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251B1 -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251B1
KR102207251B1 KR1020130096193A KR20130096193A KR102207251B1 KR 102207251 B1 KR102207251 B1 KR 102207251B1 KR 1020130096193 A KR1020130096193 A KR 1020130096193A KR 20130096193 A KR20130096193 A KR 20130096193A KR 102207251 B1 KR102207251 B1 KR 102207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payment
i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029A (ko
Inventor
노연희
고재우
임은영
장영실
김신애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731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30876A1/en
Priority to AU2013306625A priority patent/AU2013306625B2/en
Priority to BR112015003536A priority patent/BR112015003536A2/pt
Priority to RU2015110261A priority patent/RU2615062C2/ru
Priority to EP13181545.8A priority patent/EP2720179A3/en
Priority to JP2013173101A priority patent/JP6296532B2/ja
Priority to CN201310376039.9A priority patent/CN103632264B/zh
Priority to US13/975,416 priority patent/US9898724B2/en
Publication of KR2014002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029A/ko
Priority to US15/857,745 priority patent/US107895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7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in that multiple accounts are available, e.g. to the p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물품의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카드에 대한 카드 사용 이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저장된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인터랙션 환경에 따라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결제와 같은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카드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으로 상품을 구매할 경우, 구매에 대한 결제 방법으로는 은행간 계좌이체, 신용카드 사용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지갑이나 전자카드 형식의 전자 화폐의 사용도 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은행 금융 거래나 상거래 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IC 칩 카드의 발전에 따라 칩 카드의 메모리가 크게 증가하여 하나의 칩 카드에 여러 개의 카드가 저장되고 있다. 또한, IC 칩 카드를 장착한 모바일 단말에는 사이드키(Side Key) 혹은 핫키(Hot Key)를 일측면에 부착하여 지불 결제 시에 이를 이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기 위하여는, 모바일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고 메뉴 방식으로 조작키를 눌러 원하는 카드를 선택한 후 결제 키를 눌러 결제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결제 환경에 따라 적절한 카드를 결정하고, 선택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드 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카드 사용 이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물품의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환경에 관련된 카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사용 이력은,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결제 위치, 및 물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카드에 대한 결제가 안전한 경우에, 상기 결정된 카드의 결제창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POS 단말로부터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품 정보는, 유효 기간, 시간, 물품의 식별 값, 물품의 금액, 및 상기 POS 단말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하여 상기 POS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NFC)을 통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POS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카드 사용 이력을 저장하는 카드 이력 저장부; 상기 디바이스의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선택하는 카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카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인, 물품의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환경에 관련된 카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사용 이력은,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결제 위치, 및 물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잠금 해제 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카드에 대한 결제가 안전한 경우에, 상기 결정된 카드의 결제창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정보 제공부는,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POS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은,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복수의 아이템들에 관한 정보를 액세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보는 제 1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1 아이템 정보, 및 제 2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인터랙션이 수행되는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련된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의 수행과 관련된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복수의 제 2 아이템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복수의 환경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환경 정보 특성들 각각을 위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 순위 값을 각각 할당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 특성들, 각각의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 특성들, 및 각각의 상기 환경 정보 특성들에 대하여, 가중치를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상기 제 1 아이템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익(perquisite)에 더 관련되며,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상기 제 2 아이템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익에 더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아이템 특성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액세스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한 추천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랙션이 안전하게 수행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련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련된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정보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유효 기간,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식별 값,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관련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추천 아이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추천 아이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에서 사용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제 1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1 아이템 정보 및 제 2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및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각각의 복수의 아이템들에 관련된 아이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인터랙션이 수행되는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아이템 관련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하여 사용될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련된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의 수행과 관련된 이용을 위한 제 1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측면은, 제 4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환경에 따라 선택된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환경에 따라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카드 추천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이력에 포함된 항목에 따라 카드 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의해 추천된 카드 별 혜택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환경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드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가로 보기 모드에서 카드의 추천 목록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카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결제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카드 정보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카드 정보가 상이하게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위치 정보 및 카드 정보를 매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를 추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점명을 카드와 매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소정의 상점명에 매칭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드는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와 관련된 카드이며, 예를 들어, 신용 카드, 마일리지 카드, 포인트 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환경에 따라 선택된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디바이스(1000), POS(Point Of Sales) 단말(2000) 및 결제 서버(300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따라 적절한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한다. 