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189B1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189B1
KR102209189B1 KR1020190123585A KR20190123585A KR102209189B1 KR 102209189 B1 KR102209189 B1 KR 102209189B1 KR 1020190123585 A KR1020190123585 A KR 1020190123585A KR 20190123585 A KR20190123585 A KR 20190123585A KR 102209189 B1 KR102209189 B1 KR 10220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don
concrete
branch
gird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충언
양인욱
Original Assignee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삼현피에프
Priority to KR102019012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1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omprises: a first tendon accommodation unit extended to a first-first settlement height on one end of a concrete unit from a first-second settlement height on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unit; a first tendon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on unit to be mounted whil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a prestress to the concrete unit; a second tendon accommodation unit extended from a second-first settlement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unit to a second-second settlement height on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unit; and a second tendon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on unit to be mounted whil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a prestress to the concrete unit. The second-first settlement height on one end of the concrete unit is higher than the first-first settlement height. The first-second settlement height on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unit is higher than the second-second settlement height. A tendon introducing the prestress to the concrete unit of the PSC girder is placed to be substantially inclined in one direction from an upper side on one end of the concrete unit to the lowest side on the other end. The tendon accommodation unit can be tightly charged by grout, so the tendon introducing the prestress to the concrete unit of the PSC girder is definitely prevented from corroding. Accordingly,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guarantee a PSC girder with a reliable and durable operational life.

Description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던 수용부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의 빈공간 발생을 억제하고,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거더에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 거더의 횡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거더의 형고를 낮추며 경제적이고 시공 편의를 향상시킨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mpty spaces of grout filled in the tendon receiving part, and when prestressing is introduced into the prestressed concrete (PSC) girder for bridg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s that prevents lateral deformation of the girder, lowers the shape height of the girder, and improves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econom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은, 교각이나 교대 등의 하부 구조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가 거치되고, 거더의 상면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행하는 바닥판이 합성되어 시공된다.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은 고정 하중과 차량 등의 통행에 따른 활하중이 작용하며, 교량의 내하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거더 중립축 하부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In general, in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is mounted on a lower structure such as a bridge pier or a bridge, and a floor plate through which vehicles or pedestrians pa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is synthesized and constructed. The load acting on the bridge is a fixed load and a live loa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vehicles, etc., and compression prestress is introduced under the girder neutral shaft to increase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거더(9)의 콘크리트부(12)에 텐던(T)을 하방으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배치하고, 텐던(T)을 콘크리트부(12)의 단부에서 잡아당겨 인장력을 도입하고, 텐던(T)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거더 단부의 정착부(14a)에서 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A method widely used as a method of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is a parabolic form in which a tendon (T) is convex downward on the concrete part 12 of the bridge girder 9, as shown in Fig. 1A. The tendon (T) is pulled from the end of the concrete part (12)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and the tendon (T) is fixed in the fixing part (14a) at the end of the girder in a state where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그러나,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SC거더, 9)의 단부에 정착부(14a)를 배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부(12)에 과도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착부(14a) 사이의 간격(14h)을 충분히 이격시켜야 하는 제한이 있다. 이로 인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9)에 텐던(T)을 다수의 열로 종방향 배치하면, 각각의 텐던(T,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텐던'이라는 용어는 다수의 강연선이 다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함.)의 정착부(14h)의 간격 확보를 해야 하므로, 거더의 형고(H)가 높아지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However, in arranging the fixing part 14a at the end of the conventional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girder 9),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stress from being locally concentrated on the concrete part 12, the fixing part 14a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interval 14h must be sufficiently separated. For this reason, when the tendon (T) is longitudinal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9), each tendon (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rm'tend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a number of It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at the strands are formed in the form of bundles.)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gap between the fixing portions 14h of the girder,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height (H) of the girder has arisen.

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거더에 내설된 텐던은 거더 중앙부에서 가급적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 공용 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쇄시키는 데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거더 중앙부에서의 텐던은 콘크리트 거더의 복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도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SC거더, 9)의 텐던은 거더 길이방향으로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단면에 강성 차이가 발생되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에 좌우 텐던에서의 마찰 손실 응력이 달라진다. 이와 더불어,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된 텐던에 동일한 인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좌우 텐던 중 어느 하나의 텐던에 인장력을 먼저 도입하게 되면, 먼저 인장력이 도입된 텐던이 콘크리트 거더와 함께 강성을 갖게 되어, 다른 텐던에 인장력을 나중에 도입할 때에 콘크리트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단면에 응력 차이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들은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좌우 텐던에 응력 불균형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응력 불균형에 의해, 거더 중앙부에서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텐던이 대칭으로 배치되었더라도,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거더에는 횡변형이 발생되어 시공이 어려워지고 내하 능력의 신뢰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offset the load acting on the girder during common use by introducing pre-stress while the tendon installed in the concrete girder is located as low as possible from the center of the girder. For this purpose, the tendon at the central part of the girder is also arranged at a location that is transversely spaced from the abdomen of the concrete girder. However, the tendon of the conventional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girder, 9) is difficult to be symmetrically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Accordingly, a difference in stiffness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section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friction loss stress in the left and right tendons varies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troducing the same tensile force to the tendon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if the tensile force is first introduced to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tendons, the tendon to which the tensile force was introduced will have rigidity with the concrete girder. Therefore, when the tensile force is later introduced to another tendon, a stress difference is induced in the left and right section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oncrete cross section. These phenomena cause stress imbalance in the left and right tendons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and even if tendons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at the center of the girder due to this stress imbalance, lateral deformation occurs in the girder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making construction difficult. The problem of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load-bearing capacity has also arisen.

한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PSC거더)는 텐던에 프리스트레스 도입 완료 후 텐던(T)을 감싸는 텐던 수용부(S, 쉬스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팅 작업이 실시된다. 이 때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최하단에 배치된 텐던 수용부는 거의 직선 형태로 배치된다. 그라우트 주입은 그라우트를 그라우트 주입구(14x)를 통해 텐던 수용부(S)에 주입(55i)하면, 주입된 그라우트가 텐던 수용부(S)를 통과하여 그라우트 배출구(14y)로 그라우트가 유출(55o)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girder), grout is injected into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S, sheath tube) surrounding the tendon (T) after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tend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B, the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an almost straight line. For grout injection, when grout is injected (55i) into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S) through the grout inlet (14x), the injected grout passes through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S) and the grout flows out (55o) to the grout outlet (14y). It is done by confirming what is being done.

그러나, 최하단에 배치된 텐던 수용부는 텐던 수용부(S)가 종방향으로 전 구간이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텐던 수용부가 경사 구조시 발생하는 그라우트 주입구와 배출구의 수두 압력차에 의한 그라우트(55)의 밀실한 충전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텐던 수용부 내에 에어(공기)에 의한 빈 공간이 생기게 된다.However, since the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 is arranged in a nearly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grout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head pressure between the grout inlet and the outlet that occurs when the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is inclined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the tight filling effect of 55), so an empty space due to air (air) is created in the tendon receiving part.

텐던 수용부(S) 내의 빈 공간은 텐던(T)의 부식을 유발하고,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텐던에서의 부식 진행 속도는 보다 빠르게 진행하므로, 텐던 수용부(S)의 내부 공간을 밀실하게 충전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 empty space in the tendon accommodating part (S) induces corrosion of the tendon (T), and the corrosion progress rate in the tendon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proceeds faster, so the inner space of the tendon accommodating part (S) is tightly clos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charge.

한편, 콘크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정은 다수의 텐던을 순차적으로 긴장 정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나의 정착구에서 텐던을 긴장 정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정이 행해질 때마다 콘크리트 거더는 압축 변형에 의해 조금씩 길이가 줄어들면서, 앞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데 사용되었던 텐던에 도입된 인장력이 조금씩 감소하여 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concrete girder is achieved by sequentially tensioning a plurality of tendons. However, whenever the process of introducing prestress by tensioning the tendon in one anchorage is performed, the length of the concrete girder gradually decreases due to compression deformation, and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 the tendon which was previously used to introduce the prestress gradually decreases.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size of the pre-stress that has already been introduced decreases.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정착부에서 동시에 텐던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방안이 모색되었지만, 동시에 2개 이상의 정착부에 인장잭을 설치하여 인장력을 도입하는 것은 인장잭 사이의 간격이 좁아 오히려 거더의 단면을 더 크게 형성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introducing tensile force to the tendon at the same time in several anchorage units was sought, but the introduction of tensile force by installing tension jacks in two or more anchoring units at the same time is rather a girder because the gap between the tension jacks is narrow. It also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larger cross section.

이로부터, 동일한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콘크리트부에 도입하면서도 콘크리트부의 단면을 작게하고 동시에 거더의 형고를 낮추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동시에, 콘크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횡변형의 발생과 이미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From thi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section and lowering the mold height of the girder while introducing prestress of the same size to the concrete sec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lateral deformation and the loss of the prestress already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concrete girder.

본 발명은,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의 텐던 수용부(예를 들어, 쉬스관)에 그라우트를 밀실하게 충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ightly fill a tendon receiving portion (for example, a sheath pipe) of a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with grout.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거더의 양단부 하측을 절개한 절취부를 구비하여 교각이나 교대 등의 교량 하부 구조에 거치한 상태에서의 형고를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wer the mold height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a bridge lower structure such as a bridge pier or an abutment by providing a cutout form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ends of the girder.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교량용 거더의 텐던 정착구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여 형고를 낮추고 콘크리트부의 단면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t the same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fficiently secure a gap between the tendon anchorages of the bridge girder to lower the mold height and to minimiz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section to improve economic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PSC거더의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 텐던을 긴장 정착하는 공정을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 거더의 횡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ateral deformation of the girder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process of tension fixing the tendon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PSC girder.

그리고, 본 발명은 PSC거더의 텐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공정 횟수를 최소화하여, 다단 도입에 따라 기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number of prestress introduction processes using tendons of a PSC girder,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prestress previously introduced by multi-stage introduction.

또한, 본 발명은 교량용 거더의 콘크리트부 내의 텐던의 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y to diversify the arrangement of tendons in the concrete part of the bridge girder.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메인 통로에 배치되는 텐던이 2개로 나뉘어 교량용 거더의 콘크리트부에 내설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도입하더라도, 텐던의 분기 지점에서 그 주변의 콘크리트부에 작용하는 힘을 억제하여 내구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force acting on the surrounding concrete part at the branch point of the tendon even if tensile force is introduced while the tendon disposed in one main passage is divided into two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of the bridge girder. It aims to obtain durability and reliability at the same time.

그리고, 본 발명은, 텐던을 구성하는 다수의 강연선을 하나의 메인 통로로부터 2개의 쉬스관으로 분배되거나 2개의 쉬스관으로부터 하나의 메인 통로로 합쳐지도록 하는 텐던 분배 기구를 이용한 교량용 PSC 거더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PSC girder for a bridge using a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constituting a tendon are distributed from one main passage to two sheath pipes or merged from two sheath pipes into one main passage. It aims to do.

무엇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부에 다수의 텐던이 배치된 거더에서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하나의 텐던의 일단의 고정 높이와 타단의 고정 높이가 서로 다를지라도 서로 다른 텐던의 간섭 없이 소정의 위치에 텐던이 정확히 배치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a girder in which a plurality of tendons are arranged in a concrete part, even if the fixed height of one end and the fixed height of the other en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different tendons. The purpose of the tendon is to be placed correctly.

