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149B1 -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149B1
KR102207149B1 KR1020190156307A KR20190156307A KR102207149B1 KR 102207149 B1 KR102207149 B1 KR 102207149B1 KR 1020190156307 A KR1020190156307 A KR 1020190156307A KR 20190156307 A KR20190156307 A KR 20190156307A KR 102207149 B1 KR102207149 B1 KR 10220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box
inspection
checking
inspecting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용혁
이성훈
손진혁
오명헌
Original Assignee
윈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7/00Monitoring or testing of wind motors, e.g. diagno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5Sealing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80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은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는 단계, 이상 발생 시 교체 또는 수리하여 조치하는 단계 및 점검 및 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점검단계는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단계,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하는 단계, 배관의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씰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쿨링팬을 점검하는 단계, 볼트나 체결구조를 점검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내부 점검단계는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하는 단계, 에어브리더 점검 단계,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단계, 내시경 점검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Wind Turbine Gearbox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사 또는 사양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은 신재생 에너지 가운데 비교적 효율이 높으며 시장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기술 개발 및 활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풍력 발전은 육상 풍력 발전을 위주로 발달했으나, 터빈의 대형과, 소음 및 진동, 장소의 제한 등의 문제로 최근 해상 풍력 발전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해상 풍력 발전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전망이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 풍력 발전기는 크게 Rotor-nacelle assembly라 불리는 발전기 구성물과 지지구조물(Supporting structure) 2개 부분으로 나뉠 수 있으며 바람이 불어 블레이드(blade)가 회전하면,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풍력 발전기는 복수의 블레이드,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허브, 허브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나셀, 나셀을 지지하는 타워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블레이드가 허브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블레이드에 풍력이 작용하여 회전함으로써, 나셀에서 전기가 생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위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점검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요구된다. 즉, 풍력 발전기가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도록 풍력 발전기에 설치된 주요 장치 특히 기어박스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한 장치들을 수리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풍력발전기는 다른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 설비와는 달리 발전용량 대비 다수의 설비가 널리 분포되어 있고, 유지보수 수행 시 기상 상태에 따른 접근성, 부품 및 장비 수급, 작업인원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관리가 쉽지 않은 설비이다. 특히, 해상 풍력발전은 고장 발생 시 풍속과 파고에 따른 풍력발전기 접근 제약이 있어 조기에 부품 고장을 감지하고, 중대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정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설치 장소, 환경, 풍력 발전기의 부품, 구성의 사양이나 제조사 등 다양한 조건에도 쉽고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정비나 점검에 대한 모니터링 매뉴얼, 체크리스트 또는 점검 프로세스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등록특허 10-1962246호(2019.03.20.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사나 사양에 상관 없이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은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는 단계, 이상 발생 시 교체 또는 수리하여 조치하는 단계 및 점검 및 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점검단계는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단계,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하는 단계, 배관의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씰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쿨링팬을 점검하는 단계, 볼트나 체결구조를 점검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점검단계는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하는 단계, 에어브리더 점검 단계,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단계, 내시경 점검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점검단계는,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 디지털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촬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육안 관찰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상을 상기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동시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점검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상 발생 시 조치하는 단계는, 이상이 발생한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교체하되, 상기 부품과 연결된 타 부품의 상태를 한번 더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알람하기 위하여 서버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진입하는 경우 정보 알람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은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 및 내부를 점검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따라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조치부, 상기 점검 및 조치 결과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 배관의 불량을 점검, 씰 불량을 점검, 쿨링팬을 점검, 볼트나 체결구조의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 에어브리더 점검,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 내시경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가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는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상시 관찰하며, 상기 점검부가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은 점검 프로세스 및 체크 리스트를 매뉴얼화 하여 제조사나 사양에 관계없이 보편적이고 효율적으로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개념 설명도,
도 2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의 단면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 점검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중 외부점검에 대한 상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중 내부점검에 대한 상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중 교체, 수리에 대한 순서도,
도 7,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4, 도 5 및 도 6의 순서도에 관한 실제 점검 사진에 따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은 그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사양, 종류, 목적에 따른 풍력발전기에 장착되는 기어박스의 점검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즉, 이제까지 체계적이고 매뉴얼화 된 프로세스나 체크리스트가 없었기에 본 발명에 따른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은 폭 넓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 점검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구성 설명도이고, 도 2는 풍력발전기의 내부 단면을 보여주는 설명도로서 나셀(20)안에 마련된 기어박스(30)의 점검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시스템은 점검부(100), 조치부(300), 데이터 저장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의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작업자에게 알람하는 알람부(600) 및 별도의 서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00)는 외부 점검부(110) 및 내부 점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치부(300)는 수리부(310) 및 교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는 DB 가공부(510) 및 DB 활용부(5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30)의 외부를 점검하는 단계(S100),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는 단계(S300),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200, S400) 및 이상 발생 시 교체 또는 수리하여 조치하는 단계(S210, S410)를 포함한다.
