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02B1 -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702B1
KR102209702B1 KR1020190008239A KR20190008239A KR102209702B1 KR 102209702 B1 KR102209702 B1 KR 102209702B1 KR 1020190008239 A KR1020190008239 A KR 1020190008239A KR 20190008239 A KR20190008239 A KR 20190008239A KR 102209702 B1 KR102209702 B1 KR 10220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pipe
detection device
cooling fl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229A (ko
Inventor
김낙현
김성균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0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2Detection of leak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28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Additions to the reactor coolants, e.g. against moderator corros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4Detecting burst slugs
    • G21C17/041Detecting burst slugs characterised by systems for checking the coolant channels, e.g. matrix syste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04Pressure suppre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고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 조립체 및 연결배관 조립체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는, 주 배관과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과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와, 주 배관에서 냉각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연결배관을 통과한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는 주 배관의 가동중검사를 위한 광학식 검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LEAKAGE DETECTION APPARATUS FOR NUCLEAR FACILITIES AND CONNECTING PIP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배관의 누설을 신속하게 감지함과 동시에 누설된 소듐이 대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시설의 예로 원자력 발전소를 들 수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원자로에 비해 높은 에너지의 고속중성자로 핵분열을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제4세대(Gen IV) 원자로로서 소듐 냉각 고속 원자로 (Sodium-cooled Fast Reactor, SFR)가 제안되고 있다. 소듐냉각고속로는 소듐(sodium)을 그 냉각재로 이용한다.
소듐냉각고속로에서 냉각재인 소듐은 원자로 내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열을 획득하고 증기발생기 내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원자로 내의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내의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용융된 상태인 소듐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연결배관이 마련된다.
소듐냉각고속로의 냉각재로 이용되는 소듐은 공기 중에 노출될 시 산소 및 수분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그 과정에서 열이나 빛, 연무가 발생되게 된다. 때문에, 소듐이 유동되는 배관에 균열이 생겨 소듐의 누설이 일어나게 되면 배관의 손상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때문에, 연결배관에서 냉각재인 소듐의 대기와 접촉을 제한하고 누설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시설은 주기적으로 구조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가동중검사를 실시한다. 여기서, 가동중 검사는 발전소 운전(발전)을 멈춘 후 수행하는 정기적 검사를 의미한다.
때문에, 보호배관 내부에 위치하는 주배관의 가동중검사를 위한 수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원자력 시설에서 누설된 냉각재의 대기와 접촉을 제한하고 냉각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또한 높은 구조건전성을 유지해야 하는 주배관의 가동중검사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이를 통해, 원자력 시설에서 냉각제 누설에 의한 화재 및 화학 반응을 방지하고 냉각재의 누설을 실시간으로, 또한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주배관의 가동중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는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고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상기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누설감지장치는,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과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 상기 주 배관에서 상기 냉각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 및 상기 주 배관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는,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상기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생성하는 반응유체와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 상기 냉각유체와 상기 반응유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 및 상기 주 배관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식 검사기구는, 상기 주 배관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보호배관에 설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와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를 포함함으로써, 원자력 시설에서 냉각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주 배관과 보호 배관을 포함하는 이중배관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을 마련함으로써, 냉각재인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에도 대기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고, 냉각재의 누설이 상기의 누설감지기구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주 배관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주 배관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 배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를 통해, 원자력 시설에서 냉각재의 누설을 실시간으로, 또한 자동적으로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배관 조립체의 누설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배관 조립체의 누설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원자력 시설은 원자력 발전소일 수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원자로에 비해 높은 에너지의 고속중성자로 핵분열을 일으켜 발생하는 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제4세대(Gen IV) 원자로로서 소듐 냉각 고속 원자로 (Sodium-cooled Fast Reactor, SFR)가 제안되고 있다. 소듐냉각고속로는 소듐(sodium)을 그 냉각재로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 조립체는 소듐냉각고속로의 원자로와 증기발생기를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배관 조립체는 소듐냉각고속로의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냉각재로 이용되는 소듐을 포함하는 유체가 내부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원자력 시설에 이용되는 연결배관은 누설을 방지하고 유체가 유동되는 관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이중배관 구조로 마련된다.
