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19B1 - Car Seat - Google Patents

Car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19B1
KR102209619B1 KR1020200038242A KR20200038242A KR102209619B1 KR 102209619 B1 KR102209619 B1 KR 102209619B1 KR 1020200038242 A KR1020200038242 A KR 1020200038242A KR 20200038242 A KR20200038242 A KR 20200038242A KR 102209619 B1 KR102209619 B1 KR 1022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fixing
backrest
safety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9619B9 (en
Inventor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1343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1887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치
Priority to KR102020003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19B1/en
Publication of KR10220961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19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A safety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fety seat for a vehicle, comprises: a backrest part for supporting the back of a user; a headrest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to protect the head of the user in collision; a seating bod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body wing part arranged in side surfaces of the backrest part to protect the side of the user in collision. The body w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assing parts through which a belt arranged in a vehicle penetrates so that the belt can be fixed by at least one of a two-point-type and a three-point-typ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ixing device part for strengthening a fixed state between the safety seat for a vehicle and the vehicle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of pulling a part of the belt which is entered through a first pass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passing parts and is displaced through a second pass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passing parts.

Description

2점식 및 3점식으로 호환 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시트 {Car Seat}Vehicle safety seat tha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wo and three points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으며,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sea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to support an infan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secures safety based on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wings, and the seat belt is a two-point type and/or It is fixed in a three-point type for high compatibility, and it is easy to store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can fold the head and seating parts through hinge rotation, and at least one of a fixing device, an adjustment lever, a set clip, a rotation fixing device and a hanging fixing device. Regardless of the type of belt (NLR, ALR, ELR, etc.) by using some, it relates to a car seat that is secured by secur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 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맨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된다.In general, when boarding various vehicles including a passenger car, the vehicle is operated while wearing a seat belt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s.

하지만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에 구비되는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집이 적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아를 차량에 탑승시킬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해 별도의 유아용 안전시트를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However, as seat belts provided in various vehicles including passenger cars are installed based on adults,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adults cannot wear seat belts. For the safety of infants, a separate infant safety seat is installed on the vehicle's seat and used.

이와 더불어 자가용의 수요가 급증하게 됨에 따라 유아용 안전시트 또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as the demand for private cars increases rapidly, the demand for safety seats for infants is also increasing rapidly.

이러한 유아용 안전시트의 형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가 없는 좌석 형태의 본체 상에 쿠션재질의 포자가 전면 및 양측면에 둘러싸여 지고, 등받이 전면 상부로부터 바닥면 사이를 잇는 한 쌍의 체결벨트가 장착되어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러한 카 시트에 앉혀지는 유아는 양 어깨를 지나 가랑이 사이로 체결되는 체결벨트에 의해서 몸체의 이동을 억제시킴으로서 차량에 의한 충격에 대비하여 유아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form of this safety seat for infants, spores of cushioning material are surrounded by the front and both sides on the body of the seat-type without leg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pair of fastening belts connecting the upper front of the backrest to the floor surface are mounted. As a structure, the infant seated in such a car seat i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infant against the impact of the vehicle by inhibiting the movement of the body by a fastening belt that is fastened between the crotch through both shoulders.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이를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좌석에 장착 또는 분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afety seat for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very cumbersome to attach or detach it to a seat using a seat belt of a vehicle because of its large size and heavy weight.

또한, 차량용 안전시트를 고정함에 있어 안전벨트가 2점식과 3점식으로 혼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구조가 없고, 큰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카시트를 분리하는 경우에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by mixing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for fixing the vehicle safety seat, and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car seat when the car seat is separated due to its large volume and weight.

또한 코너링, 급정거와 같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차량과 안전시트 간의 고정상태가 불완전하여 유아가 안전 시트에서 이탈되어 유아의 안전에 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xed stat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afety seat is incomplet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such as cornering and sudden stop, so that the infant is separated from the safety seat, and there is a big problem in the safety of the infant.

