하면,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 검증에 따른 보상액이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존의 블록 체인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통화 정책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가상화폐 거래가 발생하면, 상기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 검증부; 및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 검증에 성공되면, 상기 거래 검증에 따른 보상액이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기존의 블록 체인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블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관리 장치는, 서비스 노드로부터 통화 발행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통화 발행 정보를 토대로, 유통중인 가상화폐의 통화량을 모니터링하는 통화량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한 가상화폐의 통화량을 토대로, 통화 정책을 변경하여 변경한 통화 정책을 각 서비스 노드로 배포하는 정책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가상화폐의 통화량을 관리하고, 사용이 거의 되지 않은 종류에 해당하는 가상화폐의 유통을 중지시킴으로써, 가상화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멸 속성, 증액 속성 등의 속성 정보를 블록에 포함시켜, 이 속성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상화폐가 폐기되고 증액되게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가상화폐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수퍼 노드에서 변경된 통화 정책이 각 서비스 노드에 반영되게 함으로써, 통화 정책을 전체 시스템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 정책에 따라, 신규로 발행되는 가상화폐의 종류와 발행액을 관리함으로써, 가상화폐의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와 블록 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통화 발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에서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에서 거래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노드에서 통화 정책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수퍼 노드(100), 다수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 및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화폐는 암호화 처리된 데이터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록 헤더와 트랙잭션(transaction)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이 체인으로 연결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는 노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수퍼 노드(100)로 특정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의 성명, 성별, 사용자 유형(개인 또는 가맹점) 등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수퍼 노드(100)는 서버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로서, 가상화폐의 통화량을 관리하고, 상기 가상화폐에 대한 통화 정책을 결정한다. 또한, 수퍼 노드(100)는 서비스 노드(210, 220, 230)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수퍼 노드(100)는 특정 서비스 노드(210, 220, 230)에서 계좌가 생성되면, 이 계좌정보, 노드 식별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수퍼 노드(100)는 특정 서비스 노드(210, 220, 230)에서 가상화폐가 신규로 발행되면, 가상화폐의 발행 정보를 서비스 노드(210, 220, 23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특히, 수퍼 노드(100)는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각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전달하여, 상기 통화 정책에 기반하여 특정 속성의 가상화폐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고, 특정 계좌의 거래를 중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수퍼 노드(100)는 타 수퍼 노드와 통화 정책을 공유하며,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 수퍼 노드(100)는 시스템에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단일 개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개인이 소유하거나 가맹점에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비스 노드들(210, 220, 230) 간의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 생성을 통해서 가상화폐를 신규로 발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수퍼 노드 또는 특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전자 지갑을 탑재한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전자 지갑을 통해서 상기 자신의 계좌를 생성하고 이 계좌를 브로드캐스팅한다. 특히,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자신의 계좌와 노드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MAC 주소, IMSI 등)를 수퍼 노드(100)에 전송하여, 사용자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새로운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가상화폐에 대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타입 정보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되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이 새로운 블록을 기존 블록과 연결함으로써 블록 체인을 확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조와 블록 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블록(20)은 블록 헤더(21)와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22)로 구성된다.
블록 헤더(21)는 블록 크기, 버전, 이전 블록 해시, 머클루트(Markle Root), 타임스탬프, 난이도 목표 및 난스(nonce)를 포함한다.
블록 크기는 해당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고, 상기 버전은 블록 데이터의 구조에 대한 버전을 나타내며, 이전 블록 해시는 블록 체인 구조에서 이전 블록(즉, 부모블록)에 대한 해시 참조값을 나타낸다.
머클 루트는 블록에 포함된 거래에서 생성된 머클 트리 루트에 대한 해시(hash)이다. 타임 스탬프는 블록의 생성시간이 기록된다. 난이도 목표는 블록의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대한 난이도 목표를 나타낸다. 난스는 작업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임의의 값이다.
트랜잭션 데이터(22)는 트랜잭션 카운트, 화폐 발행 트랜잭션 및 트랜잭션을 포함한다.
트랜잭션 카운트는 해당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의 개수를 나타낸다.
화폐 발행 트랜잭션은 가상화폐를 신규로 발행할 때 생성되는 데이터로서, 가상화폐의 발행일,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 발행 주체 및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타입 정보가 상기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된다. 블록 체인이 확장될 때에 상기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된 타입 정보는 새로 연결되는 신규 블록에 상속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 종류는, 액면가가 서로 상이한 가상화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10원 액면가의 가상화폐, 50원 액면가의 가상화폐, 100원 액면가의 가상화폐, 500원 액면가의 가상화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속성 정보는 소멸 속성, 증액 속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소멸 속성은, 특정 시점에 가상화폐가 소멸되는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상화폐가 소멸되는 시점(즉, 유통기한)이 기록된다. 또한, 증액 속성은 이자와 같은 개념으로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설정된 이자율에 따라 가상화폐가 증액되는 것을 나타낸다.