또한, POS 단말(2000)은 수신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3000)에게 제공하여, 결제 서버(3000)가 디바이스(1000)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 및 카드에 대한 혜택에 관한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시간, 장소, 결제의 용도와 관련된 사용자의 카드 결제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카드 정보 및 카드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결제 환경에 따라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할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랩톱,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은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 간의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은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디바이스이고, 디바이스(2000)는 제 2 사용자에 관련된 디바이스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에서는 인터랙션이 결제인 것으로 언급되었으나, 다른 인터랙션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자가 비행기의 탑승을 준비하고, 탑승권을 획득하기 위하여 체크-인하고 화물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여행자는 제 1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비행기 회사는 제 2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예를 들어, 공항의 키오스크, 또는 비행기 회사의 인터넷 웹 사이트에 링크된 컴퓨터일 수 있다. 여행자는 제 1 디바이스(1000)로 동작하는 모바일 폰을 소지할 수 있고, 모바일 폰은 탑승을 위한 체크-인 및 화물 체크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아이템(예를 들어, 여권, 운전 면허증, 신용 카드)에 관련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최근 경험에 관련된 정보를 업로드하려고 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제 1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일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모든 단말일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유저는 제 1 디바이스(1000)로 동작하는 모바일 폰을 소지할 수 있으며, 모바일 폰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게 정보를 업로딩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는 아이템들(예를 들어, 사진, 텍스트 메시지, URL 링크)에 관련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환경에 따라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2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 및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한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카드의 종류, 카드 번호 및 카드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결제 서버(3000)는 신용카드 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결제 서버(3000)에게 제공하고, 결제 서버(30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규로 발급받은 카드가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신규로 발급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 별로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카드 혜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 별로 카드 혜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혜택 정보는 카드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격 할인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및 쿠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혜택 정보는, 카드가 이용되는 가맹점에 대하여 상이한 혜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을 저장한다. 카드 사용 이력은, 예를 들어, 결제에 이용된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가맹점명, 결제 위치, 물품명, 및 카드 결제 시 제공된 혜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카드 결제를 하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결제에 이용된 카드의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를 통한 카드 이력 정보가 결제 서버(3000)에 누적되어 저장되고, 디바이스(1000)는 결제 서버(3000)에 저장된 카드 이력 정보를 결제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카드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 POS 단말(2000) 및 결제 서버(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는, 결제 시간, 결제 위치, 가맹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GPS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한 GPS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GPS 값 및 AP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가 위치한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GPS 값 및 AP 식별 값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정보가 디바이스(1000)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물품 정보를 물품에 부착된 마커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물품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0)는 유효 기간, 현재 날짜, 현재 시간, 물품의 식별 값, 물품의 금액, 및 상기 POS 단말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가맹점 및 물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별로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 적립 한도, 할인율, 및 할인 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가맹점 및 물품에 따른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 적립 한도, 할인율, 및 할인 한도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1000)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기초하여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한다.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 카드 혜택 정보 및 결제 이력을 이용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0)는 카드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사용된 카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Z’에서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가 사용되었고,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Z’라면,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맹점 ‘Z’에서 카드 ‘C’, 카드 ‘A’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이용된 경우에,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Z’라면,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C’, 카드 ‘A’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1:00~14:00’에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가 사용되었고,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결제 시간이 ‘11:00~14:00’라면,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1:00~14:00’에 사용된 카드들 중에서 카드 ‘A’, 카드 ‘B’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A’라면,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에 대한 우선 순위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드에 대한 우선 순위를 카드 별 혜택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제 이력 및 결제 환경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카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결제 이력 및 결제 환경에 포함된 항목 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복수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추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25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추천한다. 