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468B1 -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 Google Patents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468B1
KR102207468B1 KR1020197013315A KR20197013315A KR102207468B1 KR 102207468 B1 KR102207468 B1 KR 102207468B1 KR 1020197013315 A KR1020197013315 A KR 1020197013315A KR 20197013315 A KR20197013315 A KR 20197013315A KR 102207468 B1 KR102207468 B1 KR 10220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ging area
network node
rrc inactive
inactiv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540A (ko
Inventor
후청 왕
산즈 천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6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Abstract

본 공개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를 제공한다. 이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접속망 노드에 적용되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본 출원은 2016년 10월 11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제201610887826.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NextGen)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는 주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단말기라고도 함), 무선 접속망(RAN) 노드 및 차세대 코어 망(NextGen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그 중, NextGen Core Network는 제어 평면 기능(CP functions)과 사용자 평면 기능(UP functions)으로 구성된다. UE는 NG1 인터페이스를 통해 CP functions와 연결되고, RAN 노드는 NG2 인터페이스를 통해 CP functions와 연결되고, NG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 functions과 연결되며, CP functions와 UP functions은 NG4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CP functions은 NG5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기능(AF)과 연결되며, UP functions은 NG6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DN)와 연결된다.
TR 23.799에 새로운 이동성 상태의 무선 자원 제어(RRC)의 비활성 접속(RRC_inactive_connected) 상태가 도입되었다. UE가 이 상태에 있을 때, RAN 노드가 이 UE의 RRC 접속을 해제하였지만 여전히 UE의 NG2와 NG3 인터페이스에 의한 접속을 유지한다.
UE는 이 상태에서 코어 망에 대하여 투명하다. 즉, 코어 망은 여전히 UE가 줄곧 접속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다운링크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는 RAN 노드에 도달하며, 이때 RAN 노드는 UE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R 23.799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RAN level)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UE가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에 UE가 장기간 상주하고자 하는 영역 정보를 포함시킨다.
단계 2: NG Core(차세대 코어망)가 UE의 기대, UE의 계약 및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예정 영역(intended area)을 확정한 다음, 사용자 평면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NG Core는 RAN과 UE가 RRC_inactive_connected의 상태로 장기적인 상주를 허용하는 영역을 협상하며, 이어서 NG Core는 협상 후의 영역을 긴 접속 허용 영역(Long Connected Allowed Area)으로 확정하여 UE에 통보한다.
단계 3: UE가 RRC inactive 모드에 진입한다.
단계 4: UE가 Long Connected Allowed Area로부터 이출했을 때, UE는 Long Connected Allowed Area를 업데이트 또는 삭제하도록 NG Core에 통보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관련 기술에 따르면, UE가 현재의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이 페이징 영역의 업데이트 또는 재할당을 진행할 수 없어, 네트워크의 통신에 영향을 미친다.
본 공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UE가 현재의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이 페이징 영역의 업데이트 또는 재할당을 진행하는 기술적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네트워크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접속망 노드에 적용되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경우,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인 경우,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로부터,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중, 확정된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포함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접속망 노드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재차 접속망 노드와 연결할 때, 상기 접속망 노드가 다시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코어망 노드가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했을 때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게 하는 단계;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없으면, RRC 비활성 상태를 해제하는(Deactivation) 메시지를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후에, 상술한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접속망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망 노드는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경우,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로부터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확정된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포함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방식은, 접속망 노드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 상기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방식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보 모듈은,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망 노드는, 상기 단말기가 재차 접속망 노드와 접속할 때, 상기 접속망 노드로 하여금 다시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게 하는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코어망 노드가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했을 때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보 모듈은,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게 하거나;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서브 모듈;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획득 유닛은,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없으면, RRC 비활성 상태를 해제하는 메시지를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게 하는 제1 송신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망 노드는,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보 모듈은,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코어망 노드에 적용되며,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제공한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술한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여,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코어망 노드를 더 제공한다. 상기 코어망 노드는,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모듈;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제공한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를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정보에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망 노드는 판단 모듈과 메시지 리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모듈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상기 제3 확정 모듈이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리턴 모듈은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여,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망 노드는,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접속망 노드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접속망 노드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프로세스;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코어망 노드를 더 제공한다. 상기 코어망 노드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프로세스;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송수신기를 통하여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본 공개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술한 기술적 수단은,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함으로써,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완전성을 확보한다.
