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410B1 -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410B1
KR102207410B1 KR1020200105017A KR20200105017A KR102207410B1 KR 102207410 B1 KR102207410 B1 KR 102207410B1 KR 1020200105017 A KR1020200105017 A KR 1020200105017A KR 20200105017 A KR20200105017 A KR 20200105017A KR 102207410 B1 KR102207410 B1 KR 10220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seaweed
color value
uni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형
Original Assignee
이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형 filed Critical 이유형
Priority to KR102020010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01N21/293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with colour charts, graduated scales or turr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8Fracti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1Illumination and detection on two sides of object

Abstract

본 발명은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김의 표면을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여 김을 검사하되, 김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통해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판별함과 동시에 김 두께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할 수 있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건조된 김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검사가 완료된 정상상태의 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건조된 김을 이송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김 이송장치; 김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되는 김의 상면 및 하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명부; 광 조명부를 통해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을 통해 김을 검사하는 검사부; 검사부를 통하여 불량으로 검출된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검사부를 통하여 검사되는 김을 선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김의 표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섹터로 구획하고, 구획된 섹터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차이를 통해 정상상태의 김인지, 불량상태의 김인지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Sorting apparatus of thickness and different thing from dried laver}
본 발명은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 및 두께 불량 유/무를 검출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할 수 있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알긴산(Algin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이다.
이러한 김은 바다에서 채취한 후 건조하여 시중에 유통시키며, 건조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김의 생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다에서 생김을 채취하고, 채취한 김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금물과 혼합하여 보관한 다음,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렇게,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건조되기 전 생김 혼합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이 제거된 생김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발효를 위한 숙성공정과 김에서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공정을 거치고, 탈수공정을 거쳐 탈수된 김을 민물에 투입하여 생김과 조합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김의 형태가 형성되면, 김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공정을 거치고, 냉풍 및 열풍으로 김을 건조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건조 김을 생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된 김은 소금, 기름 등을 첨가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건조된 김의 생산 및 가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김에 포함되거나,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생김 혼합물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건조되기 전 상태에서 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45116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1-069954호, 제1999-276125호 등에 생김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물질 선별장치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생김에서 이물질을 제거 및 선별하는 장치의 경우, 생김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더라도 완벽한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물질이 포함 및 부착된 건조된 김을 불량 김과 이물질이 포함 및 부착되지 않은 정상 김을 선별하기 위하여 최종으로 건조된 김을 상품화하기에 앞서 건조된 김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직접 이물질 포함 및 부착 여부를 체크하는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육안으로 직접 건조 김에 포함되거나,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검사하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 계속적인 집중이 요구되어 장시간 작업 시 피로감이 상당하고, 이로 인해 건조된 김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상품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육안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육안으로 건조된 김에 이물질의 포함 여부를 검사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김 제품의 정상 여부의 판별 정확도,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2438호에, 건조된 김이 투입되는 김 투입구와 김 투입구로부터 연결되어 김을 운반시키는 콘베이어 벨트와 한 쌍의 조명부를 통해 반사된 빛에 의해 김 표면에 이물질이 있는지 검사하는 한 쌍의 검사카메라와 콘베이어 벨트의 종단부 및 측면에 위치한 김 배출구 및 검사카메라로부터 검사된 결과를 입력 받아 이물질이 있는 김을 측면의 김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김 이물질 선별 장치 내에 제 1콘베이어 벨트 상에 제 1조명부가 구비되고, 제 1콘베이어 벨트 및 제 2콘베이어 벨트 사이에 제 2조명부가 각각 구비되어 김의 상면 및 하면에 빛을 비추고, 제 1 및 제 2검사카메라가 구비되어 제 1조명부 및 제 2조명부에서 빛을 비추면 김의 상면 및 뒷면에 이물질이 있는지를 검사하며, 제 3검사카메라가 구비되어 김 표면에 구멍 및 찢어진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구성이다.
이렇게, 김 이물질 선별 장치 내에 다수개의 조명부와 다수개의 검사카메라가 구비되어 조명부에서 김에 조사된 후 김을 통해 반사되어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김 색상과 이물질의 색상의 차이를 통해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함과 동시에 조명부에서 김에 조사된 후 구멍 및 찢어진 부분을 통과 및 투과하는 광의 색상과 김의 색상의 차이를 통한 빛의 밝기를 통해 김에 구멍이 뚫려 있거나, 찢어진 상태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경우, 이물질 포함 유/무 및 구멍이 뚫려 있거나, 찢어져 있는 이상 유/무를 검사 및 검출하기는 용이하나, 김 두께의 불량상태를 검사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있다.
