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189B1 -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 Google Patents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189B1
KR102207189B1 KR1020180118703A KR20180118703A KR102207189B1 KR 102207189 B1 KR102207189 B1 KR 102207189B1 KR 1020180118703 A KR1020180118703 A KR 1020180118703A KR 20180118703 A KR20180118703 A KR 20180118703A KR 102207189 B1 KR102207189 B1 KR 10220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rocar
coupled
button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161A (ko
Inventor
조재호
Original Assignee
(주)미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컴퍼니 filed Critical (주)미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11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189B1/ko
Priority to PCT/KR2019/011303 priority patent/WO2020071644A1/ko
Publication of KR2020003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37Cannulas with means for removing or absorbing fluid, e.g. wicks 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 A61B2218/006Irrig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로카에 결합되는 스모크 배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는 트로카에 결합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상기 제1 중공, 상기 제2 중공,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로카와 복강경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복강경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인체의 복강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를 단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복강 내부 시야 혼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SMOKE EMISSION APPARATUS AND TROCA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트로카와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인체내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체 내부에서 발생된 스모크로 인한 시야 혼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개복수술과는 달리 피부의 절개부분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복강경 수술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트로카(Trocar)라는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복부로 통하는 관을 만들고 내시경 등의 수술기구를 복강 내의 수술부위에 진입시킴으로써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시행하는 수술 방식으로서, 전립선 시술, 담낭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충수 돌기 절제술 등 일반외과 수술 등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트로카(Trocar)는 복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구를 말하며, 트로카는 환자의 배꼽 또는 피부 절개창을 통해 신체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캐뉼라(cannula)와, 외부로 노출된 캐뉼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강경 시술의 경우, 환자의 몸(복부)을 부풀리기 위해 가스(CO2)를 환자의 몸 속에 주입하며 시술하는 동안 주입된 가스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며 만약 가스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수동이나 자동으로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복압이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한편, 트로카와 복강경 시술용 기구, 예를 들면 신체조직을 절단하거나 출혈을 지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소작기(Energy device)를 이용하여 복강경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소작기의 사용으로 인해 복강에 스모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스(CO2)가 오염되고 복강 내부 시야가 혼탁해지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복강 내부 시야 혼탁은 복강경 시술의 정밀도를 저하시켜 의료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오염된 스모크를 외부로 배출시켜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트로카에는 스모크 배출 수단이 추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모크 배출을 위해 배기관, 밸브 등의 기술적 수단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시술 과정에서 스모크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시술자가 한 손으로 트로카의 본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밸브를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스모크 배출을 위해 요구되는 시술자의 동작으로 인하여 복강경 시술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5711호(공개일자: 2009년 09월 10일, 명칭: 의료용 트로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4928호(등록일자: 2009년 10월 28일, 명칭: 트로카의 밸브구조)
본 발명은 트로카와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인체내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를 단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체 내부 시야 혼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카에 스모크 배출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로카에 결합되는 스모크 배출 장치로서, 상기 트로카에 결합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상기 제1 중공, 상기 제2 중공,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버튼부의 양측 단부 중에서 상기 몸체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를 밀폐시켜 복압 유지용 가스 유출을 방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버튼부를 상기 몸체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개방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에 접촉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트로카에 형성된 결합 패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는 투관 모듈, 상기 투관 모듈에 결합된 캐뉼라 및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에 결합된 스모크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에 결합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상기 제1 중공, 상기 제2 중공,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버튼부의 양측 단부 중에서 상기 몸체부에 걸려 고정되는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를 밀폐시켜 복압 유지용 가스 유출을 방지하는 오링(O-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버튼부를 상기 몸체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부를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개방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에 접촉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패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 패턴부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 측면에는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카에 있어서, 상기 복압 유지용 가스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로카와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인체내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를 단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인체 내부 시야 혼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로카에 스모크 배출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가 투관 모듈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로카를 구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가 투관 모듈에 결합되어 트로카를 구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스프링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른 상태의 스모크 배출 장치와 투관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스프링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의 스모크 배출 장치와 