트랜잭션은 가상화폐의 거래 내역이 기록된다.
도 2의 (b)는 블록 체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위 블록은 하위 블록과 연결된다. 즉, 상위 블록은 하위 블록(즉, 이전 블록인 부모 블록)의 해시를 참조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블록 연결 구조에 따라, 중간의 블록이 위조되거나 변경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서, 암호화된 가상화폐가 관리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통화 발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수퍼 노드(100) 또는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함으로써, 전자 지갑을 탑재한다.
이어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전자 지갑을 통해서 자신의 고유의 가상 계좌번호를 생성한다(S301). 이때,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자신의 공개키에 대한 해시값을 산출하고, 이 해시값으로 가상 계좌번호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생성한 가상 계좌번호를 타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팅하여, 자신의 가상 계좌가 개설되었음을 타 노드들에게 알린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생성한 가상 계좌번호,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또는 MAC 주소)가 포함된 사용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S303).
그러면, 수퍼 노드(100)는 상기 사용자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노드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S305), 이 서비스 노드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로 전송한다(S307). 이어서,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는 노드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성명, 사용자 유형(개인 또는 가맹점) 등이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여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S309).
다음으로, 수퍼 노드(100)는 상기 서비스 노드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가상 계좌번호를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완료한다(S311).
이어서, 수퍼 노드(100)는 사용자 등록이 완료되면, 현재 적용중인 통화 정책을 확인하고, 이 통화 정책을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전송한다(S313). 상기 통화 정책에는, 거래 검증에 대한 수수료율, 거래정지 계좌목록, 유통 중지된 가상화폐 종류, 이자율, 신규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기초 정보 등이 기록된다. 상기 신규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기초 정보에는 신규 가상화폐가 발행 가능한 주기 정보와 발행 액수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수수료율에는 서비스 노드별 서로 상이한 수수료율이 기록될 수 있다.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수퍼 노드(1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정책을 저장한 후에, 이 통화 정책에 기반하여, 가상화폐 발행을 제어하고, 거래 검증 수수료율을 결정하고, 거래 중지된 계좌번호와 가상화폐 종류를 인식한다.
이렇게 통화 정책을 저장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거래와 상관없이 일정 주기 간격으로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하거나, 수퍼 노드(100)로 일정 액수의 신규 가상화폐 발행의 허락을 요청하여 승낙되면 해당 액수의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S315). 상기 신규 가상화폐는 초기에 발행 주체가 소유권을 갖게 된다.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통화 정책에 기록된 신규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기초 정보를 토대로, 새롭게 발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결정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 가상화폐 발행일(즉, 현재 날짜) 및 발행 주체(즉, 서비스 노드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타입 정보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이 신규 블록의 기존의 체인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체인 블록을 확장한다. 이때,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서명하여, 신규 블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이전의 블록의 해시값을 신규 블록 해시의 헤더에 기록함으로써, 신규 블록과 이전 블록을 연결하여 블록 체인을 확장하며, 버전, 난스, 난이도 목표, 타임스탬프, 머클루트 및 블록크기를 상기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한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포함된 타입 정보에 속성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소멸 속성 정보, 증액 속성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타입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수퍼 노드(1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정책에 1000원짜리 가상화폐에 대한 소멸 속성이 5년으로 기록된 상태에서, 액면가가 1000원인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화폐 발행 트랜잭션의 타입 정보에, 5년 동안의 수명(즉, 유통기한)을 가지는 소멸 속성을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통화 정책에, 10000원짜리 가상화폐에 1%의 이자율이 기록된 상태에서 액면가가 10000원인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화폐 발행 트랜잭션의 타입 정보에, 1%의 증액 속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새로운 생성된 블록을 다른 노드에게 브로드캐스팅하여, 신규 가상화폐 발행에 따른 블록을 공유한다. 그러면, 다른 서비스 노드들도 상기 신규 블록의 기존의 블록과 연결함으로써, 블록 체인을 확장한다.