특히,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에 따라 카시트가 타이트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유아의 안전이 카시트에 의해 확실히 보장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afety of infants is hardly guaranteed by the car seat because the car seat is not tightly fixed depending on the type of belt (NLR, ALR, ELR, etc.).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structure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645164호(1)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645164 (2)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번호 제 10-1393076호(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1393076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으며,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하여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to support infants, and secures safety based on a head part provided with wings, and the seat belt is a two-point type and/or a three-point type. It has high compatibility by being fixed, and it is easy to store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can fold the head part and the seating body part through a hinge rota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fixing device, control lever, set clip, rotation fixing device and hanging fixing device are used. Therefore, irrespective of the type of belt (NLR, ALR, ELR, etc.),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ty-guaranteed car seat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understandabl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차량용 안전시트는,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통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날개부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1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2 통과부로 탈출하는 제 1 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afety sea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 the vehicle safety seat, a back support for supporting a user's back; A head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and configured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A seating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and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 body wing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configured to protect a side surface of the user during the collision. Including, the body wing portion, a plurality of passages to be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through the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includes, and is introduced through a first passag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assages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elt escaping to the second passag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is pulled out, the first belt is fixed, thereby enhancing the fixation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Can include.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헤드 지지부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헤드 날개부; 상기 헤드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 지지부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a head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A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to protect the user's head during the collision; A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supporting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to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head support portion; And at least one head hinge part supporting the head support part to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backrest part.

도한, 상기 착석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 및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상기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seating body part, a seating body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ortion supporting the seating body to be rotated and folded based on the backrest portion.

또한,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가 상기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헤드 날개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지지부의 바깥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헤드 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히며, 상기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의 부피가 감소하고, 상기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는 보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safety seat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are spread outwardly of the head support portion using the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uses the at least one head hinge portion. Thus, it is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and the seating body is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using the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art,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vehicle safety seat and reducing the volume. The safety seats for vehicles in may be storeable.

또한,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통과하는 벨트를 추가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벨트락;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may further include a belt lock for additionally fixing the passing belt.

또한, 상기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lt may include a NLR (Non Locking Retractor) belt,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and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또한, 상기 고정 장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인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제 1 벨트가 감기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수평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horizontal rotating part that is a shaft penetrat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A plurality of fixing unit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the position of which is changed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and winding the first belt; And a lever for adjusting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또한, 상기 제 1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수평 회전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is rotated by the lever while the first belt is wound o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safety seat may be increased by the increased separation distance.

또한,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트 클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벨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트 클립부와 상기 등받이부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et clip portion, one end is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the other end is rotatable based on the fixed one end; further comprising, the other end is rotat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the first belt At least some of them may be fixed between the set clip part and the backrest part, thereby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또한, 상기 고정 장치부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트랙터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unit further includes a belt tractor for winding the first belt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and the degree of secur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is strengthen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belt tractor. I can.

또한, 상기 착석체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 1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 및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에 걸린 제 1 벨트를 감기 위한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비례하여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ting body portion, a hook portion for hanging the first belt; And a rotating part for winding the first belt hung on the hanging part through the rotating operation, and the degree of fixation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to support the infan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ased on a head portion having wings.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compatibility can be ensured by fixing the seat belt in a two-point type and/or a three-point type.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storage properties can be secured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seating body portion can be folded through a hinge rotation.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some of a fixing device, an adjustment lever, a set clip, a rotation fixing device, and a hanging fixing device to fix the belt in a state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NLR, ALR, ELR, et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 seat with guaranteed safety.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카시트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카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헤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적용하는 각각의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를 3점식으로 안전벨트를 통해 고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트클립을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회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r sea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the car seat described in FIG. 1.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ody w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of securing high storage by applying a structure capable of folding the head portion and the seating body portion through a hinge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e types of belts (NLR, ALR, ELR, etc.)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fixing device and the adjustment lev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each process of applying the fixing device and the adjustment lever described in FIG. 8.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fixing the fixing device described in FIG. 8 through a seat belt in a three-point type.
11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set clip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rotation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13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hanging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용 안전시트Vehicle safety seat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카시트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r seat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카시트)는 헤드부(10), 등받이부(20), 착석체부(30), 몸통 날개부(40), 고정 장치부(50), 세트 클립부(60), 회전 고정부(70), 걸개고정부(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vehicle safety seat (car sea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 a backrest portion 20, a seating body portion 30, a trunk wing portion 40, a fixing device portion 50, It may include a set clip part 60, a rotation fixing part 70, a hanging fixing part 80, and the like.

