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813B1 -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7813B1 KR102207813B1 KR1020190053651A KR20190053651A KR102207813B1 KR 102207813 B1 KR102207813 B1 KR 102207813B1 KR 1020190053651 A KR1020190053651 A KR 1020190053651A KR 20190053651 A KR20190053651 A KR 20190053651A KR 102207813 B1 KR102207813 B1 KR 1022078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llection
- space
- forklift
- garb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52—Lifting, hoisting, elevating mechanisms or the like for refuse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이 모듈화 되어 있어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에 관한 것으로,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측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과,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는 덮개에 의하여 내부에 수거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형성하며, 출입구를 중심으로 수거공간 양측으로 분리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거공간을 구비하고, 쓰레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거공간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수거대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중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하단에 거치부를 형성하여 이동식 쓰레기 배출장을 모듈화함으로써 크레인의 후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지게차의 지게발을 이용하여 들어서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단지 내에 설치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이 모듈화 되어 있어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대체로 지면에 기둥을 수직으로 매립한 상태에서 그 기둥을 금속관으로 용접하여 전체 프레임을 시공하고, 그 프레임의 상단과 측면에는 덮개와 벽체를 덧대어 구성함으로써 일정한 공간을 갖는 쓰레이 분리 배출장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또 다시 다른 프레임을 용접함으로써 쓰레기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구획된 공간을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구획된 공간에는 예컨데 음식물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수거통을 비치하거나, 재활용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포대 등을 걸어서 분리 수거를 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설치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부지를 선정한 후 기둥을 매립하고,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이 현장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시설물이기 때문에 자재비 및 인건비, 설비사용비 등에 의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설치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주택법에 의거하여 쓰레기 수거 및 처리시설이 부대시설에 해당되고, 시설물의 설치 규정에 의하여 허가사항 및 건축법상 신고사항에 해당되므로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설치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설치구조의 특성상 부지를 선정한 후 한번 제작이 완료되면 장소이동이 불가능하며, 위치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규정에 의하여 철거한 수 다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근래에 건축허가시 재활용보관소 설치를 건축허가 조건으로 의무화하는 지자체가 증가되고 있어 기능성과 함께 주거환경과 도시미관을 개선하고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설치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설치조건의 까다로움과 설치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고, 허가 또는 승인에 의하여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주변 거주자의 민원이 발생하는 등 이동설치가 필요한 경우 쉽게 이동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주민간 분쟁이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측벽, 덮개, 출입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분리수거 공간이 마련된 상태에서 이를 모듈화하여 필요한 장소로 차량으로 이동 한 후에 손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분리 배출장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또한, 다양한 중장비를 활용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지형이나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설치가능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간편하게 이동설치가 가능한 쓰레기 분리 배출장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측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과,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는 덮개에 의하여 내부에 수거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를 형성하며, 출입구를 중심으로 수거공간 양측으로 분리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거공간을 구비하고, 쓰레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거공간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수거대를 장착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중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하단에 거치부를 형성하여 이동식 쓰레기 배출장을 모듈화함으로써 크레인의 후크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거나 지게차의 지게발을 이용하여 들어서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분리 배출장에 의하면, 설치장소의 인,허가 사항을 고려하지 않고도 하우징 상단 모서리에 연결구를 형성하여 로프나 샤클을 걸어 중장비에 의해 이동하거나 지게차에 의해 들어 올려져 이동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절차가 매우 간소화된다.