도 1은 NextGen 네트워크의 아키텍쳐 구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관련 기술에 따른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또는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주요 구현 프로세스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단말기가 서비스 요청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주요 구현 프로세스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코어망 노드에 의해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 재할당 방식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코어망 노드에 의해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 재할당 방식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단말기에 의해 직접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노드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노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의 흐름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노드의 모듈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노드의 구조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공개의 목적, 기술적 수단 및 장점이 더욱 명료해지도록,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공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공개는, 관련 기술에서 UE가 현재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 한 후, 이 페이징 영역의 업데이트 또는 재할당을 진행하는 기술적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네트워크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접속망 노드에 적용되며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방법은 주로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즉,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RRC_inactive_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 것일 수도 있고, 단말기가 직접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 것일 수도 있다. 동시에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 이 지시 정보는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함을 지시하며, 단말기가 이미 RRC 비활성 상태에 처한 경우에, 이 지시 정보는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즉, 이때 진행하는 것은 페이징 영역의 업데이트임)을 진행함을 지시한다.
단계 32: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접속망 노드가 지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단계 33: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망 노드는 현재 단말기를 위해 서빙하는 접속망 노드를 가리킨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함으로써,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것을 구현하고, 네트워크 통신의 완전성을 확보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접속망 노드는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또는 위치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과정 또는 서비스 요청을 개시하는 과정에서 단말기를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하여, 단말기를 위해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할당한다. 이때, 이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속망 노드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예를 들어, RRC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단말기가 재차 접속망 노드와 연결할 때, 상기 접속망 노드는 다시 단말기를 위해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이다.
주의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활성화를 허용한다는 지시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저이동성 지시 또는 단말기의 비이동 지시와 같은 묵시적인 지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인 경우, 단계 32는 구체적인 구현 시,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로부터,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중 확정된,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포함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코어망 노드가 접속망 노드를 위해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지시한 경우, 접속망 노드는 지시된 이 영역 정보에서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단말기를 위해 확정한 새로운 페이징 영역으로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경우, 단계 32는 구체적인 구현 시,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코어망 노드가 접속망 노드에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지시한 경우, 접속망 노드는 단말기의 이동성 정보와 네트워크측 정보에 따라 직접 단말기를 위해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주요 방식은, 접속망 노드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제 응용 중 상술한 방법의 응용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즉 Attach 프로세스) 또는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즉 TAU 프로세스) 개시 중,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단계 41: UE가 네트워크에 부착되거나 또는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42: 단말기의 RRC inactive 허용 영역을 확정한다.
코어망 노드(즉, 차세대 코어망 중의 노드)가 UE의 이동성, UE의 계약, 네트워크 설정 및 책략 등에 따라 단말기가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즉 RRC inactive 모델을 사용하거나 또는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지를 확정한다. 단말기가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UE가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영역을 확정하여, RRC inactive 허용 영역으로 표기하고, 추적 영역 리스트(TA list) 또는 셀 리스트(cell list)를 할당하여 이 RRC inactive 허용 영역을 커버한다.
단계 43: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다.
코어망 노드는 현재 UE를 위해 서빙하는 접속망 노드를 지시하며, 이 UE가 RRC inactive의 사용을 허용함을 지시한다. 나아가, 코어망 노드(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기능 개체)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을 RAN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 44: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구축한다. 즉 NG2 인터페이스와 NG3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45: 코어망 노드가 추적 영역 리스트 또는 셀 리스트를 UE에 할당한다.
단계 46: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만약 접속망 노드가 RRC inactive 허용 영역을 수신했다면, 추가적으로 접속망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예를 들어, 이 접속망 노드가 앵커 포인트로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 및 이 UE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하여,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이 RRC inactive가 허용된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확보한다.
만약 접속망 노드가 RRC inactive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만을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접속망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예를 들어, 이 접속망 노드가 앵커 포인트로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 및 이 UE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한다.
단계 47: 접속망 노드가 이 페이징 영역을 UE에 통보한다.
단계 48: RRC 접속을 해제한 후, UE와 접속망 노드가 RRC inactive 상태에 진입한다.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서비스 요청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과정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선택적인 단계: 단말기의 Attach(그러나 PDU 세션을 구축하지 않음) 또는 TAU 프로세스에서, 코어망 노드(예를 들어, 이동성 관리 기능 개체)가 UE의 이동성, UE의 계약, 네트워크 설정과 책략 등에 따라, 단말기가 RRC inactive 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지를 확정하고, 만약 RRC inactive 모델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에 진입할수 있으면, UE가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에 진입할 수 있는 영역을 확정하여, RRC inactive 허용 영역으로 표기한다. 이때, 코어망 이동성 관리 기능은 RAN에 RRC inactive 상태를 활성화하도록 즉각적으로 지시하지 않아도 된다.