한편,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신규 가상화폐가 발행되면, 새롭게 발행한 신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S317).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신규 가상화폐와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타입 정보에 소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신규 가상화폐의 소멸 시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퍼 노드(100)는 상기 통화 발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19). 상기 수퍼 노드(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통화 발행 정보를 토대로, 전체 통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불어 가상화폐 종류별로 통화량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폐 관리 시스템에서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제1서비스 노드, 제2서비스 노드, 제3서비스 노드를 도 1의 참조부호, 210, 220, 230로 각각 지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3서비스 노드(230)가 거래를 검증하는 검증 노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서비스 노드(210)는 제2서비스 노드(220)로 암호화된 가상화폐를 계좌 이체하기 위하여, 탑재중인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제2서비스 노드(220)로 이체하기 위한 금액과 제2서비스 노드(220)의 가상 계좌번호를 입력하여 거래를 준비한다(S401). 이때, 제1서비스 노드(21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제1서비스 노드(210)가 보유하고 있는 가상화폐의 종류별 개수를 확인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렇게 디스플레이된 가상화폐의 종류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제2서비스 노드(220)로 이체할 가상화폐로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거래 준비가 완료된 제1서비스 노드(210)는 제2서비스 노드(220)의 계좌번호, 계좌이체 시킬 가상화폐 종류별 개수 및 자신의 계좌번호가 포함된 거래 검증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한다(S403).
다음으로, 제3서비스 노드(230)는 상기 거래 검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 간의 거래를 검증하기 위하여 통화 정책을 확인한다. 이때, 제3서비스 노드(230)는 통화 정책의 최신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퍼 노드(100)로 통화 정책을 요청하여, 최신의 통화 정책을 수퍼 노드(10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3서비스 노드(230)는 통화 정책과 상기 거래 검증 데이터를 토대로, 제1서비스 노드(210)에서 제2서비스 노드(220)로 계좌 이체에 대한 거래 검증을 수행한다(S405). 이때, 제3서비스 노드(230)는 거래 검증 데이터에 포함된 제2서비스 노드(220)의 계좌번호와 제1서비스 노드(210)의 계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또한 제1서비스 노드(210)에서 이체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별 개수가 제1서비스 노드(210)에서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검증한다. 또한, 제3서비스 노드(230)는 통화 정책에 포함된 거래정지 계좌목록에 제1서비스 노드(210)의 계좌번호가 기록되어 있는지 그리고 제2서비스 노드(220)의 계좌번호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게다가, 제3서비스 노드(23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각 가상화폐의 소멸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제1서비스 노드(210)가 제2서비스 노드(220)로 계좌이체 시도하는 각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예컨대, 제3서비스 노드(230)는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가상화폐가 1000원 1개이고, 10000원 1개인 경우, 상기 1000원의 가상화폐의 소멸속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10000원의 소멸속성을 확인하여, 1000원과 10000원이 사용기한이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또한, 제3서비스 노드(230)는 통화 정책에 포함된 유통 중지 가상화폐 종류를 확인하고, 제2서비스 노드(220)로 계좌이체 시도하는 가상화폐가 유통 중지된 가상화폐 여부를 검증한다.
제3서비스 노드(230)는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의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에 기록되고, 거래 검증에 대한 보상으로서 신규 가상화폐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되고 소유권인 제3서비스 노드(230)로 귀속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한다(S407). 이때, 제3서비스 노드(230)는 상기 통화 정책에서 수수료율을 확인하고, 이 수수료율을 토대로 신규 발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결정한다. 제3서비스 노드(230)는 상기 결정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기록되며, 현 시간이 가상화폐 발행일로서, 자신의 식별정보가 발행주체로서 기록되는 타입 정보가 포함된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신규 블록에 포함시킨다.
또한, 제3서비스 노드(230)는 이전의 블록의 해시값을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하고, 또한 난스, 타임스탬프, 난이도 목표, 버전, 머클루트 및 블록크기를 상기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3서비스 노드(230)는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포함된 타입 정보에 속성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소멸 속성 정보, 증액 속성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타입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서비스 노드(230)는 기존의 블록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블록 체인을 확장한다(S409). 그리고 제3서비스 노드(230)는 블록 체인 확장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타 노드들과 확장된 블록 체인을 공유한다.
다음으로, 제3서비스 노드(230)는 거래 검증 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로 각각 전송한다(S411, S413).
그러면, 제1서비스 노드(210)는 제2서비스 노드(220)의 계좌이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인지하고, 가상화폐의 총액을 차감한다. 또한, 제2서비스 노드(220)는 제1서비스 노드(210)로부터 이체받은 금액을 가상화폐의 총액에서 가산한다.
