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04B1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04B1
KR102209604B1 KR1020190046193A KR20190046193A KR102209604B1 KR 102209604 B1 KR102209604 B1 KR 102209604B1 KR 1020190046193 A KR1020190046193 A KR 1020190046193A KR 20190046193 A KR20190046193 A KR 20190046193A KR 102209604 B1 KR102209604 B1 KR 10220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ction
suction port
foreign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2857A (en
Inventor
원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4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04B1/en
Publication of KR2020012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집진기의 흡입력에도 충분히 이물질을 포집하고 제거하여 그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이물질을 받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받침부재에 쌓이는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까지 모아주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집부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that sufficiently collects and removes foreign matter even with a suction force of a certain dust collector to increase its removal efficienc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receiving foreign matter; A su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suck foreign substances through a suction port; And a collection member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support member to the suction port.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본 발명은 일정한 흡입력에도 이물질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apable of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foreign substances even with a constant suction force.

예를 들어, 열연 강판의 표면에서 탈락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비산을 막기 위하여, 이물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개소에 커버를 씌우고 후드를 설치한다. 후드로는 포위식 후드를 설치하여 집진기의 용량을 증대시켜 이물질을 흡입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For example, in ord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falling off the surfac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or prevent scattering, a cover is covered and a hood is installed in places where foreign substances intensively occur. As a hood, an enclosed hood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dust collector to inhale foreign substances.

또한, 예컨대 롤러들 사이에 공기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강한 공기를 강판에 분사하여 비산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커버로 둘러싸고 하부 후드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탈락된 이물질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방식도 취하고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an air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between the rollers, and strong air is injected onto the steel plate to surrou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ttered scales with a cover and guide them toward the lower hood to collect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후드는, 강판이 이동하기 때문에 강판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가까이 배치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대단히 낮다.Such a hood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teel plate because the steel plate moves and cannot be placed close to it. For this reason, the removal efficiency of foreign matter is very low.

더구나, 특정 개소에서는, 강판의 하부 표면에서 떨어지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후드를 설치하기가 구조적으로 무리가 있다. 이러한 개소에는 단순히 캐노피(canopy) 형태의 후드 흡입구를 설치하였으나, 이물질의 비산과 누적, 흡입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제거효율이 떨어진다.Moreover, in certain places, it is structurally unreasonable to install a ho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all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 hood inlet in the form of a canopy is simply installed in these places, but removal efficiency is degraded due to scattering and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lack of suction power.

(특허문헌 1) KR 794746 B1 (Patent Document 1) KR 794746 B1

이에 본 발명은, 일정한 흡입력에도 충분히 이물질을 포집하고 제거하여 그 제거효율을 증가시키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at sufficiently collects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even with a constant suction force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을 받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받침부재에 쌓이는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까지 모아주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재는, 스크레이퍼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선형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에 접촉하거나 끼워맞춰져 상기 흡입구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for receiving a foreign material; A su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suck foreign substances through a suction port; And a collection member movable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support member to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collection member includes a frame equipped with a scraper,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frame. And a first driving unit for linearly moving the frame, wherein the scraper is in contact with or fitted wit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unit to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suction po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유낙하하여 쌓이는 다양한 크기의 스케일이나 표면처리용 파우더, 오염물 등의 이물질을 쓸어 흡입부의 흡입구까지 유도함과 동시에 흡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진공을 형성하여 기존의 집진기 성능에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is formed by sweep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of various sizes, surface treatment powder,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by free fall 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unit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thereby removing efficiency from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dust collector. Will be able to increas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빈번한 주기로 청소를 하거나 설비 노후화를 일으키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설비 주변의 환경 개선 및 작업자의 호흡계 질환 예방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quent cleaning, equipment aging, or malfunction,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productivity, as well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around equipment and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of workers. Get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흡입부와 경사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수집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받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part and a swash plate are removed amo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llection member amo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shown in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pport member amo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shown in FIG. 1.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의 이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흡입부와 경사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uction part and a swash plate among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in a remove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물질을 받는 받침부재(10); 이 받침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흡입구(21)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0); 및 받침부재에 쌓이는 이물질을 흡입구까지 모아주도록 받침부재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집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A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0 for receiving a foreign material; A suction unit 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suck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uction port 21; And a collection member 30 that is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support member to the suction port.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열연 또는 냉연 강판을 언코일링(uncoiling)할 때 언코일링이 시작되는 페이 오프 릴(pay off reel)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under a pay off reel where uncoiling is started when uncoiling a hot-rolled or cold-rolled steel sheet. hav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탄소강 등의 강판에서 생기는 산화 스케일, 특수강들에 사용되고 미반응된 파우더, 또는 기타 오염물 등과 같이 강판의 하부 표면에서 탈락되어 설비의 바닥에 쌓이는 이물질이 제거 및 처리될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such as oxide scale generated from steel plates such as carbon steel, used for special steels, unreacted powder, or other contaminants, etc. It allows the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to be removed and disposed of.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적용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However,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받침부재(10)는 예컨대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서, 자유낙하하여 떨어지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을 받아 모으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재가 반드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필요는 없지만, 그 상부 표면은 고르게 평탄한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member 10 is a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or example, and serves to receive and collec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that fall freely and fall. Although the support member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 plat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an evenly flat surface.