디바이스(1000)는 카드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카드 혜택의 종류 또는 혜택을 금액으로 산출한 액수 등을 고려하여, 추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카드 별로 제공되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카드에 대한 혜택 정보를 결제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결제 서버(3000)에게 전송하고,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에 대한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는 상점의 단말(미도시)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해당 상점에서 혜택을 부여하는 카드의 종류 및 혜택에 관한 정보를 상점 내의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SMS/MMS를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게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혜택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천된 카드 별 혜택 정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결제 이력에 포함된 항목에 따라 카드 별로 설정된 우선 순위에 대하여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결제에 이용될 카드의 추천 목록을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표시된 잠금 해제 버튼 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드에 대한 PIN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터치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잠금을 해제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이미지 및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의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카드 추천 목록에서 소정의 카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창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창은 카드 정보, 쿠폰 정보, 결제 금액 및 PIN 코드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PIN 코드 입력 필드에 선택된 카드에 대한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카드를 통한 결제가 인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카드를 통한 결제가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경우에, 결제창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에게 전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색상으로 결제창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로부터 별도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 정보가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에게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POS 단말(2000)에게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카드 번호, 카드의 유효 기간, 카드의 비밀 번호에 관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쿠폰이 디바이스(10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 및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쿠폰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POS 단말(2000)은 카드 정보 및 쿠폰 정보를 이용하여, 쿠폰 정보가 반영된 금액을 결제 서버(3000)를 통하여 결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의 흐름도는,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흐름도는, 상기에서 언급된, 여행자가 탑승을 위한 체크-인 및 화물 체크를 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여행자의 모바일 폰은 여권, 운전 면허증 및 신용카드 각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계 S205에서 여행자의 모바일 폰은 위 아이템들 각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210에서 여행자는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탑승을 위한 체크인과 화물 체크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220에서, 모바일 폰은 체크인 및 화물 체크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아이템을 선택하고, 단계 S225에서 모바일 폰은 사용될 아이템에 관한 추천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230에서 모바일 폰은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체크인 및 화물 체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비행기 회사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행기 회사의 웹 사이트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키오스크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의 흐름도는, 상기에서 언급된,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최근 경험에 관한 정보를 업로딩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은, 사진, 텍스트 메시지 및 URL 각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계 S205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모바일 폰은 이들 아이템들 각각에 관한 사용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단계 S210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업로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업로드가 수행될 수 있는 무선 연결의 쓰루풋 레이트 또는 데이터 전송률)를 획득한다. 또한, 단계 S220에서 모바일 폰은 업로드의 수행과 관련하여 이용될 아이템을 선택한다. 또한, 단계 S225에서 모바일 폰은 사용될 아이템에 관한 추천 정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계 S230에서 모바일 폰은 선택된 아이템에 관한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2000)에게 전송한다. 제 2 디바이스(2000)는 업로드의 수행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 단말 또는 WiFi 연결을 위한 핫스팟(hotspot)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카드 추천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3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3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지 세로 보기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천 카드의 목록을 표시한다. 단계 S32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 카드 혜택 정보 및 결제 이력을 이용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11:00~14:00에 교통비를 결제하는 경우에, ‘카드 A’ 및 ‘카드 D’를 추천하고, 추천된 ‘카드 A’ 및 ‘카드 D’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한다. 단계 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추천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단계 S3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없이,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이력에 포함된 항목에 따라 카드 별로 우선 순위를 설정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설정된 우선 순위는, 디바이스(1000)가 결제 환경에 관련된 카드를 카드 정보로부터 추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우선 순위 설정 테이블은 시간 필드(40), 위치 필드(42), 금액 필드(44), 적립 한도 필드(46), 결제 용도 필드(48)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필드(40)에는 결제 시간 및 결제 시간에 대한 카드의 우선 순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시간이 11:00~14:00인 경우에, 카드 A 내지 카드 D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값이, ‘1’, ’2’, ’3’, ’4’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위치 필드(42)에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한 값이 기록된다. 위치 필드(42)에는 매장명 및 매장명에 대응되는 카드의 우선 순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명이 ‘매장 A’인 경우에, 카드 A 내지 카드 D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값이, ‘2’, ’4’, ’1’, ’3’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금액 필드(44)에는 결제 금액 및 결제 금액에 대한 카드의 우선 순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금액이 3만원 이하인 경우에, 카드 A 내지 카드 D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값이, ‘2’, ’1’, ’3’, ’4’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적립 한도 필드(46)에는 적립 한도 금액 및 적립 한도 금액에 대응되는 카드의 우선 순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립 한도 금액이 30만원/월 인 경우에, 카드 A 내지 카드 D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값이, ‘3’, ’2’, ’1’, ’4’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용도 필드(48)에는 카드의 용도 및 용도에 대한 카드의 우선 순위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용도가 교통비인 경우에, 카드 A 내지 카드 D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값이, ’2’, ’3’, ’4’, ‘1’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시간 필드(40), 가맹점 필드(42), 금액 필드(44), 적립 한도 필드(46), 결제 용도 필드(48)에는 가중치 값이 각각 ‘10’, ‘10’, ‘20’, ‘40’, ‘60’으로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0~14:00 사이에 ‘3만원 이하’의 금액이 결제되는 경우에, 시간에 대한 가중치 값 ‘10’, 금액에 대한 가중치 값 ‘20’을 고려하여 ‘카드 A’ 내지 ‘카드 D’의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의해 추천된 카드 별 혜택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테이블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에 의해 추천된 카드 별로 혜택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가맹점 ‘Z’에서 물품 ‘Y’를 결제하는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결제 환경에 기초하여 카드 ‘A’, 카드 ‘B’, 및 카드 ‘C’를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카드 별로 가맹점 ‘Z’에서 물품 ‘Y’를 결제할 때 부여되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혜택 정보는, 할인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및 쿠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결제 환경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드를 추출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도 4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카드를 추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6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가 매장 ‘A’에서 결제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가 매장 ‘A’에서 결제하면, 단계 S602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C’를 추출한다. 