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502B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502B1
KR102209502B1 KR1020190020819A KR20190020819A KR102209502B1 KR 102209502 B1 KR102209502 B1 KR 102209502B1 KR 1020190020819 A KR1020190020819 A KR 1020190020819A KR 20190020819 A KR20190020819 A KR 20190020819A KR 102209502 B1 KR102209502 B1 KR 10220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de
card
frequency band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628A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02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56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 H04B5/006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for use in interrogation, identification or read/write systems i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 H04B5/77

Abstract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들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들 중 하나는,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보조 안테나가 탑재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를 유지 단계 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Electric device}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능과 함께 무선전력 충전 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때, 각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 충전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주파수 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안테나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WPC 안테나, NFC 안테나 및 MST 안테나 등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들은 콤보(Combo)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콤보 형태의 복수의 안테나를 탑재한 휴대형 전자 장치가 FM 주파수 또는 재난망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안테나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보조 안테나가 탑재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제1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제3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가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수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제3 안테나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타단 및 상기 제3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수신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각각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보조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카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NFC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구조물을 상호 거리가 10cm 이내인 경우에 인식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구조물의 근접을 인식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작동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은 상기 전자 장치가 근접을 인식하도록 하는 NFC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콤보 형태의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FM 주파수 또는 재난망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기준 및 배면기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알고리즘 순서도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개략적인 배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은 전자 장치 및 구조물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와 구조물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로서 스마트폰(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노트북, 모니터, TV, 휴대폰, MP3 플레이어, 의료측정기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HMD를 포함하는 각종 스마트 기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로서 카드(2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카드(20)의 실시 형태로는 신분증, 현금직불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맴버쉽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20)는 일반적인 카드형의 형상으로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로 들었지만,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드(20)와 일정 거리(L) 이내 근접한 스마트폰(10)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마트폰(10)은 단독으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가 탑재된 카드(20)와 스마트폰(10)이 일정 거리(L) 이내 근접하면, 스마트폰(10) 내 적어도 일부 안테나는 카드(20) 내 적어도 일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커플링(Cant)되어 새로운 안테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10)은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스마트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의 전면기준 및 배면기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은 제1 면(10a), 제2 면(10b) 및 테두리면(10c)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면(10a)은 스마트폰(10)의 전면일 수 있다. 제1 면(10a)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외측에 배치되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2 면(10b)은 제1 면(10a)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스마트폰(10)의 배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면(10b)은 비표시 영역(NDA)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면(10b)은 스마트폰(10)에 카드(20)가 근접해 위치한 경우, 스마트폰(10)이 재난망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1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포함한다.
테두리면(10c)은 제1 면(10a)과 제2 면(10b)을 연결하는 면이다. 테두리면(10c)의 폭은 스마트폰(10)의 두께를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여러 부품들과 상기 부품들을 수용하는 수용체를 포함한다. 수용체는 스마트폰(10)의 내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여러 부품들은, 디스플레이 유닛(400), 콤보 안테나 유닛(200) 및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체는 하우징(100) 및 커버 윈도우(500)를 포함한다. 즉,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유닛(400), 콤보 안테나 유닛(200) 및 프로세서(300)의 일부를 둘러싸고, 커버 윈도우(500)는 나머지 일부를 둘러쌓을 수 있다.
