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99B1 -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99B1
KR102207399B1 KR1020200092082A KR20200092082A KR102207399B1 KR 102207399 B1 KR102207399 B1 KR 102207399B1 KR 1020200092082 A KR1020200092082 A KR 1020200092082A KR 20200092082 A KR20200092082 A KR 20200092082A KR 102207399 B1 KR102207399 B1 KR 10220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ucture
male
water
index block
ma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일
배성완
임대성
조봉주
Original Assignee
엘티삼보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아지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삼보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아지질 filed Critical 엘티삼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placing or applying sealing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판; 및 상기 배면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지수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블록 본체; 및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하측에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와 하측으로 이웃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향 삽입되도록 수부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는 수부재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WATERPROOFING BLOCK STRUCTURE USED TO WATER STOP CONSTRUCTION FOR FORMING UNDERGROUND CONTINUOUS WALL AND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본원은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프램 월(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시공 공법은 공법의 특성 상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 판넬을 이어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분리 시공으로 인하여 형성된 다이어프램 월은 판넬 사이에 형성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시공 공법에 따른 다이어프램 월은 이음부를 통한 지하수의 누수의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 월의 이음부의 지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10-1318202호에 지수재가 장착되는 지수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지수블록은 지수재가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 및 지수재 장착부의 저부에 위치하는 배면판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지수블록은 지수블록간의 이음부가 다수(8~12 개)의 볼트 연결에 의해 형성되므로 지수블록간의 조립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조립을 위한 측면 구멍을 폐합하기 위해 용접이 시행되므로 측면 구멍 해체시 산소 절단 작업이 필요해 지수블록이 손상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수블록에 의하면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의 작업 수행시에는 현장 조립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종래의 지수블록에 의하면, 복수의 지수블록이 다수의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야 하므로, 선조립 후 굴착 공간에 배치되어야 했고, 이에 따라, 선조립된 복수의 지수블록의 길이로 인해, 지붕이나 교량 등으로 인해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는 선조립된 복수의 지수블록을 굴착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수블록간의 연결 시간을 줄이고 지수블록의 손상을 줄이며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도 용이하게 지수블록을 연결하여 굴착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판; 및 상기 배면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지수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블록 본체; 및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하측에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와 하측으로 이웃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향 삽입되도록 수부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는 수부재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 연결 방법은, (a) 하측 이웃 지수블록이 굴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을 굴착 공간 양측의 가이드 월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도록,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를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부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를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가 지수블록 구조체의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고, 이러한 상향 삽입 상태가 수부재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종래의 지수블록간의 볼팅 결합 대비 지수블록 구조체간의 연결이 용이해 연결 작업 시간을 줄어들 수 있고, 지수블록 구조체의 손상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측 이웃 지수블록이 굴착 공간에 삽입되며 굴착 공간 양측의 가이드 월에 대하여 거치된 상태에서,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지수블록 구조체의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고 상향 삽입이 수부재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하측 이웃 지수블록이 굴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지수블록 구조체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도 용이하게 지수블록 구조체의 굴착 공간에 대한 배치 및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부의 단면이 도시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다.