또한, 단계 S600에서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1000)가 매장 ‘A’에서 결제하지 않는다면, 단계 S604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를 하는 시간이 점심 시간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4에서의 판단 결과, 결제 시간이 점심 시간이라면, 단계 S606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A’를 추출한다. 또한, 단계 S604에서의 판단 결과, 결제 시간이 점심 시간이 아니라면, 단계 S608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제 금액이 3만원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608에서의 판단 결과, 결제 금액이 3만원 이하라면, 단계 S6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 B’를 추출한다. 단계 S608에서의 판단 결과, 결제 금액이 3만원 이하가 아니라면, 단계 S612에서 디바이스는 ‘카드 D’를 추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가로 보기 모드에서 카드의 추천 목록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추천 카드의 목록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결제 시간, 결제 장소, 결제의 용도, 결제에 따른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의 적립 한도, 결제에 따른 할인율, 할인 한도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준에 따라 추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도 4 및 도 5의 테이블에 기록된 설정 값을 이용하여 추천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추천 카드의 목록을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시간이 13:00이고, 결제 용도가 교통비이며, 결제 금액이 23,400원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라면, 도 7에서와 같이, ‘카드 D’, ‘카드 A’, ‘카드 B’의 순으로 추천 카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추천 카드의 목록에 포함된 ‘카드 A’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카드 A’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 A’에 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라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카드의 목록을 표시하지 않고, ‘카드 D’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카드 D’에 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카드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잠금 해제 버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소정의 카드 이미지가 잠금 해제 버튼 상에 각각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해제 화면 상에 표시될 카드 이미지는, 상대 디바이스(2000)를 통하여 결제 가능한 카드의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카드 이미지는 카드의 종류, 카드에 대한 포인트 적립율 및 할인율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결제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에 표시된 카드 추천 목록에서 소정의 카드가 선택되면, 도 9(a)에서와 같은 결제창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결제창에는 카드명(90), 결제 금액(92), 카드 정보(94) 및 혜택 정보(96)가 표시될 수 있다. 결제 금액(92)은 물품의 금액 및 물품에 할인이 적용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혜택 정보(96)는, 예를 들어, 쿠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a)의 결제창에서 카드 결제를 선택하면, 카드에 대한 PIN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결제창이 도 9(b)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9(b)의 결제창에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카드를 통한 결제가 인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에게 전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색상으로 결제창의 일부(98)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창의 일부(98)는 복수의 색상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제창의 일부(98)는 기 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도록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카드 정보가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추천된 카드의 카드명, 결제 금액, 카드 정보 및 혜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UI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화면이 잠긴 상태에서 디바이스(1000)가 POS 단말(2000)에 근접하면, 디바이스(1000)는 잠금 해제 화면 상에 추천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상에 표시된 추천된 카드를 선택하면, 디바이스(1000)는 추천된 카드를 통한 결제 프로세스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카드 정보가 상이하게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세로 모드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목록(10), 사용자의 자산 상태에 대한 정보(12), 및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결제할 수 있는 물품에 관한 정보(14)가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목록(10)에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의 일부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산 상태에 대한 정보(12)는 그래프와 함께 상세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결제할 수 있는 물품에 관한 정보(14)는 다른 사용자가 추천하는 물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모드인 경우에,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는 쿠폰 및 자산 상태에 관한 정보(16) 및 디바이스(10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카드 목록(18)이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카드 목록(18)에는 신용카드, ID 카드, 포인트 카드 및 티켓에 관한 목록이 구별되어 표시될 수 있다.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카드 정보 저장부(1100), 카드 이력 저장부(1105),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 카드 선택부(1300), 카드 정보 제공부(1400), DB(1500), 송수신부(1600), 및 제어부(1700)를 포함한다. 카드 정보 저장부(1100), 카드 이력 저장부(1105),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 카드 선택부(1300), 카드 정보 제공부(1400) 각각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구현되거나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카드 정보 및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한다.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카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정보는, 카드의 종류, 카드 번호 및 카드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결제 서버(3000)는 신용카드 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결제 서버(3000)에게 제공하고, 결제 서버(30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규로 발급받은 카드가 있는 경우, 디바이스(1000)는 신규로 발급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 별로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카드 혜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 별로 카드 혜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정보 저장부(1100)는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혜택 정보는 카드 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격 할인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및 쿠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 혜택 정보는, 카드가 이용되는 가맹점에 대하여 상이한 혜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이력 저장부(1105)는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을 저장한다. 