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567B1 - 빨래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567B1
KR102206567B1 KR1020200028808A KR20200028808A KR102206567B1 KR 102206567 B1 KR102206567 B1 KR 102206567B1 KR 1020200028808 A KR1020200028808 A KR 1020200028808A KR 20200028808 A KR20200028808 A KR 20200028808A KR 102206567 B1 KR102206567 B1 KR 10220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undry
fixing member
drying rack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영
Original Assignee
오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영 filed Critical 오병영
Priority to KR102020002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래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켜서 빨래를 널 수 있는 빨래건조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는 한 쌍의 수직지지봉과, 세탁물걸이수단과, 받침수단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봉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봉에 장착되어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에서 수직지지봉을 받친다. 상기 지지수단은 바구니를 받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수직지지봉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직지지봉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이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바구니 속의 세탁물을 빨래건조대에 널 수 있다.

Description

빨래건조대{Laundry hanger}
본 발명은 빨래건조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켜서 빨래를 널 수 있는 빨래건조대에 대한 것이다.
빨래 건조는 실내 또는 배란다에 배치된 건조대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기존의 빨래건조대는 일정 간격 이격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수직지지봉과, 수직지지봉을 바닥에서 바치는 받침수단과,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세탁물걸이수단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빨래건조대는 세탁기(또는 세탁하는 장소)와 별도의 공간에 마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세탁물은 세탁물 바구니에 담겨져 빨래건조대가 배치된 장소로 이동된 후 빨래건조대에 걸리게 된다. 이때 세탁물 바구니는 바닥에 놓여진다. 이 과정에서 바닥에 놓인 세탁물 바구니의 빨래를 빨래건조대에 걸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허리 통증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18088호(등록일자 2012년 02월 13일) 등록특허 제10-1410982호(등록일자 2014년 06월 17일) 공개특허 제10-2015-0000132호(공개일자 2015년 01월 02일) 등록실용 제20-0425515호(등록일자 2006년 08월 29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봉을 구비한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세탁물 바구니에서 빨래를 꺼내어 널 수 있도록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는 빨래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는 세탁물걸이수단과,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받침수단과, 복수의 지지대와,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은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지지봉은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의 양단에서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을 지지한다.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바닥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을 받친다. 상기 지지수단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일단을 벌려서 바구니를 받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지지봉 중 하나의 수직지지봉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의 벌어진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은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한 지지대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이웃한 다른 지지대에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중 상기 고정부재가 회동할 수 있게 고정결합되는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된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다단이 결합되는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는 타단이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옷걸이 또는 세탁물을 걸 수 있는 세탁공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힌지결합된 제1고정부재편과, 일단은 이웃한 다른 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편에 힌지결합된 제2고정부재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구니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수직지지봉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충돌하여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는 각도롤 제한하도록 하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올려진 바구니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구니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스토퍼와 맞닿는 면은 상기 지지판이 장착되는 수직지지봉을 중심축으로 한 원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받침판과,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은 상기 바닥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을 받친다. 상기 받침다리는 일단이 상기 받침판을 벗어나서 상기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의 일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에 각각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의 빨래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지지대 중 서로 이웃한 수직지지봉에 장착되어 서로 이웃한 지지대는 타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이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바구니 속의 세탁물을 빨래건조대에 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에 세탁물 바구니를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을 널 수도 있다. 그래서 빨래건조대의 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한 쌍의 지지대의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고정부재의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지지판의 배면도,
도 6은 도 1의 고정부재로 고정된 지지대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지지판에 바구니가 착석된 개념도,
도 8은 도 1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부분확대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판의 개념도,
도 12은 도 9의 실시예의 고정부재로 고정된 지지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일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는 한 쌍의 수직지지봉(10)과, 세탁물걸이수단(20)과, 받침수단(30)과. 지지수단(40) 및 스토퍼(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지지봉(10)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세탁물을 널 수 있는 세탁물걸이수단(20)을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다.
세탁물걸이수단(20)은 세탁물을 널 수 있으며, 양단이 수직지지봉(1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받침수단(30)은 수직지지봉(10)의 하단에 장착되어 바닥에서 수직지지봉(10)을 받쳐준다. 이때 받침수단(30)은 받침판(31)과 받침다리(33)를 구비한다.
