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391B1 -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391B1
KR102208391B1 KR1020190024101A KR20190024101A KR102208391B1 KR 102208391 B1 KR102208391 B1 KR 102208391B1 KR 1020190024101 A KR1020190024101 A KR 1020190024101A KR 20190024101 A KR20190024101 A KR 20190024101A KR 102208391 B1 KR102208391 B1 KR 102208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mote control
mode
electric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225A (ko
Inventor
김준호
노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젠
김준호
노승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젠, 김준호, 노승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젠
Priority to KR102019002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3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14Handlebar constructions, or arrangements of controls thereon,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본체;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드 본체는 주행 모드에 따른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이 끼워지는 핸들부의 일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은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리모콘 조작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드 본체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잡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손잡이형 리모콘을 조작 핸들에 결합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스케이트보드 모드 또는 전동 킥보드 모드를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ELECTRIC KICK BOARD WITH SKATE 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skate board)와 킥보드(kick board)를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발판과, 그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전륜과 후륜, 및 조향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쪽 발을 발판에 올리고, 다른 쪽의 발로 지면을 차면서 앞으로 나아가도록 한 무동력 방식과 전원 공급을 통한 모터(motor)의 회전력으로 휠(wheel)을 구동하여 주행할 수 있는 전동식(electric motion type)의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케이트보드는 킥보드와 달리, 발판과 이 발판에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만으로 구성되고, 별도의 조향 핸들이 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킥보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오로지 두 발만을 이용하여 주행하도록 한 무동력 방식과 전동식의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 1,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방식으로서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간략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전동 킥보드(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510), 복수의 전동휠(520), 조향 핸들(530) 외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 부재로서 전동 모터와 풀리(pulley) 및 벨트(belt) 등이 구비된 구동 장치와, 제어 장치, 배터리(battery) 등이 발판(510)의 하부 또는 조향 핸들(530) 등에 부설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610)과 복수의 전동휠(620)로 구성되며,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핸들형 리모콘(리모콘;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됨과 아울러, 전동 킥보드(500)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 제어 장치, 배터리 등이 발판(6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동 킥보드(500)는 조향 핸들(530)을 이용하여 주행 방향을 조절하게 되지만,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주행 방향이 조정된다.
즉, 전동 스케이트보드(600)에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 이동에 대응하여 전동횔(6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트럭(truck)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트럭 장치는, 사용자가 주행 방향에 대해 발판(610)의 좌,우측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 전동휠(620)을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축 회동시킴으로써, 회전 반경의 안쪽에 위치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작아지게 함과 동시에, 회전 반경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은 반대로 커지게 하여, 보드의 주행 방향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500)와 전동 스케이트보드(600)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제작됨과 아울러, 제동 장치 외에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편의 장비가 부가됨으로써, 통상적인 레저 활동은 물론, 개인 이동 수단으로서, 출퇴근, 통학, 또는 대학 캠퍼스나 공장 내에서의 근거리 이동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그 구조적 특성상, 주행 방식, 조작 방식 등의 차이는 물론, 안전성, 편의성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고, 또한, 각각의 사용 특성에 따라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 거리나 지역 특성에 따른 사용 환경 등의 다양한 사용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는 상기와 같은 사용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이동 거리가 길어지거나 다양한 조건의 지역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중 어느 하나의 주행 방식만으로는, 이러한 사용 환경이나 지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둘째,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두를 구매하여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모두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이들을 동시에 휴대하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이 가중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보드만을 선택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그 활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종래의 전동 킥보드 또는 스케이트 보드는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가 보드 본체내에 구성되어 있어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제품 전체를 집안으로 가져와 충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동 킥보드 또는 스케이트 보드의 전원회로가 고장난 경우, 본체를 직접 들고 A/S센터로 가져가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하나로 결합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개인의 취향 또는 선호도 등에 따라 전동 킥보드 모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일 때,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최고속도를 제한하여 주행하도록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가 충전회로를 갖도록 구성하고, 배터리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충전회로의 고장시 배터리만을 휴대하여 수리가능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로서, 상기 보드 본체는 주행 모드에 따른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이 끼워지는 핸들부의 일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은 상기 핸들부를 구성하는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착탈되며,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리모콘 조작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리모콘의 마이컴이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보드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잡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하나로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사용 환경이나 선호도 등에 따라 전동 킥보드 모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리모콘은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른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 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으로서,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마이콤이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드 본체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콘이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와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의 사용 환경이나 지역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일 때, 안정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최고속도를 제한하여 주행하게 함으로써,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충전회로의 고장시 배터리만을 휴대하여 수리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스케이트보드의 일 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의,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 있어서,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의 보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구비된 조작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작 핸들의 핸들부 일측에 핸들형 리모콘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모드의 모드 설정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의 내부 구성 회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킥보드 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스케이트보드 모드 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도 7의 핸들형 리모콘의 사시도이다.