카드 사용 이력은, 예를 들어, 결제에 이용된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가맹점명, 결제 위치, 물품명, 및 카드 결제 시 제공된 혜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카드 결제를 하는 경우에, 카드 이력 저장부(1105)는 결제에 이용된 카드의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0)를 통한 카드 이력 정보가 결제 서버(3000)에 누적되어 저장되고, 카드 이력 저장부(1105)는 결제 서버(3000)에 저장된 카드 이력 정보를 결제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카드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에,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1000) 내의 센서, POS 단말(2000) 및 결제 서버(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는, 결제 시간, 결제 위치, 가맹점 및 물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GPS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한 GPS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GPS 값 및 AP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가 위치한 가맹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GPS 값 및 AP 식별 값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정보가 디바이스(1000)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결제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관한 물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물품 정보를 물품에 부착된 마커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물품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는 가맹점 및 물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별로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 적립 한도, 할인율, 및 할인 한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가맹점 및 물품에 따른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 적립 한도, 할인율, 및 할인 한도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1000) 또는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카드 선택부(1300)는 결제 환경에 기초하여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한다.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정보, 카드 혜택 정보 및 결제 이력을 이용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결제 이력에 기초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사용된 카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A’에서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가 사용되었고,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A’라면,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맹점 ‘A’에서 카드 ‘C’, 카드 ‘A’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이용된 경우에,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A’라면,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C’, 카드 ‘A’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1:00~14:00’에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가 사용되었고,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결제 시간이 ‘11:00~14:00’라면,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 카드 ‘C’, 및 카드 ‘D’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11:00~14:00’에 사용된 카드들 중에서 카드 ‘A’, 카드 ‘B’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에, 획득된 결제 환경에 포함된 가맹점이 ‘A’라면,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정보로부터 카드 ‘A’, 카드 ‘B’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에 대한 우선 순위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카드에 대한 우선 순위를 카드 별 혜택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카드 선택부(1300)는 결제 이력 및 결제 환경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을 고려하여 카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드 선택부(1300)는 결제 이력 및 결제 환경에 포함된 항목 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복수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추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카드 선택부(13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카드 혜택의 종류 또는 혜택을 금액으로 산출한 액수 등을 고려하여, 추천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 별로 제공되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혜택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드 선택부(1300)는 카드에 대한 혜택 정보를 결제 서버(30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카드 선택부(1300)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결제 서버(3000)에게 전송하고, 결제 서버(3000)로부터 카드에 대한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드 선택부(1300)는 상점의 단말(미도시)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해당 상점에서 혜택을 부여하는 카드의 종류 및 혜택에 관한 정보를 상점 내의 디바이스(1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SMS/MMS를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게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점의 단말(미도시)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하여 혜택 정보를 디바이스(1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선택부(1300)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선택부(1300)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선택부(1300)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결제에 이용될 추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드 선택부(1300)는 디스플레이 모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 모드가 가로 보기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 입력 없이 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결제에 이용될 카드의 추천 목록을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디바이스(1000)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표시된 잠금 해제 버튼 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카드에 대한 PIN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터치하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0)의 잠금을 해제하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를 선택하면, 사용자 이미지 및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용자가 잠금 해제 화면에 표시된 카드의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카드 추천 목록에서 소정의 카드를 선택하면,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창을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창은 카드 정보, 쿠폰 정보, 결제 금액 및 PIN 코드 입력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PIN 코드 입력 필드에 선택된 카드에 대한 PIN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카드를 통한 결제가 인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카드를 통한 결제가 안전한 경우에, 결제창의 일부 또는 전부가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에게 전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색상으로 결제창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로부터 별도의 인증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 정보가 POS 단말(2000) 및 서버(3000)에게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드 정보 제공부(1400)는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POS 단말(2000)에게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카드 번호, 카드의 유효 기간, 카드의 비밀 번호에 관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카드 정보 제공부(1400)는 선택된 카드에 대응되는 쿠폰이 디바이스(10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 및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쿠폰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POS 단말(2000)은 카드 정보 및 쿠폰 정보를 이용하여, 쿠폰 정보가 반영된 금액을 결제 서버(3000)를 통하여 결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B(1500)는 디바이스(1000)가 다양한 결제 환경에 따라 적절한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DB(1500)는 결제 환경에 대한 카드의 우선 순위, 결제 환경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송수신부(1600)는 디바이스(1000)가 다양한 결제 환경에 따라 카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및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 및 결제 서버(3000)와 송수신한다.
제어부(1700)는 디바이스(10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디바이스(1000)가 다양한 결제 환경에 따라 적절한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 제공할 수 있도록, 카드 정보 저장부(1100), 카드 이력 저장부(1105),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1200), 카드 선택부(1300), 카드 정보 제공부(1400), 및 DB(1500), 송수신부(16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0)는 추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카드 정보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카드와 매칭하고,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부터 상점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명에 소정의 카드를 매칭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부(1001)는 3G/4G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과의 호 설정,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1002)는 블루투스나 NFC 등 근거리 통신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부(1003)는 DMB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카메라부(1004)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렌즈 및 광학 소자들을 포함한다.