이어서, 제3서비스 노드(230)는 새롭게 발행한 신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S415).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상기 신규 가상화폐와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타입 정보에 소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신규 가상화폐에 대한 소멸 시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3서비스 노드(230)는 제1서비스 노드(210)과 제2서비스 노드(220) 간에 거래에 이용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확인하고, 이 가상화폐 정류와 개수가 포함된 통화 이용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한편, 제3서비스 노드(230)는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 간에 거래 검증에 실패하면, 별도의 신규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거래 불가를 알리는 메시지를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제3서비스 노드(230)는 거래가 불가능한 이유를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서비스 노드(230)는 제1서비스 노드(210)와 제2서비스 노드(220) 간의 거래 검증을 수행할 때에, 상기 제1서비스 노드(210)에서 이체되는 가상화폐에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3서비스 노드(23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가상화폐의 증액속성을 확인하고, 이 증액속성을 토대로 상기 제1서비스 노드(210)가 계좌이체 시도하는 가상화폐가 증액 시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3서비스 노드(230)는 상기 가상화폐에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증액 이벤트에 따른 이자율을 확인하고, 이 이자율에 따른 이자금액을 상기 제1서비스 노드(210)로 보상하는 신규 가상화폐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는 서비스 장치로서, 저장부(510), 블록 생성부(520), 거래 검증부(530) 및 정보 제공부(54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노드는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510), 블록 생성부(520), 거래 검증부(530) 및 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510)는 메모리, 디스크 장치와 같은 저장수단으로, 통화 정책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510)는 블록들이 연결된 블록 체인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510)는 각 노드의 계좌번호가 기록된 계좌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 생성부(520)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이 신규 블록과 기존의 블록 체인과 연결하여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록 생성부(520)는 신규 블록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이 확장되면 이 확장된 정보를 타 노드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하여 확장된 블록 체인을 타 노드들과 공유한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신규 가상화폐 발행에 따른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경우, 신규로 발행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 및 가상화폐의 소멸시기를 포함하는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블록 생성부(520)는 저장부(510)에 저장된 통화 정책을 토대로, 발행하고자 하는 신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고, 신규 블록에 포함되는 타입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블록 생성부(520)는 통화 정책에 포함된 통화 발행 기초 정보에 근거하여, 일정 주기 간격으로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거래 검증부(530)에서 거래 검증에 성공하거나, 증액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블록 생성부(520)는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할 경우, 저장부(510)의 통화 정책을 토대로 발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기록되며, 현 시간이 가상화폐 발행일로서, 자신의 식별정보가 발행주체로서 기록되는 타입정보가 포함된 신규 블록을 생성한 후에, 이 신규 블록과 기존의 블록 체인을 연결시킴으로써, 체인 블록을 확장한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타입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신규 블록의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서명하여, 신규 블록을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이전의 블록의 해시값, 난이도 목표, 버전, 난스, 타임스탬프, 머클루트 및 블록크기를 상기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한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포함된 타입 정보에 속성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즉, 블록 생성부(520)는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소멸 속성 정보, 증액 속성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타입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거래 검증부(530)는 타 노드들 간에 발생되는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래 검증부(530)는 타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거래 검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 획득한 거래 검증 데이터와 통화 정책을 분석하여, 타 노드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한다. 거래 검증부(530)는 상기 거래 검증 데이터에 포함된 계좌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거래되는 가상화폐 종류별 개수가 송금 노드에서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확인한다. 또한, 거래 검증부(530)는 통화 정책에 포함된 거래정지 계좌목록에 거래 대상 계좌번호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게다가, 거래 검증부(53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각 가상화폐의 소멸속성을 확인하고, 거래시에 이용되는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한편, 거래 검증부(530)는 통화 정책에서 유통 중지 가상화폐 종류를 확인하고, 거래되는 가상화폐가 유통 중지된 가상화폐 종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 대상이 되는 가상화폐에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540)는 신규 통화 발행에 따른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보 제공부(540)는 블록 생성부(520)에서 신규 통화 발행에 따른 신규 블록을 생성하면, 새롭게 발행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신규 가상화폐와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타입 정보에 소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신규 가상화폐의 소멸 시기에 대한 정보도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540)는 노드들에서 거래시에 이용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가 포함된 통화 이용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에서 거래 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노드의 거래 검증부(530)는 가상화폐를 이용한 거래가 타 노드들 간에 진행되면,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 및 거래되는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가 포함된 거래 검증 데이터를 획득한다(S601).
다음으로, 거래 검증부(530)는 상기 획득한 거래 검증 데이터에 포함된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 모두가 존재하는 계좌번호인지 여부를 검증한다(S603). 이때, 거래 검증부(530)는 수퍼 노드(100)로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를 문의하여 상기 계좌번호들의 존재 여부를 검증할 수 있으며, 저장부(510)에 저장된 계좌 목록에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계좌번호들의 존재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이어서, 거래 검증부(530)는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면, 통화 정책에서 거래정지 계좌목록을 확인하고, 상기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상기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상기 거래정지 계좌목록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계좌번호가 거래 정지된 계좌번호인지 여부를 검증한다(S605).