사용 지역이나 주변 환경 또는 개인의 취향이나 선호도 등에 따라 스케이트보드 모드(skate board mode)와 킥보드 모드(kick board mode)의 두 가지 주행 모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보드로 전동 스케이트보드와 전동 킥보드 모두를 활용할 수 있게 한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전체 구성도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의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 있어서, 덮개판이 제거된 상태의 보드 본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는 보드 본체(10), 조작 핸들(100), 핸들형 리모콘(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보드 본체(10)는 사용자가 올라탈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부의 전, 후방에는 한 쌍의 전동횔(electric wheel)(3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발판으로 이용됨과 아울러, 보드 본체(10)의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는 덮개판(15)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판(15)은 다수의 체결용 나사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보드 본체(1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보드 본체(10)의 전단부에는 힌지 결합홈(20)(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제어부(300)와 근거리 통신부(310)가 설치된다.
힌지 결합홈(20)은 조작 핸들(100)이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전방과 상,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드 본체(10)의 하부에는 전동휠(30)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로서, 전동 모터와 기어 박스 또는 벨트와 풀리 등이 구비되는 구동 장치, 제동 장치, 및 전동휠(30)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트럭(truck) 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 장치와 제동 장치 및 트럭 장치 등과 같은 부속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동 킥보드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부속 장치 또는 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기 부속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보드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100)을 수납시킬 수 있는 핸들 수납부(11, 12)가 일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 핸들 수납부(11, 12)에 인접하여 배터리팩(400)이 수납되어 있다.
배터리팩(400)은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로서, 제어부(300)를 통해 전동휠(30)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배터리팩(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드 본체(10)의 구조나 형상 등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 또는 개수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핸들 수납부(11, 12)는 조작 핸들(100)의 조작 로드(150)와, 접혀진 상태에서의 핸들부(160)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직사각형 홈과 상대적으로 폭이 큰 직사각형 홈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보드 본체(10)의 후방에 별도로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로 기판과 전자 부품 등으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도록 설치된다.
제어부(300)는 배터리팩(400)과 전동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핸들형 리모콘(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주행 명령 신호에 따라, 전동 모터를 제어하여, 각각의 전동 주행 모드가 실행되도록 한다. 이 제어부(300)는 종래의 전동 킥보드나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보드 본체(10)의 핸들 수납부(11, 12)에, 조작 핸들(100)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조작 핸들(100)의 수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자력 감지 센서(362)가 설치되고 자력 감지 센서(362)는 제어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가 자력 감지 센서(362)의 감지신호에 의해 조작 핸들(100)의 수납이 확인되면,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주행 모드를 전환함과 동시에,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력 감지 센서(362)는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등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일반적인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드 본체(20)에는 리모콘(20)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제어부(300)에 연결된다.
한편, 핸들형 리모콘(200)은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 모드(도 3 참조) 또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도 4 참조) 상태에서, 보드의 전진, 후진, 주행 속도 등의 주행 조건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형 리코몬(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는 기립 설치된 조작 핸들(100)의 핸들부(160) 일측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100)이 보드 본체(10)에 수납되므로, 이때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배터리가 내장된다. 그리고,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전진 버튼, 후진 버튼,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한 속도 조절 버튼, E/N/F의 속도 모드 버튼 등의 기능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주행 속도나 배터리 잔여 용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핸들형 리모콘(200)은 종래의 전동 스케이트보드에 사용되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의 핸들형 리모콘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핸들형 리모콘(200)은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 조작 핸들(100)의 핸들부(160)에 끼워서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합 구조는 조작 핸들(100)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설명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 모드 상태나 도 4에 도시된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 상태에서의 회전 주행은, 사용자가 보드 본체(10) 위에서 무게 중심을 주행 방향에 대해 좌측부 또는 우측부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전동휠(30)의 회전축 상에 구비된 트럭 장치에 의해 한 쌍의 전동휠(30)이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주행 방향에 대해 보드 본체(10)의 좌측부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 보드 본체(10)의 좌측 전,후방에 위치한 전동휠(30)은 트럭 장치에 의해 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보드 본체(10)의 우측의 전,후방에 위치한 전동휠(30)은 반대로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됨으로써, 보드 본체(10)가 좌측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럭 장치는 종래의 스케이트보드 등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조작 핸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 구비된 조작 핸들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작 핸들의 일측 손잡이에 리모콘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작 핸들(100)에서 힌지 유닛(110)(도 3 참조)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조작 핸들(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닛(110)과 조작 로드(150) 및 핸들부(16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스케이트보드 주행 모드(도 4 참조)시에는 보드 본체(10)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주행 모드(도 3 참조)시에는 보드 본체(10)에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조작 로드(15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고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힌지 유닛(110)에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152)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핸들부(160)가 결합되는 지지체(155)가 설치된다.