하우징(100)은 스마트폰(10)의 제2 면(10b)과 제3 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면(10b)에 대응되는 하우징(100)과 테두리면(10c)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은 같은 물질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스마트폰(10)의 제1 면(10a)을 구성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 입력수단이 접하는 곳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는 외부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스마트폰(10)의 여러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00)으로부터 스마트폰(10)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콤보 안테나 유닛(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측 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 콤보 안테나 유닛(200)과 하우징(100) 사이에 다른 소자가 개재될 수 있다.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자세히 후술된다. 본 명세서에서, 콤보 안테나 유닛(200)과 안테나 장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에 따라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일 측에 프로세서(3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00)에 연결된 스마트폰(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 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에서 프로세서(300)는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의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500)로부터 스마트폰(10)의 내측으로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커버 윈도우(500)에 광학적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적 투명 수지(Optically Clear Resin, OCR)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과 커버 윈도우(500)는 표시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액정 표시패널, 전계 방출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패널 또는 마이크로 LED 표시패널의 디스플레이 유닛(400)일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카드(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의 개략적인 배치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카드(20)는 보조 안테나(621), NFC모듈(640),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를 포함한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20)는 제1 커버(601) 또는 제2 커버(602)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마크네틱 선, 및/또는 IC칩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안테나(621)는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조 안테나(621)는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의 보조 안테나일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보조 안테나(621)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드(20) 내 보조 안테나(621)를 제어하는 별도의 소자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안테나(621)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1)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카드(20)는 보조 안테나(621)를 제어하는 별도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안테나(621)는 외부 안테나와 커플링(Coupling, 도면에서 Cant)될 수 있다. 보조 안테나(621)는 외부의 안테나와 커플링(Cant)되어 미리 정해진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대역은 재난망 주파수 대역 혹은 FM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FM 주파수 대역은 80Mhz 내지 108 Mhz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난망 주파수 대역은 650 Mhz 내지 850 Mhz일 수 있다. 다만, 재난망 주파수 대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별 또는 지역별에 따른 다양한 재난망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NFC모듈(640)은 제1 커버(601)의 내측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NFC모듈(640)은 NFC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10)에 설치된 NFC 안테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들 중의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NFC의 작동 모드들은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 모드, 리더/라이터(reader/writer) 모드, 및 P2P(peer to pee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는 NFC 태그 또는 NFC IC가 내장된 NFC 장치가 마치 NFC 태그처럼 작동하는 모드이고, 상기 리더/라이터 모드는 상기 NFC 장치가 다른 NFC 태그를 읽는 리더로 작동하거나 다른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는 라이터로 작동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드이며, 상기 P2P 모드는 두 개의 NFC 장치들 간의 링크(link) 수준의 통신을 지원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예로, NFC모듈(640)은 카드(20)가 스마트폰(10)에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한 경우, 스마트폰(10)이 제1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예, 모드2(10-2))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10-1)로 작동 도중, 카드(20)가 스마트폰(10)에 근접하면, 카드(20)의 NFC모듈(640)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로 변경하여 작동할 수 있다.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는 보조 안테나(621)과 NFC모듈(64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601) 및 제2 커버(602)는 각각 서로 접하는 면과 보조 안테나(621) 및 NFC모듈(640)과 접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는 서로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고, 보조 안테나(621) 및 NFC모듈(640)과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사이에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명확히 도시하진 않았지만, 카드(20)는 제1 커버(601)와 제2 커버(602)의 외측 표면 접하도록,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소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알고리즘 순서도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장치는 카드(20)의 근접 여부에 따라, 스마트폰(10)이 제1 모드 작동단계(S310) 또는 제2 모드 작동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스마트폰(10)의 제1 모드 작동단계(S100),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 카드 근접 인식 여부에 따라, 제2 모드 작동단계(S310) 또는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는, 스마트폰(10)이 카드(20)가 근접하기전, 제1 모드(10-1)를 작동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안테나 장치에 카드(20)가 근접하기전,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작동단계(S100)는 WPT모드, MST모드 또는 NFC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 대해 설명한다.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는 제1 모드가 작동단계(S100) 도중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여, 제1 모드(10-1)를 유지할지 제2 모드(10-2)를 작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한편, 스마트폰(10)은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폰(10)은 NFC안테나가 카드(20)의 NFC모듈(640)의 근접을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도면상 스마트폰(10)은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와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차례로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는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의 유무와 관계없이,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고리즘 순서도에 따라 각 단계가 차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한, 각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각 단계사이에 다른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면, 스마트폰(10)은 제2 모드 작동단계(S31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지 못하면, 스마트폰(10)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근접 인식단계(S200)에서 스마트폰(10)이 카드(20)의 근접을 인식하지 못하면,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는 스마트폰(10)의 작동내용의 변경없이 동일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모드 작동단계(S100)와 제1 모드 유지단계(S320)는 스마트폰의 동일한 작동내용일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결부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라, 스마트폰(10)의 작동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제어부(210) 및 제1 스위치(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모드(10-1)와 제2 모드(10-2)의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221)의 루프는 제2 안테나(222)의 루프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안테나(221)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222)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과 제3 주파수 대역은 서로 다른 범위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와 제3 주파수 대역의 범위의 일부는 중첩될 수도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의 범위와 제3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안테나(221)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용(Wireless Power Transfer, 이하 WPT) 안테나,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RFID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100kHz 내지 300kHz일 수 있고, NFC 안테나인 경우 주파수 대역이 10MHz 내지 20MHz일 수 있다.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일단'과 '타단'은 선형 물질의 양 단부를 지칭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의 위치는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위치는 단지 하나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2 안테나(222)는 제1 안테나(221)로 예를 든 안테나 중 제1 안테나(221)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222)가 NFC 안테나 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에 구현되어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드별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아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제1 모드(10-1)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10-2)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 사이를 연결하는 수신 회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의 임피던스와 동작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보조 안테나(621)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여 제1 안테나(221) 및/또는 제2 안테나(222)와 커플링(Cant) 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면상, 프로세서(300)와 제어부(21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 내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스위치(231)는 제어부(210)에 의해 콤보 안테나 유닛(200)의 각 모드에 따라,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어부(210)의 연결을 바꿀 수 있다.
