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59B1 -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7359B1 KR102207359B1 KR1020190063062A KR20190063062A KR102207359B1 KR 102207359 B1 KR102207359 B1 KR 102207359B1 KR 1020190063062 A KR1020190063062 A KR 1020190063062A KR 20190063062 A KR20190063062 A KR 20190063062A KR 102207359 B1 KR102207359 B1 KR 1022073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llecting device
- visible
- visible green
- adjustment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원은 관리형 하천이나 인공호수 바닷가 등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발생하였을 때, 제거대상인 수초나 가시파래류의 수거대상물에 따라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시파래류 제거수단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가시파래류제거방법에서,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제거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제거장치의 이동에 의해 수역에 분포된 가시파래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을 향하고 양 측면부는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외곽프레임 및 스크린망이 반타원 형상을 이룬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운전몸체부와 구동부를 갖추고 운전몸체부는 운전석에 사람이 직접 앉아 콘트롤제어부를 통하여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 콘트롤제어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의 운전몸체부와 가시파래류수거장치 사이에는 수심높이에 따른 가시파래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구성의 가시파래류제거방법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가시파래류제거방법에서,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제거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제거장치의 이동에 의해 수역에 분포된 가시파래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을 향하고 양 측면부는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외곽프레임 및 스크린망이 반타원 형상을 이룬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운전몸체부와 구동부를 갖추고 운전몸체부는 운전석에 사람이 직접 앉아 콘트롤제어부를 통하여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 콘트롤제어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의 운전몸체부와 가시파래류수거장치 사이에는 수심높이에 따른 가시파래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구성의 가시파래류제거방법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관리형 하천이나 호수 등이서 민물이나 바닷물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가시파래류나 수초가 발생하게 되었을 때, 제거 대상인 수초나 가시파래류의 수거작업에 최적화로 적용하기 위한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원은 수중 이동수단과 오염물 수집수단, 그리고 외부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의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수심이 낮은 하천이나 인공호수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거나 원격 조정하거나 로봇으로 미리 정해진 루르를 따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거장치가 수중 바닥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심 높이와 오염물의 위치에 따라 수집장치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면이나 수중에 떠있거나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 등의 수역발생 오염물을 수거/모집하고, 수집된 오염물은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여과장치나 저장소로 펌핑되어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서 하천이나 호수, 바닷가의 정화작업에 이용토록 제공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관련 기술이다.
강이나 인공호수나 하천에는 육지로부터 각종 오염물이 유입되거나 낙엽 등이 수중이 바닥면에 쌓이고 적층되는데, 이러한 오염물들은 수심에서 50 ~ 150 ㎝ 크키로 자라는 수초 사이에 쌓여 적체되고 이들 수중의 퇴적물을 제 때에 제거하지 않으면 하절기에 녹조나 적조 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수중의 산소가 결핍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여 심할 경우 수중 생태계가 파괴됨으로써 수중 생물, 벌레, 물고기들이 사멸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구 온난화 및 기후의 변화로 대한민국에서도 아열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환경오염이 심화됨에 따라 예전에는 보지 못했던 수중 오염물질이 발견되고 있는 바, 특히 송도에 있는 센트럴파크 호수는 해수를 취수하여 조성하는 수 순환구조를 구축한 인공호수로 지난 몇년간 가시파래를 비롯한 해초류가 번식하기 좋은 기온이 되어 봄과 여름철에 가시파래류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호수의 수면을 뒤덮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었다.
가시파래류는 약 20 ~ 30 ℃의 기온환경에서 활발하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경 조건이 맞춰지면 급격하게 번식하여 군락을 이루게 되고 군락을 이룬 가시파래류는 수면을 덮어 수중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이를 방치하는 경우 수질오염과 악취원인이 되어 민원발생소지가 될 수 있으므로 번식하여 군락을 이루전 발생 즉시 빠르게 제거해야될 필요성을 갖는다.
가시파래는 갈파래과의 다년생 해조류로써 크기나 모양이 매우 다양하나 보통 약간 납작한 통 형태를 보이며 비타민과 무기염류등의 영양분이 풍부하고 독특한 맛과 향기를 가져 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대량으로 번식할 경우 미관을 훼손할 뿐 아니라 돌벽 등에 달라붙어 뜨거운 태양빛에 마르게 되면 악취를 풍기고 선박의 스크류나 배수시설의 설비를 고장내거나 훼손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수역에서 발생되는 오니퇴적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갖고 제안된 출원인의 선등록된 특허기술로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017317호, 제1106770호, 제1161857호, 제1301527호, 제1334276호, 제1709143호, 제1739783호, 제1893392호, 제1933382호 등의 다수의 기술사상이 제시되어 있다.