도 3은 일부의 단면이 도시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조립용 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와 조립용 헤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1은 조립용 브라켓이 조립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가 굴착 공간 내에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를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상면, 하측, 하단, 하면, 전방, 전면, 후방, 배면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배면 등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배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고, 도 13에서는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10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4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은 지중연속벽의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굴착 공간의 일측벽면에 배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수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이하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라 함)(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부의 단면이 도시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며, 도 3은 일부의 단면이 도시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상면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블록 본체(11)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판(111) 및 배면판(1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지수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1121)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하 방향은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본체(11)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다른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연결될 때, 상하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굴착 공간(91)에 배치될 때 그의 상하 방향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블록 본체(11)의 규격,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필요한 경우, 블록 본체(11)의 두께는 두껍거나(도 1 참조), 슬림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본체(11)의 지수재 장착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2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볼륵 본체(11)의 지수재 장착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1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지수재 장착부(11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부재(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부재(12)는 두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수부재(12) 개수는 본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수재 장착부(112)의 하측에는 수부재 삽입부(1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부재 삽입부(1122)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으로 이웃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상향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및 후술하는 상측 이웃 지수블록(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상측으로 이웃하는 지수블록)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대응 내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는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의해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의해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이음부 구성을 핀 타입(수부재(12))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고,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의해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된 상태가 고정됨으로써,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이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상측에는 수부재 고정유닛(13)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하향 함몰된 암나사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지수블록 구조체(1)의 수부재 삽입부(1122)는, 배면판(111)과 지수재 장착부(112)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게 구비되되,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상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판 부재(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는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면, 판 부재(1123)와 대향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판 부재(1123)에는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 홈(121)과 대향하는 위치마다 수나사 통과 홀(112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부재 고정유닛(13)의 적어도 일부는 수나사 통과 홀(11231)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었을 때, 수부재 고정유닛(13)은 판 부재(1123)의 상측으로부터 수나사 통과 홀(11231)로 삽입되어 판 부재(1123)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의 암나사 홈(121)에 삽입되어 암나사 홈(121)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나사 통과 홀(11231)은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이 통과할 수 없도록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부재(12)는 수나사 통과 홀(11231)로 삽입될 수 없으며, 판 부재(1123)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수부재 고정유닛(13)은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암나사 홈(121)에 수나사 통과 홀(11231)을 통해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131) 및 수나사부(13)의 상단과 연결되되 수나사 통과 홀(1123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수나사 통과 홀(11231)보다 큰 폭으로 확장 구비되어 판 부재(1123)의 상면 상에 안착되는 머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부재 고정유닛(13)의 머리부(132)가 본 지수 블록 구조체(1a)의 판 부재(1123)에 안착되고, 수나사부(131)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본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은 연결될 수 있다.
판 부재(1123)는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상단과의 사이에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만약 판 부재(1123)와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상단의 간격이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보다 클 경우, 복수의 수부재(12)가 수부재 삽입부(1122)에 완전 삽입되었는데도 수부재 고정유닛(13)이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에 삽입되지 못한 상태 또는 수부재 고정유닛(13)과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의 나사 결합이 완전 진행되지 못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부재 고정유닛(13)과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의 완전 결합을 위해, 판 부재(1123)는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상단과의 사이에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판 부재(1123)와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상단의 간격은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이라 함은, 수부재 고정유닛(13)과 암나사 홈(121)의 나사 진행이 시작 내지 진행될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간격을 이용한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암나사 홈(121)에 대한 수나사부(131)의 나사 조임 진행에 따라 