이로 인해,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고, 이상이 없는 정상상태의 김인 경우에도 두께가 너무 얇거나, 너무 두꺼운 김이 판매되고 있으며, 소비자가 이러한 김을 이용하여 김밥 등을 만들면, 김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김이 터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김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거칠기가 강해져 식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판매되는 김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243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399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된 김의 표면을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여 김을 검사하되, 김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통해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판별함과 동시에 김 두께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할 수 있으며, 정상상태의 김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고 불량상태의 김은 자동으로 선별 수거함으로써 양품의 김만을 선별하여 포장 및 생산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된 김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검사가 완료된 정상상태의 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건조된 김을 이송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김 이송장치; 김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되는 김의 상면 및 하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명부; 광 조명부를 통해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을 통해 김을 검사하는 검사부; 검사부를 통하여 불량으로 검출된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검사부를 통하여 검사되는 김을 선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김의 표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섹터로 구획하고, 구획된 섹터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차이를 통해 정상상태의 김인지, 불량상태의 김인지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거부는,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유닛과 연결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수거공간 상에 설치되고, 일측이 쐐기형태로 절곡형성되되, 타측이 개방형성되는 "V"자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형성되는 타측 중심부에 회전봉이 일체로 구비되는 스토퍼와, 수거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불량상태의 김을 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수거유닛, 및 수거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는 수거함을 포함하고, 이송유닛을 통과하는 김이 불량상태일 경우, 회전봉을 90°회전시켜 스토퍼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불량상태의 김이 수거공간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 후 수거유닛을 통해 수거함에 수거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김의 표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는 섹터구획부와, 섹터구획부를 통해 구획된 각 섹터 별 색상값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부와, 색상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색상값에 따라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 및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불량판별부와, 불량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실행부와, 불량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김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색상검출부를 통해 색상값이 검출된 김의 불량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한편,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을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되되, 김의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색상값이 하나의 섹터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될 경우, 김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별하여 불량상태의 김으로 선별한다.
또한,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더불어,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각 색상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그리고,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하되, 구획된 섹터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구역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구역별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건조된 김의 표면을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여 검사하되, 김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통해 이물질의 포함 유/무 및 김 두께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할 수 있으며, 정상상태의 김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고 불량상태의 김은 자동으로 선별 수거함으로써 양품의 김만을 선별하여 포장 및 생산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육안으로 쉽게 검출되지 않는 미세한 이물질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김의 두께 불량 여부를 동시에 검사함으로써 김을 검사하는데 필요한 작업자, 공간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건조된 김의 불량 여부를 선별할 수 있고, 건조된 김의 오검출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통해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기 위한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통해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정상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정상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통해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기 위한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를 통해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정상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통해 검사된 두께가 정상상태인 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1)는 하우징(10)과 김 이송장치(20)와 광 조명부(30)와 검사부(40)와 수거부(50) 및 색상값(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프레임으로 외형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건조된 김(3)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도번 