단,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객체 추적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 object tracking system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먼저,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head portion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ortion 2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헤드 지지부(11), 헤드 날개부(13), 날개 힌지부(12) 및 헤드 힌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d support portion 11, a head wing portion 13, a wing hinge portion 12 and a head hinge portion 14.

여기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Here, the head support 11 is an area where the user's head is supported and the user's head is seated.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Next, the head wing portion 13 is a wing-shaped structure provid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이때, 헤드 지지부(11)를 기준으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날개 힌지부(12)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head support portion 11.

나아가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헤드 지지부(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head hinge part 14 that supports the head support part 11 to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backrest part 20.

다음으로,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이다.Next, the backrest part 20 provide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is an area in which the user's back portion is seated.

또한,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body part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supports the user's buttocks.

이때, 착석체부(30)는 착석체 힌지부(3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ating body part 3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ating body hinge part 31.

구체적으로, 착석체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를 별도로 두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body part 30 separates a seating body that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by using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art 31, the seating body is rotated based on the backrest part 20 to be folded. You can do it.

착석체 힌지부(31)와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1)의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By using the seat hinge portion 31 and the head hinge portion 14, the volume of the vehicle safety seat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and easily stored.

즉, 차량용 안전시트(1)가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복수의 헤드 날개부(13)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hicle safety seat 1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may be flatly spread outward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using the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 .

또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support 11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20 by using the at least one head hinge 14.

또한,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body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by using the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ortion 31.

따라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지고, 해당 헤드 지지부(11)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히며, 착석체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are unfolded flat, the corresponding head support portion 11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and the seating body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 1) the total volume of can be reduced.

사용자는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1)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will be able to easily store the vehicle safety seat 1 in a reduced volume state.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body wing portion 4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20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protecting a user's side surface when a vehicle crashes.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추가적인 기능으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additional function, the trunk wing portion 40 may allow a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to penetrate and be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ody wing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penetrates and is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복수의 통과부 중 3점식 통과부(41)는 벨트를 3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refers to a region through which the belt enters or exits in order to fix the belt in a three-point manner.

또한, 복수의 통과부 중 2점식 통과부(42)는 벨트를 2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refers to a region through which the belt enters or exits in order to fix the belt in a two-point manner.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is pulled in and is pulled out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of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and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A fixing device part 50 for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used.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부(50)는 대표적으로, 수평 회전부(51), 제 1 고정부(52), 제 2 고정부(53), 조절레버(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par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ypically include a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 first fixing part 52, a second fixing part 53, and an adjustment lever 54.

먼저, 수평 회전부(51)는 등받이부(2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이 될 수 있다.First,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may be an axis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20.

다음으로,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수평 회전부(51)의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이격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Next,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Distance can be changed.

나아가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벨트를 감고 고정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may be wound and fixed with a belt.

여기서 적용되는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belt applied here may include all of a NLR (Non Locking Retractor) belt, an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and an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가 적용되는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개수의 고정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the two first fixing parts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s 53 are applied,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ixing parts is also used. It is possible.

마지막으로, 조절레버(54)는 수평 회전부(51)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Finally, the adjustment lever 54 is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nd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of the backrest part.

고정장치부(50)와 관련하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긴 상태에서, 레버(54)에 의해 수평 회전부(51)가 회전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fixing device part 50,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is wound around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of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is moved by the lever 54. Can rotate.

이러한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By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ng part 51,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is increased, and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by the increased separation distance,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The fix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can be strengthened.

또한, 세트 클립부(60)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2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clip part 60 may have one end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other end rotatable based on the fixed one end.

이때, 세트 클립부(60)의 타단이 등받이부(20) 측으로 회전하여, 벨트의 적어도 일부가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t clip part 60 rotates toward the backrest part 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belt is fixed between the set clip part 60 and the backrest part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The fixation of the liver can be strengthened.