본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사이의 접촉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암나사 홈(121)에 대한 수나사부(131)의 나사 조임이 진행됨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사이는 가까워지며, 상기 나사 조임의 진행에 의해 서로 밀착(접촉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사이를 통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 또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내부로 굴착 공간(9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여기에서 접촉 압력이 증가한다는 것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이를 테면, 하면)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이를 테면, 상면)이 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는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둘레 부재(11221)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부재(11221)는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테면, 둘레 부재(11221)에 의해,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은 용이하게 각각의 암나사 홈(121)과 수나사 통과 홀(11231)과 대향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 내부 공간 중 일부는 판 부재(11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공간(11223)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부재 고정유닛(13)이 수부재(12)와 결합된 상태일 때, 수부재 고정유닛(13)은 머리부(132)가 상측 공간(11223)에 위치하며 판 부재(1123)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7을 함께 비교하여 보면, 지수재 장착부(112)에서 상측 공간을 감싸는 부분 중 일부에는 상측 공간(11223)과 지수재 장착부(112)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1124)는 판 부재(1123)에 형성된 수나사 통과 홀(11231)에 외부 공간에 있는 작업자가 보유한 나사 체결용 도구가 접근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부재(12)는 2개 형성될 수 있는데, 2개의 수부재(12) 각각은 지수재 장착부(112)의 상면 중 폭방향 일측부 및 폭방향 타측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1124)는 지수재 장착부(112)의 폭방향 일측면 및 폭방향 타측면 각각의 2개의 수부재(12) 각각에 나사 체결용 도구가 접근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나사 체결용 도구(예를 들어, 손, 렌치 등)를 윈도우(1124)를 통해 상측 공간(11223) 내로 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된 상태일 때, 작업자는 수부재 고정유닛(13)을 윈도우(1124)를 통해 상측 공간(11223)에 넣을 수 있고, 수부재 고정유닛(13)이 상측 공간(11223)으로부터 수나사 통과 홀(11231)을 통과해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에 하향 삽입시키고 윈도우(1124)를 통해 나사 체결용 도구를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접근시켜 수부재 고정유닛(13)과 암나사 홈(121)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윈도우(1124)를 이용한 수부재 고정유닛(13)의 나사 결합 및 수부재 고정유닛(13)의 나사 결합 해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에 있어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볼팅 작업으로 지수블록을 연결하던 것 대비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굴착 공간(91)에 근입되며 하측 이웃 지수블록(1b)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착 공간(91)에 선배치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 상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배치되며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도록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인양될 수 있고,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면 작업자는 윈도우(1124)를 통해 수부재 고정유닛(13)을 수나사 통과 홀(11231)을 통과해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에 하향 삽입하며 나사체결용 도구로 수부재 고정유닛(13)을 암나사 홈(121)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굴착 공간(91)에 근입 후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측 지수블록(1b)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따르면 지중 근입이 이루어지며 조립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지수블록간의 이음부가 다수의 볼트 연결에 의해 형성되므로, 복수의 지수블록이 지상에서 수평 상태로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연결된 후 굴착 공간에 근입되었다. 이에 따라, 선조립된 복수의 지수블록의 길이로 인해, 지붕이나 교량 등으로 인해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는 선조립된 복수의 지수블록을 굴착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반면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의하면, 굴착 공간(91)에 근입되며 다른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도 용이하게 연결 및 굴착 공간(91) 내로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1124)는 윈도우 덮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 덮개는 윈도우(1124)를 통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 내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수재 장착부(112)에서 상측 공간을 감싸는 부분 중 윈도우(1124)의 둘레 부분에는 조립용 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 덮개의 상기 조립용 볼트 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조립용 볼트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 덮개는 윈도우 덮개의 홀을 통과하여 조립용 볼트 구멍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윈도우(1124)를 덮으며 지수재 장착부(112)에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윈도우 덮개의 상기 조립용 볼트 구멍과 대응하는 부분이라 함은, 윈도우 덮개가 윈도우(1124)를 덮을 때 윈도우 덮개의 조립용 볼트 구멍과 대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덮개는 윈도우(1124)에 실링재(실리콘 가스켓 등) 처리 후 윈도우(1124)를 덮고 볼트에 의해 지수재 장착부(11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덮개의 윈도우(1124) 차폐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과의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의한 연결이 끝난 후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굴착 공간(91) 내로 근입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덮개가 볼트 체결에 의해 지수재 장착부(112)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회수 후 별도의 손상 없이 윈도우 덮개를 용이하게 탈거하고 다른 곳에서의 워터스탑 시공에 재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조립용 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와 조립용 헤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헤드(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립용 헤드(2)는 본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복수의 수부재(12)가 상향 삽입되도록 구비되되,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12)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 홈(121)과 대향하는 위치마다 헤드 수나사 통과 홀(211)이 형성된 헤드 수부재 삽입부(21) 및 인양용 홀(221)이 형성된 인양 러그부(2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용 헤드(2)의 헤드 수부재 삽입부(21)에 수부재(12)가 삽입되고, 수부재 고정유닛(29)이 수나사 통과 홀(221)을 통과해 수부재(12)의 암나사 홈(1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립용 헤드(2)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체결될 수 있다. 수부재 고정유닛(29)은 전술한 수부재 고정유닛(13)과 대응내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부재 고정유닛(2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헤드(2)와의 조립(결합)을 통해 인양 러그부(22)를 가질 수 있다.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인양용 로프와의 연결이 필요할 경우,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헤드(2)와 조립될 수 있고, 인양용 로프는 인양용 홀(221)에 체결될 수 있다.