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검사 후 정상상태의 김(3)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도번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김 이송장치(20)는 건조된 김(3)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회전바퀴 및 상기 회전바퀴를 아이들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Conveyor) 장치로 이루어지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하에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김 이송장치(20)는 건조된 김(3)을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1) 내로 공급하되,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구에 연결설치되는 공급유닛(21)과 상기 공급유닛(21)을 통해 투입되는 건조된 김(3)을 이송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이송유닛(22), 및 정상상태의 김(3)을 다음 공정으로 배출하도록 하우징(1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다음 공정으로 김(3)을 이송하는 연결유닛(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 조명부(30)는 상기 김 이송장치(20)의 이송유닛(22)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3)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조명부(31) 및 제2 조명부(3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조명부(31)는 상기 출구를 통하여 이송되는 김(3)의 상면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조명부(32)는 김(3)의 하면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출구를 통하여 김(3)이 불량상태인지 여부 검사 시 김(3)의 상, 하면에 광을 조사하여 김(3)에서 이물질 포함 유/무 및 이상 유/무의 검사한 후 정상상태의 김(3)인지, 불량상태의 김(3)인지의 여부를 보다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 조명부(30)는 LED 소자(미도시)로 이루어지되, 고휘도 LED 간접 주사 방식이나, 적외선 LED 투과 방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유닛(22)에 광을 조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광 조명부(30)는 김(3)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명확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청색 및/또는 적색 등 특정 색상의 이물질에 대한 검출력을 증대 및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의 조도, 채도 및 색상 등을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검출률을 감소시켜 검사된 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부(40)는 상기 김 이송장치(20)의 이송유닛(22)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3)의 표면에서 이물질 포함 유/무 및 구멍이 뚫려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겹쳐지거나 얇은 부분으로 인해 두께에 이상이 있는지 등 김(3)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을 검사 및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검사부(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조명부(31)의 상방에 위치하여 김(3)의 상면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하는 제1 검사 카메라(41)와 제2 조명부(32)의 하방에 위치하여 김(3)의 하면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하는 제2 검사 카메라(42)와 제2 조명부(32)의 상방에 위치하여 김(3)에 구멍이 뚫어져 있는지, 찢어진 부분이 있는지, 겹쳐지거나 얇은 부분 등 두께가 불량인 부분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3 검사 카메라(43), 및 김(3) 내부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하는 제4 검사 카메라(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 카메라(41, 42, 43, 44)는 초고속 카메라 및/또는 투시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22)을 통하여 이송되는 김(3)을 검사하여 건조된 김(3)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하고, 건조된 김(3)에 구멍이 뚫려 있거나, 찢어져 있는 이상 유/무를 검사함과 동시에 여러 장이 겹쳐져 있거나, 얇은 부분으로 인해 두께가 불량인 부분을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검사부(40)는 상기 광 조명부(30)를 통하여 조사된 후 김(3)의 상, 하면을 통해 반사되어 입사되거나, 투과되는 광을 통해 김(3)에 이물질 포함 유/무, 구멍이 뚫려 있거나, 찢어져 있거나, 두께 불량 등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광 조명부(30)를 통하여 김(3)의 표면에 조사되는 광이 김(3)의 표면에 반사되어 검사부(40)로 입사 시 김(3)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밝기 보다 김(3)의 표면에 포함되되, 스티로폼, 지푸라기, 갑각류, 끈 등의 이물질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밝기가 더 밝으며, 이러한 밝기의 차이를 통해 김(3)에서 이물질 포함 유/무 및 김(3)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이는, 어두운 색상을 갖는 김(3)의 표면과 어두운 색상의 김(3) 보다 밝은 색상을 갖는 이물질의 색상 차이로 인해 김(3)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밝기와 이물질을 통해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차이가 발생되며, 이를 통해 김(3)의 표면에서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출 및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의 김(3)이 겹쳐져 두께가 불량한 김(3)의 경우, 어두운 색상을 갖는 김(3)의 표면을 통한 반사된 광의 밝기 보다 여러 장이 겹쳐져 두꺼워진 부분을 통해 반사된 광의 밝기가 어두우며, 이를 통해 김(3)의 두께 불량 등 이상 유/무를 검출 및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50)는 상기 김 이송장치(20)의 이송유닛(22)을 통과하면서 검사부(40)를 통하여 검사가 완료된 불량상태의 김(3)을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는 김 이송장치(20)의 이송유닛(22)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유닛(22)을 통해 이송되는 불량상태의 김(3)을 이송유닛(22)의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수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거부(50)는 하우징(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에 형성되는 수거공간(53) 상에 설치되는 스토퍼(51)와 상기 수거공간(53) 하부에 구비되어 수거공간(53)으로 배출되는 불량상태의 김(3)을 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수거유닛(54) 및 상기 수거유닛(54)에 의해 이송되는 불량상태의 김(3)을 수거하는 수거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51)는 상기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의 수거공간(53) 상에 설치되되, 일측이 쐐기형태로 절곡형성되고, 타측이 개방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형성되는 타측 중심부에 회전봉(52)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봉(52)은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1)에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일측이 상기 이송유닛(22)측을 향하고, 상기 스토퍼(51)의 