흡입부(20)는 대략 덕트 형상의 부재로서, 받침부재(10)의 일측에 배치되는데, 그 흡입구(21)는 받침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재(10) 또는 수집부재(30)의 이동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흡입구는 적어도 받침부재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폭방향 길이를 갖는다. The suction part 20 is a substantially duct-shaped member,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uction port 21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pport member. More 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10 or the collecting member 30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the suction port has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ing member.

흡입부(20)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폭방향 길이 또는 두께방향 길이가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part 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creases as it goes upward.

또한, 흡입부(20)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 흡입부가 수평으로 위치하여도 된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unit 20 is locat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uction unit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when there is sufficient space.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20)의 상부를 덮어씌우고, 흡입부와 함께 또는 별개로 경사지게 위치되어, 자유낙하하여 떨어지는 이물질이 경사진 표면을 따라 원활히 받침부재(10)를 향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경사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unit 20, and is positioned to be inclined with the suction unit or separately, free fall Thus, it may include a swash plate 40 that allows the falling foreign substances to smoothly slide toward the support member 10 along the inclined surface.

경사판(40)의 경사각은 수평면에 대해 대략 30도 내지 90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판의 표면 거칠기 또는 이물질의 점도 등에 따라 경사각이 결정될 수도 있다.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40 is preferably between about 30 degrees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clination angl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wash plate or the viscosity of foreign substances.

또, 경사판(40)의 경사각이 수평면에 대해 대략 30도 미만인 경우에는, 이 경사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진동부재로는, 전기 구동 방식, 전자 구동 방식, 에어 구동 방식의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재는 도 2에서와 같이 경사판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40 is less than approximately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t is preferable that a vibrating member 50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swash plate is provided. As such a vibrating member, an electric driving method, an electronic driving method, an air driving type vibrator, or the like may be employed. Such a vibration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wash plate as shown in FIG. 2.

흡입구(21)의 반대측에서 흡입부(20)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흡입관은 예를 들어 흡입팬 또는 진공펌프, 집진기 등과 같은 흡입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 21, the suction unit 20 may be connected to a suction pipe, not shown, and the su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for example, a suction fan, a vacuum pump, or a suction means such as a dust collector.

수집부재(30)는, 스크레이퍼(scraper; 31)를 갖춘 프레임(32)과, 받침부재(10)에 설치되고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레임을 선형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member 30 may include a frame 32 equipped with a scraper 31, and a first driving unit 33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0 and connected to the frame to linearly move the frame.

스크레이퍼(31)는 예를 들면 고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어진 블레이드나 브러쉬,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craper 3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blade or brush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plastic, or a combination thereof.

스크레이퍼(31)가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스크레이퍼는 소정 높이를 갖고서 일측에 경사면(31a)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흡입부(20)의 흡입구(21)가 갖는 개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craper 31 is formed in a blade shape, the scraper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e an inclined surface 31a on one side, and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rface is the suction port 21 of the suction unit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of the open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coincide with.

이러한 스크레이퍼(31)는 프레임(32)의 일측 단부에서 폭방향을 따라 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This scraper 31 may be installed across the frame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one end of the frame 32.

프레임(32)은 받침부재(10)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갖는다. The frame 32 has a size somewhat larger than the support member 10.