또한, 회전 고정부(7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7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fixing unit 70 is a belt tractor 71 for winding the belt passing through the three-point passage 41 or the two-point passage 42 of the body wing portion 40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It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이때,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belt tractor 71, a fixed degree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또한, 걸개고정부(80)는, 착석체부(3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8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ing fixing portion 80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eating body portion 30, and hangs a belt passing through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or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of the body wing portion 40 It may include a hanging portion 81 for.

또한, 걸개고정부(8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81)에 걸린 벨트를 추가적으로 감기 위한 회전부(8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ging fixing part 80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art 82 for additionally winding the belt hung on the hanging part 81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이때,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82, a fixed degree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한편,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카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ar seat described in FIG. 1.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head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2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Next, the head wing portion 13 is a wing-shaped structure provid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또한, 등받이부(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되는 영역이다.In addition, the backrest portion 20 provide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is an area in which the user's back portion is seated.

또한,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ing body part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supports the user's buttocks.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body wing portion 40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20 and provides a structure for protecting a user's side surface when a vehicle crashes.

또한, 몸통 날개부(40)는 추가적인 기능으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additional function, the trunk wing portion 40 may allow a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to penetrate and be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is pulled in and is pulled out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of the three-point passage part 41 and the two-point passage part 42, A fixing device part 50 for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u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헤드부, 몸통 날개부, 벨트 고정 구조와 관련된 복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lurality of embodiments related to a head portion, a body wing portion, and a belt fixing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헤드부Hea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의 헤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ead portion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등받이부(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헤드 지지부(11), 헤드 날개부(13), 날개 힌지부(12) 및 헤드 힌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3A to 3C, the head par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protecting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A head support 11, a head wing 13, a wing hinge 12, and a head hinge 14 may be included.

여기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Here, the head support 11 is an area where the user's head is supported and the user's head is seated.

다음으로, 헤드 날개부(13)는,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헤드 지지부(11)의 양 측면에 돌출하여 구비되는 날개 형상의 구조물이다.Next, the head wing portion 13 is a wing-shaped structure provid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도 3의 (a) 내지 (c)에서는 2개의 헤드 날개부(13a, 13b)가 도시된다.In FIGS. 3A to 3C, two head blade portions 13a and 13b are shown.

이때, 헤드 지지부(11)를 기준으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a and 12b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a and 13b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head support 11.

나아가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헤드 지지부(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head hinge part 14 that supports the head support part 11 to rotate and fold based on the backrest part 20.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 방향으로 구부려져 접힐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a and 13b may be bent and 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using a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a and 12b.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헤드 날개부(13a, 13b)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a, 12b)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4,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a, 13b may be flatly spread outward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using a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a, 12b. have.

몸통 날개부Body w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ody w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상기 등받이부(2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차량의 충돌시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로서,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5A and 5B, at least one body wing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ckrest 20, and is used to protect the side of the us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s a structure, the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may penetrate and be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몸통 날개부(40)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body wing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penetrates and is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통과부 중 3점식 통과부(41)는 벨트를 3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Referring to (a) and (b) of Figure 5,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refers to a region in which the belt enters or exits in order to fix the belt in a three-point manner.

또한, 복수의 통과부 중 2점식 통과부(42)는 벨트를 2점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벨트가 인입 또는 탈출하는 영역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refers to a region through which the belt enters or exits in order to fix the belt in a two-point manner.

또한,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 중 적어도 일부에는, 벨트를 더 강하게 잡으면서 고정하기 위한 빌트인 방식의 벨트락(43)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and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built-in belt lock 43 for fixing while holding the belt stronger.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belt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is pulled in and is pulled out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of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and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A fixing device part 50 for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us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접이식 구조Folding structure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example of securing high storage by applying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through a hinge rotation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eating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것과 같이, 착석체부(30)는, 등받이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되고, 착석체부(30)는 착석체 힌지부(31)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body part 3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art 20 and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the seating body part 3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ating body hinge part 31. .