다음으로, 거래 검증부(530)는 송금 노드의 계좌번호와 수신 노드의 계좌번호가 상기 거래정지 계좌목록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거래되는 가상화폐 종류별 개수를 송금 노드에서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저장부(510)의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확인한다(S607). 예컨대, 송금 노드가 액면가 10000원의 가상화폐 1개 및 액면가 5000원의 가상화폐 2개를 수신 노드로 전송하는 경우, 거래 검증부(53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송금 노드가 상기 10000원의 가상화폐 1개와 5000원의 가상화폐 2개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되는 가상화폐 종류별 개수를 송금 노드에서 보유하고 있으면,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각 가상화폐의 소멸속성을 확인하고, 거래시에 이용되는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S609). 이때, 거래 검증부(530)는 계좌이체 대상이 되는 각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 체인에서 확인하고, 블록의 타입정보에 포함된 소멸 속성에 기초하여 해당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에 이용되는 개별 가상화폐의 소멸 속성이 없거나 소멸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 통화 정책에서 유통 중지 가상화폐 종류를 확인하고, 거래되는 가상화폐가 유통 중지된 가상화폐 종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S611).
이어서,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되는 가상화폐가 유통 중지된 가상화폐 종류에 해당하지 않으면, 거래 검증을 성공 처리한다(S613). 다음으로,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송금 노드의 거래에 대한 수수료율을 통화 정책에서 확인하고, 상기 수수료율을 토대로 신규로 발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결정한다(S615). 즉,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 검증에 대한 보상액을 상기 수수료율을 통해서 확인한다. 상기 블록 생성부(520)는 송금 노드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송금 노드에게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수수료율을 상기 통화 정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송금 노드가 가맹점에 해당하는 노드인 경우, 블록 생성부(520)는 일반 노드의 수수료율 보다 낮은 수수료율을 통화 정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블록 생성부(520)는 송금 노드와 수신 노드 간의 거래가 트랜잭션에 기록되고 거래 검증에 대한 보상으로서 신규 가상화폐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되며 거래 검증한 서비스 노드로 귀속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한다(S617). 이때,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결정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기록되며, 현 시간이 가상화폐 발행일로서, 자신의 식별정보가 발행주체로서 기록되는 타입 정보가 포함된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신규 블록에 포함시킨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이전의 블록의 해시값, 난스, 난이도 목표, 버전, 타임스탬프, 머클루트 및 블록크기를 상기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한다. 이어서,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생성한 신규 블록과 기존의 블록의 연결함으로써, 블록 체인을 확장하며, 확장된 블록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신규 블록에 소멸 속성, 증액 속성 중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신규 블록의 생성으로 가상화폐가 발행되면, 정보 제공부(540)는 새롭게 발행한 신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신규 가상화폐와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타입 정보에 소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신규 가상화폐의 소멸 시기에 대한 정보도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540)는 S603 단계 내지 S611 단계에서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시에 이용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가 포함된 통화 이용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거래 검증부(530)는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시에 이용되는 각 종류의 개별 가상화폐를 확인하고, 이 중에서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 가상화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619). 이때, 거래 검증부(530)는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거래 대상이 되는 개별 가상화폐의 증액속성을 확인하고, 이 증액속성을 토대로 상기 송금 노드에서 계좌이체 시도하는 가상화폐가 증액 시기가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블록 생성부(520)는 가상화폐에서 증액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통화 정책에서 이자율을 확인한다(S621). 이어서 거래 검증부(530)는 상기 이자율에 따른 이자금액을 상기 송금 노드로 보상하는(즉, 송금 노드로 귀속되는) 신규 가상화폐가 화폐 발행 트랜잭션에 기록되는 추가적인 신규 블록을 추가적으로 생성한다(S623). 이때,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이자율을 토대로 발행하고자 하는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기록되며, 현 시간이 가상화폐 발행일로서, 자신의 식별정보가 발행주체로서 기록되는 타입정보가 포함된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화폐 발행 트랜잭션을 상기 신규 블록에 포함시킨다. 또한, 블록 생성부(520)는 이전의 블록의 해시값, 난스, 타임스탬프, 버전, 난이도 목표, 머클루트 및 블록크기를 상기 신규 블록의 헤더에 기록한다. 이어서,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생성한 신규 블록과 기존의 블록의 연결함으로써, 블록 체인을 확장하며, 확장된 블록에 대한 정보를 타 노드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이어서, 정보 제공부(540)는 새롭게 발행한 신규 가상화폐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이때, 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신규 가상화폐와 대응되는 신규 블록의 타입 정보에 소멸 속성이 포함된 경우, 신규 가상화폐의 소멸 시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퍼 노드(100)로 전송한다.
