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050B1 -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050B1
KR102208050B1 KR1020190025360A KR20190025360A KR102208050B1 KR 102208050 B1 KR102208050 B1 KR 102208050B1 KR 1020190025360 A KR1020190025360 A KR 1020190025360A KR 20190025360 A KR20190025360 A KR 20190025360A KR 102208050 B1 KR102208050 B1 KR 10220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ngle
scapula
shoulder
line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756A (ko
Inventor
황정택
김백섭
이수현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0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부와 상기 마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상기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GLE MEASUREMENT OF SCAPULA CT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CAPULA DYSKINESI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T 영상에 기 설정된 마크를 토대로 견갑골의 각도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은 휴식 시 견갑골의 비정상위치와 견관절운동 시 견갑골의 비정상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은 어깨의 불안정성 및 충돌증후군 등 다양한 어깨 질환과 관련이 있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은 골절과 같은 단순 구조의 변형에 의한 병과는 달리 평가 방법이 복잡하며 평가 방법에 따라서도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이 바뀌기도 하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견갑골 운동이상의 평가 방법 중 육안적 관찰 방법은 환자에게 두 팔을 앞으로 들었다 내려놨다 하는 동작을 반복시키면서 환자의 뒤에서 관찰하는 방법이며, 결과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유형 1은 견갑골의 아랫각(inferior medial scapular angle)이 돌출되는 경우이고, 유형 2는 견갑 척추연 또는 내연(medial border) 전체의 돌출이 있는 경우이며, 유형 3은 견갑골 상부 경계(superior scapular border)가 부각과 견갑골의 상부 이동(superior migration)이 있는 경우이고, 유형 4는 견갑골의 아랫각, 내측 또는 상부 경계의 돌출이 없는 정상 소견의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육안으로 견갑골 운동이상증을 판단하는 관찰적 방법은 정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주된 기술적 과제는 CT 영상에 기 설정된 마크를 토대로 견갑골의 각도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부와 상기 마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상기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부를 포함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된 영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상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와 상기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환자의 어깨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마크 설정부는 상기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며, 상기 각도 계측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로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와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가 획득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판단하는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를 이용한 각도 계측 방법으로서,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 단계와 상기 마크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상기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 단계를 포함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 단계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상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와 상기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어깨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이미지로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과 결과 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 분석 단계는 상기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에 따라 획득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T 영상에 기 설정된 마크를 토대로 견갑골의 각도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의 정확도와 관찰자간 일치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육안 관찰을 통해 견갑골 운동이상증을 분석한 유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측정되는 견갑골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측정된 견갑골의 각도의 측정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좌우측 어깨를 비교한 사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대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접속, 접촉 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구비 또는 마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구비 또는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분산되어 실시되는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는 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이하,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는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마크 설정부(220) 및 각도 계측부(230)를 포함하며 영상 획득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견갑골은 인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어깨뼈로서, 이하에서의 견갑골은 좌측 또는 우측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마크 설정부(220)는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견갑골 CT 영상, 각도 계측부(230)는 마크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한다.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7번 경추의 척추체와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견쇄관절과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아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 획득부(210)는 상기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며, 상기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영상 획득부(210)가 획득한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된 영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300)은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와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300)의 영상 획득부(310), 마크 설정부(320) 및 각도 계측부(330)는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의 영상 획득부(210), 마크 설정부(220) 및 각도 계측부(230)와 각각 동일하다.
결과 분석부(340)는 각도 계측부(330)가 획득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결과 분석부(340)는 도 1에 도시된 유형 1 내지 4를 이용하여, 특정 각도, 예컨대 아래에서 설명될 Upward Rotation angle 이 유형 3 에서 값이 높다는 것을(예컨대 113도로 높다 등), 아래에서 설명될 Internal Rotation angle 값이 유형 2에서 특히 높다는 것을, Anterior Tilting angle 값이 유형 1에서 높다는 것을, Superior Translation angle 값이 유형 3에서 높다는 것을, Protraction angle 값이 유형 1에서 높다는 기존의 연구 데이터 등을 기초로, 기 설정한 특정 기준에 따라 각도 계측부(330)가 획득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도 1의 유형 1 내지 4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형 1 및 3에서는 에서는 유형 4의 정상 대비 Anterior Tilting angle, Superior Translation angle 값이 증가하고, 유형 1 및 2에서는 Protraction angle, Internal Rotation angle 값이 증가 하게 되며, Protraction angle 값은 유형 1,2,3일 때 전반적으로 증가 한다. 