특히 등록특허 제1161857호는 가시파래 수초의 절단 및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바닷물을 담수하여 제공되는 인공호수의 수중에서 자라나는 가시파래류의 수초를 절단 및 제거하기 위해 수초 절단/제거장치가 전면과 상측 전면커버부가 단축된 상태에서 측벽의 일부와 후면측벽을 감싸는 후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안쪽에서 양 측벽과 후면측벽에서 고압수를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마련되고 분사노즐에 외부의 펌프로부터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 공급호스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커버부에서 절단된 수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수중에서 자라나는 가시파래류를 절단 및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수초 절단/제거장치에 관한 기술사상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초절단장치로 수초제거작업이 실시된 경우에도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제 때에 제거되지 않으면 인공호수 산책인의 즐거움을 반감시키고 도시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해안가에서는 썰물이 빠지면서 해안가에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파도에 밀려 해안가에 그대로 방치되고 있으면 해안경관을 크게 훼손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에도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처방안이 전혀 없는 상태였다.
본원은 관리형 하천이나 인공호수, 바닷가 등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수초나 가시파래류 등의 수거대상물 상태에 따라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오염물제거장치와 결합되어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다양한 종류의 가시파래류 등 수역 발생 오염물의 수집 및 수거수단으로 메쉬형태의 스크린망의 입도 크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수중 오염물에 따라 스크린망을 교체해 가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오염물 수집 및 수거수단이 이동수단을 갖춘 오염물제거장치와 결합되어 사용될 때 높이조절수단(H) 및 결합각도조절수단(L)을 갖고 넓은 수역에 분포된 수초를 포함한 가시파래류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해 한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 출원인은 강이나 하천 또는 호수의 바닥에 적층되어 있는 오니제거 작업을 사람 또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적용되는 기술을 통하여 환경부 신기술 473호로 등록되어 2015년도에서 일산 호수공원과 세종 호수공원, 인천의 청라지구 및 송도지구의 호수공원 수중 퇴적물 제거작업 수행자로 선정되어 수중 이동 오니퇴적물 제거작업을 수행하여 왔는 바, 인천의 청라지구 및 송도지구의 호수공원은 바닷물을 끌여들여 사용하는 호수공원이고, 일산 호수공원은 한강물을 끌여들여 사용하고 있고 세종 호수공원은 대청댐 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각각의 호수공원 특성에 따라 성장하는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다른 양태로 서식하여 이들을 제거하기에 곤란을 겪는 과정에서 본원의 출원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원에서는 최근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수초나 가시파래류 가 수중에서 자라서 인공호수 산책인의 즐거움을 반감시키고 도시미관을 해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하고, 해안가에서는 썰물이 빠지면서 해안가에 수초나 가시파래류 가 모래사장 위에 방치되어 해안경관을 훼손하는 상황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신속히 제거하기 위한 요구로부터 개발된 기술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수중에서 성장하는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제거하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 와 오염물제거장치가 결합되어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제거방법에서, 구동수단이 구비된 오염물제거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제거장치의 이동에 의해 수역에 분포된 가시파래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을 향하고 양 측면부는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외곽프레임 및 스크린망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되, 상부프레임 및 저부프레임 사이에 다공성 구조로 측벽스크린망이 설치되고, 저부프레임의 양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프레임과 타원형상의 저부프레임 사이에는 바닥부스크린망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이동시키는 오염물수집장치는 운전몸체부와 구동부를 갖추고 운전몸체부는 운전석에 사람이 직접 앉아 콘트롤제어부를 통하여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 콘트롤제어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 하도록 제공되어 기본구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의 운전몸체부와 가시파래류수거장치 사이에는 수심높이에 따른 가시파래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H)이 마련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오염물수집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부착시켜 가시파래류를 수집하고 외부로 배출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높이조절수단(H)은 볼베어링, 스크류바, 레일, 기어 타입 등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장비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는 