제1 구동부(33)는 받침부재(10)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고, 제1 구동부의 작동로드(34)가 프레임(3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3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operation rod 34 of the first dri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ame 32.

제1 구동부(33)로는 작동로드(34)를 갖춘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As the first driving unit 33, a fluid pressure cylinder having an operating rod 34 or an electric actuator may be adopted.

이러한 제1 구동부(33)는 프레임(32)을 매개로 하여 스크레이퍼(31)에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스크레이퍼가 받침부재(10)의 일측에 있는 흡입구(21)에서 받침부재의 타측 단부까지 선형 왕복이동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3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scraper 31 via the frame 32, so that the scraper linearly reciprocates from the suction port 21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10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You can make it move.

스크레이퍼(31)를 갖춘 프레임(32)과 받침부재(10) 사이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프레임과 받침부재 사이에 레일부재(35)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부재에 암형 레일이 설치되고 프레임에 수형 레일이 설치되거나, 암형 레일과 수형 레일이 그 역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In order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rame 32 with the scraper 31 and the support member 10 and ensure smooth movement, a rail member 3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For example, a female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member and a male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or a female rail and a male rail may be installed in reverse.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집부재(30)의 스크레이퍼(31)는 받침부재(10)에 쌓이는 이물질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쓸어줄 수 있다. 이물질은 스크레이퍼의 선형 이동을 통해 흡입부(20)의 흡입구(21)까지 이동되어 모이게 된다. The scraper 31 of the collection member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sweep away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support member 10 at regular time intervals. The foreign matter is moved to the suction port 21 of the suction unit 20 through the linear movement of the scraper and is collect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수집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재(30)의 스크레이퍼(31)가 흡입부(20)의 흡입구(21)에 접촉하거나 끼워맞춰져 스크레이퍼가 흡입구의 개방면을 폐쇄하게 되면, 흡입부 내에 일시적으로 생기는 진공에 의해 예를 들어 기존 집진기의 일정한 흡입력에도 흡입부는 충분히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고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llection member amo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as shown, the scraper 31 of the collection member 30 is in the suction port 21 of the suction unit 20. When the scraper closes the open surface of the suction port by contacting or fitting, the suction unit can sufficiently suction, collect and remove foreign matters even with the constant suction force of the existing dust collector due to the vacuum temporarily generated in the suction unit.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는, 받침부재(1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2)와, 이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받침부재에 연결되어 받침부재를 선형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onally includes a base portion 12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10, and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unit 13 for linearly moving.

베이스부(12)는 예컨대 대략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 부재로서, 받침부재(10)를 지지하고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가 반드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base portion 12 is a member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or example, and serves to support the support member 10 and guide its movement. The base por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formed in a plate shape.

제2 구동부(13)는 베이스부(12)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고, 제2 구동부의 작동로드(14)가 받침부재(10)의 타측 단부에 인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part 13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2, and the operation rod 14 of the second driving part may be connect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0.

제2 구동부(13)로는, 제1 구동부(33)와 마찬가지로, 작동로드(14)를 갖춘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As the second driving unit 13, similarly to the first driving unit 33, a fluid pressure cylinder having an actuating rod 14, an electric actuator, or the like may be adopted.

베이스부(12)와 받침부재(10) 사이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고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베이스부와 받침부재 사이에 레일부재(15)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부재에 암형 레일이 설치되고 베이스부에 수형 레일이 설치되거나, 암형 레일과 수형 레일이 그 역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In order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ase portion 12 and the support member 10 and ensure smooth movement, the rail member 1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For example, a female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ing member and a male rail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or a female rail and a male rail may be installed in reverse.