센서부(1005)는 멀티 비전 컨트롤러(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중력 센서,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사람의 근접도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부(1006)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GPS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입출력부(1010)은 외부 기기나 사람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버튼(1011), 마이크(1012), 스피커(1013), 진동 모터(1014), 커넥터(1015), 키패드(1016)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018)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의 터치 입력은 드래그 제스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탭 제스처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017)는 터치 스크린(1018)을 통해 입력된 터치 입력을 제어부(1050)에 전달한다. 전원 공급부(1019)는 멀티 비전 컨트롤러(1019)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소스와 연결된다.
제어부(105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결제 환경에 따라 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제공한다.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동 통신 모듈(1061), Wi-Fi 모듈(1062), 블루투스 모듈(1063), DMB 모듈(1062), 카메라 모듈(1065), 센서 모듈(1066), GPS 모듈(1067), 동영상 재생 모듈(1068), 오디오 재생 모듈(1069), 전원 모듈(1070), 터치 스크린 모듈(1071), UI 모듈(1072),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 모듈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카드 별 카드 정보 및 카드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WIFI 모듈(1062), 카메라 모듈(1065), 센서 모듈(1066), GPS 모듈(1067)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POS 단말(2000) 및 결제 서버(3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카드 정보, 카드 혜택 정보 및 결제 이력을 이용하여, 획득된 결제 환경에서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결제 시간, 결제 장소, 결제의 용도, 결제에 따른 포인트 적립율, 포인트의 적립 한도, 결제에 따른 할인율, 할인 한도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제 환경에 대한 카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결제 환경의 우선 순위에 따라 카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카드의 혜택을 비교함으로써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추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자동으로 선택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추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드에 대한 결제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카드 정보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선택된 카드에 대한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이동 통신 모듈(1061), WIFI 모듈(1062), 블루투스 모듈(1063) 및 NFC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카드 정보를 POS 단말(20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카드와 매칭하고,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1073)은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부터 상점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점명에 소정의 카드를 매칭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위치 정보 및 카드 정보를 매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4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를 통하여 카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신용 카드, 포인트 카드 및 멤버쉽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에 저장된 할인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할인 쿠폰을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할인 쿠폰을 디바이스(100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의 다른 디바이스(미도시)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S14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GPS 값 및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1420에서 디바이스(100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사용된 카드와 매칭한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된 카드를, 디바이스(1000)의 GPS 값 및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된 할인 쿠폰을, 디바이스(1000)의 GPS 값 및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할 수 있다. 이 경우, 할인 쿠폰은, 디바이스(1000)가 다른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문자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할인 쿠폰을 제공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서버의 전화 번호를, 디바이스(1000)의 GPS 값 및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와 매칭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를 추천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50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 내의 GPS 센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된 AP의 식별 값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단계 S1510에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카드를 추출한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값 또는 디바이스(1000)에 연결된 AP의 식별 값에 대응되는 카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신용 카드, 멤버쉽 카드 및 포인트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할인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카드가 추출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카드들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카드들 중에서, 높은 할인율 또는 적립율을 제공하는 카드를,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15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카드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카드들이 추출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할인율 및 적립율에 기초하여, 추출된 카드들을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할인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추출된 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부터 추출된 상점명을 카드와 매칭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6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에 설치된 칼렌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디바이스(1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는, 칼렌더의 소정 날짜에 매칭되어 저장된 일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10에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로부터 상점명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정 정보에, “4/15, 18:00, XX 백화점에서 친구와 미팅”이 포함되어 있으면, 디바이스(1000)는 “XX 백화점”을 일정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상점의 명칭이 디바이스(1000) 또는 서버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0)는 저장된 상점의 명칭에 기초하여 “XX 백화점”을 일정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16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상점명과 관련된 카드를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신용 카드, 멤버쉽 카드 및 포인트 카드 중에서, 추출된 상점명과 관련된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추출된 상점명과 관련된 카드는, 추출된 상점명을 가지는 상점에서 이용되는 경우에, 할인, 쿠폰 및 포인트와 같은 혜택이 부여되는 카드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할인 쿠폰 중에서, 추출된 상점명과 관련된 할인 쿠폰을 결정할 수 있다. 추출된 상점명과 관련된 할인 쿠폰은, 추출된 상점명을 가지는 상점에서 이용될 수 있는 할인 쿠폰일 수 있다.
복수의 카드가 결정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카드들 중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카드들 중에서, 높은 할인율 또는 적립율을 제공하는 카드를, 사용자의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할 수 있다.