한편, 거래 검증부(530)는 S603 내지 S609 단계의 검증에서 어느 하나라도 실패하면, 신규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송금 노드와 수신 노드 간의 거래 검증을 실패 처리한다(S625).
또 다른 실시예로서, 블록 생성부(520)는 거래 검증에 성공한 상태에서 가상화폐의 증액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거래 검증 수행한 서비스 노드가 보상받을 총액에서 이자율에 따른 금액을 감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생성부(520)는 거래 검증에 성공하더라도 바로 신규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거래시에 이용된 각 가상화폐에서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증액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가상화폐의 이자율을 확인한다. 그리고 블록 생성부(520)는 상기 이자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거래 검증의 보상액(즉, 수수료에 해당하는 금액)에서 차감하여 최종 보상액을 결정하고, 이 최종 보상액이 거래 검증한 서비스 노드의 소유로 귀속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노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노드는 통화 관리 장치로서, 데이터 수집부(710), 통화량 모니터링부(720), 정책 설정부(730), 사용자 등록부(740) 및 데이터베이스(75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퍼 노드(100)는 메모리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부(710), 통화량 모니터링부(720), 정책 설정부(730) 및 사용자 등록부(74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750)는 스토리지 등과 같은 저장수단으로서, 통화 발행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750)는 서비스 노드 식별정보, 사용자 정보 및 가상 계좌번호가 매핑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게다가, 데이터베이스(750)는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부터 거래에 이용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가 포함된 통화 이용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부(710)는 각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부터 통화 발행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수집부(710)는 서비스 노드(210, 220, 230)에서 신규 가상화폐를 발행한 경우, 새롭게 발행된 가상화폐의 종류와 그 개수가 포함된 통화 발행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710)는 거래시에 이용된 가상화폐 종류와 개수가 포함된 통화 이용 정보를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테베이스(750)에 저장한다.
사용자 등록부(740)는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부터 사용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서비스 노드(210, 220, 230)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300)로부터 수신하고, 서비스 노드 식별정보, 사용자 정보 및 서비스 노드의 가상 계좌번호가 매핑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한다.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통화 발행 정보를 토대로, 현재 유통된 가상화폐 종류별 통화량과 전체 통화량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통화 이용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한 달)에 이용되는 가상화폐 종류별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통화량을 모니터링할 때, 소멸 시기가 도래한(즉, 유통기간이 지난) 가상화폐를 통화량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 정책을 결정하고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책 설정부(730)는 관리자로부터 정책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량 모니터링부(720)에서 모니터링한 결과를 토대로 통화 정책을 변경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에 각 가상화폐 종류의 사용량을 확인하고, 임계값(예컨대, 100개 이하) 이하의 사용량을 가지는 가상화폐 종류가 확인되면, 이 종류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유통을 중지시키는 통화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 중지된 가상화폐를 액면가 분할하거나, 액면가를 통합시키는 정책을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서비스 노드(210, 220, 230)는 액면가 분할 정책 또는 병합 정책에 따라, 블록 체인을 분석하여 해당 가상화폐의 액면가를 분할하거나 통합한다.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를 통해서 현재의 전체 통화량을 확인하고, 이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낮추는 것으로 통화 정책을 설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한다. 또한,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신규 가상화폐의 발행 주기를 더욱 길게 하거나 발행 액수를 감소시키는 신규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기초 정보가 포함된 통화 정책을 설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를 통해서 현재의 전체 통화량을 확인하고,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높이는 통화 정책을 설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한다. 또한,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신규 가상화폐의 발행 주기를 더욱 짧게 하거나 발행 액수를 증가시키는 신규 가상화폐 발행을 위한 기초 정보가 포함된 통화 정책을 설정하여 통화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통화량 과다 범위와 통화량 과소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되고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정책 설정부(730)는 통화 정책이 변경되면,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노드에서 통화 정책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통화 이용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예컨대, 한 달)에 이용되는 가상화폐 종류별 사용량을 모니터링한다(S803).
그러면, 정책 설정부(730)는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 임계값(예컨대, 100개 이하) 이하의 사용량을 가지는 가상화폐 종류가 확인되면, 현재의 통화 정책을 상기 종류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사용을 중지시키는 통화 정책을 변경하고(S805), 이렇게 변경한 통화 정책을 각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한다. 바람직하게,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통화량을 모니터링할 때, 소멸 시기가 도래한 가상화폐를, 통화량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통화량 모니터링부(72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된 통화 발행 정보를 토대로, 현재 유통된 가상화폐 종류별 통화량과 전체 통화량을 모니터링한다(S807). 그러면, 정책 설정부(730)는 상기 모니터링한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809), 통화량 과다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낮추는 통화 정책으로 현 통화 정책을 변경한다(S811). 즉,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전체 통화량을 줄이기 위하여 기존의 통화 정책에서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낮추에 통화 정책을 변경하고,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각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한다. 또한,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신규 가상화폐의 발행 주기를 더욱 길게 하거나 발행 액수를 감소시키는 통화 정책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각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할 수도 있다.