한편, 본 발명은, PSC거더에 공용 중에 실제로 작용하는 휨 모멘트의 분포에 대응하여 다단 계단 형태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크기를 조절하여,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적정한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만 정확히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accurately introduce only the prestress of an appropriate size to the prestress girder for bridges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prestress introduction in the form of a multi-step step in response to the distribution of the bending moment actually acting during common use on the PSC girder. do.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이 내부에 배근된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1-2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1-1정착높이로 연장된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제1텐던과;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2-1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2-2정착높이로 연장된 제2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제2텐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에서의 상기 제2-1정착높이는 상기 제1-1정착높이보다 높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에서의 상기 제1-2정착높이는 상기 제2-2정착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crete portion reinforced inside; A first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1-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to the 1-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A first tendon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ortion; A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extending from a 2-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to a 2-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A second tendon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in the 2-1 fixing height at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1-1 fixing height, and the 1-2 fixing height at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2-2 fixing height It provides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한편, 본 발명은,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으로서, 콘크리트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1-2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1-1정착높이로 연장되도록 제1텐던 수용부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2-1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2-2정착높이로 제2텐던 수용부를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에서의 상기 제2-1정착높이는 상기 제1-1정착높이보다 높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에서의 상기 제1-2정착높이는 상기 제2-2정착높이보다 높도록 상기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를 설치하는 텐던수용부 설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형성단계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에 제1텐던을 수용시키고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제2텐던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텐던과 상기 제2텐던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하여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트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the reinforcement step of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crete part is formed; A first tendon receiving part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from the 1-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to the 1-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from the 2-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nstall a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at a 2-2 fixing height of, wherein the 2-1 fixing height at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1-1 fixing height, and the 1-2 at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A tendon accommodating par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fixing height is higher than the 2-2 mounting height;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part; A concrete forming step of curing the concrete by pouring unhardened concrete into the formwork to form the concret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nd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tend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the concrete part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endon and the second tendon. A pre-stress introduction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to; A grout injection step of injecting grout to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종방향' 또는 '길이 방향'은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길이 방향(예를 들어, 직선 교량에 시공되는 거더인 경우에 교축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축선 방향'은 쉬스관의 연장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반경 방향'은 쉬스관의 연장 방향인 축선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선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longitudinal direction' or'longitudinal dir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tressed girder for a bridge (for example, the bridge axis direction in the case of a girder installed on a straight bridge). The'axial direc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eath tube. The'radial direc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referring to a direction away from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xial direction, which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eath tub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중앙부' 또는 '경간 중앙부'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거더의 중앙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central portion' or'span central por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girder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tressed girder for a bridg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하 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의 형고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폭방향', '횡방향', '좌우 방향'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상하 방향과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를 들어, 거더의 교축 직각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up-down direction' and terms similar thereto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as referring to the orientation of the girder. In addition, the terms'width direction','transverse direction','left and right direction' and similar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refer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idge axis of the girder). It is defined as doin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횡단면 중심축(Cx)'은, 거더의 복부의 중심을 좌우 대칭인 횡단면에서는 복부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과 같이, 거더 콘크리트부의 횡단면의 좌우 방향(횡방향)으로의 중심축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횡단면 중심축(Cx)이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 연장된 단면을 '횡중심 수직단면'이라고 정의한다. The'cross-sectional central axis (Cx)'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like an axis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bdomen in a horizontally symmetrical cross-section of the center of the abdomen of the gird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girder concrete part It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central axis of In addition, a cross-sec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central axis Cx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s defined as a'transverse central vertical cross-sec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텐던'은 다수의 강연선(strand)으로 이루어진 강연선 다발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하나의 텐던이 텐던 분배 기구를 통해 2개의 텐던으로 분배'되는 것은, 하나의 텐던을 이루는 다발의 강연선들이 2개의 다발(묶음)으로 분리되어 각각 하나의 텐던으로 형성하는 것과, 2개 이상의 다발(묶음)의 강연선들이 하나의 다발인 텐던을 이루도록 합쳐지는 것을 모두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텐던 삽입'은 텐던을 구성하는 강연선들이 삽입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term'tend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is defined as referring to a bundle of strand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rands. And,'one tendon is distributed into two tendons through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s that the strands of strands that make up one tendon are separated into two bundles (bundles) to form one tendon each. It is defined as a collective term that the strands of the above bundles (bundle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bundle, a tendon. And,'tendon insertion' is defined as referring to the insertion of the strands constituting the tendon.

본 발명에 따르면,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텐던이 콘크리트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텐던 수용부를 그라우트의 수두 압력을 이용하여 밀실하게 충전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don for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is arranged inclin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tightly filling the tendon receiving part using the head pressure of the grout.

이를 통해, 본 발명은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텐던의 부식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신뢰성있는 내구 수명을 갖는 PSC거더를 보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prevent corrosion of tendons introducing prestress to the concrete portion of the PSC girder, thereby ensuring the PSC girder having a reliable endurance life.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의 양단부 하측을 절개한 절취부를 구비하여 교량 하부 구조에 거치한 상태에서의 형고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mold height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lower structure of a bridge by providing a cutout formed at the lower side of both ends of the girder.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르면, 텐던이 수용되는 하나의 메인 통로가 2개의 분기 통로로 분기되는 텐던 수용부를 구비하여 PSC거더의 콘크리트부 내에 텐던 배치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variously configuring tendon arrangements in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by having a tendon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main passage in which the tendon is accommodated is branched into two branch passages.

이를 통해, 본 발명은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다수의 텐던이 존재할지라도, 다른 텐던의 간섭없이 종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텐던이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2-1정착높이로부터 이보다 낮은 타단의 제2-2정착높이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텐던 수용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그라우트 주입구와 배출구의 수두 압력차에 의한 그라우트의 밀실한 충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if there are multiple tendons that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one tendon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tendons is lower than this from the 2-1 mount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2nd-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and as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clin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tight filling effect of the grout due to the difference in head pressure between the grout inlet and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르면,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에 배치된 2열의 텐던이 하나의 정착부에서 정착되게 구성되어, 종래와 동일한 열의 텐던을 콘크리트부에 배치하고서도 정착부의 개수를 줄여 형고를 낮추고 콘크리트 단면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rows of tendons arranged in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are configured to be settled in one fixing part, and the number of fixing parts is reduced even when the tendons of the same row as in the prior art are arranged in the concrete part to lower the mold height and reduce the concrete cross section. The effect of improving economic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에 텐던을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종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으로 배치하고, 대칭으로 배치된 텐던을 동시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하므로 제작시 PSC거더의 횡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ndon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in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and tendons arranged symmetrically are manufactured by simultaneously introducing prestress. The effect of preventing lateral deformation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부에 배열된 2열의 텐던에 하나의 인장잭으로 한번에 인장력을 도입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긴장 및 정착 횟수를 줄여, 앞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가 그 이후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 공정 중에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to two rows of tendons arranged in the concrete part at a time with one tension jack, the number of tension and settling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the prestress introduced before is the prestress introduced after that. The effect of minimizing loss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can also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텐던의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텐던을 하나의 메인 통로로부터 2개의 쉬스관으로 분배하거나 2개의 쉬스관으로부터 하나의 메인 통로로 합쳐지도록, 하나의 메인 통로와 2개 이상의 분기 통로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한 텐던 분배기구를 이용하여, 텐던 분배기구의 각 튜브에 쉬스관을 연결하여 분기 형태의 텐던 수용부를 쉽게 형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main passage and two or more branches so that the tendon is distributed from one main passage to two sheath tubes or merged from two sheath tubes into one main passage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ndon. By using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 which the passage is formed as one bod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easily forming a branched tendon receiving portion by connecting a sheath tube to each tube of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메인 통로를 통과한 텐던이 2개의 분기 통로로 분배되는 구조를 쉽게 구현하여, 각각의 분기 통로를 통과한 텐던에 대한 인장력의 도입 및 정착 공정을 한번에 행할 수 있게 되어 시공 공정이 단순해지고 보다 신속하게 교량용 거더를 제작하는 이점이 얻어진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implements a structure in which a tendon passing through one main passage is distributed to two branch passages, so that the tensile force introduction and fixing process for the tendons passing through each branch passage can be performed at once.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advantage of manufacturing the bridge girder is obtained more quickly.

도1a는 종래의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텐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1b는 도1a의 최하측 텐던 수용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구성 및 위치별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3a는 제2텐던(T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절단한 도2의 평면도,
도3b는 제3텐던(T3)의 축선 방향을 따라 절단한 도2의 평면도,
도3c는 제1텐던(T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절단한 도2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던 분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텐던 분배 기구에서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횡방향으로의 힘이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는 도4의 텐던 분배 기구에 보강부재가 설치된 평면도,
도6b는 도6a의 정면도,
도7는 도4의 텐던 분배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8a는 도7의 절단선 K-K에 따른 횡단면도,
도8b는 도7의 절단선 J-J에 따른 횡단면도,
도9는 도2의 콘크리트부의 제2텐던(T2) 수용부(S2)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구성 및 위치별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1는 도10의 텐던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A is a view showing a tendon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1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jecting grout into the lowermost tendon receiving portion of FIG. 1A;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 by position;
3A is a plan view of FIG. 2 take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tendon T2;
3B is a plan view of FIG. 2 take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third tendon T3;
3C is a plan view of FIG. 2 take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tendon T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ndon dispens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generated whe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of Figure 4;
6A is a plan view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of FIG. 4;
Fig. 6b is a front view of Fig. 6a;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endon dispensing mechanism of Figure 4;
Figure 8a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ut line KK of Figure 7;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JJ in Fig. 7;
FIG.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jecting grout into the second tendon (T2) receiving part (S2) of the concrete part of FIG. 2;
10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positional cross-section of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tendon of Fig. 10;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1)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stressed girder 1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거더)는, 도2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의 중앙부 하연에 프리스트레스가 미리 도입된 교량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거더로서, 철근(미도시)이 내부에 배근된 콘크리트부(12)와, 콘크리트부(12)에 내설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텐던(T1, T2, T3; T)과, 텐던(T1, T2, T3)을 각각 수용하는 텐던 수용부와, 콘크리트부(12)의 단부에 위치하여 텐던(T1, T2, T3)에 인장력을 도입한 상태를 유지하며 정착하는 정착부(90)를 포함하여, 텐던(T)에 도입된 긴장력에 의해 콘크리트부(12)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1, 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girder)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2 to 3C, to a bridge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in advance at the lower edge of the central part of the girder. As a concrete girder used, a concrete part 12 with reinforced bars (not shown) laid inside, and a tendon (T1, which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art 12 and settled in a state wher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roduces prestress to the concrete part. T2, T3; T), a tendon receiving portion that accommodates each of the tendons (T1, T2, T3), and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the tendons (T1, T2, T3) located at the end of the concrete section 12 Including the fixing portion 90 to be maintained and fixed, it is configured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concrete portion 12 by the tension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don (T).

상기 텐던(T1, T2, T3) 및 이들로부터 분기된 텐던들(T11, T12, T21, T22)은 다수의 강연선(Ta)이 모인 다발 형태를 지칭한다.The tendons (T1, T2, T3) and tendons branched from them (T11, T12, T21, T22) refer to a bundl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trands Ta are gathered.

상기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 일단(E1)의 상측에 위치한 제2-1정착높이(H21)으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최하측 정착부인 제2-2정착높이(H22)로 완만한 곡률을 이루면서 제2텐던 수용부(S2)에 배치된다. 즉,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일단(E1)의 정착부(90)로부터 경간 중앙부까지 하향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경간 중앙부에서는 중립축 하연인 하부플랜지콘크리트(12c) 단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타단(E2)까지는 일정한 높이로 배치되거나 완만한 경사를 갖게 배치되어 제2-2정착높이(H22)를 갖는 최하측 정착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타단(E2)까지의 완만한 경사는 예를 들어 0.1ㅀ내지 5ㅀ의 작은 크기를 갖는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텐던(T2)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제2텐던수용부(S2)를 그라우트로 충전하는 과정에서 수두 압력차에 의해 밀실하게 충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second tendon (T2) is from the 2-1 fixing height (H21) located above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 of the PSC girder (1)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12).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while achieving a gentle curvature to 2-2 fixing height (H22). In other words, the second tendon (T2) is arrang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xing part 90 of the one end (E1) of the PSC girder (1) to the center of the spa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flange concrete 12c, which is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at the center of the span Pass through wealth. In addition, the second tendon (T2)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ther end (E2) of the girder, or has a gentle slope, and is the lowest side having a 2-2 fixing height (H22). It extends to the fixing part. Here, a gentle slope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ther end E2 of the girder means that it is arranged in an inclination having a small size of, for example, 0.1° to 5°. Therefore, since the second tendon T2 is disposed in a substantially inclined shape in one direction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ightly filling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S2 by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filling it with grout. .