다음으로, 각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콤보 안테나 유닛(200)은 제1 모드(10-1) 또는 제2 모드(10-2)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모드(10-1)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에서 스마트폰(10)이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작동하는 모드에 해당한다. 제1 모드(10-1)는 스마트폰(10)이 제1 안테나(221)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2 안테나(222)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이시에 실행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제1 모드(10-1)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10-1)에서는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제어부(210)를 통하지 않고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모드(10-2)는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1)에서 안테나 장치의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작동하게끔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한다.
프로세서(300)는 카드(20)가 스마트폰(10)의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제어부(210)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제2 모드(10-2)가 작동하도록 스마트폰(10)에 별도의 입력 없이도, 카드(20)가 스마트폰(10)의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여, 제2 모드(10-2)는 작동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1 스위치(231)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10-2)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2 안테나(22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2 안테나(22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제어부(210)와 함께 직렬 연결되어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모드(10-2)에서, 스마트폰(10)과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면,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와 카드(20)에 탑재된 보조 안테나(621)는 하우징(100)을 사이에 두고 커플링(Cant)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정 거리(L) 이내라 함은 약 10cm 이하의 거리이거나, 접촉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의 제어부(210)는 제2 모드(10-2)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받게 되면,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가 상술한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제1 스위치(231)를 작동하고, 카드(20) 근접여부를 확인한다. 카드(20)가 근접한 경우,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는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될 수 있고, 제어부(210)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제1 안테나(221) 및 제2 안테나(222)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된 것을 인지하면,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이 재난망 주파수 수신 모드 또는 FM 주파수 수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1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들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장치가 제2 모드인 경우, 스마트폰의 콤보 안테나 유닛과 카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대비, 콤보 안테나 유닛(200-2)이 제3 안테나(223) 및 제2 스위치(232)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은 제1 스위치(2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스위치(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안테나(223)는 일 실시예에서, 도전성 코일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안테나(223)는 루프 형상으로 감긴 평판형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안테나(223)의 루프는 제1 안테나(221) 및/또는 제2 안테나(222)의 루프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안테나(223)는 앞선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221)로 예를 든 안테나 중 제1 안테나(221)와 제2 안테나(222)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안테나 중 하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안테나(221)가 WPT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222)가 NFC 안테나고 제3 안테나(223)를 MST 안테나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에 구현되어 코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드별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프로세서(300)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아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제1 모드(11-1)로 동작하거나 제2 모드(11-2)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3 안테나(223)의 임피던스와 동작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보조 안테나(621)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여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또는 제3 안테나(223)와 커플링(Cant) 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스위치(232)는 제어부(210)에 의해 콤보 안테나 유닛(200-2)의 각 모드에 따라, 제2 안테나(222), 제3 안테나(223) 및 제어부(210)의 연결을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231)와 제2 스위치(232)는 모드 변경에 따라 동시에 작동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모드(11-1)는 스마트폰(10)이 제1 안테나(221)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2 안테나(222)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이거나, 제3 안테나(223)를 이용하여 마그네틱 보안 전송(예, 무선 신용결제)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는 모두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 모드 중 적어도 2개의 모드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제1 모드(11-1)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안테나(222)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32)는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3 안테나(223)의 일단이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드(11-1)에서는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제어부(210)를 통하지 않고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모드(11-2)는 안테나 장치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작동하게끔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드에 해당한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제어부(210)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제3 안테나(223), 제1 스위치(231) 및 제2 스위치(23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11-2)에서, 제1 스위치(231)는 제1 안테나(221)의 일단이 제2 안테나(22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위치(232)는 제2 안테나(222)의 타단과 제3 안테나(223)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안테나(221)의 타단은 제2 안테나(22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안테나(222)의 타단은 제3 안테나(223)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안테나(223)의 타단은 제어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제어부(210)와 함께 직렬 연결되어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할 수 있다.