중앙부위 쪽에 흡입토출공이 형성되고 흡입토출공에 배출호스 및 준설펌프와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스크린망에 가시파래류가 적층되지 않고 적기에 외부로 배출시켜 여과(filter) 효율을 높여주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와 오염물수집장치의 연결부위에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직립각도를 변경시켜주기 위한 결합각도조절수단(L)이 마련되어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위치를 다르게 변형시켜 제거작업의 편리를 도모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은 수중에서 성장하는 가시파래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결합되어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쪽에 양 측면부는 전면쪽에 위치되며 반타원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부프레임 및 저부프레임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며 그 사이에 다공성 구조로 측벽스크린망이 설치되고, 저부프레임의 양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프레임과 타원형상의 저부프레임 사이에는 바닥부스크린망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형성되고,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오염물수집장치는 운전몸체부와 구동부를 갖추고 운전몸체부는 운전석과 콘트롤제어부를 갖고 운전석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제어 콘트롤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와 가시파래류수거장치 사이에는 수심높이에 따른 가시파래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오염물수집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되어 이동하며 가시파래류를 포집시키는 기능을 수행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이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수가 유입된 하천이나 인공호수에서 봄과 여름철에 군락을 이룰 정도로 크게 번식하는 가시파래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인공호수의 아름다운 제공하며 도시 미관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닷물이 아닌 민물의 하천이나 호수에서도 수면에 떠 있거나 수면 아래 부유하는 수초나 나뭇가지 등의 오염물과 쓰레기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수질을 정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가시파래류가 번성한 현장의 생태를 나타낸 사진도.
도 2 :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3 :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된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일적용예시도
도 4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적용예시도
도 5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방향 전환수단의 적용예시도
도 6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에서 펑핑수단의 일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3 : 본원 기술사상이 적용된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일적용예시도
도 4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높낮이 조절수단의 적용예시도
도 5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방향 전환수단의 적용예시도
도 6 :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에서 펑핑수단의 일 적용예시도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바람직하게 적용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은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기 위한 발명의 일 적용예를 도면을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은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 기술이 적용되기 위한 현장의 생태환경을 보여주기 위해 제시된 사진도로서, 수심 바닥면에서부터 올라온 수초(1) 상부에 오니부유물(2)이 더운 날씨에 떠올라 엉겨 붙어있고, 오니부유물이 전체 수역으로 퍼지지 않도록 확산방지망(3)이 휀스형태로 설치된 현장 사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오염물제거장치(100)에 결합되어 가시파래류제거작업이 수행되도록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외연프레임(10)으로 상부프레임(11), 저부프레임(12), 전면프레임(13), 수직프레임(14) 등을 사용하여 이들 프레임에 스크린망(21,22)이 결합된 상태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이루고, 오염물제거장치(1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오염물제거장치(100)의 이동에 의해 넓은 면적에 분포된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오염물제거장치(100)로 제공될수 있음을 도 2a에서는 사시도 현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수초(1) 등의 가시파래류 또는 오니부유물(2) 등이 수표면 가까이 수중에 산포되어 있을 때 오염물제거장치(100)의 부력체(64)에 의해 운전몸체부(60)가 수상 위치에서 구동부(70)의 전진에 의해 ㄷ화살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수상으로 떠오른 가시파래류를 수거하는 실시양태를 측면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제시되는 실시양태는 무한궤도 형태의 구동수단(71)이 구비된 오염물제거장치(100)의 전면에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부착되어 오염물제거장치의 