제2텐던(T2)은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정착부(90)에서는 하나의 강연선 다발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으로 2개의 강연선 다발로 나뉘어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열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부(12)에 내설된다. 이를 위하여, 제2텐던 수용부(S2)는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2-1분기통로와 제2-2분기통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분기된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을 수용한다. The second tendon T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trand of strands in the fixing portions 90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but as shown in FIG. 3A, the second tendon T21 and the second tendon T21 It is divided into two bundles of strands with two tendons (T22) to form different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art 12. To this e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is formed to branch into two different second-first branch passages and second-second branch passages, respectively, so that one strand of strands is branched from the second tendon (T21). ) And the 2-2 tendon (T2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은 거더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부(12)의 복부(12b) 중심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횡단면 중심축(Cx)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즉,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중앙부에서는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은 횡단면 중심축(Cx)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고, 도2의 하측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은 정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are cross-sectional central axes vertically crossing the center of the abdomen (12b) of the concrete section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hey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Cx). That is, as shown in FIG. 3A, in the central part of the girder,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Cx), and the lower side of FIG.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are arranged along the same trajectory based on the front side.

여기서, 제2텐던(T2)은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으로 균등 분배되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양을 균등하게 도입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tendon (T2) is equally distributed to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by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The amount of prestress to be introduced can be introduced evenly.

상기 제1텐던(T1)은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 타단(E2)의 제1-2정착높이( H12)의 정착부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1-1정착높이(H11)의 최하측 정착부로 완만한 곡률을 이루면서 제1텐던 수용부(S1)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텐던(T1)은 경간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2텐던(T2)과 대칭으로 배치된다. The first tendon (T1) is the 1-1 fixing of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from the fixing part of the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1). It is dispos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while forming a gentle curvature with the lowermost fixing part of the height H11.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first tendon T1 is dispos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tendon T2 based on the center of the span.

즉, 제1텐던(T1)은 PSC거더(1)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제1-2정착높이(H12)에 위치한 정착부(90)로부터 경간 중앙부까지 하향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경간 중앙부에서는 단면의 중립축 하연인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2c) 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1텐던(T1)은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일단(E1)까지는 일정한 높이로 배치되거나 완만한 경사를 갖게 배치되어 제1-1정착높이(H11)의 최하측 정착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일단(E1)까지의 완만한 경사는 예를 들어 0.1ㅀ내지 5ㅀ의 작은 크기를 갖는 기울기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텐던(T1)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제1텐던수용부(S1)를 그라우트로 충전하는 과정에서 수두 압력차에 의해 밀실하게 충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tendon (T1)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xing part 90 located at the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E2) of the PSC girder (1) concrete part 12 to the central part of the span. It is disposed, and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wer flange concrete 12c, which is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at the center of the span. In addition, the first tendon (T1)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ne end (E1) of the girder, or has a gentle slope to settle at the lowest side of the 1-1 fixing height (H11). It extends to wealth. Here, the gentle slope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ne end E1 of the girder means that the PSC girder 1 is arranged at a small slope of 0.1 to 5 ㅀ. Therefore, since the first tendon T1 is disposed in a substantially inclined shape in one direction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ightly filling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by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filling it with grout. .

제1텐던(T1)은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정착부(90)에서는 하나의 강연선 다발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으로 2개의 강연선 다발로 나뉘어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열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부(12)에 내설된다. 이를 위하여, 제1텐던 수용부(S1)는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분기된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을 수용한다. The first tendon T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trand of strands in the fixing portions 90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but as shown in FIG. 3C, the 1-1 tendon T11 and the 1- It is divided into two bundles of strands with two tendons (T12) to form different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art 12. To this end,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is formed to be branched into two different first-first branch passages and first-second branch passages, so that one strand of strands is branched from the first tendon (T11). ) And the 1-2 tendon (T1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은 거더 길이방향으로 콘크리트부(12)의 복부(12b) 중심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횡단면 중심축(Cx)에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즉,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중앙부에서는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은 횡단면 중심축(Cx)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고, 도2의 하측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텐던(T21)과 제1-2텐던(T22)은 정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are cross-sectional central axes that cross the center of the abdomen (12b) of the concrete section (12)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t is arranged symmetrically in (Cx). That is, as shown in FIG. 3C,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irder,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x)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lower side of FIG.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the 1-1th tendon T21 and the 1-2nd tendon T22 are arranged along the same trajectory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여기서, 제1텐던(T1)은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으로 균등 분배되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양을 균등하게 도입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tendon (T1) is equally distributed to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by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The amount of prestress to be introduced can be introduced evenly.

여기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텐던(T2)이 콘크리트부 일단(E1)에서 고정 정착되는 제2-1정착높이(H21)는 제1텐던(T1)이 콘크리트부 일단(E1)에서 고정 정착되는 제1-1정착높이(H11)보다 높고, 제1텐던(T1)이 콘크리트부 타단(E2)에서 고정 정착되는 제1-2정착높이(H12)는 제2텐던(T2)이 콘크리트부 타단(E2)에서 고정 정착되는 제2-2정착높이(H22)에 비하여 높게 정해진다. 이에 따라, 제1텐던(T1)과 제2텐던(T2) 중 적어도 하나는 일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그라우트 주입구와 배출구의 높이 차이가 발생되므로 그 수두 압력차에 의해 그라우트를 보다 밀실하게 충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tendon (T2) is fixed and fixed at th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E1), the 2-1 fixing height (H21) is the first tendon (T1) is the end of the concrete part (E1) The second tendon (T2) is higher than the 1-1 fixing height (H11) fixed and fixed in the first tendon (T1) and the 1-2 fixing height (H12) fixed at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It is set higher than the 2-2 height (H22) fixed and fix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E2). Accordingly,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is arrang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grout inlet and the outlet is generated, so that the grout is more tightly filled by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You can get the effect.

보다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부의 단부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제1텐던(T1)의 제1-1고정위치(H11)와 제2텐던(T2)의 제2-2고정위치(H22)는 콘크리트부 단부 정착부들 중에 최하측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은 모두 확정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진 배치 형태가 되며, 이에 따라,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이 수용된 텐던수용부(S1, S2)를 그라우트로 충전하는 과정에서 수두 압력차에 의해 밀실하게 충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1-1 fixed position (H11) of the first tendon (T1)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2-2 fixed position (H22) of the second tendon (T2) are the end of the concrete par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fixing parts. Accordingly, both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are definitively inclined in on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tendon receiving unit in which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are accommodated. In the process of filling (S1, S2) with grout, the effect of tightly filling can be obtained due to the difference in head pressure.

그 밖에, 제1텐던(T1)의 제1-2고정위치(H12)와 제2텐던(T2)의 제2-1고정위치(H1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최상측에 위치한 정착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경사도를 보다 크게 유도하여, 그라우트의 충전 과정에서의 수두 압력차를 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second fixed position H12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first fixed position H12 of the second tendon T2 are on the uppermost side, respectively. It may be a located fixing unit. Accordingly,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is induced to be greater, and thus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in the grout filling process can be made larger.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단부 정착부 중 어느 하나만 최하측 정착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단부 정착부 중 어느 하나만 최상측 정착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of the end fixing parts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may be formed as the lowermost fixing part, and the first Only one of the end fixing parts of the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may be formed as the uppermost fixing part.

상기와 같이,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이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을 실질적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있어서, 각각 어느 하나의 고정 높이로부터 이보다 더 낮은 고정 높이로 실질적으로 한방향으로만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서로 교축 방향으로 엇갈리는 대칭 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PSC거더의 콘크리트부의 교축 방향을 따르는 횡단면에 균일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서도,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이 수용되는 제1텐던 수용부(S1)와 제2텐던 수용부(S2)에 그라우트를 밀실하게 충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are arranged in a form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section 12 are substantially inclined downwardly, As a fixed height is formed extending obliquely in only one direction, and arranged in a symmetrical shape crossing each other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a uniform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ross section along the intersecting direction of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while the first tendon (T1)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tightly filling the grout in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S1 and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S2 in which the second tendon T2 is accommodated.

즉, 종래에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던 수용부(S)가 전구간에 걸쳐 거의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어 그라우트(55) 주입시 주입구와 배출구의 수두 압력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텐던 수용부(S)에 에어(공기)의 양이 많아지면서 빈 공간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That is,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B,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S) is disposed in a nearly straight line over the entire area, so when the grout 55 is injected,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is hardly generated, so that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 There was a problem that empty space was created as the amount of air (air) in S) increased.

그러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텐던 수용부(S2)의 그라우트 주입구(14x)로 그라우트를 주입(55i)하면, 주입구(14x)와 배출구(14y) 사이의 수두 압력차에 의하여 주입구(55i)를 통과한 그라우트가 완만한 경사를 갖거나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구간(AA)에 먼저 채워져 이 구간에 존재하던 에어(공기)가 경사진 구간(BB)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후 경사진 구간(BB)을 통과(55b)한 그라우트에 의해 그라우트 배출구(55o)를 향해 밀어(55b)내는 힘이 크게 되어, 텐던 수용부(S2)에 존재하던 공기는 초기 주입된 그라우트와 함께 배출구(55o)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방 경사진 구간(BB) 뿐만 아니라 완만한 경사를 갖거나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구간(AA)에 있어서도 빈 공간이 생기지 않고 밀실하게 그라우트를 충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9, when grout is injected (55i) through the grout inlet 14x of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S2, the inlet port is caused by the head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14x and the outlet 14y. The grout passing through (55i) has a gentle slope or is first filled in the section AA formed with a certain height, and the air (air) existing in this section moves to the inclined section BB. The force to push (55b) toward the grout outlet (55o) by the grout (55b) passing through the section (BB) increases, and the air existing in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S2)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55o) together with the initially injected grout.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not only in the downwardly inclined section BB, but also in the section AA having a gentle slope or formed with a constant height, an effect of filling the grout tightly without creating an empty space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텐던 수용부(T1, T2)에서 그라우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텐던(T1, T2)의 둘레를 그라우트(55)로 완전히 충전함에 따라,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텐던(T1, T2)의 부식을 방지하여 신뢰성 있는 내구 수명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In this way, as the grout is tightly filled in the tendon receiving portions T1 and T2 to completely fill the circumference of the tendons T1 and T2 with the grout 55, corrosion of the tendons T1 and T2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he advantageous effect of ensuring a reliable durable life is obtained by preventing

한편,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텐던(T3)은 콘크리트부(12)의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배치되며,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와 그 사이에서 모두 하나의 강연선 다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1a에 도시된 종래의 텐던 배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b, the third tendon (T3) is disposed in a downwardly convex parabolic shape between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of the concrete part 12. Both ends of the portion 12 and between them are all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trand of strands. That is, it is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ventional tendon arrangement shown in Fig. 1A.

즉,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에 부가하여, 기존의 배치 형태인 제3텐던(T3)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3텐던(T3)은 생략될 수 있다.That is, in addition to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the third tendon T3, which is an existing arrangement, may be installed together.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endon T3 may be omitted.