조립용 헤드(2)는 본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인양 완료 후에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수부재 고정유닛(29)과 암나사 홈(121)의 나사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조립용 헤드(2)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지수블록에 용접 등으로 인양러그를 결합시켰다. 그러나,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의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조립용 헤드(2)는 착탈(장착 및 탈거)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인양 러그부(2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배면판(111)은 지수재 장착부(112)보다 폭 방향 양측으로 더 돌출되게 연장되는 날개부(1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조립용 브라켓이 조립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가 굴착 공간 내에 배치된 것을 상측에서 내려다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폭 방향 양측의 날개부(1111)의 상부에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굴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 지수블록 구조체(1a)를 굴착 공간(91) 양측의 가이드 월(92)에 대하여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조립용 브라켓(3)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립용 브라켓(3)은 날개부(1111)가 삽입되는 삽입부(31) 및 삽입부(31)로부터 폭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에 날개부(1111)의 상부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31)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과 대향하는 부분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브라켓(3)의 삽입부(31)에 날개부(1111)가 삽입된 상태일 때 연결부가 삽입부(31)의 홀과 브라켓 조립용 홀(1112)을 통과하며 체결됨으로써, 조립용 브라켓(3)과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는 볼트,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조립용 브라켓(3)의 삽입부(31)와 날개부(1111)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가 조립용 브라켓(3)과 결합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는 조립용 브라켓(3)에 의해 굴착 공간(91)에 삽입되며 가이드 월(92)에 지지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지지부(32)는 연장부재가 지지부(32)의 폭방향 외측부와 결합되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는 굴착 공간(91)에 삽입된 상태에서 굴착 공간(91)의 양측의 가이드 월(92)에 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도록 상측 이웃 지수블록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 상으로 인양 배치될 수 있고,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12)와 상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 삽입부(1122)가 수부재 고정유닛(13)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상측 이웃지수블록의 연결이 끝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조립용 브라켓(3)의 연결이 해제되고,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굴착 공간(9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별도의 인양 장치에 의해 인양되지 않고, 굴착 공간(91)에 삽입되며 가이드 월(92)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측 이웃 지수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상측 이웃 지수블록과의 연결이 완료된 후, 조립용 브라켓(3)이 탈거되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굴착 공간(9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91)는 이웃 지수블록과 연결(조립)되며 굴착 공간(9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 중 조립용 브라켓(3)을 연결하기 위한 홀을 선택함으로써,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가 거치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다.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용 브라켓(3)이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조립용 브라켓(3)의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대한 장착 높이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가이드 월(92)에 지지되는 높이의 조정이 설정(조정)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브라켓 조립용 홀(1112)의 폐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이를 테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굴착 공간(91) 내로 근입할 때 차후 굴착 공간(9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폐쇄가 이루어져야하는 경우, 브라켓 조립용 홀(1112)은 테이핑 등으로 차폐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헤드(2) 및 조립용 브라켓(3)의 설치로 지수블록 헤드 전용 지수블록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립용 헤드(2) 및 조립용 브라켓(3)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지수블록 헤드 전용 지수블록이 되게 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지수블록을 조립한 후 굴착 공간에 배치하므로, 조립되는 복수의 지수블록 최상측에 위치하는 지수블록은 가이드 월에 대한 거치를 위한 지지대 및 인양 로프와의 연결을 위한 인양용 홀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지지대 및 인양용 홀을 갖는 지수블록 헤드가 지수블록에 용접되어 제작된 지수블록 헤드 전용 지수블록(최상측용 지수블록)이 별도로 존재해야 했다. 반면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헤드(2)와의 조립 및 분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인양용 홀(221)을 가질 수 있고, 조립용 브라켓(3)과의 조립 및 분리를 통해 가이드 월에 지지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조립용 브라켓(3)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별도로 최상측용이 제작될 필요 없이, 필요할 경우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조립용 브라켓(3) 또는 조립용 헤드(2)가 설치되어 최상측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수블록 헤드(최상부) 거치를 위한 거치대 설치시 용접으로 지수블록에 거치대를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양러그 거치대 용접 등으로 지수블록 헤드 전용 지수블록을 제작후 사용하였다. 또한, 거치대를 지수블록에 설치할 때 용접 이외에도 지수블록에 홀을 형성해 거치대가 지수블록을 가로지르게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따라, 지수블록에 대한 손상이 발생했다. 반면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따르면, 조립용 헤드(2) 및 조립용 브라켓(3)이 용접으로 설치되지 않으므로, 탈착이 용이하고, 조립용 헤드(2) 및 조립용 브라켓(3)의 장착 또는 탈거시 본 제1 지수 블록구조체(1a)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수블록 헤드를 용접으로 결합시키는 헤드전용 지수블록을 일반 지수블록과 구분해서 사용해야 했기에, 제한된 공간에서는, 헤드전용 지수블록을 트렌치(굴착 공간)에 근입하며 가이드 월에 거치하고 다른 지수블록과 조립하고 싶어도, 근입 및 거치된 지수블록이 용접으로 헤드가 결합된 헤드전용 지수블록인바, 다른 지수블록과 조립되는 것이 불가했다.