또한, 점검 및 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200, S400)는 각각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는 단계(S100) 및 내부를 점검하는 단계(S300)의 후속조치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외부 점검단계(S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30)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단계(S110),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하는 단계(S120),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하는 단계(S130), 배관의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S140), 씰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S150), 쿨링팬을 점검하는 단계(S160), 볼트나 체결구조를 점검하는 단계(S170)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외부 점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환경이나 조건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순서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새로운 순서를 추가하거나, 그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점검 방법, 순서에 따른 외부 점검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부 항목을 점검하기 전에 외관에 대해 전반적인 이상 여부, 정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우징에 발생하는 깨짐, 녹, 부식 등에 외관 크랙에 대해 확인한다. 또한, 하우징, 씰, 배관, 주변부의 기어 오일 누유 상태를 체크하고, 기어오일 순환용 배관의 깨짐, 찌그러짐 등을 확인한다.
씰의 이탈, 찢어짐, 누유 등을 확인하고, 쿨링 팬의 오염상태, 동작여부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기어박스 하우징, 토크 암, 기어오일 펌프 등에 체결된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 풀림, 조임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조치를 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내부 점검단계(S300)는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확인하여 점검하는 단계(S310),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하는 단계(S320), 에어브리더 점검 단계(S330),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단계(S340), 내시경 점검단계(S350)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내부 점검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환경이나 조건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상기 순서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새로운 순서를 추가하거나, 그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점검 방법, 순서에 따른 내부 점검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어링, 기어의 마모에 의한 철가루 등의 이물질을 자석(마그넷)을 이용하여 확인 및 점검하고, 기어오일 필터를 이용하여 기어 오일에 포함된 미세입자 이물질을 걸러내고 필터의 오염 정도를 확인한다.