한편,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2-1정착높이(H21)와 타단의 제1-2정착높이(H12)는 제1텐던 수용부 및 제2텐던 수용부의 끝단에 배치된 상측 정착부(90)의 정착구(91) 높이를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의 제2-1정착높이(H21)와 타단의 제1-2정착높이(H12)는 최상측 정착부의 정착구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편,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1-1정착높이(H11)와 타단(E2)의 제2-2정착높이(H22)는 제1텐던 수용부 및 제2텐던 수용부의 끝단에 배치된 하측 정착구의 높이를 지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의 제1-1정착높이(H11)와 타단의 제2-2정착높이(H22)는 최하측 정착구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2-1 fixing height (H21) of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of the PSC girder (1) and the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are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tendon. Refers to the height of the fixing unit 91 of the upper fixing unit 90 disposed at the end of the receiving unit. As described above, the 2-1 fixing height H21 of one end and the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are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fixing unit of the uppermost fixing par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Likewise, on the other hand, the 1-1 fixing height (H11) of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of the PSC girder (1) and the 2-2 fixing height (H22) of the other end (E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Refers to the height of the lower anchorage disposed at the ends of the secondary and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s.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1-1st fixing height H11 of one end and the 2nd-2 fixing height H22 of the other end are the height of the lowermost fixing uni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에 부가하여, 기존의 배치 형태인 제3텐던(T3)을 함께 설치할 경우, T3는 일단의 중간측 또는 최상측에 하방으로 볼록한 U자(포물선) 형태로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when a third tendon (T3), which is an existing arrangement, is installed together, T3 is a U-shaped convex downward at the middle or uppermost side of one end. It is possible to freely arrange it in a (parabolic) shape.

한편, 제1텐던 수용부(S1)가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로 그리고 제2텐던 수용부(S2)가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2-1분기통로와 제2-2분기통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배치 형태와 같은 텐던이 다수 배치되더라도, 텐던들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정착부의 위치 이외에 정착부를 배치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볼록한 U자(포물선)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텐던 수용부를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분리통로로 분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방향으로 이웃하는 텐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텐던을 배치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1) is two 1-1 branch passages and the second branch passag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wo 2-1 branch passages. It is formed to branch into the passage and the second-second branch passage.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tendons are arranged as in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as shown in FIG. 3B, the fixing unit other than the positions of the fixing units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endons does not occur. It can be arranged, and it can be arranged in a U-shaped (parabolic) shape that is convex downward. That is, by configuring one tendon accommodating part to branch into two separate passages, each of which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neighboring tend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obtain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distributing tendons more diversely and efficiently. have.

상기와 같이 배열된 텐던(T1, T2, T3,...)은 콘크리트부(12) 내에서 텐던 수용부(S1, S2, S3; S)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콘크리트부(12)가 충분한 강도로 발현한 상태에서 텐던 수용부 내에 배치된 텐던(T1, T2, T3,...)에 인장력을 도입한 후 정착하여 콘크리트부(12)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The tendons (T1, T2, T3,...)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tendon accommodating parts (S1, S2, S3; S) in the concrete part 12, and the concrete part 12 With sufficient strengt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dons (T1, T2, T3,...) disposed in the tendon receiving part, and then settled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art 12.

상기 제1텐던(T1)은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으로 분기되므로, 제1텐던(T1)을 수용하는 제1텐던 수용부(S1)는 하나의 제1메인 통로가 2개로 분기된 분기 통로를 각각 제1-1쉬스관(S11)과 제1-2쉬스관(S12)에 의해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텐던(T2)은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으로 분기되므로, 제2텐던(T2)을 수용하는 제2텐던 수용부(S2)는 하나의 제2메인 통로가 2개로 분기된 분기 통로를 각각 제2-1쉬스관(S21)과 제2-2쉬스관(S22)로 형성한다. In the first tendon (T1), since one strand of strands is branched into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for accommodating the first tendon (T1) ) Is provided with a branch passage in which one first main passage is divided into two by a 1-1 sheath tube S11 and a 1-2 sheath tube S12, respectively. Likewise, in the second tendon (T2), since one strand of strands is branched into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es the second tendon (T2). In (S2), a branch passage in which one second main passage is divided into two is formed into a 2-1 sheath tube (S21) and a 2-2 sheath tube (S22), respectively.

한편, 제1메인 통로와 제1-1분기통로 및 제1-2분기통로는 제1-1쉬스관(S11)과 제1-2쉬스관(S12)을 적절히 접합 연결하는 것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1쉬스관(S11)과 제1-2쉬스관(S12)이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를 형성하고, 제1-1쉬스관(S11)과 제1-2쉬스관(S12)이 합쳐진 구간의 통로가 제1메인통로를 형성한다. 제1메인 통로와 제1-1분기통로 및 제1-2분기통로는 후술하는 텐던 분배기구(100)에 쉬스관(S11, S12)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in passage, the 1-1 branch passage, and the 1-2 branch passage may be formed only by properly bonding and connecting the 1-1 sheath pipe (S11) and the 1-2 sheath pipe (S12). have. In this case, the 1-1 sheath tube (S11) and the 1-2 sheath tube (S12) form the 1-1 branch path and the 1-2 branch path, and the 1-1 sheath tube (S11) The passage of the section where the and the 1-2 sheath pipe (S12) are combined forms the first main passage. The first main passage,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 second branch passage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heath pipes S11 and S12 are connected to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유사하게, 제2메인 통로와 제2-1분기통로 및 제2-2분기통로는 제2-1쉬스관(S21)과 제2-2쉬스관(S22)을 적절히 접합 연결하는 것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1쉬스관(S21)과 제2-2쉬스관(S22)이 제2-1분기통로와 제2-2분기통로를 형성하고, 제2-1쉬스관(S21)과 제2-2쉬스관(S22)이 합쳐진 구간의 통로가 제2메인통로를 형성한다. Similarly, the 2nd main passage, the 2-1 branch passage and the 2nd-2 branch passage are formed only by properly bonding and connecting the 2-1 sheath tube (S21) and the 2-2 sheath tube (S22). You may. In this case, the 2-1 sheath tube (S21) and the 2-2 sheath tube (S22) form the 2-1 branch path and the 2-2 branch path, and the 2-1 sheath tube (S21) The passage of the section where the and the 2-2 sheath pipe (S22) are combined forms a second main passag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4에 도시된 텐던 분배 기구(100)를 제1텐던 수용부(S1)와 제2텐던 수용부(S2)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텐던 분배 기구(100)는, 교량용 거더(1)의 콘크리트부(12)에 매립 설치되어 하나의 다발 형태의 텐던(T)을 2개 이상의 쉬스관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shown in FIG. 4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1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That is,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ncrete part 12 of the bridge girder 1 to distribute the tendon T in the form of a bundle into two or more sheath tubes. Do it.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던 분배기구(100)는 강연선 다발로 이루어진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을 2개 이상의 경로로 분배하며, 텐던(T1, T2)이 각각 관통하는 메인 통로(110p)를 형성하는 메인 튜브(110)와, 메인 통로(110p)로부터 분기되어 제1분기통로(121p)를 형성하는 제1분기튜브(121)와 메인 통로(110p)로부터 분기되어 제2분기통로(122p)를 형성하는 제2분기튜브(122)를 포함하는 다수의 분기 통로(121p, 122p)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4,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distributes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made of a bundle of strands in two or more paths, and the tendon (T1, T2) The main tube 110 forming the main passage 110p passing through, respectively,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main passage 110p branching from the main passage 110p to form the first branch passage 121p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21p, 122p) including a second branch tube 122 branching from and forming a second branch passage (122p).

여기서, 텐던 분배기구(100)는 메인 통로(110p)로부터 다수의 분기 통로(121p, 122p)로 분기된 분기 위치(Px)로부터 메인 통로(110p)의 입구(110e)를 향하여 연장된 안내 부재(130)와, 각각의 분기 통로(121p, 122p)를 형성하는 분기 튜브(121, 122)의 외주면 사이 공간을 채우는 응력집중 방지부재(140)와, 교량용 거더의 콘크리트부에 매립된 상태에서 분기 통로(121p, 122p)를 각각 통과한 텐던이 만나 메인 튜브(110)의 횡방향으로 팽창하는 힘이 작용하는 영역(TR)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 보강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is a guide member extending from the branch position Px branched from the main passage 110p to the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21p and 122p toward the inlet 110e of the main passage 110p ( 130),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40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forming each branch passage (121p, 122p), and the branching in a state embedded in the concrete part of the bridge gird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50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gion TR where the tendon passing through the passages 121p and 122p meets, and the force that expa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main tube 110 acts. .

제1텐던(T1) 및 이로부터 분기된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 제2텐던(T2) 및 이로부터 분기된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은 모두 다수의 강연선이 모인 다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텐던(T1)의 강연선수는 제1-1텐던(T11)의 강연선수와 제1-2텐던(T12)의 강연선수의 합과 같고, 제2텐던(T2)의 강연선수는 제2-1텐던(T21)의 강연선수와 제2-2텐던(T22)의 강연선수의 합과 같다. 제3텐던(T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기되지 아니한 기존의 텐던 배치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tendon (T1), the 1-1 tendon (T11) branched therefrom, the 1-2 tendon (T12), the second tendon (T2), and the 2-1 tendon (T21) branched therefrom The 2-2 tendon (T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bundle in which a number of strands are gathered. Accordingly, the lecture player of the first tendon (T1) is equal to the sum of the lecture player of the 1-1 tendon (T11) and the lecture player of the 1-2 tendon (T12), and the lecture player of the second tendon (T2) Is equal to the sum of the lecturers of the 2-1 tendon (T21) and the lecturers of the 2-2 tendon (T22). The third tendon T3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tendon arrangement that is not branch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omitt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텐던 분배기구(100)는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용 거더(1)의 콘크리트부(12)의 단부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편의상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에 설치되는 텐던 분배 기구의 도면부호를 '100'으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첨부된 다양한 실시 형태의 텐던 분배 기구를 제1텐던(T1)과 제2텐던(T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할 수 있다.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is installed in a form embedded in the end of the concrete part 12 of the bridge girder 1 as shown in FIGS. 2 and 3A. For convenience, the reference numeral of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is indicated as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may be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상기 메인 튜브(110)는 정착부(90)에 정착되는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이 모두 통과하도록 하나의 메인 통로(110p)를 형성한다. 메인 튜브(110)는 다양한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메인 튜브(110)의 입구(110e)를 포함한 단면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9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tube 110 forms one main passage 110p so that both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fixed in the fixing unit 90 pass through. The main tube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s, but the cross-section including the inlet 110e of the main tube 110 is formed in the same circular cross-section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xing unit 90 as shown in FIG. 8B. It is desirable.

여기서, 메인 튜브(110)의 입구(110e)는 정착부(90)의 트럼펫 부재(92)와 맞닿거나 결합되어, 메인 통로(110p)가 콘크리트부(12)와 격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메인 튜브(110)를 통과한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은 트럼펫 부재(92)와 정착구(9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앵커 헤드(93)에서 강연선 한가닥씩 쐐기 부재(미도시)에 의해 정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인 튜브(110)가 트럼펫 부재(92)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정착구(91)와 맞닿거나 결합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럼펫 부재 없이 메인 튜브(110)와 직경이 같은 쉬스관이 결합되고, 쉬스관이 정착구(91)와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inlet 110e of the main tube 110 abuts or is coupled to the trumpet member 92 of the fixing unit 90, so that the main passage 110p maintains a state isolated from the concrete unit 12.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passing through the main tube 110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trumpet member 92 and the anchoring unit 91, and a wedge member (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ube 110 is formed in an integral structure including the trumpet member 92 and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or coupled to the fixing unit 91.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eath tub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main tube 110 is coupled without a trumpet member, and the sheath tube may be installed in a form that is coupled to the fixing unit 91.

상기 분기 튜브(121, 122)는 메인 튜브(110)의 입구 반대측에서 2개 이상의 분기 통로(121p, 122p)를 형성하도록 메인 튜브(1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텐던 분배 기구(100)의 메인 튜브(110)를 통과한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일부는 각각 제1분기튜브(121)의 제1분기 통로(121p)를 통과하여 각각 제1-1쉬스관(S11)과 제2-1쉬스관(S21) 내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텐던 분배 기구(100)의 메인 튜브(110)를 통과한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의 다른 일부는 제2분기튜브(122)의 제2분기 통로(122p)를 통과하여 각각 제1-2쉬스관(S12)과 제2-2쉬스관(S22) 내에 설치된다.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re formed extending from the main tube 110 to form two or more branch passages 121p and 122p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main tube 110. Accordingly, a part of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passing through the main tube 110 of the tendon dispensing device 100 is respectively a first branch passage of the first branch tube 121 ( 121p) and installed in the 1-1 sheath tube (S11) and 2-1 sheath tube (S21), respectively, and passing through the main tube 110 of the different tendon distribution devices 100 ( Other portions of the T1 and the second tendon T2 pass through the second branch passage 122p of the second branch tube 122, respectively, and the 1-2 sheath tube S12 and the 2-2 sheath tube S22. ) Installed within.