구체적으로, 착석체부(30)는,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를 별도로 두고,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기준으로 착석체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body part 30 separates a seating body that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by using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art 31, the seating body is rotated based on the backrest part 20 to be folded. You can do it.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착석체 힌지부(31)와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용 안전시트(1)의 부피를 줄여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6A to 6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vehicle safety seat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by using the seat hinge part 31 and the head hinge part 14 Can be easily stored.

즉, 차량용 안전시트(1)가 차량과 분리되는 경우, 복수의 헤드 날개부(13)는 복수의 날개 힌지부(12)를 이용하여, 헤드 지지부(11)의 바깥 방향으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hicle safety seat 1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may be flatly spread outward of the head support portion 11 using the plurality of wing hinge portions 12. .

또한, 헤드 지지부(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 힌지부(1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support 11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20 by using the at least one head hinge 14.

또한, 착석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석체 힌지부(31)를 이용하여, 등받이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body may be fol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by using the at least one seating body hinge portion 31.

따라서 복수의 헤드 날개부(13)가 평평하게 펼쳐지고, 해당 헤드 지지부(11)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히며, 착석체가 등받이부(20)를 향하도록 접힘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1)의 전체 부피가 감소하고, 사용자는 부피가 감소한 상태의 차량용 안전시트(1)를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head wing portions 13 are unfolded flat, the corresponding head support portion 11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and the seating body is folded toward the backrest portion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 The overall volume of 1) is reduced, and the user can easily store the vehicle safety seat (1) in a reduced volume state.

벨트 고정 구조 - 제 1 실시예Belt fixing structure-firs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the types of belts (NLR, ALR, ELR, etc.)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난 것으로, LOCKING 기능이 없는 것으로 잠김 기능이 없기 때문에 웨빙을 전량 인출하여 별도의 길이 조절구 사용으로 탑승객 신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2점식에서만 주로 사용된다.Figure 7 (a) shows the NLR (Non Locking Retractor) belt, which does not have a locking function and does not have a locking function, so the entire webbing is withdrawn and adjusted to fit the passenger's body by using a separate length adjustment device. , It is mainly used in two-point type.

또한, 도 7의 (b)는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잠김 기능이 있어 SEAT BELT를 인출하여 잠긴 후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고 잠김 해제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방식이며, 2점식, 3점식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Figure 7 (b) shows an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which has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so that after the seat belt is pulled out and locked, it is no longer withdrawn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lock is released. , It is used in all three points.

또한, 도 7의 (c)는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나타낸 것으로, 웨빙 인지 방식에서는 웨빙이 인출되는 속도에 따라 LOCKING되고, 차량 인지 방식에서는 차량의 기울기 또는 가속도에 따라 LOCKING되며, 이중 인지 방식에서는 웨빙과 차량 인지를 모두 이용하여 LOCKING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7(c) shows an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which is locked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webbing is pulled out in the webbing recognition method, and is locked according to the slope 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n the vehicle recognition method, and double recognition In the method, it can be locked using both webbing and vehicle recognition.

도 7의 (c)의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는 주로 3점식에서 사용된다.The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of FIG. 7C is mainly used in a three-point type.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벨트는, 상기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belt applied to the structur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of the NLR (Non Locking Retractor) belt,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and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한편,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ithout shaking,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belt using the fixing device and the adjustment lever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의 복수의 통과부 중 적어도 일부인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탈출하는 벨트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50)가 추가적으로 이용된다.Referring to Figure 8,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and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is pulled through the passage portion,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and pulls out the belt By fixing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fixing device 50 for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is additionally used.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부(50)는 대표적으로, 수평 회전부(51), 제 1 고정부(52), 제 2 고정부(53), 조절레버(5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xing device par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includes a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 first fixing part 52, a second fixing part 53, and an adjustment lever 54. I can.

먼저, 수평 회전부(51)는 등받이부(20)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이 될 수 있다.First,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may be an axis penetr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20.

다음으로,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수평 회전부(51)의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이격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Next,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nd the position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Distance can be changed.

나아가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는 벨트를 감고 고정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may be wound and fixed with a belt.