개방형성된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봉(52)은 연결유닛(24)측을 향하여 편향되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봉(52)을 중심으로 스토퍼(51)가 상,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이송유닛(22)을 통과하는 김(3)이 정상상태의 김(3)일 경우, 상기 회전봉(52)을 회전시켜 스토퍼(51)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수거공간(53)을 폐쇄함과 동시에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로 이송되는 김(3)을 안내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이송유닛(22)을 통과하는 김(3)이 불량상태의 김(3)일 경우, 상기 회전봉(52)을 90°회전시켜 스토퍼(51)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수거공간(53)을 개방함과 동시에 이송유닛(22)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김(3)이 연결유닛(24)으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상기 스토퍼(51)에 의해 이송유닛(22)에서 연결유닛(24)으로 이송되지 못하는 불량상태의 김(3)은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의 수거공간(53)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고, 상기 수거공간(53)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불량상태의 김(3)은 수거유닛(54)을 통해 이송되어 수거함에 수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유닛(22)에서 연결유닛(24)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의 수거공간(53)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 불량상태의 김(3)이 수거유닛(54)을 통해 이송되어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수거공간(53) 하부에 중공을 갖는 튜브형태로서, 상단부는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수거함에 인입되는 수거관(미도시)이 구비되어 수거공간(53)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불량상태의 김(3)이 상기 수거관의 상단부로 투입된 후 그 내부를 통하여 수거함에 인입되는 하단부를 통해 배출되어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수거함의 입구에는 불량상태의 김(3)의 수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수거되는 김을 파쇄 또는 절단하기 위한 파쇄기 또는 절단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수거함은 내부에 형성되는 수거공간(53)에 불량상태의 김(3)이 일정량 이상 수거될 경우, 수거함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그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60)는 건조된 김(3)이 정상상태의 김(3)인지, 불량상태의 김(3)인지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섹터구획부(61)와 색상검출부(62)와 불량판별부(63)와 실행부(64)와 저장부(65) 및 디스플레이부(66)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22)과 검사부(40)와 광 조명부(30) 및 수거부(50)에 제어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섹터구획부(61)는 김(3)의 표면을 둘 이상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한다.
여기서, 김(3)의 표면에 구획된 섹터는 모두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김(3)의 표면에 구획된 섹터의 개수 또한 김(3)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섹터구획부(61)는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색상검출부(62)는 상기 섹터구획부(61)를 통하여 구획된 각 섹터 별 색상값을 검출한다. 즉, 상기 색상검출부(62)는 상기 이송유닛(22)을 통하여 이송 중에 검사부(40)를 통해 이물질 포함 유무 및 두께 이상 유/무 검사 시 광 조명부(30)에서 김(3)의 표면에 조사된 후 김(3)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검사부(40)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색상검출부(62)는 김(3)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어 검사 카메라(41, 42, 43, 44)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라 밝은 정도, 어두운 정도의 색상값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김(3)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어 검사부(40)로 입사되는 김의 색깔에 따른 색상값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불량판별부(63)는 상기 색상검출부(62)를 통해 검출된 색상값에 따라 김(3)에 이물질 포함 유/무 및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한다. 즉, 상기 불량판별부(63)는 광 조명부(30)에서 조사된 후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김(3)의 표면에서 반사된 검사부(40)로 입사되는 각 섹터 별 색상값을 통해 김(3)의 표면에 이물질 포함 유/무 및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정상상태의 김(3)인지, 불량상태의 김(3)인지를 선별한다.
여기서, 상기 불량판별부(63)는 김(3)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차이를 통해 이물질 포함 유/무를 판별하고, 김(3)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수치화하여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되, 김(3)의 표면에 구획된 모든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을 통해 두께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거나, 김(3)의 표면에 다수개의 구역을 분할되고, 분할된 구역 내의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을 구역 별 색상값의 평균값으로 계산하고, 계산된 색상값의 평균값을 통해 두께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불량판별부(63)는 김(3)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기준 색상값으로 기 설정하고, 김(3)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벗어나는지 등의 차이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통해 정상상태의 김(3)인지, 불량상태의 김(3)인지를 판별한다.
이렇게, 상기 불량판별부(63)는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김(3)의 표면에서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높은 색상값이 검출될 경우, 이물질이 포함된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고, 김(3)의 표면에서 기준 색상값 보다 어두운 낮은 색상값이 전체적으로 검출되거나, 김(3)의 표면에서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높은 색상값이 전체적으로 검출되되, 기준 색상 범위를 벗어날 경우, 두꺼운 부분이 포함되는 두께 불량상태의 김(3)인지, 얇은 부분이 포함되는 두께 불량상태의 김(3)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실행부(64)는 상기 불량판별부(63)를 통해 판별된 불량상태의 김(3)을 선별하여 수거한다. 즉, 상기 실행부(64)는 연결유닛(24)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스토퍼(51)를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직형태를 이루도록 동작시켜 연결유닛(24)의 입구측을 폐쇄하고, 이로 인해 이송유닛(22)에서 연결유닛(24)으로 이송되는 불량상태의 김(3)이 연결유닛(24)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이송유닛(22)과 연결유닛(24) 사이의 검사공간(도번 미도시) 하부로 낙하시켜 수거한다.