소듐냉각고속로의 냉각재로 이용되는 소듐은 공기 중에 노출될 시 산소 및 수분과 격렬하게 반응하며, 그 과정에서 열, 빛 내지는 연무가 발생되게 된다. 때문에, 소듐이 유동되는 배관에 균열이 생겨 소듐의 누설이 일어나게 되면 소듐이 주변의 물질과 반응하며 배관의 손상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배관에서 냉각재인 소듐이 누설되는 경우 대기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누설된 소듐을 신속히 감지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는 누설된 소듐의 대기와의 접촉을 방지하고, 연결배관에서의 소듐의 누설을 감지하고, 또한 원자력 시설의 가동중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는, 주 배관과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과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와,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연결배관 조립체
먼저, 누설감지장치(60, 70)가 설치되는 연결배관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배관 조립체는 주 배관(11) 및 주 배관(11)을 감싸는 보호배관(12)을 포함하는 이중배관 구조의 연결배관(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배관(11)과 보호배관(12)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10)을 마련함으로써, 주 배관(11)에서 냉각재인 소듐이 누설되더라도 보호배관(12)의 내부에 머물게 되므로, 소듐이 대기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배관 조립체는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페이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 배관(11)이 반경방향으로 열 팽창할 시, 스페이서(20)에 의해 상기 보호배관(12)로 전달되는 힘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주 배관(11)의 반경방향 열팽창 시 스페이서(20)가 일부 변형되며 상기 주 배관(11)의 열팽창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0)는 보호배관(12)의 내주면에 접하는 링 모양의 링부와, 링부에서 보호배관(12)을 향해 연장되어 보호배관(12)과 접하게 되는 복수의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핀들은 링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배관 조립체는 보호배관(12)을 가열시키기 위해 가열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재(30)는 보호배관(1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배관 조립체는 보호배관(12)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자켓(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배관 조립체는 보호배관(12)의 단열을 위해, 자켓(40)과 보호배관(12)의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 배관(11)의 내부로는 용융된 상태의 소듐을 포함하는 유체가 유동되게 되는데, 주 배관(11)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소듐이 고체화되어 주 배관(11) 내부의 유체의 유동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주 배관(11)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배관 조립체는 가열부재(30), 단열부재(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누설감지장치(60, 70)
연결배관 조립체는 연결배관(10)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누설감지장치(60, 7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감지장치(60, 70)는 기체순환기구(60)와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감지장치(60, 70)는 전압식 누설감지기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누설감지기구와 전압식 누설감지기구(70)를 이용하여 냉각재(본 실시예에서는 소듐)의 누설을 이중으로 감지함으로써, 냉각재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기체순환기구(60)는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의 사이의 공간으로,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과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체는 용융된 소듐을 함유하는 유체 이고, 순환기체는 산소 및 수분을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소듐은 산소 및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NaOH)을 생성할 수 있다.
소듐(또는 나트륨)은 알칼리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반응성이 강한 특징이 있다. 때문에, 공기 중에 놓이게 되면 공기 중의 산소 및 수분과 격렬하게 반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소듐과 산소 및 수분의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생성물을 감지하여 소듐의 누설을 감지하는 원리이다. 이때, 순환기체는 대기 중의 산소 및 수분의 농도보다 순환기체 중의 산소 및 수분의 농도가 낮도록 소정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순환기체 중의 산소 및 수분의 농도를 대기 중의 농도보다 낮은 소정의 농도 이하로 유지하여, 소듐이 반응하여 생성물이 생성되도록 하되, 반응량(또는 반응의 정도)이 어느 정도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듐의 누설을 감지하면서도 소듐과 수분 또는 산소의 격렬한 반응으로 인해 배관의 더욱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체순환기구(60)는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순환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 주입부(61)와,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순환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 배출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상기 주 배관(11)에서 상기 냉각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기체 배출부(62)에 설치되어, 연결배관을 통과한 순환기체를 감지할 수 있다.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소듐과 순환기체 중의 산소 내지는 수소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생성물, 즉 수산화나트륨(NaOH)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압식 누설감지기구(70)는 상기 주 배관(11)과 상기 보호배관(12)의 사이에 설치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센싱 라인부재(도 2의 70)를 포함하여, 상기 센싱 라인부재에 인가된 전압의 변화로 상기 냉각유체가 누설되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라인부재는 보호배관(12)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 라인부재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식 누설감지기구 케이블(71)이 연결배관(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센싱 라인부재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용융된 소듐이 센싱 라인부재에 접하게 되면, 센싱 라인부재의, 소듐과 접한 부분의 저항 값이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변하는 저항 값에 기초하여, 전압식 누설감지기구는 연결배관(10)에서 소듐이 누설된 부분을 감지할 수 있다.