단계 51: UE가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단계 52: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다.
코어망는 RAN 노드에 UE를 위해 서빙하는 현재 접속망 노드(이 지시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만약 이동성 관리 기능이 이미 Attach 또는 TAU 프로세스에서 이 RAN 노드에 지시를 제공했다면, 제공할 필요가 없음)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 UE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허용한다. 나아가, 이동성 관리 기능은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을 RAN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 53: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구축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단계 54: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현재의 지시 또는 이전에 이미 수신한 지시에 따라, RAN level 페이징 영역의 할당을 진행하기로 확정한다.
만약 RAN 노드가 RRC inactive 허용 영역을 수신했다면, 추가적으로 접속망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예를 들어, 이 접속망 노드는 앵커 포인트로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 및 이 UE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하여, RAN level의 페이징 영역이 RRC inactive가 허용된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확보한다.
만약 접속망 노드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만을 수신하면, 자체적으로 접속망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예를 들어, 이 접속망 노드는 앵커 포인트로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 및 이 UE의 이동성 특징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한다.
단계 55: 접속망 노드가 RRC 연결 해제 과정에서, 이 페이징 영역을 UE에 통보하여 RRC 연결을 해제한 후, UE와 접속망 노드가 RRC inactive 상태에 진입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이미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고, 이동 중에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경우, 코어망 노드는 접속망 노드를 트리거하여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단계 31의 구체적 구현 형태는, 코어망 노드가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했을 때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이와 상응하게, 단계 32의 구체적 구현 형태는,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게 하는 단계;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코어망 노드에 의해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 방식 1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단계 61: UE가 현재의 RAN level Paging area로부터 이출한 후,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코어망 노드에 송신한다. 이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RAN level Paging area로부터 이출하는 지시(만약 RAN level Paging area와 TA list 또는 cell list가 정렬되지 않으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62: 코어망 노드가 UE의 컨텍스트(Context)와 NG2와 NG3 연결을 삭제하도록 먼저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통보한다.
단계 63: 코어망 노드는 UE가 여전히 allowed area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단계 63은 선택적인 단계로서, RAN level Paging area가 TA list 또는 cell list보다 클 수 있는 경우에, 이 단계 63을 수행한다.
단계 64: 코어망 노드는 현재 UE를 위해 서빙하는 접속망 노드(새로운 접속망 노드)를 지시하며, 이 UE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허용한다. 나아가, 코어망 노드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을 새로운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 65: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지시(즉, 코어망 노드가 송신한,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 등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한다.
단계 66: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지시에 따라 UE를 위해 NG3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67: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이 페이징 영역을 코어망 노드에 통보한다.
단계 68: 코어망 노드가 새로 할당한 페이징 영역을 UE에 통보하여, UE와 RAN로 하여금 RRC 연결을 해제한 후, RRC inactiv 상태에 진입하게 한다.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코어망 노드에 의해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 방식 2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단계 71: UE가 현재의 RAN level Paging area로부터 이출한 후,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코어망 노드에 송신한다. 이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RAN level Paging area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가 포함될 수 있다(만약 RAN level Paging area와 TA list 또는 cell list가 일치하지 않으면, UE는 코어망 노드에 이 지시를 제공한다).
단계 72: 코어망 노드가, UE의 컨텍스트(Context)와 NG2와 NG3 연결을 삭제하도록 먼저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통보한다.
단계 73: 코어망 노드는 UE가 여전히 allowed area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단계 73은 선택적인 단계로서, RAN level Paging area가 TA list 또는 cell list보다 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이 단계 73을 실행한다.
단계 74: 코어망 노드는 현재 UE를 위해 서빙하는 접속망 노드(새로운 접속망 노드)를 지시하며, 이 UE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허용한다. 나아가, 코어망 노드는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을 새로운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다.
단계 75: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지시(즉, 코어망 노드가 송신한, RRC inactive의 사용을 UE에 허용하는 영역) 등에 따라,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고, UE가 이 페이징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한다.