여기서, 상기 실행부(64)는 불량판별부(63)를 통해 판별된 김(3)이 정상상태의 김(3)일 경우, 상기 연결유닛(24)의 입구측에 구비되는 스토퍼(51)를 회동하여 수평형태를 이루도록 동작시켜 이송유닛(22)에서 이송되는 정상상태의 김(3)을 연결유닛(24)으로 안내 및 가이드한다.
상기 저장부(65)는 상기 불량판별부(63)를 통해 불량상태로 판별된 김(3)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65)는 불량상태의 김(3)의 개수, 김(3)에 포함되는 이물질 종류, 이물질의 개수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불량상태의 김(3)의 사진 영상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저장부(65)는 김(3)의 종류별로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의 사진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의 사진 영상을 불량판별부(63)에 제공하고, 상기 불량판별부(63)는 이를 통해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을 판별하여 선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65)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제어부(60) 내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6)는 상기 색상검출부(62)를 통해 색상값이 검출된 김(3)의 불량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66)는 검사부(40)를 통하여 검사된 김(3) 중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의 표면 영상,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의 김(3)의 개수 등을 숫자 또는 퍼센트(%)로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6)는 김(3)의 종류 및 이에 따른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기타 검사된 김(3)의 다양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66)는 터치 형태로 형성되어 조작부의 역할을 더불어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공급유닛(21)을 통해 건조된 김(3)이 이송유닛(22)으로 이송되고, 상기 이송유닛(22)으로 이송된 후 이송유닛(22)을 통과하는 김(3)은 상기 이송유닛(22)의 상, 하부에 구비되는 검사부(40)를 통해 김(3)의 상면 및 하면에 이물질 포함 유/무 및 이상 유/무를 검사하고, 검사 후 정상상태의 김(3)은 연결유닛(24)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 구이기, 조미기, 계수기, 절단기 및 포장기 등의 공정을 통해 상품화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22)을 통과하는 건조된 김(3)의 검사 시 상기 제어부(60)의 섹터구획부(61)를 통해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고, 상기 색상검출부(62)는 구획된 각 섹터 별 색상값을 통해 이물질 포함 유/무를 판별하여 선별하고,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될 경우, 실행부(64)는 불량상태의 김(3)은 수거하고, 정상상태의 김(3)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광 조명부(30)에서 조사된 후 정상적인 김(3)의 표면에 반사되어 검사부(40)로 입사되는 김(3)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기준 색상값으로 기 설정하고, 기준 색상값에 따른 범위를 설정한 후 김(3)의 표면에 구획된 섹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을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되되, 섹터의 면적 내에서 밝은 색상값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될 경우, 김(3)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불량상태의 김(3)으로 선별한다.
이렇게, 상기 검사부(40)로 입사되되, 김(3) 표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김(3) 본연의 기준 색상값과 상기 기준 색상값 보다 밝기가 증가되는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차지하는 면적이 하나의 섹터 면적을 100% 기준으로 할 경우,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되면, 김(3)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김(3)의 기준 색상값을 벗어나되,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색상값은 하나의 섹터 면적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되면, 상기 김(3)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불량상태의 김(3)으로 선별하는 등 섹터의 면적을 기준으로 이물질 포함 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기준 색상값의 면적을 기준으로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색상값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되면, 상기 김(3)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불량상태의 김(3)으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22)을 통과하는 건조된 김(3)의 검사 시 상기 제어부(60)의 섹터구획부(61)를 통해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고, 상기 색상검출부(62)는 구획된 각 섹터 별 색상값을 통해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선별하며,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될 경우, 실행부(64)는 불량상태의 김(3)은 수거하고, 정상상태의 김(3)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광 조명부(30)에서 조사된 광이 김(3)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검사부(40)로 입사되면,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색상검출부(62)는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입사되는 광의 밝기를 통해 모든 섹터의 색상값을 검출하고, 모든 섹터의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두께에 이상이 없는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고,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섹터의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밝은 색상값일 경우,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며,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섹터의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어두운 색상값일 경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6 내지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김(3)의 표면을 8×8로 구획하고, 김(3)의 정상적인 표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밝기에 따른 기준 색상값을 60으로 설정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58 내지 62로 설정한 후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출되는 각기 다른 색상값을 통해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두께에 이상이 없는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고,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출되는 각기 다른 색상값을 통해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 보다 높을 경우,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 보다 낮을 경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한편, 상기 각 섹터를 통하여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통해 두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으나, 상기 각 섹터를 통해 검출된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두께가 불량인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검사부(40)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밝은 색상값을 갖는 섹터와 기준 색상값 범위를 벗어난 어두운 색상값을 갖는 섹터가 김(3)의 표면에 혼재될 경우에도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3)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색상값 및 기준 색상값의 범위는 정상적인 김(3)의 표면에서 검출된 색상값이나,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을 토대로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하거나, 원산지 및 김(3)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김(3)의 표면을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고, 각 섹터에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각각 색상값을 통해 평균 색상값을 계산한 후 계산된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 여부로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을 선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김(3)의 표면을 다수개로 섹터로 구획하되, 구획된 섹터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을 계산한 후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두께에 이상이 없는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고,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할 수 있다.