전압식 누설감지기구는 종래에 개시된 선형 누설감지기와 같거나 또는 그와 동등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학식 검사기구(80)
연결배관 조립체는 상기 주 배관(11)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식 검사기구(80)는 원자력 시설의 가동(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연결배관(10)의 결함을 광학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즉, 광학식 검사기구(80)는 원자력 시설을 정지시킨 후 주기적으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육안으로 또는 촬영기구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 연결배관(10)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광학식 검사기구(80)를 가동중 검사 포트라고도 명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식 검사기구(80)를 필요 시 개방하여 육안으로 보호배관(1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식 검사기구(80)는, 상기 주 배관(11)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보호배관(12)에 설치되는 촬영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식 검사기구(80)는 촬영부에서 촬영된 연결배관(10) 내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연결배관(10)의 결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배관(10)은 여러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이다. 즉, 연결배관(10)은 복수 개의 연결배관 서브파트가 서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광학식 검사기구(80)는 복수 개의 연결배관 서브파트가 서로 접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연결배관(10)에서 상대적으로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검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연결배관
11 : 주재관
12 : 보호배관
20 : 스페이서
30 : 가열부재
40 : 자켓
50 : 단열부재
60 : 기체순환기구
61 : 기체 주입부
62 : 기체 배출부
70 : 전압식 누설감지기구
71 : 전압식 누설감지기구 케이블
80 : 광학식 검사기구

Claims (13)

  1.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고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상기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한,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는 반응물과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
    상기 주 배관에서 상기 냉각유체의 누설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 및
    상기 주 배관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체는, 용융된 소듐(sodium)을 함유하는 유체이고,
    상기 순환기체는, 산소 및 수분을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을 갖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체는, 대기 중의 산소 및 수분의 농도보다 상기 순환기체 중의 산소 및 수분의 농도가 낮도록 소정의 조성을 갖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상기 소듐과 상기 순환기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순환기구는,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순환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 주입부와,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순환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기체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학식 누설감지기구는 상기 순환기체 배출부에 설치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에 설치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센싱 라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센싱 라인부재에 인가된 전압의 변화로 상기 냉각유체가 누설되는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전압식 누설감지기구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7. 원자로 측 열교환기와 증기발생기 측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에 있어서,
    냉각유체가 유동되는 주 배관과 상기 주 배관을 감싸는 보호배관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연결배관;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각유체와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생성하는 반응유체와 불활성기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순환기체를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기체순환기구;
    상기 냉각유체와 상기 반응유체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배관을 통과한 상기 순환기체를 검사하도록 마련되는 화학식 누설감지기구; 및
    상기 주 배관의 결함을 육안 또는 촬영된 영상으로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광학식 검사기구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주 배관과 상기 보호배관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주 배관의 반경방향 열팽창 시 상기 보호배관으로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주 배관의 반경방향 열팽창 시 일부 변형되며 상기 주 배관의 열팽창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배관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자켓과,
    상기 보호배관의 단열을 위해, 상기 자켓과 상기 보호배관의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호배관을 가열시키기 위해, 상기 보호배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연결배관 조립체.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식 검사기구는, 상기 주 배관의 특정 영역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보호배관에 설치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학식 검사기구는, 복수 개의 구성이 접합되어 구성된 상기 연결배관의 접합 부분에 설치되는,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KR1020190008239A 2019-01-22 2019-01-22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KR10220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39A KR102209702B1 (ko) 2019-01-22 2019-01-22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39A KR102209702B1 (ko) 2019-01-22 2019-01-22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29A KR20200091229A (ko) 2020-07-30
KR102209702B1 true KR102209702B1 (ko) 2021-02-01

Family

ID=7183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39A KR102209702B1 (ko) 2019-01-22 2019-01-22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5739A (ja) * 2010-03-09 2011-09-22 Toshiba Corp 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器、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システムおよび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8393A (ja) * 1983-10-06 1985-05-04 株式会社東芝 ナトリウム配管におけるナトリウム漏洩検出装置付予熱設備
JP2950652B2 (ja) * 1991-07-09 1999-09-20 株式会社東芝 蒸気発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5739A (ja) * 2010-03-09 2011-09-22 Toshiba Corp 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器、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システムおよびナトリウム漏えい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29A (ko)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7263A (zh) 核反应堆严重事故下燃料元件失效行为研究的实验装置及方法
US20240312654A1 (en) In-core instrumentation
KR102209702B1 (ko) 원자력 시설용 누설감지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연결배관 조립체
JPH08285717A (ja) 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CN204904847U (zh) 核电站安全壳打压试验期间的安全壳火灾监控系统
CN109686464A (zh) 一种用于监测反应堆的金属冷却剂泄漏的装置及方法
Farley An overview of non destructive inspection services in nuclear power plants
Lewak Infrared techniques in the nuclear power industry
KR101022551B1 (ko) 원자로 냉각재 계통 검사용 수중 씨씨디 카메라 장치
Cheadle et al. Examination of core components removed from CANDU reactors
Hashemian et al. I&C System Sensors for Advanced Nuclear Reactors
RU2624909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егерметичных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сборок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с жидкометаллическим теплоносителем
Song et al.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Kima Tube Repair Criteria for Heat Exchangers with U-Tubes Applying USNRC Reg. Guide 1.121
KR800000758B1 (ko) 원자로 압력용기의 인입노즐 관입(貫入)장치
Vinzens et al. Structural integrity of lmfbrs including leak before break
US20130129029A1 (en) Nuclear fuel rod pellet stack inspection
Guidez et al. In-Service Inspection
Zhukov et al. Criteria of leakage occurrence and pressure vessel failure as applied to reactors
Jadot et al. Instrumentation and in-service inspection in the ASTRID project: main objectives and considered solutions
JPH03110477A (ja) 運動検出装置
Madni Containment and Sodium-specific SFR Design Criteria in RG 1.232
CN104006896B (zh) 300mw核主泵三级密封前测温装置
Joo et al. In-Service Inspection Approaches of KALIMER-600 Reactor System
Kim et al. Plant life management strategies for pressurized heavy water re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