여기서, 메인 튜브(110)를 통과한 텐던(T)을 2개의 분기 튜브로 분기시키는 강연선의 개수나 단면의 비율은 자유자재로 정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 ~ 2:1 의 비율로 분기 튜브로의 강연선의 개수를 조절하여, 콘크리트부(12)의 영역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량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number of strands or the ratio of the cross section that branch the tendon (T) passing through the main tube 110 into two branch tubes can be freely determined, for example, a ratio of 1:2 to 2:1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stranded wires in the furnace branch tube,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in each area of the concrete part 12 can be freely controlled.

텐던 분배기구(100)의 설치 방향과 분기 튜브(121, 122)의 각도(ang) 및 방향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거더(1)의 상측 정착부(90)에 연결된 텐던 분배기구(100)는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가 폭방향으로 분기되어, 메인 튜브(110)를 통과한 제2텐던(T2)은 폭방향으로 분기된 분기 튜브(121, 122)와 제2-1쉬스관(S21) 및 제2-2쉬스관(S22)으로 일부의 텐던(T21, T22)을 폭방향으로 분배한다.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and the angle (ang) and direction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may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2 and 3A,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art 90 of the PSC girder 1 has a first branch tube 121 and a second branch tube 122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tendon (T2) branching into and passing through the main tube 110 is branched tubes 121 and 122 branch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2-1 sheath tube (S21) and the 2-2 sheath tube (S22). ) To distribute some tendons (T21, T22) in the width direction.

여기서, 분기 튜브(121, 122)는 직접 쉬스관과 연결될 수도 있으며,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튜브(121, 122)의 끝단(121e, 122e)과 쉬스관(S11, S12, S21, S22)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부재(170)를 매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 부재(170)를 매개로 쉬스관(S11, S12, S21, S22)과 분기 튜브(121, 122)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170)는 각각의 분기 튜브(121, 122)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기 튜브(121, 122)와 쉬스관(S11, S12, S21, S22)의 단면 크기나 형상의 차이가 있더라도 원활한 연결을 할 수 있다. Here,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heath tube, and as shown in FIG. 6A, the ends 121e and 122e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nd the sheath tubes S11, S12, S21, S22) may be connected via a connection member 170 connecting each. When connecting the sheath pipes (S11, S12, S21, S22) and the branch tubes 121, 122 via the connection member 170, the connection member 170 is a part of each branch tube (121, 122). Can be considered. Through this,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ross-sectional size or shape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nd the sheath tubes S11, S12, S21, S22, a smooth connection can be made.

한편, 분기 튜브(121, 122)는 예각의 각도(ang)만큼 벌어진 형태로 메인 튜브(110)로부터 연장된다. 메인 튜브(110)와 분기 튜브(121, 122)가 이루는 각도는 메인 튜브(1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분기 튜브(121, 122)의 중심선이 교차하는 각도가 2.5도 ~ 10도 사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가 2.5도 보다 작으면 텐던 분배 기구를 구성하는 메인 튜브(110)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거나 분배 기구의 형상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각도가 10도보다 크면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인장력에 따른 텐던의 분기 지점에 수평 분력이 과대해지므로 콘크리트부에 인장응력이 증가하여 콘크리트의 국부적인 파손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에 따른 보강부재(150)의 필요량도 증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콘크리트부 단면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비경제적인 단면이 된다. 여기서 분배 각도 10도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분력 비율이 인장력 대비 18%를 나타내며 이는 텐던의 분기 지점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50)에 의해 충분히 제어가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extend from the main tube 110 in a form that is opened by an acute angle ang.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tube 110 and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is such that the angle at which the center lines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intersect with the center line of the main tube 110 is between 2.5 degrees and 10 degrees. It is desirable. If the angle is less than 2.5 degrees, the length of the main tube 110 constituting the tendon dispensing mechanism becomes too long or the shape of the dispensing mechanism cannot be formed. On the contrary, if the angle is greater than 10 degrees, the horizontal component force at the branch point of the tendon according to the tensile force increases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so the tensile stress increases in the concrete part,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local damage to the concrete, and thus the required amount of the reinforcing member 150 Will also increase. In some cases, the section of the concrete section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resulting in an uneconomical section. Here, the distribution angle of 10 degrees indicates that the ratio of the component force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prestress is 18% of the tensile force, which can be sufficiently controlled by the reinforcing member 150 disposed at the branch point of the tendon.

메인 튜브(110)와 분기 튜브(121, 122)가 결합된 몸체는, 강재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트럼펫 부재(9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플라스틱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라우팅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초고강도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 튜브(110)와 분기 튜브(121, 122)가 결합된 몸체는 전체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body in which the main tube 110 and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re combine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ing steel, the same material as the trumpet member 92, or may be formed of a plastic or resin material. hav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grouting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The body to which the main tube 110 and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re combined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인 튜브(110)는 입구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지만, 분기 튜브(121, 122)로 분기되는 위치(100y)에서는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분기 튜브(121, 122)로 분기되는 위치의 외표면을 곡면 형태로 형성하여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기되는 위치(100y)의 외표면은 원뿔형, 돔형, 타원형 등의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ube 110 has an inlet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formed in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t a position 100y branched into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and the branch tube 121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local stress by forming the outer surface at the location where it branches to 122) in a curved shape. 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ed position 100y may form a conical, dome, or elliptical surface.

즉, 메인튜브(110)는 입구(110e)로부터 축선 방향을 따라 단면이 원형으로 연장되는 입구 영역(iA)이 형성된다. 여기서, 입구 영역의 길이는 메인튜브(110)의 전체 길이의 30% ~ 90%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는 끝단(121e, 122e)으로부터 단면이 각각 원형으로 연장되는 끝단 영역(eA)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끝단 영역(eA)의 길이는 분기 튜브(121, 122)의 전체 길이의 30% ~ 100%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That is, the main tube 110 has an inlet area iA whose cross-section extends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110e. Here, the length of the entrance region may be variously determined from 30% to 90% of the total length of the main tube 110. Similarly,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have end regions eA whose cross-sections extend circularly from the ends 121e and 122e, respectively. Similarly, the length of the end region eA may be variously determined from 30% to 100% of the total length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그리고, 입구 영역(iA)과 끝단 영역(eA)의 사이에는, 메인 튜브(110)와 제1분기튜브(121) 및 제2분기튜브(122)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mA)이 형성된다. 연결 영역(mA)에서는 메인 튜브(110)가 원형 단면에서 타원형 단면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여, 타원형 단면으로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메인 튜브(110)가 제1분기튜브(121) 및 제2분기튜브(122)와 연결되는 위치에서는, 메인 튜브(110)의 타원형 단면의 단반경이 제1분기튜브(121) 및 제2분기튜브(122)의 직경과 동일하고, 메인 튜브(110)의 타원형 단면의 장반경은 대략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의 직경의 합과 동일해진다. In addition, a connection area mA to which the main tube 110 and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are connected is formed between the inlet area iA and the end area eA. In the connection area mA, the main tube 110 gradually changes from a circular cross-section to an elliptical cross-s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in an elliptical cross-section. Accordingly, in the position where the main tub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the short radius of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of the main tube 110 is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The diameter of the second branch tube 122 is the same, and the major radius of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of the main tube 110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sum of the diameters of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101)에 따르면, 도7 및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튜브(110)와 분기 튜브(120)가 결합된 몸체의 외표면과 내표면에는 부착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다수의 돌기(100a)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00a)는 구형,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표면의 돌기(100a)는 콘크리트부(12)와의 결합을 보조하며, 내표면의 돌기(100a)는 쉬스관과 텐던 분배기구(100)에 채워지는 그라우팅재(55)와의 결합을 보조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A, the main tube 110 and the branch tube 120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or attach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0a are formed as auxiliary mean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100a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or elliptical shape. The protrusion 100a on the outer surface assists the coupling with the concrete portion 12, and the protrusion 100a on the inner surface assists the coupling of the sheath tube and the grouting material 55 filled in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한편,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기 튜브(121, 122)의 사이에는 응력집중 방지부재(140)가 결합된다. 즉, 응력집중 방지부재(140)는 제1분기튜브(121)의 외주면과 제2분기튜브(122)의 외주면 사이를 채우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로 삼각뿔 형태로 끼워 결합시킬 수도 있고, 블록 형태로 끼울 수도 있으며, 텐던 분배 기구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적은 재료로 높은 저항 능력을 얻기 위하여 응력집중 방지부재(140)의 끝단에는 보다 큰 단면의 림(rim, 1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분기 튜브(121, 122)에 수용된 텐던에 인장력이 도입되면서 분기 튜브(121, 12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채워진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국부적 응력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40 is coupled between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40 is formed in a shape that fill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tube 122.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fitted in a triangular pyramid shape, may be inserted in a block shape,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a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 addition, a rim 142 having a larger cross-section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40 in order to obtain a high resistance ability with less materia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cal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occurring in the concrete filled in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while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tendon accommodated in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상기 보강 부재(150)는,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를 각각 통과한 텐던(예를 들어, T11과 T12; T21과 T22)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에서 서로 만나는 위치의 메인 튜브(110)을 감싸되, 메인 튜브(11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150 is, as shown in Figs. 6A and 6B, tendons passing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respectively (for example, T11 and T12; T21 and T22) is formed to surround the main tube 110 at a position where they meet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is introduced, an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tube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튜브(121)에 삽입된 텐던과 제2분기튜브(122)에 삽입된 텐던이 메인 튜브(110)에 모여 하나의 텐던을 형성한다. 편의상,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에 삽입된 강연선의 개수와 단면이 동일한 경우에, 메인 튜브(110)의 입구측에서 텐던에 인장잭으로 인장력(P)을 도입하면,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를 통과하는 텐던에는 P/2의 인장력이 도입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a tendon inserted in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a tendon inserted in the second branch tube 122 are gathered in the main tube 110 to form one tendon. For convenience, when the number and cross section of the strands inserted in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are the same, a tensile force (P) is introduced into the tendon at the entrance side of the main tube 110 by a tension jack. When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a tensile force of P/2 is introduced into the tendon.

이 때, 제1분기튜브(121)와 제2분기튜브(122)는 소정의 각도(ang)만큼 벌어져 있으므로, 각 분기 튜브(121, 122)의 텐던에 작용하는 인장력(P/2)에 대하여 분기 튜브(121, 122)의 벌어진 각도(ang)의 sine 성분의 1/2 크기의 분력(P1)이 각 분기 튜브(121, 122)를 통과한 텐던이 만나는 메인 튜브(110)의 일부 영역(TR)에서 메인 튜브(110)를 팽창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메인 튜브(110)는 콘크리트부(12)에 매립된 상태이므로, 분력(P1)에 의해 메인 튜브(110) 둘레의 콘크리트부(12)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여 파손될 여지가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are open by a predetermined angle (ang), the tensile force (P/2) acting on the tendon of each branch tube 121 and 122 A partial area of the main tube 110 where the tendon passing through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meets the component force P1 of 1/2 of the sine component of the spread angle ang of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 TR) acts as a force to expand the main tube 110. Since the main tube 110 is buried in the concrete part 12, there is a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a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concrete part 12 around the main tube 110 by the component force P1.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튜브(110)와 분기 튜브(121, 122)의 일부 이상의 길이에 걸쳐 그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보강 부재(150)를 설치한다. 여기서, 보강 부재(150)는 높은 강도 또는 강성을 갖는 강재, 철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 콘크리트의 반경 외측으로의 팽창하려는 힘을 저항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횡단면을 기준으로 폐합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형 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 부재(150)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reinforcing member 150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tube 110 and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is provided over a portion of the length or more. Here, the reinforcing member 150 may be formed of a steel material, reinforcing bar, etc. having high strength or rigidity, and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that resists the force to expand outside the radius of the circumferential concret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as a closed cross section based on the cross s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B, a rectangular cross-section may be formed, or a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form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some cases, the reinforcing member 150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보강 부재(150)는 메인 튜브(1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다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을 이루는 보강 부재(150)는 연결체(152)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조립 및 설치의 편의와 보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e reinforcing member 15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form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tube 110, and the reinforcing members 150 forming a plurality of row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connector 152 to be assembled an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reinforcement effect can be increased.