이때,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 보다 높을 경우, 기준 색상값 보다 높은 밝은 색상값을 갖는 구역은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고,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 보다 낮을 경우, 기준 색상값 보다 낮은 어두운 색상값을 갖는 구역은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김(3)의 표면을 8×8로 구획하되, 4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김(3)의 정상적인 표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밝기에 따른 기준 색상값을 60으로 설정하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58 내지 62로 설정한 후 분할된 구역 내의 각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을 기준 색상값과 비교하되, 기준 색상값 보다 높은 색상값을 갖는 구역은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고, 기준 색상값의 범위 보다 낮을 경우, 기준 색상값 보다 낮은 색상값을 갖는 구역은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3)으로 판별하여 선별한다.
한편,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되, 중심부에 배치되는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할 수 있고,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될 경우,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김밥용 김 등 용도에 따라 중심부의 두께가 균일한 것은 중요하나, 주변 가장자리의 두께는 크게 중요하지 않은 김의 경우, 또는 중심부의 두께는 중요하지 않으나, 가장자리의 두께가 중요한 김의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중심부에 배치되는 섹터들에서 검출된 색상값은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섹터들에서 검출된 색상값은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할 수 있고, 김(3)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섹터들에서 검출된 색상값은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중심부에 배치되는 섹터들에서 검출된 색상값은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정상상태의 김(3)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김(3) 표면 전체 면적을 100% 기준으로, 중심부의 면적은 7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김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김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하여 두께가 불량한 김(3)을 판별하여 선별함으로써 불량상태로 오인받을 수 있는 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1)를 통해 김(3)의 검사 시 김(3)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먼저 검사한 후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정상상태의 김(3)에 두께 이상 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김(3)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불량상태의 김(3)일 경우, 별도의 두께 이상 유/무는 검사하지 않고, 선별하여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부(40)를 통해 검사된 정상상태인 김(3)은 이송유닛(22)에서 연결유닛(24)으로 이송하되, 상기 수거부(50)의 스토퍼(51)가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이송유닛(22)에서 이송되는 정상상태의 김(3)을 연결유닛(24)으로 안내 및 가이드하고, 불량상태의 김(3)은 수거부(50)의 스토퍼(51)가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이송유닛(22)에서 이송되는 불량상태의 김(3)을 수거공간(53)을 통해 하부로 낙하시킨 후 수거유닛(54)을 통해 수거함에 수거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1)는 생김 혼합물에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후 건조된 김(3)을 상품화하기 전에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을 선별하는 것으로, 정상상태의 김(3)과 불량상태의 김(3)을 선별하기 위한 김 이송장치(20)와 검사부(40) 및 광 조명부(30)는 2개 이상 다수개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1)를 통해 선별된 정상상태의 김(3)은 다음 단계로 공급 및 이동하되, 구이기, 조미기, 계수기, 절단기 및 포장기 등으로 단계적으로 이송하여 김(3)을 상품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3 : 김,
10 : 하우징, 20 : 김 이송장치,
21 : 공급유닛, 22 : 이송유닛,
24 : 연결유닛, 30 : 광 조명부,
31 : 제1 조명부, 32 : 제2 조명부,
40 : 검사부, 41 : 제1 검사 카메라,
42 : 제2 검사 카메라, 43 : 제3 검사 카메라,
44 : 제4 검사 카메라, 50 : 수거부,
51 : 스토퍼, 52 : 회전봉,
53 : 수거공간, 54 : 수거유닛,
60 : 제어부, 61 : 섹터구획부,
62 : 색상검출부, 63 : 불량판별부,
64 : 실행부, 65 : 저장부,
66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건조된 김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검사가 완료된 정상상태의 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건조된 김을 이송하되,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에 연결설치되는 공급유닛과, 상기 공급유닛을 통해 투입되는 건조된 김을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유닛, 및 정상상태의 김을 배출하도록 하우징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김을 이송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김 이송장치;
    상기 김 이송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되는 김의 상면 및 하면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명부;
    상기 광 조명부를 통해 조사된 후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통해 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통하여 불량으로 검출된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검사부를 통하여 검사되는 김을 선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김의 표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섹터로 구획하고, 구획된 섹터에서 반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차이를 통해 정상상태의 김인지, 불량상태의 김인지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을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하여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 검사 시,