받침판(31)은 바닥에서 수직지지봉(10)을 받친다. 그래서 받침판(31)의 양단에서 각각의 수직지지봉(10)의 하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받침판(31)에는 빨래건조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받침다리(33)는 본 실시예의 빨래건조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수단(40)에 세탁물이 수용된 바구니(1)가 거치되면 바구니(1)의 무게 때문에 빨래건조대가 넘어질 수 있다. 그래서 받침다리(33)는 이를 방지하도록 빨래건조대의 바닥에 대한 지지 면적을 넓혀준다. 지지수단(40)이 한 쌍의 수직지지봉(10)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받침다리(33)는 일단이 한 쌍의 수직지지봉(10)을 연결하는 축방향으로 수직지지봉(10)의 사이를 벗어나서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받침판(31)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그래서 받침다리(33)는 받침판(31)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므로, 지지수단(40)에 바구니(1)가 거치되지 아니하면 받침다리(33)를 받침판(31)의 내부로 회전시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지지수단(40)에 바구니(1)가 거치되면 빨래건조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침다리(33)를 회전시켜서 펼칠 수 있다.
지지수단(40)은 바구니(1)를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수단은 한 쌍의 지지대(41)와, 고정부재(47) 및 지지판(51)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지대(41)는 바구니(1)를 받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수직지지봉(10)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일단이 수직지지봉(1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즉 한 쌍의 지지대(41)가 벌어지면 그 위에 바구니(1)를 올려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41)에는 세탁물이나 옷걸이를 걸 수 있는 세탁공(46)이 형성된다. 즉 세탁공(46)에 양말이나 속옷등 부피가 작은 세탁물을 걸어 놓거나 또는 옷걸이를 걸어서 세탁물을 말릴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41)에는 스토퍼(6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홈(45)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지지대(41)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부재(47)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42)이 형성된다. 수용공(42)에는 고정부재(47)가 삽입되어 그 일단이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나머지 하나의 지지대(41)에는 고정부재(47)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삽입봉(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41)는 수직지지봉(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쇠(미도시)가 있어서 수직지지봉(10)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지지대(41)를 수직지지봉(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지지대(41)를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맞출 수 있다.
고정부재(47)는 한 쌍의 지지대가 벌어지는 것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일단에는 힌지부(48)가 형성되어 수용공(42)이 형성된 지지대(41)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나머지 지지대(41)에 형성된 삽입봉(44)에 결합될 수 있는 고리(50)가 형성된다. 그래서 한 쌍의 지지대(41)를 벌린 후 고정부재(47)를 힌지부(48)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고리(50)를 삽입봉(44)에 체결하면 한 쌍의 지지대(40)가 더 이상 벌이지지 않고 일정한 모양을 이루도록 고정된다. 한편 고정부재(47)는 한 쌍의 지지대(40)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47)는 제1고정부재편(47a)와 제2고정부재편(47b)으로 분리되어 제2고정부재편(47b)이 제1고정부재편(47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러면 고정부재(47)의 길이는 신축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부재편(47b)이 제1고정부재편(47a)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 제2고정부재편(47b)의 슬라이딩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쇠(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래서 고정부재(47)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따라서 한 쌍의 지지대(41)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재(47)는 지지대(41)에 수용공(42)이 형성되어 수용공(42) 내부에 삽입되었지만, 지지대(41)의 일단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47)는 나머지 지지대(4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49)는 제1고정부재편(49a) 및 제2고정부재편(49b)로 구성되며, 제1고정부재편(49a)은 일단이 한 쌍의 지지대(41) 중 어느 한 지지대(41)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제2고정부재편(49b)는 일단이 나머지 지지대(41)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부재편(49a)의 타단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그래서 고정부재(52)는 접었다가 펼칠 수 있다. 지지대(41)가 회전하여 고정부재(49)가 모두 펼쳐지면 지지대(41)는 더 이상 벌어지지 않는다.