한편, 베이스부(12)와 흡입부(20) 사이에는 베이스부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부를 덮어씌우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between the base portion 12 and the suction portion 20, a cov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ver the base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base portion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물질 제거장치 중 받침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는 이물질을 받는 받침부재(10)를 지지하고 받침부재의 위치를 고정함과 더불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언코일링에 적용될 때 새로이 장착되는 코일과의 간섭을 없애도록 제2 구동부(13)의 작동 하에 받침부재가 흡입부(20)의 아래와 베이스부의 상부 표면 사이의 공간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게 한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pport member amo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shown in FIG. 1, and as shown, the base portion 12 supports the support member 10 to receive the foreign substance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addition to the fixing, for example, whe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uncoiling, the support member is the suction unit und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13 to eliminate interference with the newly mounted coil. (20) to allow slid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여기서, 스크레이퍼(31)를 갖춘 프레임(32)과 받침부재(10)가 제1 구동부(33)를 매개로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부재의 미끄럼 이동시 스크레이퍼를 갖춘 프레임, 즉 수집부재(30)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frame 32 with the scraper 31 and the support member 10 are interlocked via the first driving unit 33, the frame provided with the scraper, that is, the collecting member 30, is also used when the support member slides. Can be moved toge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편의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가, 열연 또는 냉연 강판의 언코일링이 시작되는 페이 오프 릴의 아래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a case in which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under the pay-off reel where uncoiling of a hot-rolled or cold-rolled steel sheet is started is described as an example.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후드를 강판에 접촉 또는 가까이 배치시킬 수가 없다. 이에 따라, 강판의 하부 표면에서 스케일, 파우더, 오염물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 설비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후드는 단순히 집진기의 흡입력에만 의존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낮게 되었다.Since the steel plate is moving as described above, the hood cannot be placed in contact or close to the steel plate. Accordingly, although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powder, and contaminants fall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contaminate the environment around the facility, the conventional hood simply relies only on the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or,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에서는, 코일의 언코일링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제2 구동부(13)가 작동되어 베이스부(12)에 겹쳐 있는 받침부재(10)를 전진위치로 이동시킨다. In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eparation for uncoiling of the coil is completed, the second driving unit 13 is operated to move the support member 10 overlapping the base unit 12 to the forward position. Go to

이때, 받침부재(10)와 함께 수집부재(30)도 이동되며, 스크레이퍼(31)가 받침부재의 타측 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된다. At this time, the collecting member 30 is also moved together with the support member 10, and the scraper 31 is moved in a stat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언코일링이 시작되면서 강판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탈락되어 자유낙하하는 이물질은 받침부재(10)에 점차 누적된다. 일부 이물질은 경사판(40)을 경유하여 받침부재(10) 상에 놓이게 된다. As the uncoiling starts, foreign substances falling off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teel plate and free falling are gradually accumulated in the support member 10. Some foreign substances are placed on the support member 10 via the swash plate 40.

제1 구동부(33)가 주기적으로 신축 작동하여 프레임(32)이 레일부재(35)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고, 스크레이퍼(31)가 받침부재(10)의 타측 단부에서 받침부재의 일측에 있는 흡입부(20)의 흡입구(21)까지 선형 왕복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unit 33 periodically expands and contracts so that the frame 32 moves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rail member 35, and the scraper 31 is suck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from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0. It is possible to linearly reciprocate up to the suction port 21 of the part 20.

수집부재(30)의 스크레이퍼(31)가 흡입부(20)의 흡입구(21)를 향해 이동할 때마다 스크레이퍼는 받침부재(10)의 상부 표면에 쌓이는 이물질을 흡입구까지 쓸어줄 수 있다. Whenever the scraper 31 of the collection member 30 moves toward the suction port 21 of the suction unit 20, the scraper may sweep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0 to the suction port.

이어서, 수집부재(30)의 스크레이퍼(31)가 흡입부(20)의 흡입구(21)에 접촉하거나 끼워맞춰져 스크레이퍼가 흡입구의 개방면을 폐쇄하게 되면, 흡입부 내에 일시적으로 생기는 진공에 의해 흡입부는 일정한 흡입력에도 충분히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고, 흡입관을 거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scraper 31 of the collecting member 30 contacts or fits the suction port 21 of the suction part 20 so that the scraper closes the open surface of the suction port, the suction part is caused by a vacuum temporarily generated in the suction part. Even with a certain suction power, foreign substances can be sufficiently sucked and collected,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removed through a suction pipe.