S809 단계에서 현재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다 범위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813). 정책 설정부(730)는 모니터링된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포함되면,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높이는 통화 정책으로 현 통화 정책을 변경한다(S815). 즉,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전체 통화량을 늘이기 위하여, 기존의 통화 정책의 이자율을 일정수준으로 높이는 통화 정책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각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한다. 또한, 정책 설정부(730)는 전체 통화량이 통화량 과소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신규 가상화폐의 발행 주기를 더욱 짧게 하거나 발행 액수를 증가시키는 통화 정책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통화 정책을 각각의 서비스 노드(210, 220, 230)로 배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정책에 근거하여 가상화폐의 통화량을 관리하고, 사용이 거의 되지 않은 종류에 해당하는 가상화폐의 유통을 중지시킴으로써, 가상화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멸 속성, 증액 속성 등의 속성 정보를 블록에 포함시켜, 이 속성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상화폐가 폐기되고 증액되게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가상화폐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수퍼 노드 210, 220, 230 : 서비스 노드
300 : 사용자 정보 저장 노드 400 : 네트워크
510 : 저장부 520 : 블록 생성부
530 : 거래 검증부 540 : 정보 제공부
710 : 데이터 수집부 720 : 통화량 모니터링부
730 : 정책 설정부 740 : 사용자 등록부
7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서비스 노드에서 통화 정책을 토대로 가상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가상화폐의 거래가 발생하면,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단계;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 검증에 성공하면, 거래 검증에 따른 보상액이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기존의 블록 체인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의 거래에 이용되는 가상화폐에 포함된 소멸 속성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정책에 기록된 거래정지 계좌목록을 토대로, 제1노드의 계좌 및 제2노드의 계좌가 거래 정지된 계좌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정책에 기록된 유통 정지된 가상화폐 종류를 토대로, 상기 거래에 이용되는 가상화폐 종류가 상기 유통 정지된 가상화폐 종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정책에서 수수료율을 확인하고, 상기 수수료율을 토대로 상기 보상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간에 거래되는 가상화폐의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폐에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증액 이벤트에 따른 이자율을 확인하고, 이 이자율에 따른 이자금액을 상기 제1노드로 보상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간에 거래되는 가상화폐에 포함된 증액 속성을 토대로, 상기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폐 관리 방법.
  7. 통화 정책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가상화폐 거래가 발생하면, 상기 통화 정책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를 검증하는 거래 검증부; 및
    상기 가상화폐의 거래 검증에 성공되면, 상기 거래 검증에 따른 보상액이 포함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기존의 블록 체인에 상기 신규 블록을 연결하여 상기 블록 체인을 확장하는 블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검증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의 거래에 이용되는 가상화폐에 포함된 소멸 속성을 토대로, 상기 가상화폐가 소멸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검증부는,
    상기 통화 정책에 기록된 거래정지 계좌목록을 토대로, 제1노드의 계좌 및 제2노드의 계좌가 거래 정지된 계좌인지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통화 정책에 기록된 유통정지된 가상화폐 종류를 토대로 상기 거래에 이용되는 가상화폐 종류가 유통 정지된 가상화폐 종류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삭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통화 정책에서 수수료율을 확인하고, 상기 수수료율을 토대로 상기 보상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간에 거래되는 가상화폐의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화폐에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증액 이벤트에 따른 이자율을 확인하고, 이 이자율에 따른 이자금액을 상기 제1노드로 보상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 간에 거래되는 가상화폐에 포함된 증액 속성을 토대로 상기 증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092596A 2016-07-21 2016-07-21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0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96A KR102209781B1 (ko) 2016-07-21 2016-07-21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596A KR102209781B1 (ko) 2016-07-21 2016-07-21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67A KR20180010467A (ko) 2018-01-31
KR102209781B1 true KR102209781B1 (ko) 2021-01-28

Family

ID=6108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596A KR102209781B1 (ko) 2016-07-21 2016-07-21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873B1 (ko) * 2018-04-13 2023-11-07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서로 다른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5316B1 (ko) * 2018-04-13 2019-10-01 주식회사 케이체인 블록체인 기반 통합 트랜잭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610127B1 (ko) * 2018-04-26 2023-12-0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전자 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46557B1 (ko) * 2018-05-15 2019-05-03 한국마필거래소(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46555B1 (ko) * 2018-05-15 2019-05-03 한국마필거래소(주) 블록체인 기반의 유전자 정보 유통 방법 및 시스템
KR102110733B1 (ko) * 2018-07-16 2020-05-14 (주)아이씨엔캐스트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94455B1 (ko) * 2018-07-27 2019-06-28 박기업 시스템에 포함되는 노드들에 대하여 그룹을 운영하는 분산 네트워크 시스템