단계 76: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의 지시에 따라 UE를 위해 NG3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77: 코어망 노드가 NG3 연결 구축을 완료한 후, UE에 위치 업데이트 수락(Accept)메시지를 리턴한다.
단계78: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예를 들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와 같은 RRC 메시지를 통하여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UE에 통보하여, UE와 UE를 서빙하는 현재 접속망 노드로 하여금 RRC 연결을 해제한 후, RRC inactive 상태에 진입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가 이미 RRC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고, 이동 중에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경우에, 단말기는 직접 접속망 노드를 트리거하여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 재할당을 진행한다. 이러한 경우, 단계 31의 구체적 구현 형태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한다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송신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고, 단말기를 위해 송신한 하나의 새로운 메시지일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것이 요청 메시지일 경우, 이 요청 메시지는 이전에 상주한 셀 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를 서빙하는 접속망 노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단말기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접속망 노드로 하여금 이전 접속망 노드(즉, 제1 접속망 노드)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상응하게, 상기 단계 32는 구체적 구현 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21: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322: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한다.
단계 323: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없으면, RRC 비활성 상태 불활성화 메시지(RRC inactive state deactivation message)를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321은 구현 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11: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 321의 구체적 구현 형태는,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제1 접속망 노드는 단말기를 서비스하던 기존의 접속망 노드 즉 구(舊) 접속망 노드를 가리킨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현재 접속망 노드가, 단말기가 이전에 상주한 셀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212: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계 322 후에, 상기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방법은,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러한 경우, 접속망 노드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한다.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가 현재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하는 과정에서, 단말기에 의해 직접 트리거되는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의 재할당의 주요 구현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단계 81: UE가 현재의 RAN level Paging area로부터 이출한 후, 페이징 영역 할당을 요청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여, RAN level Paging area의 재할당을 요청한다. 이 지시 정보에는 기존 셀(old cell)의 ID가 포함된다. 만약 이 RRC 메시지가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송신되면, 기존의 접속망 노드가 RAN level Paging area을 재할당하여 UE에 통보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82를 수행한다.
단계 82: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메시지를 송신하여, X2 전환과 유사한 절차 또는 새로운 UE 컨텍스트 전달 절차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그 목적은 기존의 접속망 노드로부터 UE의 이동성 Context 및 세션 Context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기존의 접속망 노드는 새로운 접속망 노드에 allowed area를 제공해야 한다.
단계 83: 기존의 접속망 노드가 새로운 접속망 노드에 관련 정보를 피드백한다.
단계 84: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allowed area에 따라, UE가 RRC inactive 상태(예를 들어, 새로운 접속망 노드의 서비스 영역과 allowed area에 중첩이 있음)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하고,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이 UE를 위해 UE specific의 RAN level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여, UE가 이 영역에서 RRC inactive connected 상태를 사용할 수 있음을 확정한다. 만약 New RAN 노드가, UE가 RRC inactive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확정하면 UE의 요청을 거부하고, UE가 RRC inactive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지시한다.
단계 85: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86: 이 UE의 NG2, NG3 연결을 업데이트하고, 코어망 노드가 NG3의 연결 구축을 완료한다.
단계 87: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예를 들어 RRC 연결 해제 메시지와 같은 RRC 메시지를 통하여 새로운 페이징 영역을 UE에 통보하여, UE와 RAN으로 하여금 RRC 연결을 해제한 후, RRC inactive 상태에 진입하게 한다.