투관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9는 자석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른 상태의 스모크 배출 장치와 투관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자석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의 스모크 배출 장치와 투관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복강경 시술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복강경 시술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술 시 발생하는 스모크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모든 시술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가 투관 모듈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로카를 구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가 투관 모듈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로카를 구성하는 방식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트로카(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스모크 배출 장치(10)로서, 결합부(20), 몸체부(30), 버튼부(40), 연통부(50, 52, 54), 배출구(310) 및 오링(O-ring, 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10)를 설명하기에 앞서, 스모크 배출 장치(10)가 장착되는 트로카(1)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모크 배출 장치(10)가 장착되는 트로카(1)는 투관 모듈(3), 투침 모듈(2) 및 캐뉼라(cannula, 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투관 모듈(3), 투침 모듈(2) 및 캐뉼라(4) 중 적어도 두 개의 부품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투관 모듈(3), 투침 모듈(2) 및 캐뉼라(4)가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로카(1)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투관 모듈(3)은 투침 모듈(2)과 캐뉼라(4)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인체에 삽입되는 복강경 수술용 기구(예를 들어 전기소작기(Energy device), 미도시)가 관통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관 모듈(3) 또는 캐뉼라(4)의 측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20)가 결합되는 결합 패턴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에는 결합 패턴부(5)가 투관 모듈(3)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결합 패턴부(5)는 캐뉼라(4)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침 모듈(2)은 투관 모듈(3)과 캐뉼라(4)를 관통하도록 투관 모듈(3)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뉼라(4)는 투관 모듈(3)의 하단부에서 투관 모듈(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투관 모듈(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캐뉼라(4)가 투관 모듈(3)에 장착될 경우 후술하는 스모크 배출 장치(10)와의 연통을 위해 캐뉼라(4)의 일 측면에는 배기홀(510)이 형성되어 있다. 투관 모듈(3)에서 분리된 캐뉼라(4)는 재사용 가능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캐뉼라(4)의 구체적인 재질로는 폴리머, 금속, 금속 합금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고온 고압 및/또는 화학물질을 이용한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임의의 물질이 캐뉼라(4)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의사는 캐뉼라(4)를 투관 모듈(3)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삽입 결합하고 투침 모듈(2)이 투관 모듈(3)과 캐뉼라(4)를 관통하도록 투관 모듈(3)의 상단부에 결합한 이후, 트로카(1)를 시술 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투침 모듈(2)을 눌러 인체에 절개 부위를 만들고, 이 절개 부위에 캐뉼라(4)를 일정 깊이로 삽입할 수 있으며, 캐뉼라(4)를 삽입한 상태에서 투침 모듈(2)을 빼내어 제거하고 복강경 수술용 기구를 투관 모듈(3)과 캐뉼라(4)에 관통시켜 인체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복강경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시술자가 모노폴라(monopolar)와 바이폴라(bipolar)와 같은 수술용 기구(전기소작기)를 사용하여 인체 내 조직을 제거하거나 출혈을 지혈해야 할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스모크가 발생하여 복강 내부 시야가 혼탁해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복강 내부 시야 혼탁은 복강경 시술의 정밀도를 저하시켜 의료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발생된 스모크를 외부로 배출시켜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10)는 이러한 스모크 배출 작업을 시술자가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모크 배출 장치(1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결합부(20)는 투관 모듈(3) 또는 캐뉼라(4)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스모크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중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모크 배출 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20)는 투관 모듈(3)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패턴부(5)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결합 패턴부(5)는 캐뉼라(4)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관 모듈(3)의 측면에는 스모크 배출을 위한 개구(aperture)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패턴부(5)는 이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이 원통의 외주면에는 결합부(2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20)는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결합 패턴부(5)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내주면에는 결합 패턴부(5)에 구비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나사산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30)는 결합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부(30)에는 결합부(20)에 구비된 제1 중공(110)과 연통되는 제2 중공(210) 및 제2 중공(210)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30)와 결합부(20)는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상호 일체형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몸체부(30)는 그 내부에 결합부(20)에 구비된 제1 중공(110)과 연통된 제2 중공(210)이 구비된 원통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몸체부(30)는 결합부(20)와 결합되는 제1 영역, 제1 영역과 반대 위치에 존재하는 제3 영역 및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30)의 제3 영역의 직경은 제2 영역보다 작고, 제2 영역의 직경은 제1 영역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직경 차이에 대응하는 단차가 존재하고, 제2 영역과 제3 영역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도 제2 영역과 제3 영역의 직경 차이에 대응하는 단차가 존재하게 된다.
후술하는 버튼부(40)는 몸체부(30)의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제3 영역에 위치하는 중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하게 되며, 몸체부(30)의 제3 영역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배출구(3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구(310)를 통한 스모크 배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버튼부(40)는 몸체부(30)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몸체부(30)에 구비된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제1 중공(110), 제2 중공(210), 배출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연통부(50,52,54)는 사용자 조작,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없는 경우 버튼부(40)를 몸체부(30)에 밀착시켜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를 차단시키고, 반대로,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있는 경우에는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를 형성한다.
하나의 예로, 연통부는 일단이 결합부(20)에 가압 접촉되고 타단이 버튼부(40)에 가압 접촉되어 있는 스프링(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통부는 몸체부(30)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52) 및 버튼부(40)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자석부(52)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50)을 이용한 연통 작용 또는 제1 자석부(52)와 제2 자석부(54)를 이용한 연통 작용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여 후술한다.