또한, 유형 3에서는 Upward Rotation angle , Superior Translation angle 값이 증가하고 그 값이, 유형1에서는 Anterior Tilting angle 값이 증가, 유형 2에서는 Internal Rotation angle 값이 증가 함을 보여주는 연구 데이터, 그 수치와 관계를 표시한 연구 데이터 등도 결과 분석부(340)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연구데이터를 기초로 결과 분석부(340)는 각도 계측부(330)의 결과치가 유형 4의 정상 대비 Protraction angle 및/또는 Anterior Tilting angle 값이 기 설정된 수치(예컨대, 1도 내지 180도 사이의 값)보다 높으면 유형 1과 같은 견갑골 운동이상증으로 판단할 수 있고, 유형 4의 정상 대비 Protraction angle 및/또는 Internal Rotation angle 값이 기 설정된 수치(예컨대, 1도 내지 180도 사이의 값)보다 높으면 유형 2와 같은 견갑골 운동이상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유형 4의 정상 대비 Upward Rotation angle, Superior Translation angle 및/또는 Protraction angle, 값이 기 설정된 수치(예컨대, 1도 내지 180도 사이의 값)보다 높으면 유형 3의 견갑골 운동이상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3D 계측 법이 육안 진단법보다 높은 interrater reliability(IRR) 값을 보이므로, 본 발명에 따라 더욱 정확한 견갑골에 대한 계측과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위치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크 설정부에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AC joint, acromioclavicular joint)(41)과 견갑골의 견갑극근(RSS, root of scapular spine)(42) 및 아랫각(IMA, inferomedial angle)(43)로 설정될 수 있고, 견쇄관절(41)은 견갑골의 상부에 쇄골과 연결되는 부위에 위치하고, 견갑극근(42)은 견갑근(어깨뼈가시)의 인체 외측방향 끝단에 위치하며, 아랫각(43)은 견갑골의 내측 하방 단부에 위치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측정되는 견갑골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각은 7번 경추의 극돌기의 기저부(53)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54)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51)과 견갑극근(52)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50, Upward Rotation angle)을 말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각은 7번 경추의 극돌기의 기저부(53)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54)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51)과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53)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60, Superior Translation angle)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각은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71)과 7번 경추의 전방 끝단(72)과 7번 흉추의 전방 끝단(73)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70, Anterior Tilting angle)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4각은 7번 경추의 척추체(81)의 중심을 지나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척추축(82)에 평행한 선과 7번 경추의 척추체(81)와 견쇄관절(51)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80, Protraction angle)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5각은 견쇄관절(51)과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91)을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51)과 견갑극근(52)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각(90, Internal Rotation angle)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측정된 견갑골의 각도의 측정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각 내지 제5각 즉, 다섯가지 각도를 측정함에 있어 편리함과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기록 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환자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4장의 사진을 복사한 후 프로그램으로 파일 열기를 하여 다섯 가지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도를 재면 됨. 프로그램은 견갑골의 기준 위치를 순서대로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기준위치만 클릭해주면 그에 따른 각도가 자동 측정되도록 프로그램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견갑골 영상에서 우측 Protraction angle 과 좌측 Protraction angle, 우측 Internal Rotation angle 과 좌측 Internal Rotation angle 값을 측정한 결과(100)를 우측 하단에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를 이용하여 좌우측 어깨를 비교한 사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좌측 그림과 같이 영상획득부(210)가 환자의 어깨 이미지, 예컨대 CT 이미지를 획득하여 불러올 수 있고, 마크 설정부(220)는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도 계측부(230)는 마크 설정부(220)에 의해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킴에 따라 도 11의 우측 그림과 같이 매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본래의 좌측과 우측이 함께 공존하는 도 11의 좌측 그림에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된 이미지를 흐릿한 형태로 겹쳐서 형성한 도 11의 우측 그림과 같은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양 측 어깨의 대칭 정도를 그로스(gross)하게 알 수 있는 기능 등이 추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은 앞서 설명한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를 이용한 각도 계측 방법이며,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이 수행하는 모든 기능들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하기한 단계들의 행위 주체는 상기한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200) 또는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30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은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 단계(S122)와 마크 설정 단계(S122)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 단계(S123)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은 영상 획득 단계(S121)를 더 포함하고,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영상 획득 단계(S121)에 의해 획득되는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7번 경추의 척추체와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견쇄관절과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견쇄관절과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은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과 결과 분석 단계를 포함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영상 획득 단계(S131), 마크 설정 단계(S132) 및 각도 계측 단계(S133)는 도 12에 도시된 영상 획득 단계(S121), 마크 설정 단계(S122) 및 각도 계측 단계(S123)와 각각 동일하다.
결과 분석 단계(S134)는 각도 계측 단계(S133)에 따라 획득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은 환자의 어깨 이미지, 예컨대 CT 이미지를 불러오고,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도 11의 우측 그림과 같이 일측 어깨의 이미지로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된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본래의 좌측과 우측이 함께 공존하는 도 11의 좌측 그림에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된 이미지를 흐릿한 형태로 겹쳐서 형성한 도 11의 우측 그림과 같은 이미지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부;
    상기 마크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상기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부; 및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환자의 어깨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마크 설정부는 상기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며, 상기 각도 계측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로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부가 획득한 상기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상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와 상기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와 결과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 분석부는 상기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가 획득한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와 기 저장된 견갑골 운동이상증의 유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견갑골의 운동이상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장치.