또한, 모듈화로 인하여 하우징의 크기 또는 수거공간의 공간 구획외 사용현장이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규격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고, 규격화되어 있는 이동식 분리 배출장을 미리 선제작하여 납품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장소가 협소한 경우를 포함하여, 공동주택이나 개인주택 등 공간의 제약을 받지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민원이 발생하거나 이동설치가 필요한 경우 필요한 곳으로 간단하게 이동 가능하므로 다른 장소로 이동 재설치하는데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형 주택이나 공공 생활공간에서도 원활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고 주변을 쾌적하게 만들고 생활공간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행사장이나 산업현장 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여 분리수거를 할 수 있으므로 현장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사후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광고수단을 마련하여 광고효과를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비호감시설을 오히려 어두운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 주변을 밝게 비추는 간접조명의 효과와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부 수거공간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쓰레기 분리 배출장의 이동설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바닥부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수거공간의 세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표시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거치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거치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우징 내부 수거공간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쓰레기 분리 배출장의 이동설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바닥부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수거공간의 세부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표시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거치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거치부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과, 하우징의 내부에 쓰레기 분리 수거를 목적으로 형성되는 수거공간(200)이 형성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으로서, 하우징(100)은 바닥부(120)와, 바닥부의 상측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140)과,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는 덮개(160)에 의하여 내부에 수거공간(2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거공간에는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연결구(300)가,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거치부(400)가 각각 마련되어 중장비를 이용하여 이동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은 하우징(100)이 모듈화되어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바닥부(120)와, 측벽(140)과, 덮개(160)와, 출입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부(120)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시설물의 기저가 되는 부분으로서, 바닥부(120)의 강도를 확보하고 운송시 하우징의 견고한 형태유지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골조(122)의 상면에 판재(124)를 덧대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골조(122)는 내부가 중공된 형태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부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닥부의 둘레을 따라서 틀형태로 마련되고, 틀형태의 내부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보강프레임이 격자형태 수직, 수평형태로 배열되게 설치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부골조의 전,후 방향으로는 보강프레임의 이격된 사이 공간을 통하여 지체차의 지게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통공이 마련되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골조(122)는 금속관체를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용자가 올라가서도 지지죌 수 있는 강도 및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이 조립된 상태에서 인테리어 등이 포함된 상태에서도 중장비를 이용하여 들어올릴 때 전체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 및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된다.
그리고 하부골조(122)의 상면에는 판재(124)를 덧대어 바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감될 수 있으며, 철판을 덧대어 하부골조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판재(124)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판재의 상면에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20)의 테두리에는 수직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14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측벽은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개구된 공간을 마련하여 출입구(180)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출입구(180)는 사방이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전,후 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축물이나 시설물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만 출입구(18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입구(180)에는 바닥부(120)에 레일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로 작동하는 도어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도어는 투명소재 또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140)은 판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바닥부의 모서리에 각각 기둥이 설치되고, 그 기둥의 상단에 상기 연결구(30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중장비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들어올릴 때 하중이 바닥부 전체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측벽(140)을 구성하는 판재는 내,외측으로 골(142)이 형성되어 미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측벽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의 일부는 실내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140)의 상단에는 덮개(160)가 장착되며, 덮개(160)는 렉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판재를 연결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판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는 덮개의 방수를 위하여 실링재가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거공간(200)은 출입구를 기준으로 공간이 좌,우측으로 분리배치되는 제1수거공간(220)과 제2수거공간(2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거공간(220)과 제2수거공간(240)은 각각 폐기물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로 구분되어 분리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수거공간(220,240)에는 쓰레기를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수거대(210)가 장착된다.
분리수거대(210)는 각재 또는 판재를 이용하여 각 분리수거 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분리수거대에는 쓰레기 수거용기 또는 수거봉지가 비치될 수 있다.
분리수거대(210)의 뼈대를 구성하는 각재 또는 판재로 이루어진 프레임(212)은 측벽(140)의 골(142)에 대응하게 조립이나 용접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측벽(140)이 상,하 수직으로 골(142)을 형성하는 절곡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거공간(200)은 분리수거대(210)의 프레임(212)이 벽체의 골(142)에 삽입되어 유동을 방지하게 장착되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분리수거대(210)가 뒤틀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수거대(210)의 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고, 분리수거가 되어 있는 쓰레기를 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21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4) 각각에는 분리수거대(210)의 구획된 공간의 분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판(216)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표시판(216)은 위치를 변경하여 다른 도어에 교체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분리수거대(210)의 구획된 공간의 크기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설치현장마다 다른 쓰레기의 종류에 따른 부피에 적절하게 분리수거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214)가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경우, 도 9와 같이 상기 표시판(216)의 뒷면에는자석을 부착하여 표시판을 탈착하여 간편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0과 같이 도어의 전면에 수납부를 마련하고 분류표시가 인쇄되어 있는 시트를 삽입하여 끼우는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표시판을 교체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거공간(200)에는 배터리와 폐형광등을 수거하기 위한 제3수거공간(2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수거공간(260)은 출입구(180)가 하우징(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경우 출입구와 대응되게 후면벽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보관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3수거공간을 후면벅에 배치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하우징의 전,후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수거공간(260)의 후면에 위치한 벽에는 알림이나 광고를 위한 게시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게시대에는 여러 개의 수납부가 마련되어 다양한 알림사항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300)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하단에 거치부(400)가 형성되어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00)는 상기 하우징(100)은 바닥과 측벽에 의하여 설정되는 수거공간(200)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측벽의 네 모서리에 좌,우 대칭되게 연결구를 배열함으로써 중장비를 이용하여 견인할 때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연결구(300)는 사슬이나 와이어 고리 등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형성된 구조에 타공홀이 형성되거나, 또는 일측이 개방된 연결고리 또는 샤클이 장착구성될 수 있다.