단계 88: 새로운 접속망 노드가 UE의 Context, NG2와 NG3 연결을 삭제하도록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통보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코어망 노드가, UE가 RAN level Paging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예를 들어, UE가 allowed area를 이탈)을 확정한 경우, 코어망 노드는 UE의 Context, NG2와 NG3 연결을 삭제하도록 기존의 접속망 노드에 통보하고, 코어망 노드는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리턴하여, RRC inactive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수 없음을 UE에 통보한다. 또한 코어망 노드는 새로운 TA list를 할당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의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함으로써,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에서 무선 접속망 레벨의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것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완전성을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접속망 노드(90)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망 노드(90)는,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91);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92);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93)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경우, 상기 제1 확정 모듈(92)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확정 모듈(92)은,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로부터,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확정된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방식은, 접속망 노드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보 모듈(93)은,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노드(90)는, 상기 단말기가 다시 접속망 노드와 접속할 때, 상기 접속망 노드로 하여금 단말기를 위해 다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게 하는 제2 확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모듈(91)은, 코어망 노드가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했을 때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보 모듈(93)은,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게 하거나;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획득 모듈(91)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에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확정 모듈(92)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제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은,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확정 모듈(92)은,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없으면, RRC 비활성 상태 불활성화 메시지를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제1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노드(90)는,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상기 통보 모듈(93)은,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접속망 노드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일일이 대응하는 접속망 노드로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접속망 노드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접속망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접속망 노드는, 프로세서(101) 및 버스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상기 프로세서(101)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103)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103)는 상기 프로세서(10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101)가 상기 메모리(103)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할 경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프로세스; 송수신기(104)를 이용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프로세서(101)는, 상술한 접속망 노드의 기타 임의의 하나의 모듈의 기능을 더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송수신기(104)는 버스 인터페이스(102)와 접속하며, 프로세서(101)의 제어하에 페이징 영역을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 10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다른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04)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버스 구성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0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완료할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완료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망 노드에 적용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1: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한다. 단계 112: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한다. 단계 113: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제공한,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111의 구체적 구현 형태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것이며,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계 113는 구현시,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12 전에,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단말기가 무선 자원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단계 112를 수행하는 단계;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리턴하여,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제1 실시예에서 코어망 노드측에 적용되는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에 관한 모든 설명은, 모두 이 방법 실시예에 적용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코어망 노드(120)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망 노드(120)는,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121);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제3 확정 모듈(122);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12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제공한,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획득 모듈(121)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제2 송신 모듈(123)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어망 노드(120)는 판단 모듈과 메시지 리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 모듈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상기 제3 확정 모듈은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리턴 모듈은,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위치 업데이트 수락 메시지를 리턴하여,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어망 노드(120)는,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코어망 노드의 실시예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에 일일이 대응하는 코어망 노드로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모든 구현 형태는 모두 이 코어망 노드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코어망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망 노드는, 프로세서(131)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프로세서(131)와 서로 연결되는 메모리(133)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133)는 상기 프로세서(13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131)가 상기 메모리(133)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호출하여 실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프로세스;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프로세스; 만약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송수신기(134)를 통하여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이 프로세서(131)는 상술한 코어어 네트워크 노드의 기타 임의의 하나의 모듈의 기능을 더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송수신기(134)는 버스 인터페이스(132)와 접속하며, 프로세서(131)의 제어하에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 13에서 버스 구성은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3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구성은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다른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34)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버스 구성과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133)는 프로세서(131)의 동작 수행 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체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를 통해 완료할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완료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의 일부 또는 전체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매체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지적해야 할 것은,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공개에서 설명한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도 일부 개량하거나 윤색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개량과 윤색도 본 공개의 보호범위로 보아야 한다.

Claims (46)

  1. 접속망 노드에 적용되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거나,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인 경우,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인 경우, 상술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로부터,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그 중, 확정된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술한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접속망 노드측의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배치와 설정 및 상기 단말기의 이동성 특징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셀 입도에 기초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재차 접속망 노드와 연결할 때, 상기 접속망 노드가 단말기를 위해 다시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징 영역을 코어망 노드에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게 하는 단계; 또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술한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는,
    에어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페이징 영역을 직접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후에,
    코어망 노드에 경로 전환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코어망 노드로 하여금 상기 단말기를 위해 접속망 노드와 코어망 노드 사이의 제어 평면 연결과 사용자 평면 연결을 업데이트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9. 접속망 노드에 있어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획득 모듈;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및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한 후 송신한,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서브 모듈; 및
    만약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으면 단말기를 위해 페이징 영역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및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유닛은,
    제1 접속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코어망 노드에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의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인,
    접속망 노드.