  7. 환자의 견갑골 CT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장치를 이용한 각도 계측 방법으로서,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에서 견갑골의 각도 계측을 위한 복수개의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마크 설정 단계;
    상기 마크 설정 단계에 의해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 위치와 상기 환자의 척추뼈를 토대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계측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어깨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환자의 좌측 또는 우측 어깨의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이미지로 설정된 일측 어깨의 이미지를 타측 어깨의 이미지로 대칭시켜 생성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영상 획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획득된 견갑골 CT 영상은 상기 영상 획득 단계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환자의 견갑골의 후면, 우측면, 좌측면 및 상면의 3차원 CT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이며 상기 환자의 견갑골과 척추 형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기준 위치는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골의 견갑극근 및 아랫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견갑골의 각도는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1각, 상기 7번 경추와 7번 흉추의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7번 경추 극돌기의 기저부를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2각, 견갑척추연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전방 끝단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3각,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7번 경추와 상기 7번 흉추의 척추축에 평행한 선과 상기 7번 경추의 척추체와 상기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4각 및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쇄관절의 반대편 견쇄관절을 지나는 선과 상기 견쇄관절과 상기 견갑극근을 지나는 선이 이루는 제5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25360A 2019-03-05 2019-03-05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0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60A KR102208050B1 (ko) 2019-03-05 2019-03-05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60A KR102208050B1 (ko) 2019-03-05 2019-03-05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56A KR20200106756A (ko) 2020-09-15
KR102208050B1 true KR102208050B1 (ko) 2021-01-26

Family

ID=7245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360A KR102208050B1 (ko) 2019-03-05 2019-03-05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0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388A (ja) 2004-11-10 2011-11-10 Agfa Healthcare Nv デジタル画像上での測定の実施法
JP2015535451A (ja) 2012-11-23 2015-12-14 ディアー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Diers Engineering Gmbh 脊柱中の椎骨の空間位置および向きの判定
KR101737732B1 (ko) 2016-05-31 2017-05-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추전만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079B1 (ko) * 2015-01-28 2017-01-1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콥 각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388A (ja) 2004-11-10 2011-11-10 Agfa Healthcare Nv デジタル画像上での測定の実施法
JP2015535451A (ja) 2012-11-23 2015-12-14 ディアー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ゲーエムベーハーDiers Engineering Gmbh 脊柱中の椎骨の空間位置および向きの判定
KR101737732B1 (ko) 2016-05-31 2017-05-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추전만 측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Young PARK 외 1명. Scapular Dyskinesis:Part 2. A New Diagnostic Modality - Three-Dimensional Wing CT. Sports Injuries to the Shoulder and Elbow. pp.157-164, 2015.04.2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56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Niekerk et al. Photographic measurement of upper-body sitting posture of high school students: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JP5849048B2 (ja) 側弯症評価のための三次元(3d)超音波撮像システム
KR10160902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omeili et al. Surface topography asymmetry maps categorizing external deformity in scoliosis
Vidal et al. Reliability of cervical lordosis and global sagittal spinal balance measurements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CN105764405A (zh) 基于主观距离计量测量眼睛屈光不正的系统和方法
US20140303522A1 (en) Scoliosis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system
Degenhardt et al. Appraisal of the DIERS method for calculating postural measurements: an observational study
Cassi et al.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 using stereophotogrammetry
Almazroa et al. Agreement among ophthalmologists in marking the optic disc and optic cup in fundus images
Bragança et al. A comparison of manual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ith Kinect-based scanned measurements in terms of precision and reliability
Omari et al. Virtual anthropology? Reliability of three-dimensional photogrammetry as a forensic anthropology measurement and documentation technique
Gipsman et al. Evaluating the reproducibility of motion analysis scanning of the spine during walking
Furian et al. Spinal posture and pelvic position in three hundred forty-fiv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rasterstereographic pilot study
Sanfilippo et al. Optic disc morphology-Rethinking shape
Bonnet et al. Automatic estimate of back anatomical landmarks and 3D spine curve from a Kinect sensor
Cooper et al. Fully automated estimation of spacing and density for retinal mosaics
US11179096B2 (en) Scoliosis diagnosis assistance device, scoliosis diagnosis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CN108510584B (zh) 脊椎骨旋转角度计算方法
CN114092447A (zh) 一种基于人体三维图像测量脊柱侧弯的方法、装置和设备
Rashaan et al. Three‐dimensional imaging: a novel, valid, and reliable technique for measuring wound surface area
KR102208050B1 (ko) 견갑골 ct 영상의 각도 계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견갑골 운동이상증 분석 방법 및 장치
Berg et al. Using three-dimensional difference maps to assess changes in scoliotic deformities
CHOI et al. Measurement of vertebral rotation from moire image for screening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Horng et al.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using surface top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