코일의 언코일링이 완료되어 새로운 코일을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새로운 코일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2 구동부(13)가 작동하여 받침부재(10)가 레일부재(15)의 안내에 따라 흡입부(20)의 아래와 베이스부(12)의 상부 표면 사이의 공간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후진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When uncoiling of the coil is completed and a new coil is to be mounted, the second driving unit 13 operates so that the support member 10 is guided by the rail member 15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new coil. It slides into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of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2 so as to reach the reverse posi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유낙하하여 쌓이는 다양한 크기의 스케일이나 표면처리용 파우더, 오염물 등의 이물질을 쓸어 흡입부의 흡입구까지 유도함과 동시에 흡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진공을 형성하여 기존의 집진기 성능에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is formed by sweep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s of various sizes, surface treatment powder, and contaminants accumulated by free fall to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unit and closing the suction port, thereby removing efficiency from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dust collector. Will be able to increas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빈번한 주기로 청소를 하거나 설비 노후화를 일으키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설비 주변의 환경 개선 및 작업자의 호흡계 질환 예방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requent cleaning, equipment aging, or malfunction,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productivity, as well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around equipment and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of workers. You will get the effec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받침부재 12: 베이스부
13: 제2 구동부 20: 흡입부
21: 흡입구 30: 수집부재
31: 스크레이퍼 32: 프레임
33: 제1 구동부 40: 경사판
50: 진동부재
10: support member 12: base portion
13: second drive unit 20: suction unit
21: suction port 30: collection member
31: scraper 32: frame
33: first driving unit 40: swash plate
50: vibration member

Claims (13)

이물질을 받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 및
상기 받침부재에 쌓이는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까지 모아주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수집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재는,
스크레이퍼를 갖춘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선형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에 접촉하거나 끼워맞춰져 상기 흡입구의 개방면을 폐쇄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A support member for receiving foreign substances;
A suction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suck foreign substances through a suction port; And
Collection member movabl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support member to the suction port
Including,
The collection member,
A frame with a scraper,
A first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frame to linearly move the frame
Includ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for closing the open surface of the suction port by the scraper being in contact with or fitting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받침부재의 폭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큰 폭방향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port,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경사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unit is located incli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기 이물질이 경사진 표면을 따라 상기 받침부재를 향해 미끄럼 이동하게 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wash plat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unit and allowing the foreign material to slide toward the support member along the inclined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a vibration member for imparting vibration to the swash plate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상기 흡입부는 흡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관은 흡입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 the su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The suction pipe is a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suction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블레이드나 브러쉬,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aper is a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blade or brush, or a combination there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가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때, 상기 스크레이퍼는 일측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상기 흡입부의 흡입구가 갖는 개구면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craper is formed in a blade shape, the scraper has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A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characterized in that coincident with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opening of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레일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ail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선형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A second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to linearly move the support member
Foreign matter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레일부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foreign substance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ail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KR1020190046193A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KR1022096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93A KR102209604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193A KR102209604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57A KR20200122857A (en) 2020-10-28
KR102209604B1 true KR102209604B1 (en) 2021-01-28

Family

ID=7301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193A KR102209604B1 (en) 2019-04-19 2019-04-19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0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02B1 (en) * 2014-06-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Removal device of fallen scra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72B1 (en) * 2016-02-22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Real Time Removal of Dust Deteriorating Performance of Electrode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02B1 (en) * 2014-06-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Removal device of fallen sc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57A (en)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10417B (en) Automatic cleaning machine
RU2436491C2 (en) Cleaning nozzle and method for vacuum cleaning
US20070143950A1 (en) Dust-collectable mobile robotic vacuum cleaner
CN207502299U (en) A kind of automatic cleaning pressure testing machine
KR20090036020A (en) Suction nozzle for use in vacuum cleaner
KR102209604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WO2008111891A1 (en) Vacuum cleaner nozzle
CN217365717U (en) Cleaning robot
KR10225581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US11369241B2 (en) Cleaning system using dual brush vacuum and sweep head
CN208447622U (en) With dedusting, except the medical bed and Medical Devices of liquid function
JP2008180507A (en) Air conditioner
CN205802342U (en) A kind of Folium Camelliae sinensis belt conveyor of removable residue
JP2014020658A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CN215838851U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CN104826420A (en) Air filter with two-dimensional scanning automatic sweeping apparatus
JPH0810196A (en) Dust collecting suction nozzle
JP2014025667A (en) Ceiling recessed air conditioner
CN210931173U (en) Self-moving cleaning device
CN220437368U (en) Bimetal saw belt flatness detection device
JP3116033U (en) Escalator vacuum cleaner suction head
CN113017489B (en) Robot of sweeping floor fills electric pile, robot and house cleaning system of sweeping floor
CN104226618B (en) Roller group cleaning agency
KR20140096599A (en) Robot cleaner
JP5125469B2 (en) Air conditioner fil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