이동에 의해 수역에 분포된 가시파래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을 향하고 양 측면부는 전면을 향하며 외연프레임(10) 이 상부프레임(11), 저부프레임(12), 전면프레임(13), 수직프레임(14) 등으로 구분되고 외연프레임(10) 내부에 스크린망(21,22)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로 제공되고,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이동시키는 오염물수집장치(100)는 운전몸체부(60)와 구동부(70)를 갖추고 운전몸체부(60)는 운전석(61)에 사람이 직접 앉아 콘트롤제어부(62)를 통하여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 콘트롤제어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오염물수집장치의 운전몸체부(60)와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 사이에는 수심높이에 따른 가시파래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수단(H)을 갖고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와 오염물제거장치(100)의 결합각도위치조절을 다르게 적용하기 위한 결합각도조절수단(L)의 일적용예로 상부연장축(41) 및 저부고정축(42)이 마련되는 구성의 설비를 이용하여 가시파래류제거작업을 수행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 도 5는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외연프레임(10)과 스크린망(21,22)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기 위한 일 적용 실시양태로, 상부프레임(11) 및 저부프레임(12) 사이에 다공성 구조로 측벽스크린망(21)이 설치되고, 저부프레임(12)의 양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프레임(13)과 타원형상의 저부프레임(12) 사이에는 바닥부스크린망(22)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반 타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와 오염물수집장치(1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H)의 일적용예는 오염물수집장치(100)에 고정되는 수직고정축(31)에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와 결합된 바닥지지구(32)와 직각으로 연결된 이동축(33) 내부에 스크류볼베어링(31a)이 내장되어 수직고정축(31) 내부로 상하 이동하며 바닥지지구(32)와 이동축(33)사이에 고정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유사기능을 하는 스크류바, 레일, 기어 등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수단(H)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오염물수집장치(100)의 운전몸체부(60)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직고정축(30)을 이용하여 결합각도조절수단(L)이 마련되되, 결합각도조절수단(L)의 일적용예는 운전몸체부(60)의 상단부와 수직고정축(31)의 상단부 결합구조는 길이가 조절되는 상부연결축(41)으로 연결되고 운전몸체부(60)의 하단부와 수직고정축(30) 하단부 사이로는 고정축(42)이 힌지결합부(42a)를 갖도록 제공되어 힌지결합부(42a)를 중심으로 상부연결축(41)이 줄어들면 도 5에서 제시된 적용양태와 같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우측으로 움직여 가시파래류수거장치에 담겨진 수초등을 중심부로 모아주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힌지결합부(42a)를 중심으로 상부연결축(41)을 길게하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에 담겨진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적용되며 결합각도조절수단(L)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원 가시파래류수거장치에 펌핑장치와 연결되어 가시파래류 내용물을 외부로 뽑아낼 수 있는 실시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기술이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는 양 측면부가 먼저 전진하며 중심부로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몰아주도록 반원형 타입의 스크린망 구조를 이루고 있는바, 중심부로 모이는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스크린망(seive) 안쪽이 많이 적층되는 경우 오염물제거장치(100)의 전진에 많은 부하를 제공하므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중앙부에는 토출공 형태의 흡입토출공(50)이 형성되고 중앙부의 흡입토출공 쪽으로 수초 및 가시파래류가 모일 수 있도록 흡입토출공과 연결되는 배출호스(51)가 고압준설펌프(52)와 연결되고 도 2b에서는 구동부(70)에 여과장치(53)이 설치되고 고압준설펌프(52)에서 여과장치(53)로 보내주는 형태로 제시되어 있으나,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에 모이는 수초나 가시파래류 양이 많을 때는 여과장치(53)가 별도의 바지선에 설치되어 여과시키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육상에 여과장치(53)가 설치되어 고압준설펌프(52)에서 펌핑되는 수초나 가시파래류 또는 오니퇴적물을 여과시켜 신속히 제거 후 원류에 방류시키거나 또는 여과장치(53)를 거친 원류가 탁하거나 BOD가 높아 오염위험성이 예측되는 경우 별도의 응집조로 보내줘서 원류를 정화시킨 후 원류로 보내주도록 적용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토출공(50) 주변의 측벽스크린부(21)이나 바닥부스크린부(22)는 부분적으로 밀봉구조를 이루거나 미세공을 갖는 체망(seive)이 설치되어 고압으로 뽑아내는 고압준설펌프(40)에서 흡입해주는 진공압에 의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에 모이는 수초나 가시파래류가 중앙부로 모이도록 하여 여과(filter) 효율을 높여주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토출공(50)에서 배출호스(51) 및 고압준설펌프(40)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고 고압준설펌프에서 별도로 바지선이나 육상에 마련되는 여과시설(41)로 보내지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원기술의 