연결구(300)는 덮개(16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덮개(160)에는 이 연결구(300)를 보호하기 위한 캡(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거치부(400)가 마련되며, 거치부(400)는 하우징(100)의 바닥부(120)가 하부골조(122)에 의하여 지지될 때지게차의 지게발이 삽입 가능하게 바닥부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받침부(420)는 하우징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면 지면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받침부(42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축(422)의 하단에 받침대(424)가 장착되고, 받침대(424)는 직립축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직립축(424)에 받침대의 승강높낮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고정을 위한 고정구(426)를 장착함으로써 받침대의 높낮이를 설정한 이후에 고정구(426)를 이용하여 설정한 높낮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420)는 하우징(100)의 수직수평을 조정한 상태에서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앙카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받침부(420)의 일단에 앙카홀(4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앙카홀(440)의 바람직한 위치는 받침대(424)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벽에 밀착되게 지면에 앙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받침대(424)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앙카홀을 받침대의 원주테두리에 형성함으로써 시설물의 외측으로 앙카가 최대한 돌출되지 않고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설치되어질 수 있으며, 비, 바람 등 외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출입구(180) 상단에는 쓰레기 분리 배출장임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구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분리수거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센서 감지를 통하여 분리 수거를 촬영하거나, 또는 출입구에 출입문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출입문의 개폐에 감응하여 작동이 이루어져 센서를 통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조명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조명은 조도센서 등의 감지센서를 통하여 자동 작동하는 조명일 수 있다.
조명은 충전방식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하우징 상단의 덮개(160)에는 태양광 모듈이 장착되어 별도의 전원수단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자체 에너지 생산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출입구(180) 좌,우측의 전면에는 광고판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광고판은 인쇄시트를 걸어서 고정하는 배너 광고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발광에 의하여 야간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명 광고대가 설치될 수 있다.
100: 하우징
120: 바닥부 122: 판재 124: 하부골조
140: 측벽 142: 골
160: 덮개
200: 수거공간
210: 분리수거대 2120: 프레임
220: 제1수거공간
240: 제2수거공간
260: 제3수거공간
300: 연결구
400: 거치부
120: 바닥부 122: 판재 124: 하부골조
140: 측벽 142: 골
160: 덮개
200: 수거공간
210: 분리수거대 2120: 프레임
220: 제1수거공간
240: 제2수거공간
260: 제3수거공간
300: 연결구
400: 거치부
Claims (7)
- 바닥부(120)와, 바닥부의 상측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140)과,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는 덮개(160)에 의하여 내부에 수거공간(200)이 마련되는 하우징(100)이 구비되고,
하우징(100)에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180)가 형성되며,
출입구를 중심으로 수거공간(200)이 양측으로 분리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거공간(220,2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거공간에는 쓰레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수거대(210)가 장착되어 쓰레기 분리 배출장의 모듈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화가 이루어진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중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300)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하단에 거치부(400)가 형성되어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바닥과 측벽에 의하여 설정되는 수거공간(200)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되는 연결구(300)는 측벽의 네 모서리에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부(120)에는 지게차의 지게발이 삽입 가능하게 바닥부가 지면으로부터 뜬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부(420)가 형성되고, 받침부(420)는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하 높이 조정이 가능하여 하우징의 수평조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20)는 직립축(422)의 하단에 받침대(424)가 장착되고, 받침대(424)는 직립축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받침대의 승강높낮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고정구(426)에 의하여 유동이 방지되고 높낮이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20)에는 지면에 앙카 고정이 이루어져 하우징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앙카홀(4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홀(440)은 받침대(424)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하우징의 측벽에 밀착되게 지면에 앙카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바닥부(120)와, 바닥부의 상측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측벽(140)과, 측벽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의 개구된 공간을 차단하는 덮개(160)에 의하여 내부에 수거공간(200)이 마련되는 하우징(100)이 구비되고,