전술한 것과 같이, 여기서 적용되는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elt applied herein may include all of a Non Locking Retractor (NLR) belt,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ALR) belt, and a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ELR) belt.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가 적용되는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개수의 고정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the two first fixing parts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s 53 are applied,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rger number of fixing parts is also used. It is possible.

마지막으로, 조절레버(54)는 수평 회전부(51)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Finally, the adjustment lever 54 is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and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ide of the backrest part.

한편,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 및 조절레버를 적용하는 각각의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9 shows an example of each process of applying the fixing device and the adjustment lever described in FIG. 8.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2점식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2점식 통과부(42)에 벨트가 통과되어 벨트 락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as a method of fixing a two-point belt, the belt may be passed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42 to be fixed to the belt lock.

또한, 도 9의 (c) 및 (d)를 참조하면, 고정장치부(50)와 관련하여,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길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c) and (d) of FIG. 9, with respect to the fixing device unit 50, the belt is attached to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of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Can be wound.

또한, 도 9의 (e)를 참조하면,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에 감긴 상태에서, 레버(54)에 의해 수평 회전부(51)가 회전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e) of FIG. 9,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is wound around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of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51 by the lever 54 ) Can rotate.

레버(54)는 복수로 구비 가능하고, 각 등받이부(20)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lever 54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each backrest part 20.

또한, 도 9의 (f)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회전부(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52)와 제 2 고정부(53)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 of FIG. 9, by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ng part 51,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52 and the second fixing part 53 increases, and the increased separation distance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by tension,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can be secured.

벨트 고정 구조 - 제 2 실시예Belt fixing structure-second embodiment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고정장치를 3점식으로 안전벨트를 통해 고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0 illustrates an example of fixing the fixing device described in FIG. 8 through a seat belt in a three-point type.

도 10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3점식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벨트가 2점식 통과부(42)에 벨트가 통과되어 벨트 락에 고정되고, 제 2 벨트가 3점식 통과부(41) 및 2점식 통과부(42)를 차례로 통과하여 벨트 락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A to 10C, as a method of fixing a three-point belt, the first belt is passed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42 to be fixed to the belt lock, and the second belt is 3 It may be fixed to the belt lock by passing through the point passing portion 41 and the two point passing portion 42 in turn.

즉, 어깨벨트를 늘려 반대편 버클을 채워주며, 어깨벨트는 위쪽고정, 복부벨트는 아래 홈을 통과하도록 끼워준다In other words, the shoulder belt is stretched to fill the buckle on the other side, and the shoulder belt is fixed upward, and the abdominal belt is inserted through the groove below

또한, 어깨벨트를 고정레버가 있는 홈에 끼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ulder bel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with the fixing lever.

이때, 2점식 통과부(42) 및 3점식 통과부(41)에 구비된 빌트인 방식의 벨트락이 추가적으로 잡아줌으로써, 더 강한 고정 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At this time, a built-in type belt lock provided in the two-point passage part 42 and the three-point passage part 41 additionally holds it, so that a stronger fixing effect may be obtained.

벨트 고정 구조 - 제 3 실시예Belt fixing structure-thir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세트클립을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1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set clip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트 클립부(60)는,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2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할 수 있다.11A to 11C, the set clip part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backrest part 20, and the other end based on the fixed one end It can be rotatable.

이때, 세트 클립부(60)의 타단이 등받이부(20) 측으로 회전하여, 벨트의 적어도 일부가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set clip part 60 rotates toward the backrest part 20, and at least a part of the belt is fixed between the set clip part 60 and the backrest part 20,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The fixation of the liver can be strengthened.

즉, 세트 클립부(60)와 등받이부(20) 사이의 고정력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That is, by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set clip part 60 and the backrest part 20,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in tension,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reinforced.

이러한 제 3 실시예에서는, 2점식, 3점식 벨트 모두 본 세트클립부(60)로 고정이 가능하로고 설계되고, 벨트고정이 좀 더 강하게 되어 카시트 흔들림이 매우 적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third embodiment, both of the two-point and three-point belts are designed to be fixed with the set clip part 60, and the belt is fixed more strongly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very little vibration in the car seat.