특징부를 설명하고자 하였는바, 본원 구성에서 부분적으로 설명이 미진한 부분은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기술인 제0543778호, 제0729843호, 제1106770호, 제1301527호 등에서 수중오니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여러 종래기술과 결합되어 적용될수 있음은 당연하고, 또한 상기 특허기술에 오니제거작업에 필요한 기술의 적용양태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피하고자 하였으며,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제시된 기술사상의 기술은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다양하게 변형 및 개조되거나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원의 기술사상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면 2 : 가시파래류
3 : 확산방지망 10 : 외연프레임
11 :상부프레임 12 : 저부프레임
13 : 전면프레임 14 : 수직프레임
15 : 수직보조프레임 16 : 수평보조프레임
20 : 가시파래류수거장치 21 : 측벽스크린망
22 : 바닥스크린망 30 : 높이조절수단(H)
31 : 수직고정축 32 : 바닥지지구
33 : 이동축 40 : 각도조절수단(L)
41 : 상부연장축 42 : 저부고정축
50 : 흡입장치 51 : 배출호스
52 : 고압준설펌프 53 : 여과장치
60 : 운전본체부 61 : 운전석
62 : 제어부 63 : 슬라이딩 부재
64 : 부력부재 70 : (본체 하부)이동부
100 : 오염물수집장치
3 : 확산방지망 10 : 외연프레임
11 :상부프레임 12 : 저부프레임
13 : 전면프레임 14 : 수직프레임
15 : 수직보조프레임 16 : 수평보조프레임
20 : 가시파래류수거장치 21 : 측벽스크린망
22 : 바닥스크린망 30 : 높이조절수단(H)
31 : 수직고정축 32 : 바닥지지구
33 : 이동축 40 : 각도조절수단(L)
41 : 상부연장축 42 : 저부고정축
50 : 흡입장치 51 : 배출호스
52 : 고압준설펌프 53 : 여과장치
60 : 운전본체부 61 : 운전석
62 : 제어부 63 : 슬라이딩 부재
64 : 부력부재 70 : (본체 하부)이동부
100 : 오염물수집장치
Claims (5)
- 운전몸체부(60)와 구동부(70)를 갖고 운전몸체부(60)에는 운전석(61)에 사람이 직접 앉아 콘트롤제어부(62)를 통하여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 콘트롤제어부가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적용되는 오염물수집장치(100)의 전면이나 후면에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부착시켜 수초나 가시파래류를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중심부는 후면을 향하고 양 측면부는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외곽프레임 및 스크린망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되, 상부프레임(11) 및 저부프레임(12) 사이에 다공성 구조로 측벽스크린망(21)이 설치되고, 저부프레임(12)의 양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프레임(13)과 타원형상의 저부프레임(12) 사이에는 바닥부스크린망(22)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로 형성되고,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오염물수집장치 운전몸체부(60)와의 연결부에는 높이조절수단(H) 및 결합각도조절수단(L)이 마련되되,
높이조절수단(H)은 볼베어링, 스크류바, 레일, 기어타입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도록 적용되며,
결합각도조절수단(L)은 수직고정축(31)에 길이가 조절되는 상부연결축(41)이 설치되고 저부고정축(42)에는 힌지결합부(42a)가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상부연결축(41)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적용되므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직립각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구성을 갖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오염물수집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파래류제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중앙부에는 흡입토출공(50)이 형성되고 흡입토출공(50)에 배출호스(51) 및 준설펌프(52)와 연결되어 흡입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가시파래류수거장치의 여과(filter)효율을 높여주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파래류제거방법. - 삭제
- 삭제
- 수중에서 성장하는 가시파래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수집장치와 결합되어 적용되는 가시파래류제거장치에 있어서,
가시파래류수거장치가 중심부는 후면쪽에 양 측면부는 전면쪽에 위치되며 반타원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부프레임(11) 및 저부프레임(12)이 반타원 형상을 이루며 그 사이에 다공성 구조로 측벽스크린망(21)이 설치되고, 저부프레임(12)의 양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전면프레임(13)과 타원형상의 저부프레임(12) 사이에 는 바닥부스크린망(22)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를 이동시키기 위한 오염물수집장치(100)는 운전몸체부(60)와 구동부(70)를 갖추고 운전몸체부(60)는 운전석(61)과 콘트롤제어부(62)를 갖고 운전석에서 사람이 직접 운전하도록 적용되거나 또는 깊은 수역에서는 로봇이 수행하도록 별도의 바지선이나 육상에서 원격제어 콘트롤 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을 이루며
상기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오염물수집장치 운전몸체부(60)와의 연결부에는 높이조절수단(H) 및 결합각도조절수단(L)이 마련되되,
높이조절수단(H)은 볼베어링, 스크류바, 레일, 기어타입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의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도록 적용되며,