또한, 기어오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걸러냄으로써 에어브리더의 오염 정도를 확인하고, 기어오일 샘플링을 통해 기어오일에 포함된 이물질들의 종류와 양 등을 분석하여 확인한다. 나아가, 내시경 카메라 호스를 삽입하여 베어링, 기어 등의 결함 상태 등을 확인, 체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30) 내부 및 외부를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교체나 수리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상 발생 시 조치하는 단계(S210, S410)는 이상 유무를 한번 더 확인하고, 기 설정 조건 및 선택에 따라 수리 또는 교체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교체 또는 수리 완료 후 정상 작동을 확인하여 필요 시 점검 프로세스를 한번 더 반복할 수 있으며, 이상이 발생한 부품의 주변 연결된 부품까지 한번 더 점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상이 발생한 부품은 주변 연결 부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이상 유무 확인은 기 설정된 조건, 기준에 따라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점검자, 작업자가 판단하여 이상 유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점검단계(S100)는,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미도시)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 디지털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촬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육안 관찰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상을 상기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동시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점검단계(S300)는,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30)의 외부 점검을 위한 드론의 영상촬영 정보와 상기 기어박스(30)의 내부 점검을 위한 센서부의 센싱 정보는 작업자,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 점검 방법은 앞서 점검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점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50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알람하기 위하여 서버(700)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진입하는 경우 정보의 알람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은 매뉴얼화하여 사용자나 작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체크 항목을 리스트화 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등은 제조사나 사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상관없이 정해진 규칙과 순서에 따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풍력발전기의 기어박스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크리스트 또는 매뉴얼은 문서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태블릿 등의 통신기기에 제공되며 사용자는 체크리스트에 따른 체크를 하면서 정확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은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 및 내부를 점검하는 점검부(100),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따라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조치부(300), 상기 점검 및 조치 결과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0) 및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100)는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 배관의 불량을 점검, 씰 불량을 점검, 쿨링팬을 점검, 볼트나 체결구조의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점검부(100)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 에어브리더 점검,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 내시경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준다.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알람하기 위하여 서버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진입하는 경우 정보 알람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부가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미도시)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 디지털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촬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육안 관찰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상을 상기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동시 관찰할 수 있다. 필요 시 상기 드론은 상시 촬영 및 점검을 위해 별도의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부가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은 점검 절차 및 체크리스트를 체계화, 매뉴얼화 하여 제조사, 사양 등의 조건에 상관없이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는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10: 풍력발전기 20: 나셀
30: 기어박스 100: 점검부
110: 외부 점검부 130: 내부 점검부
300: 조치부 310: 수리부
330: 교체부 500: 데이터 저장부
510: DB 가공부 530: DB 활용부
600: 알람부 700: 서버
S100: 기어박스 외부 점검단계
S300: 기어박스 내부 점검단계
S200, S400: 이상 유무 확인 단계
S210, S410: 교체, 수리 단계
S500: 데이터 저장단계

Claims (7)

  1.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에 있어서,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는 단계;
    이상 발생 시 교체 또는 수리하여 조치하는 단계; 및
    점검 및 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점검단계는,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단계,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하는 단계, 배관의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씰 불량을 점검하는 단계, 쿨링팬을 점검하는 단계, 볼트나 체결구조를 점검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내부 점검단계는,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하는 단계,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하는 단계, 에어브리더 점검 단계,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단계, 내시경 점검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점검단계는,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 디지털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촬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육안 관찰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상을 상기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동시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점검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이상 발생 시 조치하는 단계는, 이상이 발생한 부품의 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교체하되, 상기 부품과 연결된 타 부품의 상태를 한번 더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를 알람하기 위하여 서버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진입하는 경우 정보 알람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6.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 및 내부를 점검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의 점검 결과에 따라 부품을 수리 또는 교체하는 조치부;
    상기 점검 및 조치 결과 및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람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상기 기어박스의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 크랙이나 부식을 점검, 기어오일의 누유를 점검, 배관의 불량을 점검, 씰 불량을 점검, 쿨링팬을 점검, 볼트나 체결구조의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점검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마그넷을 통해 마모된 철가루를 점검, 기어오일 필터를 점검, 에어브리더 점검, 기어오일 샘플링 점검, 내시경 점검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가공 및 학습하여 사용자에게 점검 필요성, 교체, 수리에 대한 정보를 알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가 외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의 육안 관찰과 영상 촬영장치에 의한 관찰을 병행하되, 상기 영상 촬영장치로는 디지털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및 적외선 촬영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의 외관을 육안 관찰 및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상을 상기 영상 촬영장치를 통해 동시 관찰하고,
    상기 점검부가 내부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내부를 점검하거나 상기 기어박스 내부에 센서부를 마련하여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이용하여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성에 의한 철가루의 부착량, 필터 또는 오일류의 색채 변화 및 유체의 이동압력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시스템.