반면에, 본 제1 지수 블록구조체(1a)는 조립용 브라켓(3) 또는 조립용 헤드(2)와의 설치로 트렌치에 근입되며 가이드월에 거치되고, 조립용 브라켓(3) 및 조립용 헤드(2)를 본 제1 지수 블록구조체(1a)로부터 탈거한 후 상측 이웃 지수블록과 연결(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고도가 제한된 곳에서도 용이하게 연결 및 굴착 공간(91) 내로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이하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라 함)(1a)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를 도 12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1a)는 블록 본체(11)를 포함한다. 블록 본체(1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판(111) 및 배면판(1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지수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1121)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있어서, 블록 본체(11)의 규격,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필요한 경우, 블록 본체(11)의 두께는 두껍거나(도 1 참조), 슬림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본체(11)의 지수재 장착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2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볼륵 본체(11)의 지수재 장착부(112)는 전후 방향으로 1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지수재 장착부(11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부재(12)를 포함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지수재 장착부(112)의 하측에는 수부재 삽입부(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부재 삽입부(1122)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하측으로 이웃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가 상향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는 수부재 고정부에 의해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수부재(12)에는 전후 방향으로 홀(129)이 형성될 수 있다. 홀(129)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지수블록 구조체(1)의 배면판(111) 및 지수재 장착부(112) 각각에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12)가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수부재(12)의 홀(129)과 대향하는 위치에 대향 홀(1128, 112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수부재 고정부는 배면판(111)의 대향 홀(1128), 지수재 장착부(112)의 대향 홀(1129) 수부재(12)의 홀(129)을 통과가능한 수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일단에 구비되되, 배면판(111)의 대향 홀(1128)과 지수재 장착부(112)의 대향 홀(1129)보다 큰 폭으로 확장 구비되어 배면판(111) 또는 지수재 장착부(112)에 안착되는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부재 고정 유닛은 수나사부의 타단에 나사 결합 가능하고 배면판(111)의 대향 홀(1128)과 지수재 장착부(112)의 대향 홀(1129)보다 큰 폭으로 확장 구비되는 너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이웃지수블록의 수부재(12)가 수부재 삽입부(1122)에 삽입되고, 수부재 고정유닛의 수나사부가 배면판(111)의 대향 홀(1128) 및 지수재 장착부(112)의 대향 홀(1129) 중 하나를 통해 삽입되어 수부재(12)의 홀(129)을 통과해 배면판(111)의 대향 홀(1128) 및 지수재 장착부(112)의 대향 홀(1129)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하고, 볼트 유닛이 수나사부의 타단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수부재(12)는 수부재 고정부에 의해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참고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는 수평 타입이라 할 수 있고,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1b)는 수평 타입이라 할 수 있다.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1b)는 이음부 체결시, 다시 말해, 수부재(12)와 수부재 삽입부(1122)의 체결시 공간 확보가 쉬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1a)를 이용하여 지수블록 구조체를 연결하는 방법(이하 '본 연결 방법'이라 함)에 관해 설명한다. 다만, 본 연결 방법은 전술한 본 제1 지수 블록 구조체(1a)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본 제1 지수 블록 구조체(1a)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제1 지수 블록 구조체(1a)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며,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연결 방법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이 굴착 공간(9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을 굴착 공간(91) 양측의 가이드 월(92)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제1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단계에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은 전술한 조립용 브라켓(3)이 조립된 상태에서 조립용 브라켓(3)을 이용해 가이드 월(92)에 대하여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되도록,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에 대하여 배치하는 단계(제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제2 단계 이전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조립용 헤드(2) 또는 조립용 브라켓(3)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배치하는 단계는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장착된 조립용 헤드(2)의 인양 러그부(22)에 인양 로프를 연결하여 인양해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에 대하여 배치할 수 있고, 이 때,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는 조립용 브라켓(3)이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수부재 고정유닛(13)으로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제3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1124), 수부재 고정유닛(13) 등을 이용해 하측 이웃 지수블록(1b)의 복수의 수부재(12)를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굴착 공간(91)에 삽입하며 굴착 공간(91) 양측의 가이드 월(92)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장착된 조립용 브라켓(3)을 이용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 