한편, 세트클립부(60)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폴딩되어 보관하는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set clip unit 60, as described in FIG. 6, the structure of being folded and stored may be applied as it is.

벨트 고정 구조 - 제 4 실시예Belt fixing structure-4th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회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2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rotation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고정부(7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감기 위한 벨트 트랙터(71)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a) and (b), the rotation fixing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the three-point passage portion 41 or the two-point passage of the trunk wing portion 40 A belt tractor 71 for winding the belt passing through the portion 4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여기서 벨트 트랙터(71)는 벨트를 돌돌 말아 중간에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belt tractor 71 may be fixed in the middle by rolling the belt.

이때,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belt tractor 71, a fixed degree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즉, 벨트 트랙터(71)의 회전에 의해,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That is, by the rotation of the belt tractor 71, the belt is pulled tightly and fixed, thereby reinforcing the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벨트 고정 구조 - 제 5 실시예Belt fixing structure-5th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걸개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3 shows a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by using the hanging fixing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걸개고정부(80)는, 착석체부(3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몸통 날개부(40)의 3점식 통과부(41) 또는 2점식 통과부(42)를 관통한 벨트를 걸기 위한 걸개부(81)를 포함할 수 있다.13(a) and (b), the hanging fixing par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eating body part 30, and a three-point passage part of the trunk wing part 40 ( 41) or may include a hook portion 81 for hanging the belt passing through the two-point passage portion 42.

또한, 걸개고정부(80)는 회전하는 동작을 통해, 상기 걸개부(81)에 걸린 벨트를 추가적으로 감기 위한 회전부(8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anging fixing part 80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art 82 for additionally winding the belt hung on the hanging part 81 through a rotating operation.

이때,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된 정도가 강화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82, a fixed degree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may be strengthened.

즉, 회전부(82)의 회전에 비례하여, 벨트가 팽팽하게 당겨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용 안전시트(1)와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될 수 있다.That is, in proportion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art 82, the belt is pulled and fixed in tension, so that the vehicle safety seat 1 and the vehicle can be fixed in place.

본 발명에 따른 효과Effec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안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날개를 구비한 헤드부를 기초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eat mounted on a vehicle seat to support the infant for the safety of infants during vehicle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ased on a head portion having wings.

또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2점식 및/또는 3점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compatibility can be ensured by fixing the seat belt in a two-point type and/or a three-point type.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 및 착석체부를 힌지 회동을 통해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높은 보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high storage properties can be secured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seating body portion can be folded through a hinge rotation.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 조절레버, 세트클립, 회전고정장치 및 걸개고정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벨트의 종류(NLR, ALR, ELR 등)와 관계 없이, 흔들림이 없는 상태로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안전성이 보장된 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some of a fixing device, an adjustment lever, a set clip, a rotation fixing device, and a hanging fixing device to fix the belt in a state without shaking,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belt (NLR, ALR, ELR, etc.).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r seat with guaranteed safety.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a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use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that combines with each other.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in the claims,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4)

차량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석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충돌시 상기 사용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몸통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날개부는, 차량에 구비된 벨트가 관통하여 2점식 및 3점식 중 적어도 하나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1 통과부를 통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통과부 중 제 2 통과부로 탈출하는 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벨트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하는 고정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을 관통하는 축인 수평 회전부;
상기 수평 회전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회전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벨트가 감기는 복수의 고정부; 및
상기 수평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In the vehicle safety seat,
A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head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ckrest part and configured to protect the user's head in case of a collision;
A seating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and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 body wing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ckrest portion and configured to protect a side surface of the user during the collision; Including,
The body w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through which the belt provided in the vehicle penetrates and is fixed to at least one of a two-point type and a three-point type; and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elt that is drawn in through the first passage of the plurality of passages and escapes to the second passage of the plurality of passages is pulled, by fixing the belt,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It further includes;