KR1020190156307A 2019-11-29 2019-11-29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220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07A KR102207149B1 (ko) 2019-11-29 2019-11-29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07A KR102207149B1 (ko) 2019-11-29 2019-11-29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149B1 true KR102207149B1 (ko) 2021-01-25

Family

ID=7423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307A KR102207149B1 (ko) 2019-11-29 2019-11-29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2358A (zh) * 2024-01-23 2024-02-27 山东恒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监测预警管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113U (ko) * 1988-06-30 1990-01-19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라디오 회로를 내장한 리모콘
KR101236763B1 (ko) * 2011-09-05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나셀 관리 로봇과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KR20140054682A (ko) * 2012-10-29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발전 장치의 고장 검출 제어 시스템 및 고장 검출 제어 방법
JP2016020925A (ja) * 2015-11-04 2016-02-0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破損状態通知装置、減速機破損状態通知機能付機械システムおよび減速機破損状態通知プログラム
KR101962246B1 (ko) 2011-10-13 2019-03-26 모벤타스 기어스 오와이 기어박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113U (ko) * 1988-06-30 1990-01-19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라디오 회로를 내장한 리모콘
KR101236763B1 (ko) * 2011-09-05 2013-02-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나셀 관리 로봇과 이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KR101962246B1 (ko) 2011-10-13 2019-03-26 모벤타스 기어스 오와이 기어박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4682A (ko) * 2012-10-29 2014-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 발전 장치의 고장 검출 제어 시스템 및 고장 검출 제어 방법
JP2016020925A (ja) * 2015-11-04 2016-02-0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減速機破損状態通知装置、減速機破損状態通知機能付機械システムおよび減速機破損状態通知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2358A (zh) * 2024-01-23 2024-02-27 山东恒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监测预警管理方法
CN117612358B (zh) * 2024-01-23 2024-04-16 山东恒迈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监测预警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scher et al. Condition monitoring of wind turbines: State of the art, user experience and recommendations
Sheng et al. Wind turbine drivetrain condition monitoring during GRC phase 1 and phase 2 testing
Walford Wind turbine reliability: understanding and minimizing wind turbine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US7097351B2 (en) System of monitoring operating conditions of rotating equipment
Hashemian Wireless sensors for predictive maintenance of rotating equipment in research reactors
CN112555689B (zh) 一种多传感管道状态智能监测装置
Sullivan et al. Operations & maintenance
KR20170042728A (ko) 구동 시스템에서의 조기 에러 검출 방법, 조기 에러 검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및 상기 시스템의 사용
JP2019020264A (ja) ポンプ装置の診断方法及びポンプ装置の診断評価装置
KR102207149B1 (ko) Mw급 풍력발전기 기어박스의 점검 방법 및 시스템
Jagtap et al. Failure analysis of induced draft fan used in a thermal power plant using coordinated condition monitoring approach: A case study
CN102785874A (zh) 具有双层罐底板结构的立式储罐泄漏监测系统
Sheng et al. Gearbox Reliability Collaborative Update: A Brief (Presentation)
Aziz et al. General review of fault diagnostic in wind turbines
JP2021076540A (ja) 潤滑油の診断システムおよび潤滑油の診断方法
Horrocks et al. Managing ageing plant
Sinay et al. Multiparametric Diagnostics of Gas Turbine Engines
Ojha et al. Performance monitoring of vibration in belt conveyor system
CN114999689A (zh) 一种高温气冷堆金属监督方法、系统及储存介质
CN113606039A (zh) 一种船舶动力系统传输故障诊断方法
May Operational expenditure optimisation utilising condition monitoring for offshore wind parks
CN205605479U (zh) 一种水泵检修、验证装置
Sergeev et al. Study of sensitivity and interference protection of various bearing diagnostics methods
Drumea et al. Methods of diagnosing malfunctions in hydraulic actuations
Day Contaminant monitoring of hydraulic systems. The need for reliabl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