로드 결합부(1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관체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 유닛(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홈(121)(도 10 참조)에 수납되어 고정됨으로써, 조작 로드(150)의 제자리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고정홈(121)의 내측면은 로드 결합부(1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로드 결합부(121)의 회전이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로드 결합부(152)는 직사각형 관체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구조 등 면 접촉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이 형성된 구조라면 그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체(155)는 조작 로드(150)의 상단에 결합되어 핸들부(160)를 회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양측부에는 가이드홈(15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156)에는 핸들부(160)가 축 결합되는 회동축(158)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56)의 선단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삽입 돌기(15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핸들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제1 손잡이(161)와 제2 손잡이(162)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2 손잡이(161, 162)는, 지지체(155)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56)에 구비된 회동축(158)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됨으로써, 직각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선단부에는 삽입 돌기(157)가 끼워질 수 있는 홀더(165)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제2 손잡이(162)는 핸들형 리모콘(200)을 길이 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 손잡이(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한편, 홀더(165)는 제1,2 손잡이(161, 162)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면이 개방된 중공형 관체 구조로 형성하되, 내측부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2 손잡이(161, 1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60)를 수평 방향으로 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2 손잡이(161, 162)가 접혀진 상태(도 6 참조)에서, 홀더(165)를 지지체(1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켜, 홀더(165)가 회동시 삽입 돌기(157)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 후, 제1,2 손잡이(161, 162)를 회동시켜 홀더(165)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돌기(157)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손잡이(161, 162)를 다시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더(165)를 후퇴시켜 홀더(165)가 고정 돌기(157)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제1,2 손잡이(161, 162)를 다시 직각으로 각각 접으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 손잡이(161, 162)의 홀더(165)의 회동 구조는,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손잡이(16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이 끼워지게 된다.
즉, 전동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100)이 보드 본체(10)에 수납되고, 전동 킥보드 모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가 제2 손잡이(162)에 끼워져 손잡이 역할을 겸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손잡이(1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된 고정볼(16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제2 손잡이(162)가 끼워질 수 있는 일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홈에는 고정볼(168)이 끼워질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볼(168)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핸들형 리모콘(200)의 결합은, 제2 손잡이(162)가 리모콘(200)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손잡이(162)의 길이 방향에서 리모콘(200)를 가압하여 제2 손잡이(162)에 끼우거나 또는 후방으로 잡아당겨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200)과 제2 손잡이(162)의 결합 구조는,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다양한 삽입 결합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2 손잡이(162)에는 자석(160a)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에는 제2손잡이(162)의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203)와, 근거리통신부(204)와, 자력감지센서(203)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근거리통신부(204)를 통해 보드 본체(10)로 전송하는 마이컴(205)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핸들형 리모콘(200)은 자력감지센서(203)를 통해 핸들형 리모콘(200)이 핸들부(160)에 결합된 상태를 인지했을 때, 주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 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전동 킥보드 모드 신호를 근거리통신부(204)를 통해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300)가 주행 모드를 전동 킥보드 모드임을 메모리(304)에 저장하여, 이후에 전동 킥보드 모드로 주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보드 본체(1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드 본체(10)는 제2손잡이(162)의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예를 들어, 리드스위치)(362)와, 리모콘(200)과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부(310)와, 제어부(300),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를 갖는 배터리팩(400), 배터리팩(4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동모터(320)와, 전동휠(3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는 배터리팩(400)내에 구성된다.
배터리팩 내의 충전회로부(350)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회로부(350)는 전자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회로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팩(400)은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구동을 위하여 전동모터(3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300)의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302)의 제어를 토대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한다.