이와 같이 각 분기 튜브(121, 122)를 통과한 텐던이 만나는 메인 튜브(110)의 일부 영역(TR)을 보강 부재(150)로 이격되게 감싸는 것에 의해, 보강 부재(150)와 메인 튜브(110)의 바깥에 배치된 콘크리트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텐던에 도입된 인장력에 의한 분력(P1)에 의해 메인 튜브(110)에 국부적으로 팽창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보강 부재(150)에 의해 지지되는 내력(R)에 의해 분력(P1)을 저항하므로, 팽창 영역(TR)의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에 따른 균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inforcing member 150 and the main tube 110 are spaced apart by surrounding a partial region TR of the main tube 110 where the tendons passing through the branch tubes 121 and 122 meet each other with the reinforcing member 150. ), because the concrete placed outside of) is in a firmly fixed state, even if a force that locally expands to the main tube 110 acts by a component force (P1) by a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tendon, the reinforcing member 150 Since the component force (P1) is resisted by the internal force (R) supported by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 damage due to tensile stress occurring in the concrete in the expansion region (TR).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던 분배 기구(100, 101, ...)를 이용하여 제1텐던 수용부(S1)와 제2텐던 수용부(S2)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메인 통로가 2개 이상의 분기 통로로 분기되는 구성을 보다 쉽게 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2) are formed using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101, ...)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e main passage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ranche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re easily configuring the structure branching into the passage.

즉, 제1텐던 수용부(S1)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E2)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메인 튜브(110)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 통로(110p)와,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메인 통로(110p)를 분기된 형태로 연결하는 제1-1분기통로 및 제1-2분기통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1-1분기통로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제1분기튜브(121)와 제1-1쉬스관(S11)으로 이루어져 제1-1텐던(T11)을 수용하고, 제1-2분기통로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제2분기튜브(122)와 제1-2쉬스관(S12)으로 이루어져 제1-2텐던(T12)을 수용한다. That is,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S1) is, by using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12, respectively,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The main passage 110p formed by the main tube 110 of the arranged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and the main passage 110p formed by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It is formed by the 1st-1st branch passage and the 1st-2nd branch passage connecting) in a branched form. Here, the 1-1 branch passage is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1-1 sheath tube (S11)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respectively. The second branch tube 122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branch passageway is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section 12, respectively. And a 1-2 sheath tube (S12) to accommodate the 1-2 tendon (T12).

이와 유사하게, 제2텐던 수용부(S2)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E2)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메인 튜브(110)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 통로(110p)와,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메인 통로(110p)를 분기된 형태로 연결하는 제2-1분기통로 및 제2-2분기통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2-1분기통로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E2)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제1분기튜브(121)와 제2-1쉬스관(S21)으로 이루어져 제2-1텐던(T21)을 수용하고, 제2-2분기통로는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과 타단(E2)에 각각 배치된 텐던 분배 장치(100)의 제2분기튜브(122)와 제2-2쉬스관(S22)으로 이루어져 제2-2텐던(T22)을 수용한다. Similarly,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uses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12, respectively, and The main passage 110p formed by the main tube 110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the other end, and the main passage formed by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It is formed by the 2-1 branch passage and the 2nd-2 branch passage connecting (110p) in a branched form. Here, the 2-1 branch passage is the first branch tube 121 and the 2-1 sheath tube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section 12, respectively. S21) to receive the 2-1 tendon (T21), and the 2nd-2 branch passageway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disposed at one end (E1) and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12,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second branch tube 122 and a 2-2 sheath tube (S22) to accommodate the 2-2 tendon (T22).

도면에는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에 각각 텐던 분배 장치(100)가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크리트부(12)의 일단부에만 텐던 분배 장치(100)가 적용될 수도 있다. In the draw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is illustrated,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 is only at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12 It can also be appl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경로를 갖는 텐던을 하나로 모으거나 분기시키는 텐던 분배 기구(100, 101, ...)를 포함하여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부(12) 내에 동일한 양과 동일한 열로 텐던을 배치하더라도, 정착부(90)의 개수를 종래에 비하여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부(12)의 양단에 배치된 정착부(90) 사이의 상하 간격을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거더의 형고(H)를 낮출 수 있고, 강합성 거더의 콘크리트부의 단면을 줄이게 되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including a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101, ...) for gathering or branching tendons having two or more paths into one, so that within the concrete part 12 Even if tendons are arranged in the same amount and in the same row, the number of fixing units 9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rough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fixing units 9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unit 12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t is possible to lower the mold height (H) of the concrete girde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part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By reducing the amount, economic feasibility can be improved.

이 뿐만 아니라, 텐던 분배 기구(100, 101,...)에 의해 2열 이상의 텐던 이 1열로 통합되므로, 통합된 1열의 텐던을 하나의 잭으로 동시에 긴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이와 동시에, 거더 단면의 복부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 텐던(T11,T12, T21,T22)을 정착구에서 하나의 텐던(T1, T2)으로 동시에 긴장하여 정착하므로, 단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텐던의 완벽하게 대칭을 이루는 구조계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대칭으로 배치된 텐던(예를 들어, T11, T12; T21, T22)에서의 마찰 손실, 탄성 수축 손실이 같아지므로 종방향 위치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량이 단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좌,우 동일해져 콘크리트 거더의 횡만곡(횡변형) 현상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wo or more rows of tendons are integrated into one row by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101, ...,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tension the integrated one row of tendons with one jack. Through this, the time required for the prestress introduction work is shortened, and at the same time, tendons (T11, T12, T21, T22)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domen of the girder section are placed in one tendon (T1, T2) at the same time tension and fixation, forming a structural system that is perfectly symmetrical of tend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ross section, as well as friction loss in tendons arranged symmetrically (for example, T11, T12; T21, T22) , Since the elastic shrinkage loss is the same,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same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cross section, thereby obtaining an advantageous effect of preventing the lateral curvature (transverse deformation) of the concrete girder.

더욱이, 인장력을 도입하는 횟수가 종래에 비하여 줄어들기 때문에, 일부 텐던(예를 들어, T2)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후 그 다음 텐던(예를 들어, T1)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프리스트레스의 양을 줄일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number of times to introduce the tensile forc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the prestress los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prestress to the next tendon (e.g., T1) after introducing the prestress with some tendons (for example, T2). The amount of can be reduc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던 분배 기구(100, 101,...)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강합성 거더(2)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eel composite girder 2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00,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describing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gist of the second embodiment In order to clarify,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편의상 도면에는 제1텐던(T1)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 텐던 분배 기구의 도면부호를 '100A'로 표시하고, 제2텐던(T2)을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 텐던 분배 기구의 도면부호를 '100B'로 표시되어 있다. For convenience, in the drawings, the reference number of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first tendon (T1) is indicated as '100A', and the reference number of the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installed to accommodate the second tendon (T2) is indicated as '100B'. Marked.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C거더(2)는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단면 중립축 하측에 절취부(14z)가 형성되어, PSC 거더(2)가 교대나 교각에 거치된 상태에서 절취부(14z)의 높이만큼 형고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PSC gird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utouts 14z formed below the cross-sectional neutral axis of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so that the PSC girder 2 is It is different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lowering the mold height by the height of the cutout portion 14z in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an abutment or pier.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2)는 제2텐던(T2)이 일단(E1)에서는 제2-1텐던(T21) 및 제2-2텐던(T22)으로 분기되지만, 타단(E2)에서는 분기된 제2-1텐던(T21) 및 제2-2텐던(T22)이 합쳐지지 않고 각각 정착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1텐던(T1)은 타단(E2)에서는 제1-1텐던(T11) 및 제1-2텐던(T12)으로 분기되지만, 일단(E1)에서는 분기된 제1-1텐던(T11) 및 제1-2텐던(T12)이 합쳐지지 않고 각각 정착된다.In addition, in the PSC gird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endon T2 is branched into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at one end (E1), The other end E2 differs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branched 2-1 tendons T21 and 2-2 tendons T22 do not merge and are fixed respectively. Likewise, the first tendon T1 is branched to the 1-1 tendon (T11) and the 1-2nd tendon (T12) at the other end (E2), but the 1-1 tendon (T11) branched at the end (E1). And the 1-2 tendons T12 are not combined and are respectively fix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 일단(E1)의 제2-1정착높이(H21)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제2-2정착높이(H21)에 위치한 최하측 정착부까지 완만한 곡률을 이루면서 제2텐던 수용부(S2)에 배치된다. 즉,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일단(E1)의 제2-1정착높이(H21)에 위치한 정착부(90)로부터 경간 중앙부까지 하향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경간 중앙부에서는 중립축 하연인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단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2텐던(T2)은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타단(E2)까지는 일정한 높이로 배치되거나 완만한 경사를 갖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배치되어 콘크리트부 타단(E)의 제2-2정착높이(H22)에 위치한 최하측 정착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2-2정착높이(H22)에 위치한 정착부(90)는 콘크리트부(12)의 단면 중립축 하측을 포함하는 절취부(14z)에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ndon T2 is the second tendon of the concrete part 12 from the 2-1 settling height H21 of the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1.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2 while forming a gentle curvature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located at the 2nd-2nd fixing height H21 of the other end E2. That is, the second tendon (T2) is arranged in a form downward from the fixing part 90 located at the 2-1 fixing height (H21) of the one end (E1) of the PSC girder (1) to the center of the span. It passes through the concrete section of the lower flange, which is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In addition, the second tendon (T2)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ther end (E2) of the girder, or is arranged upward or downward with a gentle slope to the second end of the concrete part (E). -2 It extends to the lowest fixing part located at the fixing height (H22). Here, the fixing part 90 located at the 2-2 fixing height H22 is formed in the cut-out part 14z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cross-sectional neutral axis of the concrete part 12.

즉, 제2텐던(T2)은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정착부(90)에서는 하나의 강연선 다발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으로 2개의 강연선 다발로 나뉘어 횡단면 중심축(Cx)을 기준으로 복부(14b)의 양측에 서로 다른 열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부(12)에 대칭으로 배열되게 내설된다. That is, the second tendon (T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trand of strands in the fixing portions 90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but as shown in FIG. 11, the 2-1 tendon (T21) and the second tendon (T21) The 2-2 tendon (T22) is divided into two strands of strands, and is built to b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concrete part 12 while forming different rows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14b based on the cross-sectional central axis (Cx).

이를 위하여, 제2텐던 수용부(S2)는 텐던 분배 장치(100B)의 제1분기튜브(도4의 121)와 제2분기튜브(도4의 122)에 각각 제2-1쉬스관(S21)과 제2-2쉬스관(S22)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분기된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을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2-1분기통로와 제2-2분기통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2-1분기통로는 텐던 분배 장치(100B)의 제1분기튜브(도4의 121)와 제2-1쉬스관(S21)로 이루어지고, 제2-2분기통로는 텐던 분배 장치(100B)의 제2분기튜브(도4의 122)와 제2-2쉬스관(S22)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S2 is a 2-1 sheath tube (S21) in the first branch tube (121 in FIG. 4)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in FIG. 4)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B. ) And the 2-2 sheath tube (S22) are formed to be connected, so that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in which one strand of strands are branche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formed to branch into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second second branch passage. That is, the 2-1 branch passage is made of the first branch tube (121 in Fig. 4) and the 2-1 sheath tube (S21)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B, and the second second branch passage is a tendon distribution device. It consists of a second branch tube of (100B) (122 in Fig. 4) and a 2-2 sheath tube (S22).