가이드 월(91)에 대하여 거치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연결 방법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조립용 브라켓(3)을 장착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를 굴착 공간(91)에 삽입하며 굴착 공간(91) 양측의 가이드 월(92)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조립용 브라켓(3)을 장착하고 조립용 브라켓(3)을 이용해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 가이드 월(91)에 대하여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복수의 수부재(12)가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되도록, 상측 이웃 지수블록을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에 대하여 배치하는 단계(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계는 제2 단계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수부재 고정유닛(13)으로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1a)의 복수의 수부재(12)를 상측 이웃지수블록의 수부재 삽입부(1122)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단계는 제3 단계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연결 방법은, 필요한 경우, 복수의 본 지수블록 구조체(1a)를 연결하기 위해 제1 단계 내지 제6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1a)를 이용하여 지수블록 구조체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1a)를 이용하여 지수블록 구조체를 연결하는 방법은 전술한 본 제1 지수 블록 구조체(1a), 제2 지수 블록 구조체(1a) 및 본 연결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a: 본 제1 지수블록 구조체, 본 제2 지수블록 구조체
11: 블록 본체
111: 배면판
112: 지수재 장착부
1121: 슬롯
12: 수부재
121: 암나사 홈
1122: 수부재 삽입부
11221: 둘레 부재
11223: 상측 공간
1123: 판 부재
11231: 수나사 통과 홀
1124: 윈도우
129: 홀
1129: 지수재 장착부의 대향 홀
1128 배면판의 대향홀

Claims (9)

  1. 지중연속벽의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굴착 공간의 일측벽면에 배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수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면판; 및 상기 배면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지수재의 장착을 위한 슬롯이 형성된 지수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블록 본체; 및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하측에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와 하측으로 이웃하는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향 삽입되도록 수부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는 수부재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상측에는, 상기 수부재 고정유닛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하향 함몰된 암나사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수부재 삽입부는, 상기 배면판과 상기 지수재 장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게 구비되되,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상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 부재에는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 홈과 대향하는 위치마다 수나사 통과 홀이 형성되되,
    상기 수나사 통과 홀은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이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 고정유닛은,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암나사 홈에 상기 수나사 통과 홀을 통해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상단과 연결되되 상기 수나사 통과 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나사 통과 홀보다 큰 폭으로 확장 구비되어 상기 판 부재의 상면 상에 안착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상단과의 사이에 나사 조임 진행을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간격을 이용한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암나사 홈에 대한 상기 수나사부의 나사 조임 진행에 따라,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와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 사이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는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수부재 삽입부는, 상기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는 둘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 공간 중 일부는 상기 판 부재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공간이고,
    상기 지수재 장착부에서 상기 상측 공간을 감싸는 부분 중 일부에는 상기 상측 공간과 상기 지수재 장착부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가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는, 상기 판 부재에 형성된 수나사 통과 홀에 외부 공간에 있는 작업자가 보유한 나사 체결용 도구가 접근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고, 윈도우 덮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향 삽입되도록 구비되되 삽입된 복수의 수부재 각각에 형성된 암나사 홈과 대향하는 위치마다 헤드 수나사 통과 홀이 형성된 헤드 수부재 삽입부 및 인양용 홀이 형성된 인양 러그부를 갖는 조립용 헤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립용 헤드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인양 완료 후에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은 상기 지수재 장착부보다 폭 방향 양측으로 더 돌출되게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 방향 양측의 날개부의 상부에는,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가 굴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를 굴착 공간 양측의 가이드 월에 대하여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조립용 브라켓이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이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 조립용 홀 중 상기 조립용 브라켓을 연결하기 위한 홀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가 거치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것인, 지수블록 구조체.