The fixing device part,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ich is an axis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ckrest part;
A plurality of fixing parts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the position of which changes in response to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and winding the belt; And
A safety seat for a vehicle comprising a; a lever for adjusting rotation of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NLR (Non Locking Retractor) 벨트,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벨트 및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belt, a safety seat for a vehicle comprising a NLR (Non Locking Retractor) belt,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belt, and 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be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상기 복수의 고정부 중 제 1 고정부와 제 2 고정부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수평 회전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증가한 이격거리에 의해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horizontal rotation part is rotated by the lever while the belt is wound on a first fixing part and a second fix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A vehicle safety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increases, and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is strengthened by the increased separation distance.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일단을 기초로 타단이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세트 클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단이 상기 등받이부 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벨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세트 클립부와 상기 등받이부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시트와 상기 차량 간의 고정을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시트.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et clip portion having one end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other end rotatable based on the fixed one end; further comprising,
The safety sea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toward the backres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lt is fixed between the set clip part and the backrest, thereby reinforcing fixing between the vehicle safety seat and the vehicle.
KR1020200038242A 2019-09-16 2020-03-30 Car Seat KR102209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42A KR102209619B1 (en) 2019-09-16 2020-03-30 Car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30A KR102111887B1 (en) 2019-09-16 2019-09-16 Car Seat
KR1020200038242A KR102209619B1 (en) 2019-09-16 2020-03-30 Car Sea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30A Division KR102111887B1 (en) 2019-09-16 2019-09-16 Car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619B1 true KR102209619B1 (en) 2021-02-01
KR102209619B9 KR102209619B9 (en) 2022-04-11

Family

ID=8120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42A KR102209619B1 (en) 2019-09-16 2020-03-30 Car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1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005A (en) * 2002-12-03 200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or mechanism of automobile seat belt
JP2007506596A (en) * 2003-07-02 2007-03-22 コンコルド キンダーアウトジッツ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ジートゲゼルシャフト child seat
KR20120058011A (en) * 2010-11-29 2012-06-07 김원배 A head rest with hair insert space
KR101393076B1 (en) 2006-09-22 2014-05-12 타미 쉴드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Seatbelt retention device and system
KR101645164B1 (en) 2015-06-02 2016-08-03 한예령 car seat for pregnant woman
KR101866149B1 (en) * 2017-12-28 2018-06-08 주식회사 다이치 Car seat with adjustable width and lengt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005A (en) * 2002-12-03 2004-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tractor mechanism of automobile seat belt
JP2007506596A (en) * 2003-07-02 2007-03-22 コンコルド キンダーアウトジッツェ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ムパニー コマンジートゲゼルシャフト child seat
KR101393076B1 (en) 2006-09-22 2014-05-12 타미 쉴드 홀딩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Seatbelt retention device and system
KR20120058011A (en) * 2010-11-29 2012-06-07 김원배 A head rest with hair insert space
KR101645164B1 (en) 2015-06-02 2016-08-03 한예령 car seat for pregnant woman
KR101866149B1 (en) * 2017-12-28 2018-06-08 주식회사 다이치 Car seat with adjustable width and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619B9 (en)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2862B2 (en) Seatbelt wiring structure and vehicle seats equipped with it
US5884967A (en) Child vehicle safety seat
US10011199B2 (en) Rear facing ride down safety seat
WO2004069594A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US9694783B2 (en) Child safety seat
KR102111887B1 (en) Car Seat
US6857753B2 (en) Panel attachment system
US200201632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safety system for a vehicle
KR102209619B1 (en) Car Seat
KR102209620B1 (en) Car Seat
KR102209621B1 (en) Car Seat
US9676305B2 (en) Vehicle seat with integrated child seat
KR102209622B1 (en) Car Seat
JP2001057920A (en) Convertible headrest
US20190070983A1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belt to a child
US9758066B2 (en) Side seat harness restraint system
US7104661B2 (en) Panel attachment system
US20210053471A1 (en) Car seat
AU2010100364B4 (en) Anchorage Member
AU2016277541B2 (en)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US3436094A (en) Safety harness for occupants of power driven vehicles
EP3216646B1 (en) Side impact protection device
JP2013517994A (en) Folding chair for transport of infants and children
AU2009100837A4 (en) Means of tethering a child safety seat and child safety harness to a single anchor point in a motor vehicle
WO2008032047A1 (en)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