하우징(100)에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180)가 형성되며,
출입구를 중심으로 수거공간(200)이 양측으로 분리 배치되는 제1 및 제2수거공간(220,2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수거공간에는 쓰레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수거대(210)가 장착되어 쓰레기 분리 배출장의 모듈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모듈화가 이루어진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중장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구(300)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하단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하단에 거치부(400)가 형성되어 이동설치가 가능하도록 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측벽(140)가 상,하 수직으로 골(142)을 형성하는 절곡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거공간(200)은 분리수거대(210)의 프레임(212)이 벽체의 골(142)에 삽입되어 유동을 방지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651A KR102207813B1 (ko) | 2019-05-08 | 2019-05-08 |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651A KR102207813B1 (ko) | 2019-05-08 | 2019-05-08 |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359A KR20200129359A (ko) | 2020-11-18 |
KR102207813B1 true KR102207813B1 (ko) | 2021-01-25 |
Family
ID=7369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651A KR102207813B1 (ko) | 2019-05-08 | 2019-05-08 |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781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5499B1 (ko) * | 2022-02-16 | 2022-05-06 | 윤종필 |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34418A (ja) * | 2011-05-05 | 2012-11-29 | Meiwa Seishi Genryo Kk | 移動式古紙回収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43001A (ja) * | 1998-06-01 | 1999-12-14 | Sekisui Chem Co Ltd | 分別収集用ゴミ容器 |
KR200443773Y1 (ko) | 2008-08-06 | 2009-03-12 | 중재기업(주) | 쓰레기 분리수거함 보관장치 |
KR20100008380U (ko) * | 2009-02-13 | 2010-08-23 | 박정미 | 이동식 원두막 구조 |
KR100971948B1 (ko) | 2009-11-09 | 2010-07-23 | 김지훈 | Rfid를 이용한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 |
KR20170073230A (ko) | 2015-12-18 | 2017-06-28 | 염규익 | 쓰레기 분리수거 부스 및 그의 공기 정화 방법 |
-
2019
- 2019-05-08 KR KR1020190053651A patent/KR1022078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34418A (ja) * | 2011-05-05 | 2012-11-29 | Meiwa Seishi Genryo Kk | 移動式古紙回収システ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5499B1 (ko) * | 2022-02-16 | 2022-05-06 | 윤종필 | 높낮이 개별 제어에 기인하여 수평 시공이 보장되는 간편 설치형 폐기물 처리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359A (ko) | 2020-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93756A (en) | Combination litter container and display device | |
US3947985A (en) | Combined trash receptacle and advertising medium | |
KR20160064810A (ko) | 광고기능을 갖는 태양광 구동 쓰레기통 | |
KR102207813B1 (ko) | 이동식 쓰레기 분리 배출장 | |
CA2505352C (en) | Special urban transformation center | |
GB2415886A (en) | A recycling unit with advertising displays | |
JP2009037877A (ja) | 屋外照明設備 | |
US20140293593A1 (en) | Refuse Container Support Apparatus | |
CN205645168U (zh) | 站名牌灯箱 | |
DE4430936A1 (de) | Überdachte Entsorgungs-Station zur Abfalltrennung | |
CN210285475U (zh) | 太阳能多功能垃圾箱 | |
NL1011825C1 (nl) | Behuizing voor elektrische elementen en dergelijke. | |
CN210777740U (zh) | 一种计划生育宣传展示板 | |
KR20150019167A (ko) | 맨홀 공사용 안전장치 | |
CN202544429U (zh) | 一种可移动的多功能广告传媒服务商亭 | |
CN206903306U (zh) | 集装箱充电服务站 | |
CN205187020U (zh) | 一种宠物粪便垃圾站的新型结构 | |
RU2499298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ружной рекламы на площадках для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 |
CN210236037U (zh) | 一种高效回收电池的回收箱 | |
CN218541777U (zh) | 一种便于安装的镀锌围栏 | |
CN215801206U (zh) | 一种建筑工程施工用警示装置 | |
CN202544428U (zh) | 一种服务商亭底座及服务商亭 | |
ES1199258U (es) | Sistema de elevación subterránea de contenedores para residuos urbanos | |
CN202828644U (zh) | 一种多功能垃圾桶 | |
CN220550930U (zh) | 公交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