KR102427879B1 (ko) * 2018-08-07 2022-08-0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장치 기반 사용자 정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069979B1 (ko) * 2018-08-07 2020-01-2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장치 기반 사용자 정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N109325746B (zh) * 2018-08-29 2020-07-14 华中科技大学 一种基于存储的区块链激励方法、区块链网络及存储网络
KR102186117B1 (ko) 2018-10-01 2020-12-03 윤태경 디지털통화를 이용한 운용방법 및 운영시스템
KR20200046456A (ko) * 2018-10-24 2020-05-07 비에이지노믹스(주) 개인의 유전자 표현형이 적용된 컬러드 코인
KR102119963B1 (ko) * 2018-10-26 2020-06-05 최영일 블록체인 기술을 응용한 부동산 거래 및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131548B1 (ko) * 2019-01-14 2020-07-0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전자지갑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방법
KR102170454B1 (ko) * 2019-01-29 2020-10-28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블록체인 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1044B1 (ko) * 2019-02-18 2019-11-04 이성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소에서 오토마이닝 방법,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오토마이닝 프로그램 이용권 지급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1614708B (zh) * 2019-02-26 2021-06-08 傲为信息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交易系统
KR102288776B1 (ko) * 2019-05-24 2021-08-12 광주과학기술원 블록체인의 거래검증시스템, 및 블록체인의 거래검증방법
KR102298497B1 (ko) * 2019-09-03 2021-09-07 (주)누리플렉스 전력 관리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69382B1 (ko) * 2019-09-24 2021-06-24 박은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블록도메인 이용에 대한 보상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553791B (zh) * 2019-11-29 2023-08-04 上海十进制网络信息科技有限公司 数字现金对象货币及其生成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KR102397404B1 (ko) * 2019-12-10 2022-05-13 손종희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영수증 관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44516B1 (ko) * 2019-12-16 2023-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마사지 장치 기반 사용자 정보 거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610A (ja) * 2001-07-19 2003-04-04 Traders Shoken Kk 外国為替取引に関する注文処理装置、注文処理方法、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406A (ko) 2000-05-10 2001-11-23 지한준 가상 화폐 발행 및 거래를 통한 사이버 머니 통합 처리시스템
KR20110136636A (ko) * 2010-06-15 2011-12-21 중소기업은행 은행 계좌에 대한 이체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KR101397556B1 (ko) * 2012-10-18 2014-06-27 다산시스템(주) 통합 계좌 운영 및 관리 방법
KR101534146B1 (ko) * 2013-05-22 2015-07-14 박복태 데이터로 관리되는 무형화폐인 비트머니의 생성 방법과 제공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610A (ja) * 2001-07-19 2003-04-04 Traders Shoken Kk 外国為替取引に関する注文処理装置、注文処理方法、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67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781B1 (ko) 가상화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136954B2 (ja) 暗号論的に署名された記録のセキュアな交換
CN109741039B (zh) 记账方法、矿池服务器、终端设备、挖矿节点及矿池
US113149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digital signatures to create trusted digital asset transfers
US20220076247A1 (en) Secure crypto currency point-of-sale (pos) management
KR10163786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102050129B1 (ko) 블록 검증을 위한 복수의 일방향 함수를 지원하는 블록 체인
TWI485637B (zh) Credit car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redit car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rder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credit card checkout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170124556A1 (en) Event synchron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70330159A1 (en)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fer in a distributed network
US202000995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digital signatures to create trusted digital asset transfers
KR101837167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US202003204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transaction using private blockchain
US11416930B2 (en) Method for providing united point service in use of unspent transaction output based protocol and server using the same
US20220076246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ferring cryptographic tokens
AU20162727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cly verifiable authorization
JP7464334B2 (ja) プログラム、チャレンジ支援システム、チャレンジ支援方法、端末
KR101841564B1 (ko) Utxo 기반으로 머클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전자 바우처를 발행, 사용, 환불, 정산 및 파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50140609A (ko) 가맹점의 회원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KR101849918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236620B1 (ko) 헌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08124653A2 (en) Remote console for central administration of usage credit
JP7327781B2 (ja) マッチング支援装置、マッチング支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88908B1 (ja) 精算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4053771A1 (de) Ableitung eines tokens mittels eines transaktions-bezogenen einmalschlü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