오링(60)은 몸체부(30)의 제2 영역 중 버튼부(40)가 몸체부(30)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체내에 주입된 이산화탄소(CO2) 등과 같은 복압 유지용 가스가 누출되지 않고 복압을 유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로카 스모크 배출 장치(10) 및 트로카(1)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스프링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40)를 누른 상태의 트로카 스모크 배출 장치(10)와 투관 모듈(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전기소작기와 같은 수술도구를 사용하여 인체 조직을 절단하거나 지혈을 할 경우 발생하는 스모크로 인해 시야 확보가 어려워 시술자가 버튼부(40)를 누른 경우, 몸체부(30) 내부의 제2 중공(210)에 위치하는 스프링(50)의 일단은 결합부(20)에 가압 접촉되고 스프링(50)의 타단은 버튼부(40)에 형성된 돌기부(410)에 가압 접촉된 상태로 시술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해 버튼부(40)는 결합부(20)쪽으로 이동한다. 스프링(50)의 타단이 시술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해 결합부(20)쪽으로 강제 이동하면, 버튼부(40)에 형성된 돌기부(410)와 몸체부(30)에 형성된 걸림턱(320)이 떨어져 이격 공간이 생성되고,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인체의 복강에서 발생한 스모크가, 캐뉼라(4), 투관 모듈(3), 결합 패턴부(5)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 스모크 배출 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2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중공(110)을 거쳐, 몸체부(3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중공(210)에까지 도달한 후, 몸체부(30)에 구비된 배출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스프링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발생된 스모크를 배출시킨 후 시술자에 의한 외력이 버튼부(40)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 트로카 스모크 배출 장치(10)와 투관 모듈(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30) 내부의 제2 중공(210)에 위치하는 스프링(50)의 일단은 결합부(20)에 가압 접촉되고 스프링(50)의 타단은 버튼부(40)에 형성된 돌기부(410)에 가압 접촉된다. 스모크 배출을 위한 외력이 사라질 경우 버튼부(40)는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하다가 버튼부(40)의 돌기부(410) 일측에 형성된 오링(60)이 몸체부(30)에 형성된 걸림턱(320)에 걸리게 된다. 버튼부(40)의 일측에 형성된 오링(60)이 몸체부(30)에 형성된 걸림턱(320)에 걸리면, 오링(60)과 걸림턱(320)의 접촉에 의해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가 차단된다. 특히, 돌기부(410)와 걸림턱(320)은 오링(60)을 개재하여 밀착되기 때문에, 스모크 배출 과정 이후 복압 유지를 위한 가스(CO2)의 유출을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9은 자석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사용자가 버튼부(40)를 누른 상태의 트로카 스모크 배출 장치(10)와 투관 모듈(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버튼부(40)를 누르는 경우, 몸체부(30)에 구비된 걸림턱(320)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52)와 버튼부(40)에 구비된 돌기부(410)에 고정 결합된 제2 자석부(54) 간의 인력보다 시술자가 인가한 외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버튼부(40)는 결합부(20)쪽으로 이동한다. 버튼부(40)가 시술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해 결합부(20)쪽으로 이동하면, 버튼부(40)에 결합된 제2 자석부(54)와 몸체부(30)에 결합된 제1 자석부(52)가 떨어져 이격 공간이 생성되어,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인체의 복강에서 발생한 스모크가, 캐뉼라(4), 투관 모듈(3), 결합 패턴부(5)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 스모크 배출 장치(10)를 구성하는 결합부(2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중공(110)을 거쳐, 몸체부(3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중공(210)에까지 도달한 후, 몸체부(30)에 구비된 배출구(3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자석 방식의 연통 작용에 있어서, 발생된 스모크를 배출시킨 후 시술자에 의한 외력이 버튼부(40)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 트로카 스모크 배출 장치(10)와 투관 모듈(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술자가 버튼부(40)를 누르지 않는 경우, 몸체부(30)에 구비된 걸림턱(320)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52)와 버튼부(40)에 구비된 돌기부(410)에 고정 결합된 제2 자석부(54) 간의 인력에 의해, 버튼부(4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다가 버튼부(40)의 돌기부(410) 일측에 형성된 오링(60)이 몸체부(30)에 구비된 걸림턱(320)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52)에 걸리게 된다. 오링(60)이 제1 자석부(52)에 걸리면, 제2 중공(210)과 배출구(310) 간의 연통 경로가 차단된다. 특히, 돌기부(410)와 제1 자석부(52)는 오링(60)을 개재하여 밀착되기 때문에, 스모크 배출 과정 이후 복압 유지를 위한 가스(CO2)의 유출을 더욱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로카와 복강경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여 복강경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시술자가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인체의 복강에서 발생하는 스모크를 단시간 내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복강 내부 시야 혼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로카에 스모크 배출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트로카
2: 투침 모듈
3: 투관 모듈
4: 캐뉼라
5: 결합 패턴부
10: 스모크 배출 장치
20: 결합부
30: 몸체부
40: 버튼부
50: 스프링
52: 제1 자석부
54: 제2 자석부
60: 오링
110: 제1 중공
210: 제2 중공
310: 배출구
320: 걸림턱
410: 돌기부
510: 배기홀

Claims (15)

  1. 트로카에 결합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상기 제1 중공, 상기 제2 중공,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를 밀폐시켜 복압 유지용 가스 유출을 방지하는 오링(O-ring);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연통부;
    상기 연통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을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을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개방하는, 스모크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트로카에 형성된 결합 패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모크 배출 장치.