제2 모드(11-2)에서, 스마트폰(10)과 카드(20)가 일정 거리(L) 이내로 근접하면, 스마트폰(10)에 탑재된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와 카드(20)에 탑재된 보조 안테나(621)는 커플링(Cant)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의 제어부(210)는 제2 모드(11-2)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받게 되면,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상술한 새로운 루프 안테나로 작동하도록 제1 스위치(231)를 작동하고, 카드(20) 근접여부를 확인한다. 카드(20)가 근접한 경우,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는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될 수 있고, 제어부(210)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10)가 제1 안테나(221), 제2 안테나(222) 및 제3 안테나(223)가 보조 안테나(621)와 커플링(Cant) 된 것을 인지하면, 프로세서(300)는 스마트폰(10)이 재난망 주파수 수신 모드 또는 FM 주파수 수신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무선신호 수신 시스템
10: 스마트폰
10a: 제1 면
10b: 제2 면
10c: 테두리면
10-1, 11-1: 제1 모드
10-2, 11-2: 제2 모드
20: 카드
100: 하우징
200, 200-1: 콤보 안테나 유닛
210: 제어부
221: 제1 안테나
222: 제2 안테나
223: 제3 안테나
231: 제1 스위치
232: 제2 스위치
300: 프로세서
400: 디스플레이 유닛
500: 커버 윈도우
621: 보조 안테나
640: NFC 모듈
Cant: 커플링
DA: 표시 영역
L: 일정 거리
NDA: 비표시 영역
S100: 제1 모드 작동단계
S200: 카드 근접 인식단계
S310: 제2 모드 작동단계
S320: 제1 모드 유지단계

Claims (13)

  1. 전자 장치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안테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다른 범위의 주파수 대역인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분리되어 있는 제3 단자 및 제4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 그리고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 및
    보조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카드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것을 인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명령을 전송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명령에 의해 상기 카드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전자 장치를 제1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1 스위치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1 안테나의 일단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스위치의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2 안테나의 일단이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제어부를 기준으로 하여 병렬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명령에 의해 상기 카드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상태이면 상기 전자 장치를 제2 모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제어부를 기준으로 하여 직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각각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되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인 전자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제3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스위치가 상기 제2 안테나와 상기 제3 안테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가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 위치하는 보조 안테나와 커플링 되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각각 루프 형태의 안테나이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의 일단과 상기 제2 안테나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안테나의 타단과 상기 제3 안테나의 일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타단 및 상기 제3 안테나의 타단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직렬로 연결된 전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FM 주파수 대역인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어느 하나는 NFC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인 전자 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020819A 2019-02-22 2019-02-22 전자 장치 KR10220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28A KR20200102628A (ko) 2020-09-01
KR102209502B1 true KR102209502B1 (ko) 2021-01-29

Family

ID=7245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819A KR102209502B1 (ko) 2019-02-22 2019-02-22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405B1 (ko) * 2021-10-20 2023-09-04 주식회사 모카시스템 Nfc 리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nfc 태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91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257688B1 (ko) * 2014-07-23 2021-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충전 및 근거리 통신 겸용 송신 장치
WO2016098927A1 (ko) * 2014-12-18 2016-06-23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멀티 모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628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9045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apparatus
EP3232580B1 (en)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nfc antenna, terminal,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US9402278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system for a mobile phone
US9397384B2 (en) Touching an antenna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to control its operation
US9634727B2 (en) NFC architecture
US20110065385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N101458761A (zh) 通信装置
CN102882545A (zh) 一种通信设备
US108963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201000528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on control of rfid system
CN106099311B (zh) 通信设备
CN102568335A (zh) 一种内置天线的液晶显示器及移动终端交互方法
CN102739829A (zh) 一种智能终端以及智能终端与外置天线的连接方法和装置
KR102209502B1 (ko) 전자 장치
KR102595688B1 (ko) 근접한 전자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
KR101874421B1 (ko)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KR102128005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100366B2 (ja) ペンダント及び端末
CN105512716A (zh) 一种多功能ic卡
JP5955901B2 (ja) 無線通信のためのタッチ操作を容易にする方法、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79401A (ko) 정보 전달 처리 시스템
US20230350454A1 (en) Display structure including di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CN104063020A (zh) 多功能人机交互系统及其通讯方法
CN102801848A (zh) 带nfc功能的手机
KR2012005337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