전동모터(320)는 배터리팩(400)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구동바퀴(340)로 동력을 전달한다. 전동모터(320)는 리모콘(200)의 후술할 스로틀 버튼(201b)의 조작신호에 따라, 주행중에 E/N/F의 속도 모드로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E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25%으로 동작시키고, N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50%로 동작시키고, F모드는 전동모터(320)의 RPM을 100%로 동작시킨다.
이때 전동모터(320)는 소음이나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모콘(200)을 사용하여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구동을 제어할 때, 리모콘(200)으로부터 구동바퀴(340)의 전진 구동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에 대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의 동작 제어에 따른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초보자의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최대 속도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제어부(300)은, 리모콘(200)으로부터 입력되는 가속 또는 감속 조작 또는 E/N/F 속도 조작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3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301)와, 배터리팩(40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302)와, 배터리팩(400)의 충방전 상태와,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운행 상태의 확인과 운행 모드 상태를 메모리(304)에 저장을 수행하고,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의 모드 상태를 메모리(304)에 설정하는 모드 관리 컨트롤러(303)로 구성된다.
전원스위치가 온 되면, 제어부(300)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1)에 배터리팩(400)의 전원공급을 수행하여 대기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즉 리모콘(200)의 조작을 통해 언제라도 구동할 준비를 한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킥보드모드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킥보드모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0a에 보인 바와 같이, 핸들형 리모콘(200)을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결합한다(S1). 핸들형 리모콘(200)이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설치된 자석(160a)의 자력을 감지한다(S2). 리모콘(200)이 자력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킥보드 모드 신호를 형성하여, 무선으로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에 전송한다(S3).
이때, 제어부(300)가 보드본체의 자력감지센서(362)에서 자력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체크한다(S4). 체크결과, 자력감지센서(362)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가 무선통신부를 통해 킥보드 모드 신호를 수신하여, 주행모드를 킥보드 모드로 설정한다(S6). 이후에는, 제어부(300)는 핸들형 리모콘(200)의 조작입력에 따라 킥보드 모드 상태에서 전동모터(320)를 제어한다.
S4단계의 체크결과 보드 본체(10)의 자력감지센서(362)가 자력을 감지한 경우에는 주행불가로 설정한다(S5).
한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스케이트보드 모드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먼저 조작대를 보드 본체(10)의 수납부에 삽입한다(T1). 조작대의 짧은 핸들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보드 본체(10)의 자력감지센서(리드스위치)가 감지한다(T2).
보드 본체(10)의 제어부(300)가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리모콘(200)에 스케이트모드 모드 설정 신호를 전송한다(T3).
이때, 본드 본체(10)의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의 자력감지센서가 자력을 감지하여 리모콘(200)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는지 체크한다(T4). 체크결과 제어부(300)는 리모콘(200)으로부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리모콘(200)은 스케이트모드 모드로 설정된다(T6).
T4단계의 체크결과, 제어부(300)가 리모콘(200)의 자력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주행불가로 설정한다(T5).
이후 핸들형 리모콘(200)의 조작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00)는 스케이트보드의 설정 모드에 따라 구동부를 구동 제어한다.
도 11은 도 7의 리모콘(200)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리모콘(200)의 상부면에는 디스플레이부(202)가 설치되고, 리모콘(200)의 일측면에는 조작버튼으로서, 전원스위치(201a)와 주행중 E/N/F 모드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로틀 버튼(201b)이 마련되고, 리모콘(200)의 타측면에는 가속/감속 스위치(201c)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에서, 스케이트보드 모드로 주행중에는 리모콘(200)의 스로틀 버튼(201b)으로 최고 속도인 F모드로 설정하여도, 안전한 주행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로 주행된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10 : 보드 본체 11,12 : 핸들 수납부
15 : 덮개판 20 : 힌지 결합홈
21 : 축삽입공 22, 23 : 체결구
25 : 삽입홈 26 : 보강 브래킷
30 : 전동휠 100 : 조작 핸들
110 : 힌지 유닛 112 : 조작 로드 결합구
113 : 핀공 115 : 레버 결합구
117 : 축공 120 : 커버
121 : 고정홈 122 : 보강 부재
125 : 체결공 126 : 슬라이드홈
127 : 가이드부 130 : 록킹 부재
131 : 핀 부재 132 : 고정핀
133 : 경사면 134 : 지지핀
140 : 가압 레버 143 : 가압 경사면
144 : 도피홈 145 : 걸림턱
150 : 조작 로드 152 : 로드 결합부
155 : 지지체 156 : 가이드홈
157 : 삽입 돌기 158 : 회동축
160 : 핸들부 161 : 제1 손잡이
162 : 제2 손잡이 165 : 홀더
168 : 고정볼 200 : 핸들형 리모콘
300 : 제어부 400 : 배터리팩
500 : 전동 킥보드 600 : 전동 스케이트보드

Claims (7)

  1.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로서,