결합각도조절수단(L)은 수직고정축(31)에 길이가 조절되는 상부연결축(41)이 설치되고 저부고정축(42)에는 힌지결합부(42a)가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상부연결축(41)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좁혀지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갖는 가시파래류수거장치(20)가 오염물수집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파래류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062A KR102207359B1 (ko) | 2019-05-29 | 2019-05-29 |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3062A KR102207359B1 (ko) | 2019-05-29 | 2019-05-29 |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171A KR20200137171A (ko) | 2020-12-09 |
KR102207359B1 true KR102207359B1 (ko) | 2021-01-22 |
Family
ID=7378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3062A KR102207359B1 (ko) | 2019-05-29 | 2019-05-29 |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73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26489B (zh) * | 2020-12-24 | 2022-09-02 |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 一种海洋漂浮藻类的控制方法 |
CN117178094A (zh) * | 2021-02-10 | 2023-12-05 | 许昌学院 | 水体杂污治理装置 |
CN113232787A (zh) * | 2021-06-09 | 2021-08-10 | 上海电机学院 | 一种鱼吞式水面垃圾清理机器人 |
CN114146481B (zh) * | 2021-12-14 | 2023-08-22 | 郑州大学体育学院 | 一种景区湖面垃圾打捞装置 |
CN114249460B (zh) * | 2021-12-22 | 2022-08-02 | 临沂盛荣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海水藻类爆发治理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701B1 (ko) * | 2017-03-27 | 2018-01-30 | 김원태 |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143B1 (ko) * | 2013-05-16 | 2017-02-22 | 김원태 |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
KR101769407B1 (ko) * | 2015-10-20 | 2017-08-18 | (주)에코코 | 수초 제거용 보트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3062A patent/KR1022073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701B1 (ko) * | 2017-03-27 | 2018-01-30 | 김원태 | 수초 컷터가 부착된 오니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초 제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7171A (ko) | 202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7359B1 (ko) | 수면이나 수중에 부유하는 가시파래류나 수초를 제거하는 수중 오염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 |
US11598064B2 (en) |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 |
KR101709143B1 (ko) |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 |
KR101528504B1 (ko) | 어류의 서식과 관찰이 가능한 생태 수영장 | |
US7776216B1 (en) | Floating aquatic plant culture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034132B1 (ko) | 물순환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생태정화 식물섬 | |
WO2011005064A2 (ko) | 기초환경의 동시 복원을 위한 동식물간 공존환경 조성방법 및 그 장치 | |
EP2591169A1 (en) | Sports pitch rainwater harvesting systems suitable for use in developing countries | |
KR20110068730A (ko) | 수위조절이 가능한 어초 둠벙 및 이를 이용한 어초 둠벙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4355402A (zh) | 一种保温曝气生化浮箱 | |
CN1212276C (zh) | 水华及水面固体漂浮物的清除方法及其设备 | |
KR102476975B1 (ko) | 담수호 수중에 발생하는 수초나 부유물의 제거장치 및 그 이용방법 | |
KR20230116454A (ko) | 깊은 수심에서의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수중퇴적물 제거방법 | |
CN105683447A (zh) | 用于人工回灌的过滤系统及其清洗方法 | |
KR102409518B1 (ko) | 대량의 하천수를 저장하여 인공양어장을 조성함과 동시에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여주도록 유도시켜서 대기중의 오염된 공기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 분자를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저수지, 호수,댐, 석호,하천,강의 수질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공법 | |
KR100567943B1 (ko) | 생태어소 방틀 | |
KR100574171B1 (ko) | 생태연못의 수(水) 처리장치 | |
CN113170706B (zh) | 一种滨海湿地生态修复方法的潜水排水泵 | |
US5890311A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nd cleaning brine shrimp eggs | |
US7867390B1 (en) | Floating weed and debris remova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 |
KR200414780Y1 (ko) | 인공 조성된 생태 연못 | |
CN2615123Y (zh) | 水华及水面固体飘浮物自动清除设备 | |
Bouwer | Water conservation | |
CN215563119U (zh) | 一种园林绿化景观的节能排水系统 | |
KR20020033674A (ko) | 여울 계단식 어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