  10. 코어망 노드에 적용되며,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여,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단말기에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은,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코어망 노드가 제공한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 또는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한다는 지시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12. 코어망 노드에 있어서,
    단말기의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하기 위한 제2 획득 모듈;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모듈; 및
    만약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면,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획득 모듈은,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을 때 송신한 위치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는 단말기가 현재의 페이징 영역으로부터 이출했다는 지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제2 송신 모듈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단말기에 허용하는 영역 정보를 확정하는 제2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영역 정보를 단말기에 페이징 영역 할당을 진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로서 접속망 노드에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망 노드는 판단 모듈과 메시지 리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모듈은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으면, 상기 제3 확정 모듈이 상기 위치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단말기가 무선 자원 제어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리턴 모듈은 만약 상기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의 사용을 허용하는 영역에 있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응답 메시지를 리턴하여, 단말기가 RRC 비활성 상태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통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어망 노드는,
    접속망 노드가 피드백한 페이징 영역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상기 페이징 영역을 상기 단말기에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코어망 노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197013315A 2016-10-11 2017-09-20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KR102207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887826.3 2016-10-11
CN201610887826.3A CN108377516B (zh) 2016-10-11 2016-10-11 一种确定寻呼区域的方法、接入网节点及核心网节点
PCT/CN2017/102375 WO2018068614A1 (zh) 2016-10-11 2017-09-20 一种确定寻呼区域的方法、接入网节点及核心网节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540A KR20190062540A (ko) 2019-06-05
KR102207468B1 true KR102207468B1 (ko) 2021-01-25

Family

ID=619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315A KR102207468B1 (ko) 2016-10-11 2017-09-20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72999B2 (ko)
EP (1) EP3528562B1 (ko)
JP (1) JP6750126B2 (ko)
KR (1) KR102207468B1 (ko)
CN (1) CN108377516B (ko)
WO (1) WO20180686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2818B (zh) * 2017-01-06 202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ran通知范围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571341B1 (ko) * 2017-02-03 2023-08-29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1184791B2 (en) * 2017-03-25 2021-11-23 Lg Electronics Inc.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EP3627916B1 (en) * 2017-08-28 2022-08-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paging and terminal device
WO2020061994A1 (zh) * 2018-09-28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2437393B (zh) * 2019-08-07 2022-05-3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可达性区域配置方法、设备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8137B (zh) 2014-05-23 2019-04-19 中国移动通信集团内蒙古有限公司 一种分组交换域寻呼方法及装置
US9578567B1 (en) * 2014-08-26 2017-02-21 Luminate Wireless, Inc. Data center reloc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105744621A (zh) * 2014-12-08 2016-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寻呼处理方法及装置
CN107006050A (zh) 2014-12-12 2017-08-0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控制平面信令的方法和节点
CN105848223A (zh) * 2016-03-02 2016-08-1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的控制方法及设备
JP6600102B2 (ja) * 2016-09-21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ユーザ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3860*
3GPP R2-165215*
3GPP R2-1666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39188A1 (en) 2019-08-01
EP3528562B1 (en) 2021-03-03
CN108377516A (zh) 2018-08-07
CN108377516B (zh) 2019-12-10
US10972999B2 (en) 2021-04-06
WO2018068614A1 (zh) 2018-04-19
KR20190062540A (ko) 2019-06-05
EP3528562A1 (en) 2019-08-21
EP3528562A4 (en) 2019-09-25
JP2019535219A (ja) 2019-12-05
JP6750126B2 (ja)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468B1 (ko) 페이징 영역 확정 방법, 접속망 노드 및 코어망 노드
US10149216B2 (en) Method for supporting UE access control
KR102211178B1 (ko) 단말기 경로 전이,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US20220217801A1 (en) Dual Connectivity Manag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1265768B2 (en) EPS bearer identifier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SMF and PCF
KR102294942B1 (ko) QoS 처리 방법 및 기기
US11071015B2 (en) Access traffic steering/switching/splitting method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US10560929B2 (en) Resource request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network side node
KR20210149877A (ko) 세션 재확립 방법 및 장치,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 세션 관리 기능 엔티티 및 단말
KR102176921B1 (ko)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548109B (zh) 一种ue和网络状态不匹配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9673026B (zh) 数据转发方法、装置和系统
US11159934B2 (en) Presence reporting areas for the UE
EP34682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verage enhancement (ce) function
US11595867B2 (en) Address coordination method, device, base station, SMF network element and storage medium
CN108370498B (zh) 传输方案的确定方法、装置和设备
CN110839299B (zh) 一种资源分配的方法和设备
KR2023004106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3527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02843741A (zh) 源侧、目标侧切换通信装置、通信系统和呼叫切换方法
CN104581698A (zh) 双连接用户标识确定方法及宏小区基站和小小区基站
JP2020504956A (ja) コンテキスト解放方法、機器及びシステム
KR20130141334A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연결 재설정 방법
KR20230155610A (ko) 스케줄링 단말의 확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N105592494A (zh) 一种均衡移动性管理设备池容量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