단계 S163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상점명을 결정된 카드와 매칭한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상점명을 결정된 할인 쿠폰과 매칭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상점명에 관련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점명에 관련된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상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GPS 값, 상점의 POS 단말(2000)의 식별 값 및 상점에 설치된 AP의 식별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가 소정의 상점명에 매칭된 카드에 관한 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S1700에서 디바이스(1000)는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GPS 값에 대응되는 상점명을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와 연결된 AP의 식별 값을 AP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AP의 식별 값에 대응되는 상점명을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AP의 식별 값은, 예를 들어, AP의 SSID 및 AP의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로부터 상점명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점명을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상점명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점명을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POS 단말(2000)로부터 POS 단말(2000)의 식별 값을 수신하고, POS 단말(2000)의 식별 값에 대응되는 상점명을 카드가 이용될 상점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710에서 디바이스(1000)는 결정된 상점명에 매칭된 카드를 추출한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결정된 상점명에 대응되는 신용 카드, 멤버쉽 카드 및 포인트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결정된 상점명에 대응되는, 할인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 S1720에서 디바이스(1000)는 추출된 카드를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카드들이 추출된 경우에, 디바이스(1000)는, 예를 들어, 할인율 및 적립율에 기초하여, 추출된 카드들을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0)는 할인 쿠폰 또는 할인 쿠폰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추출된 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바이스(1000)의 위치 또는 상점명과 관련된 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0)가 “XX 백화점”에 위치하면,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1000)의 위치 정보 또는 디바이스(1000)에서 결정된 상점명에 기초하여, “XX 신용카드”, “XX 포인트 카드” 및 “XX 백화점 할인 쿠폰”을 디바이스(10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4)

  1. 디바이스가 물품의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카드 사용 이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의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과,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잠금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결정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인증에 따른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제1 인증의 수행 없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증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결정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환경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추천하는 것인,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사용 이력은,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결제 위치, 및 물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것인,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카드에 대한 결제가 안전한 경우에, 상기 결정된 카드의 결제창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S 단말로부터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품 정보는, 유효 기간, 시간, 물품의 식별 값, 물품의 금액, 및 상기 POS 단말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식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하는 것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하여 상기 POS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결정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NFC)을 통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방법.
  11. 물품의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될 수 있는 카드에 대한 카드 사용 이력을 저장하는 카드 이력 저장부;
    상기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바이스의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결제 환경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선택하는 카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카드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과,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잠금 화면에 표시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카드를 결정하고,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제1 인증의 수행 없이, 상기 결정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인증에 따른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2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제2 인증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카드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카드에 관한 결제 정보를 POS 단말에게 제공되는 것인,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환경 정보 획득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결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카드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 환경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카드에 대한 혜택을 비교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추천하는 것인,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사용 이력은, 카드 번호, 결제 시간, 결제 날짜, 결제 위치, 및 물품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된 카드의 이미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잠금 해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잠금 해제 상에 디스플레이된 카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를 결정하는 것인, 디바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카드에 대한 결제가 안전한 경우에, 상기 결정된 카드의 결제창의 적어도 일부의 색상이 기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인,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선택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추천된 카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에 이용될 카드를 선택하는 것인,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정보 제공부는,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하여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POS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인, 디바이스.
  20.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1.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의 수행과 관련된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복수의 아이템들에 관한 정보를 액세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정보는 제 1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1 아이템 정보, 및 제 2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인터랙션이 수행되는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과,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잠금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아이템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결정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증에 따른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제1 인증의 수행 없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증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련된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는 복수의 제 2 아이템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는 복수의 환경 정보 특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환경 정보 특성들 각각을 위한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우선 순위 값을 각각 할당하고,
    각각의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 특성들, 각각의 상기 제 2 아이템 정보 특성들, 및 각각의 상기 환경 정보 특성들에 대하여, 가중치를 각각 할당하는 것인,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상기 제 1 아이템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익(perquisite)에 더 관련되며, 상기 제 1 아이템 정보는, 상기 제 2 아이템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익에 더 관련된 것인,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것인,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아이템 특성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화면 상에,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액세스된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한 추천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랙션이 안전하게 수행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련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위치에 관련된 상기 획득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인,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현재 날짜, 현재 시각,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유효 기간,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식별 값,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관련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추천 아이템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기 추천 아이템의 목록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에서 사용될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는, 가로 보기 모드 및 세로 보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터랙션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NFC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방법.
  33.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의 수행과 관련된 이용을 위한 제 1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1 아이템 정보 및 제 2 아이템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제 2 아이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및 제 1 사용자에 관련된 각각의 복수의 아이템들에 관련된 아이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인터랙션이 수행되는 환경에 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아이템 관련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하여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1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 화면과, 상기 잠금 화면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잠금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아이템을 결정하고, 상기 잠금 상태의 화면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제1 인증의 수행 없이, 상기 결정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표시된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 2 사용자에 관련된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2 인증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랙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랙션의 수행에 관련된 상기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제 1 디바이스.