  8. 제1항에 따른 지수블록 구조체를 이용하여 지수블록 구조체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a) 하측 이웃 지수블록이 굴착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을 굴착 공간 양측의 가이드 월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
    (b)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도록,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를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에 대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부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하측 이웃 지수블록의 복수의 수부재를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수블록 구조체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d)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를 상기 굴착 공간에 삽입하며 상기 굴착 공간 양측의 가이드 월에 대하여 거치하는 단계;
    (e)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복수의 수부재가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측 이웃 지수블록의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도록, 상기 상측 이웃 지수블록을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에 대하여 배치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부재 고정유닛으로 상기 지수블록 구조체의 복수의 수부재를 상기 상측 이웃지수블록의 상기 수부재 삽입부에 상향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수블록 구조체 연결 방법.
KR1020200092082A 2020-07-24 2020-07-24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KR10220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82A KR102207399B1 (ko) 2020-07-24 2020-07-24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082A KR102207399B1 (ko) 2020-07-24 2020-07-24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399B1 true KR102207399B1 (ko) 2021-01-26

Family

ID=7431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082A KR102207399B1 (ko) 2020-07-24 2020-07-24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3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01B1 (ko) * 2004-09-21 2007-01-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지수재가 장착되는 지수블록
EP2319989A2 (en) * 2008-06-13 2011-05-11 Otium & Business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atertight panels in building foundations, special foundations, cutoff walls and similar constructions
KR101054277B1 (ko) * 2007-04-20 2011-08-08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트렌치벽의 섹션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요소, 거푸집부품및 지반에 트렌치벽을 만드는 방법
JP2018145786A (ja) * 2017-03-08 2018-09-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体結合構造およびユニット建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01B1 (ko) * 2004-09-21 2007-01-1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지수재가 장착되는 지수블록
KR101054277B1 (ko) * 2007-04-20 2011-08-08 바우어 머쉬넨 게엠베하 트렌치벽의 섹션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요소, 거푸집부품및 지반에 트렌치벽을 만드는 방법
EP2319989A2 (en) * 2008-06-13 2011-05-11 Otium & Business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atertight panels in building foundations, special foundations, cutoff walls and similar constructions
JP2018145786A (ja) * 2017-03-08 2018-09-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体結合構造およびユニット建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38994U (zh) 一种基坑边坡支护系统
KR101990349B1 (ko) 형강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KR102207399B1 (ko)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구조체 및 이를 연결하는 방법
KR20160080147A (ko) 유간 조절이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CN108194107B (zh) 一种复合橡胶立杆伸缩堵头板机构及其使用方法
GB2094373A (en) Trench shoring
KR102129587B1 (ko) Pc 암거를 이용한 개량된 메서 쉴드 공법
CN114687362A (zh) 一种箱式沟槽支护结构及支护方法
JP7397723B2 (ja) 建物胴差部構造
JP5843938B2 (ja) 止水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69762B1 (ko) 오픈조인트 패널용 하지틀 방수조립체
JP6571235B1 (ja) 腰壁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6438535U (zh) 装配式钢塑复合地下综合管廊
CN212688971U (zh) 一种深基坑支护挡土隔水装置
CN109403560A (zh) 一种光伏系统及其安装方法
CN206545223U (zh) 一种管体及综合管廊
JPH09291795A (ja) 鋼製セグメントおよびその継手構造ならびに接合方法
CN215565829U (zh) 一种用于地质常观孔的井口简易装置
JP7350640B2 (ja) 簡易建物
CN210164061U (zh) 舱体连接结构
JP2005290818A (ja) ダム施工用pc傾斜型枠とダム堤体などの施工方法
JP7350641B2 (ja) 簡易建物
CN217840880U (zh) 一种装配式墙体洞口用组件
JP3072964B2 (ja) 防火塀及びその設置方法
CN214883877U (zh) 预制装配式电缆接头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