    상기 김의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색상값이 하나의 섹터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되거나, 상기 김의 기준 색상값 보다 밝은 색상값이 하나의 섹터 내의 기준 색상값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5% 내지 30% 미만으로 검출될 경우, 상기 김에 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별하여 불량상태의 김으로 선별하고,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을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하여 김의 두께 이상 유/무 검사 시,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되,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밝은 색상값일 경우,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고, 기준 색상값의 범위를 벗어난 어두운 색상값일 경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거나,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각 색상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두께가 불량상태인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거나,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하되, 구획된 섹터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구역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구역별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되, 분할된 구역 별 섹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 보다 높은 밝은 색상값을 갖는 구역일 경우, 얇은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고, 분할된 구역 별 색터에서 검출된 색상값의 평균값이 기준 색상값 보다 낮은 어두운 색상값을 갖는 구역일 경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불량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이송유닛과 연결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수거공간 상에 설치되고, 일측이 쐐기형태로 절곡형성되되, 타측이 개방형성되는 "V"자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형성되는 타측 중심부에 회전봉이 일체로 구비되는 스토퍼와, 상기 수거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하는 수거함, 및 상기 수거공간의 하부에 구비되되, 중공을 갖는 튜브형태로서, 상단부는 직경이 감소하는 깔대기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부는 수거함에 인입되어 수거공간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불량상태의 김을 수거함에 수거하는 수거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에 쐐기형상의 일측이 이송유닛측을 향하고, 스토퍼에 개방형성된 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봉은 연결유닛측을 향하여 편향되게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을 중심으로 스토퍼가 상,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이송유닛을 통과하는 김이 정상상태의 김일 경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켜 스토퍼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수거공간을 폐쇄함과 동시에 이송유닛과 연결유닛 사이로 이송되는 김을 안내 및 가이드하고,
    상기 이송유닛을 통과하는 김이 불량상태일 경우, 상기 회전봉을 90°회전시켜 스토퍼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불량상태의 김이 수거공간을 통해 하부로 낙하된 후 상기 수거관의 상단부로 투입되어 그 내부를 통하여 수거함에 인입되는 하단부를 통해 수거함에 배출되어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김의 표면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하거나, 구획된 각 섹터를 다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섹터구획부와, 상기 섹터구획부를 통해 구획된 각 섹터 별 색상값을 검출하되, 김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밝은 정도, 어두운 정도의 색상 값을 검출하거나, 김의 표면을 통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김의 색깔에 대한 색상값을 검출하는 색상검출부와, 상기 색상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색상값에 따라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판별하거나, 김의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되, 김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을 수치화하여 김 두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불량판별부와, 상기 불량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불량상태의 김을 선별하여 수거하는 실행부와, 상기 불량판별부를 통해 판별된 김의 정보를 저장하되, 김의 개수, 김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종류, 이물질의 개수,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의 사진 영상을 포함하는 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색상검출부를 통해 색상값이 검출된 김의 불량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의 김의 개수를 숫자 또는 포센트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김 표면 전체 면적을 100% 기준으로, 중심부의 면적을 70%로 설정한 후 중심부의 두께가 균일한 것은 중요하나, 주변 가장자리의 두께는 중요하지 않은 김의 경우,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중심부에 배치되는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정상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며,