  7. 투관 모듈;
    상기 투관 모듈에 결합된 캐뉼라; 및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에 결합된 스모크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트로카로서,
    상기 스모크 배출 장치는,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에 결합되며 제1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는 제2 중공과 상기 제2 중공에 연통 가능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위치 이동하여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킴으로써 스모크를 상기 제1 중공, 상기 제2 중공,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를 밀폐시켜 복압 유지용 가스 유출을 방지하는 오링(O-ring);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 및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자석부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자석부와 상기 제2 자석부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을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에 밀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차단시키고,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버튼부에 구비된 돌기부의 일측에 결합된 오링을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부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중공과 상기 배출구 간의 연통 경로를 개방하는, 트로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투관 모듈 또는 상기 캐뉼라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 패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결합 패턴부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의 일 측면에는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압 유지용 가스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KR1020180118703A 2018-10-05 2018-10-05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KR10220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03A KR102207189B1 (ko) 2018-10-05 2018-10-05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PCT/KR2019/011303 WO2020071644A1 (ko) 2018-10-05 2019-09-03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703A KR102207189B1 (ko) 2018-10-05 2018-10-05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01A Division KR20210012021A (ko) 2021-01-19 2021-01-19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161A KR20200039161A (ko) 2020-04-16
KR102207189B1 true KR102207189B1 (ko) 2021-01-25

Family

ID=7005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703A KR102207189B1 (ko) 2018-10-05 2018-10-05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7189B1 (ko)
WO (1) WO202007164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204A2 (en) 2008-10-10 2010-04-15 Surgiquest,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gas recirculation in surgical trocars with pneumatic sealing
US9078562B2 (en) 2010-01-11 2015-07-14 Minimally Invasive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d maintaining visualization of a surgical field during the use of surgical scop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2543B1 (en) * 2002-04-03 2003-07-15 Surgin Inc. Fluid flow regulator for a smok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55431B1 (ko) 2008-03-06 2010-05-04 (주)미래컴퍼니 의료용 트로카
KR100924928B1 (ko) 2009-03-13 2009-11-05 (주)다림써지넷 트로카의 밸브구조
US20140155698A1 (en) * 2011-05-12 2014-06-05 O-Nam Seo Endoscopic surgical tool guider port and gas exhaust valve for surgical tool guider port
KR20130020233A (ko) * 2011-08-19 2013-02-27 (주)보성메디텍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2204A2 (en) 2008-10-10 2010-04-15 Surgiquest,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gas recirculation in surgical trocars with pneumatic sealing
US9078562B2 (en) 2010-01-11 2015-07-14 Minimally Invasive Devic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nd maintaining visualization of a surgical field during the use of surgical sco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644A1 (ko) 2020-04-09
KR20200039161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0388C (en) Bladeless obturator for use in a surgical trocar assembly
KR100909672B1 (ko) 착탈 가능한 실링부재를 갖는 멀티채널 트로카
CN1394554A (zh) 具有改进的密封设计的套针
US10786280B2 (en) Trocar
US9545264B2 (en) Trocars and obturators
WO2016177271A1 (zh) 一种治疗椎管狭窄的微创手术器械
US20220054167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body cavity of a patient for a medical procedure
KR102268211B1 (ko) 교환 수술 접근 포트 어셈블리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2207189B1 (ko)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KR20210012021A (ko) 스모크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로카
EP2233087B1 (en) Access port including rotatable seals
JP2006042996A (ja) ディスポーザブル医療器材
EP3725245A1 (en) Balloon trocar including a pin
KR101487087B1 (ko) 액체 분출 방지용 캐뉼러
AU2017307229B2 (en) Laparoscopic guide
JP6761073B2 (ja) 内視鏡手術用開創器
JP4184823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364739B1 (ko) 복강경 수술기구
KR102197637B1 (ko) 복강경 수술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 여과를 위한 트로카 장착 필터 구조체
RU2290108C1 (ru) Троакар безножевой с гидропредохранителем
RU22494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а.н.чугунова для диссек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тканей
WO2024062473A1 (en) Trocar assembly
US20170265736A1 (en) Biflow spinal cannula
OA17145A (en) Dual channel surgical device for abdomen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