여기서, 제2텐던(T2)은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으로 동일한 단면의 강선이 동일한 개수로 균등 분배되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양을 균등하게 도입된다. Here, the second tendon (T2) is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and the same number of steel wires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is equally distributed, so that the 2-1 tendon (T21) and the second tendon (T21) -2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by tendon (T22) is introduced evenly.

제1텐던(T1)은 PSC거더(1)의 콘크리트부 타단(E2)의 제1-2고정위치(H12)의 정착부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1-1정착높이(H11)에 위치한 최하측 정착부까지 완만한 곡률을 이루면서 제1텐던 수용부(S1)에 배치된다. 즉, 제1텐던(T1)은 PSC거더(1)의 타단(E2)의 제1-2정착높이(H12)에 위치한 정착부(90)로부터 경간 중앙부까지 하향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경간 중앙부에서는 중립축 하연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 단면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1텐던(T1)은 PSC거더(1)의 경간 중앙부로부터 거더의 일단(E1)까지는 일정한 높이로 배치되거나 완만한 경사를 갖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배치되어 일단(E1)의 제1-1정착높이(H11)에 위치한 최하측 정착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1-1정착높이(H11)의 정착부(90)는 콘크리트부(12)의 단면 중립축 하측을 포함하는 절취부(14z)에 형성된다. The 1st tendon (T1) is the 1st 1st fixing height of the 1st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from the fixing part 1-2 fixed position (H12)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of the PSC girder (1) It is dispos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while forming a gentle curvature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located at (H11). That is, the first tendon (T1) is arranged in a form downward from the fixing part 90 located at the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E2) of the PSC girder (1) to the center of the span. It passes through the concrete cross section of the lower flange of the neutral axis. In addition, the first tendon (T1) is arrang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PSC girder (1) to the one end (E1) of the girder, or is arranged upward or downward with a gentle slope, so that the 1-1 of the end (E1) It extends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located at the fixing height H11. Here, the fixing portion 90 of the 1-1st fixing height H11 is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14z including the lower side of the cross-sectional neutral axis of the concrete portion 12.

즉, 제1텐던(T1)은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정착부(90)에서는 하나의 강연선 다발 형태로 형성되지만,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으로 2개의 강연선 다발로 나뉘어 횡단면 중심축(Cx)을 기준으로 복부(14b)의 양측에 서로 다른 열을 형성하면서 콘크리트부(12)에 대칭으로 배열되게 내설된다. That is, the first tendon T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strand of strands in the fixing portions 90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but as shown in FIG. 11, the 1-1 tendon T11 and the first tendon T11 It is divided into two bundles of strands of 1-2 tendons (T12) to form different rows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14b)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x) of the cross section, and is installed to be symmetrically arranged in the concrete part (12).

이를 위하여, 제1텐던 수용부(S1)는 텐던 분배 장치(100A)의 제1분기튜브(도4의 121)와 제2분기튜브(도4의 122)에 각각 제1-1쉬스관(S11)과 제1-2쉬스관(S12)이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나의 강연선 다발이 분기된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을 각각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1분기통로는 텐던 분배 장치(100A)의 제1분기튜브(도4의 121)와 제1-1쉬스관(S11)로 이루어지고, 제1-2분기통로는 텐던 분배 장치(100A)의 제2분기튜브(도4의 122)와 제1-2쉬스관(S12)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is a 1-1 sheath tube S11 in the first branch tube (121 in FIG. 4) and the second branch tube (122 in FIG. 4)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A. ) And the 1-2 sheath tube (S12) are formed to be connected, so that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from which one strand of strands are branched are respectiv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formed to branch into the 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 second branch passage. That is, the 1-1 branch passage is made of the first branch tube (121 in Fig. 4) and the 1-1 sheath tube (S11) of the tendon distribution device 100A, and the first-2 branch passage is a tendon distribution device. It consists of a second branch tube of 100A (122 in Fig. 4) and a 1-2 sheath tube S12.

여기서, 제1텐던(T1)은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으로 동일한 단면의 강연선이 동일한 개수로 균등 분배되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에 의해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양을 균등하게 도입된다. Here, the first tendon (T1) is the 1-1 tendon (T11) and the 1-2 tendon (T12), and the strands of the same cross-section are equally distributed in the same number, so that the 1-1 tendon (T11) and the first tendon (T11) -2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by tendon (T12) is introduced evenly.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4u는 거더를 거치하기 위한 솔 플레이트이다. In the drawings,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4u is a sole plate for mounting the gird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C거더(2)는,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의 단면 중립축 하측에 절취부(14z)를 형성함에 따라, 교각이나 교대에 거치된 상태에서의 형고를 보다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SC girder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tate where cutouts 14z are formed below the cross-sectional neutral axis of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You can get the effect of lowering your sentence.

이 뿐만 아니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 일단(E1)의 절취부(14z)에 제1텐던(T1)이 정착되고, 콘크리트부 타단(E2)의 절취부(14z)에 제2텐던(T2)이 정착됨에 따라,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의 텐던(T1, T2)에 의해 콘크리트부의 양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콘크리트부(14)의 양단부에서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뿐만 아니라, 실제로 PSC거더(2)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BMDr)에 보다 근접한 모멘트(BMDp)를 도입하여 공용 중 작게 작용하는 양단부에 불필요한 부분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계단 형태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tendon T1 is fixed in the cutout 14z of the concrete part E1, and the second tendon T1 is fixed in the cutout 14z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As the tendon (T2) is settl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damage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4 by dispersing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on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by the tendon (T1, T2) in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 was introduced. Is obtained.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moment (BMDp) closer to the bending moment (BMDr) that actually acts on the PSC girder (2), it prevents prestress from being introduced into unnecessary parts at both ends that act small during common use, and prevents step-shaped prestress. The effect of introducing can also be obtain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1, 2)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1, 2) for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단계 1: 도2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미리 정해진 제1-2정착높이(H12)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최하측 정착부가 위치하는 제1-1정착높이(H11)까지 연장되도록 제1텐던 수용부(S1)를 설치하되, 거더의 경간 중앙부에서는 중립축 하연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12c) 단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1텐던 수용부(S1)와 경간 중앙부를 기준으로 교축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2-1정착높이(H21)로부터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최하측 정착부가 위치하는 제2-2정착높이(H22)까지 연장되도록 제2텐던 수용부(S2)를 설치한다. Step 1 : As shown in Figs. 2 and 10, the lowermost side of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from a predetermined 1-2 fixing height (H12)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12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1-1 fixing height (H11) where the fixing part is located, but at the center of the span of the girder, it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ross section of the lower flange concrete 12c of the lower edge of the neutral axis. In addition,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S1) and the span center part of the concrete part 12 from the 2-1 settling height (H21) of the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to be symmetrical in the axis direction A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2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to a 2-2 fixing height H22 where the lowermost fixing part of the other end E2 is located.

만일,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 제1텐던과 제2텐던만이 존재한다면,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최하측 정착부에는 제1텐던 수용부(S1)가 연결되고 일단(E1)의 상측 정착부에는 제2텐던 수용부(S2)가 연결된다. 이와 반대로 콘크리트부의 타단(E2)의 최하측 정착부에는 제2텐던 수용부(S2)가 연결되고 타탄(E2)의 상측정착부에는 제1텐던 수용부(S1)가 연결된다.If only the first tendon and the second tendon exist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is connected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of the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2 is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art of one end E1. On the contrary,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2 is connected to the lowermost fixing part of the other end E2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S1 is connected to the upper measuring part of the tartan E2.

여기서, 제1텐던 수용부(S1)와 제2텐던 수용부(S2)는 쉬스관의 끝단부분을 접합하여 메인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술한 텐던 분배 기구(100, 101,...)를 이용하여 메인통로와 분기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1)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2) may form a main passage by joining the ends of the sheath tube, and the tendon dispensing mechanisms (100, 101, ...) described above. The main passage and the branch passage may be formed by using.

부가적으로 텐던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제3텐던 수용부(S3)를 설치할 수도 있다.If additional tendon installation is required, a thir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S3 shown in FIG. 2 may be installed.

텐던 수용부(S1, S2,...)의 설치 이전 또는 이후에, 콘크리트부(12)가 형성되는 위치에 철근을 배근한다.Before or after installation of the tendon receiving portions (S1, S2,...), the reinforcing bar is reinfor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crete portion 12 is formed.

단계 2: 단계 1이 행해지기 이전 또는 이후에, 콘크리트부(12)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부(12)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중립축 하측에 절취부(14z)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절취부(14z)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거푸집을 설치한다. Step 2 : Before or after Step 1 is performed, a formwork (not shown) for forming the concrete part 12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of forming cutouts 14z below the neutral axis at one or more of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12, the formwork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cutouts 14z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Install.

단계 3: 그리고 나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양생시킨다.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거푸집의 형상대로 콘크리트부(12)가 도2 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다. Step 3 : Then, the unhardene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to cure the concrete. When the concrete is cured to sufficient strength, the formwork is removed. Accordingly, the concrete portion 12 is molded as shown in Fig. 2 or 10 in the shape of the formwork.

단계 4: 그리고 나서, 제1텐던(T1)을 제1텐던 수용부에 설치하고, 제2텐던(T2)을 제2텐던 수용부에 설치한다. 텐던의 설치는 텐던을 구성하는 다수의 강연선을 하나씩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Step 4 : Then, the first tendon (T1) is install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unit, and the second tendon (T2) is install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unit. The tendon is installed by inserting a number of strands that make up the tendon one by one.

단계 5: 콘크리트부(12)의 일단(E1)의 제1텐던(T1)의 끝단과 타단(E2)의 제2텐던(T2)의 끝단을 정착부(90)에서 텐던을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부(12)의 타단(E2)의 제1텐던(T1)의 끝단과 일단(E1)의 제2텐던(T2)의 끝단에 인장잭을 설치하여 제1텐던(T1)과 제2텐던(T2)을 순차적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을 도입한다. Step 5 : Fix the tendon in the fixing part 90 by fixing the end of the first tendon (T1) of one end (E1) of the concrete part 12 and the end of the second tendon (T2) of the other end (E2), The first tendon (T1) and the second tendon (T2) by installing a tension jack at the end of the first tendon (T1) of the other end (E2) of (12) and the end of the second tendon (T2) of one end (E1) Introduce a tensile force that pulls out sequentially.

하나의 다발인 제1텐던(T1)에 인장잭으로 인장력을 도입하면,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에도 인장력이 동시에 도입되므로, 텐던의 좌우 비대칭, 인장력 도입 순서 등에 따른 좌우 텐던의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량 차이가 발생되어 횡방향으로의 변형(횡만곡)이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장잭으로 2개의 제1-1텐던(T11)과 제1-2텐던(T12)이 동시에 긴장되므로, 단면의 수직축에 대하여 텐던이 완벽하게 대칭이 되면서, 콘크리트 거더에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에 발생하는 횡만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칭으로 배치된 텐던의 마찰 손실, 탄성 수축 손실이 동일하므로, 종방향의 위치별 프리스트레스의 도입력이 일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인장력을 도입하는 정착부(90)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하나의 인장잭으로도 간편하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고,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필요한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endon (T1), which is a bundle, with a tension jack, the tensile force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to the 1-1 tendon (T11) and the 1-2nd tendon (T12), so the left and right asymmetry and tensile force of the tendon are introduced.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restress introduc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tendons according to the order or the like occurs, thereby preventing a conventional problem in which a transverse deformation (lateral curvature) has occurred. In other words, since two 1-1 tendons (T11) and 1-2 tendons (T12) are simultaneously tensioned with one tension jack, the tendons are perfect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of the section, and when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girder. It can prevent the lateral curvature that occurs in In addition, since the friction loss and elastic contraction loss of the tendons arranged symmetrically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introduction force of prestress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sistent.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fixing units 90 for introducing a tensile forc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easily introduce prestress with a single tensile jack,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required for introducing the prestress.