  34. 제 2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96193A 2012-08-24 2013-08-13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7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3306625A AU2013306625B2 (en) 2012-08-24 2013-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BR112015003536A BR112015003536A2 (pt) 2012-08-24 2013-08-14 método para determinar, por um dispositivo, um cartão à ser usado em um pagamento, dispositivo para determinar um cartão à ser usado em um pagamento, método para usar um primeiro dispositivo em combinação com um desempenho de uma interação entre um primeiro usuário e um segundo usuário, e primeiro dispositivo para uso em combinação com um desempenho de uma interação entre um primeiro usuário e um segundo usuário
RU2015110261A RU2615062C2 (ru) 2012-08-24 2013-08-14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элемента на основе окружения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PCT/KR2013/007313 WO2014030876A1 (en) 2012-08-24 2013-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EP13181545.8A EP2720179A3 (en) 2012-08-24 2013-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JP2013173101A JP6296532B2 (ja) 2012-08-24 2013-08-23 インタラクション環境に基づいてアイテムを決定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201310376039.9A CN103632264B (zh) 2012-08-24 2013-08-26 用于基于交互环境来确定项目的方法和装置
US13/975,416 US9898724B2 (en) 2012-08-24 2013-08-26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US15/857,745 US10789582B2 (en) 2012-08-24 2017-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294 2012-08-24
KR1020120093294 2012-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029A KR20140027029A (ko) 2014-03-06
KR102207251B1 true KR102207251B1 (ko) 2021-01-25

Family

ID=5064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193A KR102207251B1 (ko) 2012-08-24 2013-08-13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207251B1 (ko)
AU (1) AU2013306625B2 (ko)
BR (1) BR112015003536A2 (ko)
RU (1) RU26150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89B1 (ko) 2013-10-30 2022-06-0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US10482461B2 (en)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066959B2 (en) 2014-09-02 2018-09-04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20160224973A1 (en) 2015-02-01 2016-08-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574896B2 (en) 2015-02-13 2017-02-21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US20160358133A1 (en) 2015-06-05 2016-12-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9940637B2 (en) 2015-06-05 2018-04-10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10621581B2 (en) 2016-06-11 2020-04-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US11580608B2 (en) 2016-06-12 2023-02-14 Apple Inc. Managing contact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applications
US20180068313A1 (en) 2016-09-06 2018-03-0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tored-value accounts
US10860199B2 (en) 2016-09-23 2020-12-08 Apple Inc. Dynamically adjusting touch hysteresis based on contextual data
KR102301599B1 (ko) 2017-09-09 2021-09-10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KR102185854B1 (ko) 2017-09-09 2020-12-02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DK179992B1 (en) 2018-05-07 2020-01-14 Apple Inc. DISPLAY OF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CN112219203A (zh) 2018-06-03 2021-01-12 苹果公司 用于转账账户的用户界面
US11100498B2 (en) 2018-06-03 2021-08-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fer accounts
US11328352B2 (en) 2019-03-24 2022-05-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n account
DK201970530A1 (en) 2019-05-06 2021-01-28 Apple Inc Avatar integration with multiple application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AU2020356269B2 (en) 2019-09-29 2023-04-06 Apple Inc. Account management user interfaces
US11169830B2 (en) 2019-09-29 2021-11-09 Apple Inc. Account management user interfaces
JP7282154B1 (ja) * 2021-12-23 2023-05-26 楽天グル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支払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777A1 (en) * 1994-06-20 2005-11-10 C-Sam, Inc.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conducting paperless transactions
US20090037326A1 (en) * 2007-07-30 2009-02-05 Sriram Chitti Virtual Card Selecto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138B1 (en) * 1998-10-05 2002-10-01 Flashpoint Technology, Inc. User authentic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ing asymmetrical cryptography
IES20020712A2 (en) * 2002-09-04 2004-03-10 Mainline Corporate Holdings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unds
DE10246979B4 (de) * 2002-10-09 2006-02-09 Daimlerchrysler Ag Wasch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US7413113B1 (en) * 2004-07-28 2008-08-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text-based card selection device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1032263A1 (en) * 2009-09-17 2011-03-24 Meir Weis Mobile payment system with two-point authentication
EP2596462A1 (en) * 2010-07-20 2013-05-29 Moqom Limited Cardholder mobile devi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7777A1 (en) * 1994-06-20 2005-11-10 C-Sam, Inc.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conducting paperless transactions
US20090037326A1 (en) * 2007-07-30 2009-02-05 Sriram Chitti Virtual Card Selecto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06625A1 (en) 2015-02-05
RU2615062C2 (ru) 2017-04-03
AU2013306625B2 (en) 2016-09-15
BR112015003536A2 (pt) 2017-07-04
KR20140027029A (ko) 2014-03-06
RU2015110261A (ru)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251B1 (ko) 인터랙션 환경에 기초하여 아이템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89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tem based on interaction environment
US115144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information by using image on device display
KR102174437B1 (ko) 화면 상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8215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check-in
KR101560868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US202300491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transferring money
KR201601473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64027A (ko) 사용자클라이언트 기반의 세금환급 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