    상기 보드 본체는 주행 모드에 따른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입력에 따라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이 끼워지는 핸들부의 일면에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형 리모콘은 상기 핸들부를 구성하는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착탈되며,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와 리모콘 조작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고, 리모콘의 마이컴이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보드 본체에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손잡이를 감지하면 상기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른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 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5. 하부에는 복수의 전동휠이 장착되는 보드 본체; 상기 보드 본체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케이트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 내에 수납되고, 킥보드 모드시에는 상기 보드 본체에 세워서 고정되는 조작 핸들; 상기 조작 핸들의 양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손잡이에 끼워서 착탈되어 상기 보드 본체의 주행을 조절하는 핸들형 리모콘을 구비한 스케이트 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손잡이에 핸들형 리모콘을 체결하면, 상기 핸들형 리모콘에 설치된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들형 리모콘의 마이콤이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으로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여 킥보드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보드 본체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동휠을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감지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본체의 자력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주행불가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이 상기 리모콘에 설치된 저속/중속/고속의 단계별로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 제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속도 제어 신호를 상기 보드 본체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동스케이트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속도 제어 신호가 고속인 경우에, 미리 설정된 제한속도이하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의 모드 설정 방법.
KR1020190024101A 2019-02-28 2019-02-28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KR102208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ko) 2019-02-28 2019-02-28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ko) 2019-02-28 2019-02-28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25A KR20200105225A (ko) 2020-09-07
KR102208391B1 true KR102208391B1 (ko) 2021-01-27

Family

ID=7247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01A KR102208391B1 (ko) 2019-02-28 2019-02-28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3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95Y1 (ko) 2008-08-13 2008-12-19 김도권 킥보드
JP2014520701A (ja) 2010-07-07 2014-08-25 パリエンティ,ラウル 超軽量の、折り畳み可能な、電気モータ付き3輪車
KR101837296B1 (ko)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CN109131662A (zh)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折叠两用代步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779B1 (ko) * 2001-02-06 2004-03-31 주식회사 휴모봇 전동식 주행용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95Y1 (ko) 2008-08-13 2008-12-19 김도권 킥보드
JP2014520701A (ja) 2010-07-07 2014-08-25 パリエンティ,ラウル 超軽量の、折り畳み可能な、電気モータ付き3輪車
KR101837296B1 (ko) 2016-10-10 2018-03-12 권순남 전동식 킥보드
CN109131662A (zh)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折叠两用代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25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477B2 (en) Gear drive two-wheel scooter
US10376772B1 (en) Suspension system for one-wheeled vehicle
KR101377986B1 (ko) 조향핸들 정위치 복원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
US10507376B2 (en) Electrically powered ride-on vehicle with intuitive control
CN108602425B (zh) 惯性滑行电动踏板车
JPWO2003101547A1 (ja) 動力付手動推進車両
CN104220135B (zh) 电动推车
US20190070486A1 (en) Electric skateboard
CN105346643B (zh) 电动平衡车
WO2012158199A1 (en) Wearable mobility device
JP2009504266A (ja) パワーアシスト付き輸送装置
KR101703940B1 (ko)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
CN106892039B (zh) 自平衡装置及电动车辆
KR20210136185A (ko)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카트의 핸들 어셈블리 및 카트
KR102228514B1 (ko)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카트의 핸들 어셈블리 및 카트
KR20170045066A (ko) 스마트 골프 카트
KR102208391B1 (ko)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JP2004024614A (ja) 電動式移動体および電動式移動体の制御方法
JPH06134144A (ja) 幼児用電動車
KR102206149B1 (ko) 스케이트보드 겸용 전동 킥보드
KR20130108779A (ko) 속도에 따라 차륜간 거리가 자동 조절되는 병렬형 이륜 구조의 자세제어 기반 전동 이동장치
US11198052B2 (en) Cross skat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30054026A (ko) 휠체어 착탈식 전동장치
US20140332296A1 (en) Wheel assembly for a golf trolley
KR20120027916A (ko) 전동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