    김 표면 전체 면적을 100% 기준으로, 중심부의 면적을 70%로 설정한 후 주변 가장자리의 두께가 균일한 것은 중요하나, 중심부의 두께는 중요하지 않은 김의 경우,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섹터들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중심부에 배치되는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입사되는 광의 밝기에 따른 색상값이 기준 색상값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정상상태의 김으로 판별하여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조명부에서 조사된 후 김의 표면에 구획된 각 섹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섹터에서 검사 카메라로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색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상값을 벗어난 밝은 색상값이 동시에 검출하여 김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 정상상태의 김과 불량상태의 김을 검사할 경우,
    김에 이물질 포함 유/무를 먼저 검사한 후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정상상태의 김에 두께 이상 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지되,
    이물질이 포함되는 불량상태의 김으로 판별되면, 두께 이상 유/무를 검사하지 않고 선별하여 폐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00105017A 2020-08-21 2020-08-21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KR10220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17A KR102207410B1 (ko) 2020-08-21 2020-08-21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017A KR102207410B1 (ko) 2020-08-21 2020-08-21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410B1 true KR102207410B1 (ko) 2021-01-25

Family

ID=7423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017A KR102207410B1 (ko) 2020-08-21 2020-08-21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29528A (ja) * 2021-02-25 2022-09-06 株式会社日本選別化工 乾燥板海苔の異物検出装置及び良品仕分け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251A (ja) * 1993-12-31 1996-04-23 Togami Electric Mfg Co Ltd 海苔調合液濃度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32438A (ko) 2002-10-09 2004-04-17 주식회사 디쌤 김 이물질 선별 장치
JP2009002764A (ja) * 2007-06-21 2009-01-08 Satake Corp 海苔の外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94087A (ja) * 2008-06-05 2009-12-17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材料検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23991A (ko) 2009-05-18 2010-11-26 주식회사 디쌤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20120074579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의 산화층 두께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251A (ja) * 1993-12-31 1996-04-23 Togami Electric Mfg Co Ltd 海苔調合液濃度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40032438A (ko) 2002-10-09 2004-04-17 주식회사 디쌤 김 이물질 선별 장치
JP2009002764A (ja) * 2007-06-21 2009-01-08 Satake Corp 海苔の外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94087A (ja) * 2008-06-05 2009-12-17 Sumitomo Chemical Co Ltd 樹脂材料検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23991A (ko) 2009-05-18 2010-11-26 주식회사 디쌤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101042896B1 (ko) * 2009-05-18 2011-06-21 주식회사 디쌤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20120074579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강판의 산화층 두께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29528A (ja) * 2021-02-25 2022-09-06 株式会社日本選別化工 乾燥板海苔の異物検出装置及び良品仕分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1934B1 (en) Process and system for in-line inspection of product stream for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AU2013347861B2 (en) Scoring and controlling quality of food products
US2011014001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Undesirable Object or Flaw
JP6590907B2 (ja) 莢果選別システム、莢果選別装置及び莢果選別方法
JP2010042326A (ja) 光学式穀粒選別装置
JPH06220771A (ja) 副蚕糸の処理における人造繊維又は欠陥繊維又はその他の異物を検出する方法と関連の装置
KR102283869B1 (ko) 계란 품질 자동검사 시스템
KR102207410B1 (ko) 김 이물질 및 두께 선별장치
US5973286A (en) Grain sorting method and a device thereof
JPWO2017029864A1 (ja) 卵の検査装置及び卵の選別システム
García-Alegre et al. Eggshell defects detection based on color processing
Mohamed et al. Development of a real-time machine vision prototype to detect external defects in some agricultural products
KR20020082156A (ko) 겔피복종자 검사장치
JP2004514131A (ja) 穀類の穀粒の像を記録し、割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US10902575B2 (en) Automated grains inspection
KR102431960B1 (ko) 계란 품질 선별기
JP6699694B2 (ja) 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
García-Alegre et al. Color index analysis for automatic detection of eggshell defects
KR100514896B1 (ko) 김 이물질 선별 장치
JPH01312447A (ja) 米粒品位判定方法
JP5218729B2 (ja) 殻付ピスタチオ粒の選別装置
KR101636508B1 (ko) 과일 선별 장치
JPH06100536B2 (ja) 海苔鑑別方法
JP2001033391A (ja) 粒状物品位判別装置
JP5531271B2 (ja) 二枚貝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