마찬가지로, 하나의 다발인 제2텐던(T2)에 인장잭으로 인장력을 도입하면, 제2-1텐던(T21)과 제2-2텐던(T22)에도 인장력이 동시에 도입되므로, 횡만곡 현상을 억제하면서 텐던의 마찰 손실, 탄성 수축 손실이 종방향으로의 위치별로 프리스트레스 도입량이 횡단면에 대해 일치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when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tendon (T2), which is a bundle, with a tension jack, the tensile force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to the 2-1 tendon (T21) and the 2-2 tendon (T22), thereby suppressing the lateral curva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friction loss and elastic contraction loss of tendon coincide with the cross section of the prestress introduction amount for eac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단계 6: 텐던에 의해 콘크리트부(12)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 주입구를 최하측의 정착구(91)에 설치하고, 그라우트 배출구를 상측의 정착구(91)에 설치하여, 그라우트 주입구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텐던 수용부의 내부 공간을 충전한다. Step 6 : Whe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part 12 by the tendon, as shown in Fig. 9, the grout inlet is installed in the lowermost fixing unit 91, and the grout outlet is installed in the upper fixing unit 91 Thus, grout is injected through the grout injection port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tendon receiving portion.

텐던 정착구의 위치가 콘크리트부(12)의 일단과 타단에서 높이 편차를 두어 배치되므로, 그라우트(55)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쉬스관 내로 높이 편차에 의한 수두 압력 작용에 의해 그라우트를 밀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Since the location of the tendon anchorage is arranged with a height differe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12, the grout can be tightly filled by the head pressure action due to the height deviation into the sheath tube during the filling process of the grout 55.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 구성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포함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figurations made only of some configu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예를 들어,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중앙부가 I자형 단면의 콘크리트부로 구성된 거더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U자 단면 등 다양한 단면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텐던에 의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에 대해서는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횡단면 중심축'은 거더의 복부 뿐만 아니라 거더 횡단면의 좌우 방향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이 되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횡중심 수직단면'은 횡단면 중심축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평면으로 해석된다.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 girder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composed of a concrete portion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of various cross-sections such as a U-shaped cross-sec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of the prestressed girders for bridges that include a concrete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stress is introduced by a tendon. In this case, the'cross-sectional central ax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becomes a central axis transverse to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irder cross section as well as the abdomen of the gird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transverse center of gravity'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vertical section' is interpreted as a plane extending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 2: 교량용 PSC 거더 12: 콘크리트부 55: 그라우트 90: 정착부
100, 101, 100A, 100B: 텐던 분배 기구
110: 메인 튜브 110p: 메인 통로
121: 제1분기튜브 122: 제2분기튜브
140: 응력집중 방지부재 150: 보강 부재
1, 2: PSC girder for bridge 12: Concrete part 55: Grout 90: Fixing part
100, 101, 100A, 100B: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110: main tube 110p: main passage
121: first branch tube 122: second branch tube
140: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50: reinforcing member

Claims (13)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로서,
철근이 내부에 배근된 콘크리트부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1-2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1-1정착높이로 연장된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제1텐던과;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2-1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2-2정착높이로 연장된 제2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수용되어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제2텐던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에서의 상기 제2-1정착높이는 상기 제1-1정착높이보다 높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에서의 상기 제1-2정착높이는 상기 제2-2정착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As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s,
A concrete part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laid inside;
A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extending from the 1-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to the 1-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A first tendon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ortion;
A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extending from a 2-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to a 2-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A second tendon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ortion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to introduce prestress to the concret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rein the 2-1 fixing height at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1-1 fixing height, and the 1-2 fixing height at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2-2 fixing height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정착높이와 상기 제2-2정착높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착높이는 최하측 정착부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1-1 fixing height and the 2-2 fixing height is a position of the lowermost fix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는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단면 중립축 하측의 일부 이상이 절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rete part is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has a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ross-sectional neutral axis is cut of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하나의 제1메인 통로가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로 분기되어 상기 제1텐던이 분기된 제1-1텐던과 제1-2텐던이 각각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에 수용되되,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One first main passage is branched into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and the first-first tendon and the first-second tendon from which the first tendon is branched are respectively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s. And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is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ncret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통로는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가 상기 콘크리트부의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는 하나의 제1메인 통로로 다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main passage is di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exp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are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erged back into one first main passage.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각각 매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메인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제1-1분기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분기튜브 및 상기 메인 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제1-2분기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분기튜브를 구비한 텐던 분배 기구와;
상기 제1분기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1분기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1쉬스관과;
상기 제2분기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2분기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2쉬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A first branch tube installed to be buried at any one or more ends of the concrete part, respectively, and forming a part of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assage and the main tube forming the first main passage And a tendon distribution device including a second branch tube forming a part of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assage.
A 1-1 sheath tube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tube to form a remaining part of the 1-1 branch passage;
A 1-2 sheath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ube to form a remaining part of the first-2 branch passage;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던에 인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제1-1분기통로에 수용된 제1-1텐던과 상기 제1-2분기통로에 수용된 상기 제1-2텐던이 만나는 위치에서 상기 메인 튜브의 외주면을 상기 콘크리트부에 매립된 상태로 이격되게 둘러싸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6,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tendon, the first tendon accommodated in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tendon accommodated in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meet each other of the main tube. A reinforcing member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paced apart while being buried in the concrete part;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튜브와 상기 제1분기튜브가 이루는 각도와, 상기 메인 튜브와 상기 제2분기튜브가 이루는 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메인 튜브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2.5도 내지 10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The method of claim 6,
Any one or more of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tube and the first branch tub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tube and the second branch tube is 2.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main tube.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으로서,
콘크리트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철근을 배근하는 철근배근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1-2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1-1정착높이로 연장되도록 제1텐던 수용부를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의 제2-1정착높이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의 제2-2정착높이로 제2텐던 수용부를 설치하되,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에서의 상기 제2-1정착높이는 상기 제1-1정착높이보다 높고, 상기 콘크리트부의 타단에서의 상기 제1-2정착높이는 상기 제2-2정착높이보다 높도록 상기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를 설치하는 텐던수용부 설치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상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형성단계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에 제1텐던을 수용시키고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제2텐던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텐던과 상기 제2텐던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정착하여 상기 콘크리트부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단계와;
상기 제1텐던 수용부와 상기 제2텐던 수용부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트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for bridges,
Reinforcement reinforcement step of reinforcing reinforcement at the location where the concrete part is formed;
A first tendon receiving part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from the 1-2 fixing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to the 1-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from the 2-1 fixing height of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nstall a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at a 2-2 fixing height of, wherein the 2-1 fixing height at one end of the concrete part is higher than the 1-1 fixing height, and the 1-2 at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A tendon accommodating par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fixing height is higher than the 2-2 mounting height;
A formwor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part;
A concrete forming step of curing concrete by pouring unhardened concrete into the formwork to form the concret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nd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tendon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tendon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tendon accommodating part, the concrete part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tendon and the second tendon. A pre-stress introduction step of introducing pre-stress to;
A grout injection step of injecting grout to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tendon receiving por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이 상기 콘크리트부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중립축 하측에 절취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형성단계는,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절취부가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formwork,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a shape in which at least one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ncrete part forms a cutout under the neutral axis;
The concrete forming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part is formed by pouring unhardened concrete into the formwork.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하나의 제1메인 통로가 제1-1분기통로와 제1-2분기통로로 분기되어 상기 제1텐던이 분기된 제1-1텐던과 제1-2텐던이 각각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에 수용되되,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횡단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One first main passage is branched into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and the first-first tendon and the first-second tendon from which the first tendon is branched are respectively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s. And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The first tendon receiving por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ly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oss-section of the concrete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통로는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가 상기 콘크리트부의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분기되고, 상기 제1-1분기통로와 상기 제1-2분기통로는 하나의 제1메인 통로로 다시 합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main passage is di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exp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crete part, and the first-first branch passage and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ar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mbined into one first main passage.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텐던 수용부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단부에 각각 매립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메인 통로를 형성하는 메인 튜브와, 상기 메인 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제1-1분기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분기튜브 및 상기 메인 통로와 연통하는 상기 제1-2분기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분기튜브를 구비한 텐던 분배 기구와;
상기 제1분기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1분기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1쉬스관과;
상기 제2분기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2분기통로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하는 제1-2쉬스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The first tendon receiving part,
A main tube provided to be buried at both ends of the concrete part, the main tube forming the first main passage, and a first branch tube and the main passage forming a part of the 1-1 branch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assage A tendon distribution mechanism having a second branch tube forming a part of the first-second branch passage in communication;
A 1-1 sheath tube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tube to form a remaining part of the 1-1 branch passage;
A 1-2 sheath tube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tube to form a remaining part of the first-2 branch passag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a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KR1020190123585A 2019-10-07 2019-10-07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2209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5A KR102209189B1 (en) 2019-10-07 2019-10-07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85A KR102209189B1 (en) 2019-10-07 2019-10-07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189B1 true KR102209189B1 (en) 2021-01-29

Family

ID=7423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85A KR102209189B1 (en) 2019-10-07 2019-10-07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1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657B1 (en) * 2022-08-04 2023-04-25 이승호 A manufactuing method of concrete gir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19B1 (en) * 2005-06-11 2006-01-31 (주)삼현피에프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KR101178737B1 (en) * 2011-05-06 2012-08-31 홍석희 Continuous structure of composite psc girder using prestress at section changing girder height of lower center as straight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122928A (en)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hybrid tend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6321B1 (en) * 2015-06-23 2016-11-17 구호원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girder using mono-strand j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19B1 (en) * 2005-06-11 2006-01-31 (주)삼현피에프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KR101178737B1 (en) * 2011-05-06 2012-08-31 홍석희 Continuous structure of composite psc girder using prestress at section changing girder height of lower center as straight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122928A (en)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hybrid tend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6321B1 (en) * 2015-06-23 2016-11-17 구호원 Prestressing tendon layouts for prestressed girder using mono-strand j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girder bridg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657B1 (en) * 2022-08-04 2023-04-25 이승호 A manufactuing method of concrete gir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160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125673B1 (en) Structure of a precast diaphragm for mak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making the girder thereof
KR100754789B1 (en) Prestressed composition gird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ntinuous girder used by the composition unit girder
KR100885663B1 (en)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cross-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21341B1 (en) Open type prestressed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2209189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043239B1 (en) Prestressed segment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52101A (e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slab for cable bridge
JP6567965B2 (en) Joint structure of PCa slab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79574B1 (en) Composite multi-cap for finishing fixture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KR100892617B1 (en)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concrete slab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035966B1 (en) Tendon distributing device used in bridge girder and composite girder for bridge using the same
KR101495729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Assembly Box
KR102206157B1 (en) Prestressed girder for bridge and method of manuafacturing thereof
KR102341972B1 (en) Strand distribution apparatus and psc girder in which the strand distribution apparatus applited t0
KR101725734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91522B1 (en) Outer steel wire fixing apparatus with double wedge anchorage and eccentricity adjustable saddle, and outer steel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1648B1 (en)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hybrid tend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28699B1 (en) Prestressed girder
KR102206777B1 (en) Top-opened single-span steel composite girder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101181160B1 (en)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beam having efficient prestressing anchorage structure
KR20140139703A (en) Steel Connector Between Precast Segments and Connection Method
KR102327700B1 (en) Gird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ity of supporting portion of girder using the same
KR102244268B1 (en) Composite girder with concrete girders at both en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for civil structure
KR101585482B1 (en) Composite girder with reinforced end unit of anti-crac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