지지판(51)은 한 쌍의 지지대(41) 위에 착석되어 바구니(1)를 받칠 수 있게 일측(51a)이 수직지지봉(10)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된다. 지지판(51)이 없어도 지지대(41)를 벌린 후 바구니(1)를 지지대(41)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다. 그러나 지지판(51)이 수직지지봉(10)에 장착되면 바구니(1)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51)의 하면에는 한 쌍의 지지대(41)의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52)가 형성된다. 돌기(52)는 지지대(41)와 충돌하여 지지대(41)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지지대(41)가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각각의 지지대(41)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러면 지지대(41)는 돌기(52)의 사이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60)는 지지판(51)에 올려진 바구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60)는 바구니(1)를 가압할 수 있게 지지대(41)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됩니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60)는 일측이 지지대(41)의 슬라이딩홈(45)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되며, 바구니(1)로 슬라이딩되면 타측이 바구니(1)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60)의 타측은 지지판(51)을 지지대(4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51)의 상면을 눌러줄 수 있도록 돌기된다. 즉 스토퍼(60)는 타측이 지지판(51)의 상면을 가입할 수 있게 돌기되어 있다. 그래서 바구니(1)가 지지판(51)에 착석된 경우 스토퍼(60)를 바구니(1)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스토퍼(60)가 바구니(1)의 하단을 가압하는 한편 지지판(51)의 상면을 눌러준다. 그래서 스토퍼(60)는 바구니(1)를 고정시키는 한편 지지판(51)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대(41)는 수직지지봉(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대(41)가 회전하면 지지대(41)에 장착된 스토퍼(60)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지지대(41)에는 지지판(51)이 착석되어 있고, 스토퍼(60)가 지지판(51)의 일면(51b)과 맞닿는다. 그래서 지지대(41)가 회전하면 스토퍼(60)는 수직지지봉(10)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므로 지지판(51)은 스토퍼(60)와 맞닿는 일면(51b)이 수직지지봉(10)을 중심축으로 한 원호를 이룬다. 그래서 지지대(41)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수단(40)은 어느 하나의 수직지지봉(10)에만 장착되었지만, 양측의 수직지지봉(10) 모두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41)를 수직지지봉(10)에서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켜 고정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대(41)를 적당한 간격으로 벌리고, 고정부재(47)를 회전시켜 고리(50)를 삽입봉(44)에 끼워서 한 쌍의 지지대(41)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지지판(51)을 지지대(41) 위에 착석시킨다. 이때 바구니(1)를 지지판(51)에 올리면 무게 때문에 빨래건조대가 쓰러질 수 있으므로 받침다리(33)를 벌려서 빨래건조대를 안정화시킨다. 그런 다음 세탁물이 수거된 바구니(1)를 지지판(51)에 올린다. 스토퍼(60)를 슬라이딩시켜 바구니(1)를 가압하면 바구니(1)는 지지판(51) 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바구니(1)에서 세탁물을 꺼내어 빨래건조대에 세탁물을 널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빨래건조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경우 빨래건조대는 한 쌍의 수직지지봉(10a, 10b)이 세탁물걸이수단(2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한다. 그래서 세탁물걸이수단(20)의 일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봉(10a, 10b) 각각에 한 쌍의 지지대(41)가 장착된다. 그래서 두 쌍의 지지대(41)가 장착된다. 그리고 지지판(51)은 두 쌍의 지지대(41)에 받쳐진다.
이때 제1수직지지봉(10a)에 장착된 지지대(41)는 제1수직지지봉(10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수직지지봉(10b)에 장착된 지지대(41)는 제2수직지지봉(10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지지판(51)의 일면(51b)은 그 중앙을 경계로 하여 반(51b_1)은 제1수직지지봉(10a)을 중심축으로 한 원호를 이루고 나머지 반(51b_2)은 제2수직지지봉(10b)을 중심축으로 한 원호를 이룬다.
또한 이 경우 지지대(41)는 서로 이웃한 수직지지봉(10a, 10b)에 장착되어 서로 이웃한 지지대(41a, 41b)의 단부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대(41)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1 : 바구니 10 : 수직지지봉
20 : 세탁물걸이수단 30 : 받침수단
31 : 받침판 33 : 받침다리
40 : 지지수단 41 : 지지대
42 : 수용공 44 : 삽입봉
445 : 슬라이딩홈 46 : 세탁공
47 : 고정부재 47a : 제1고정부재편
47b : 제2고정부재편 48 : 힌지부
50 : 고리 52 : 돌기
60 : 스토퍼

Claims (14)

  1. 세탁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세탁물걸이수단과,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의 양단에서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과,
    상기 수직지지봉의 하단에 장착되어 바닥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을 받치는 받침수단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며, 일단을 벌려서 바구니를 받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수직지지봉 중 하나의 수직지지봉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의 벌어진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은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한 지지대에 회동할 수 있게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이웃한 다른 지지대에 착탈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중 상기 고정부재가 회동할 수 있게 고정결합되는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된 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타다단이 결합되는 지지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봉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타단이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옷걸이 또는 세탁물을 걸 수 있는 세탁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에 힌지결합된 제1고정부재편과, 일단은 이웃한 다른 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편에 힌지결합된 제2고정부재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바구니를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수직지지봉에 탈착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는 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충돌하여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는 각도롤 제한하도록 하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올려진 바구니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구니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스토퍼와 맞닿는 면은 상기 지지판이 장착되는 수직지지봉을 중심축으로 한 원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바닥에서 상기 수직지지봉을 받치는 받침판과,
    일단이 상기 받침판을 벗어나서 상기 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판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받침다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걸이수단의 일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봉에 각각 장착되도록 상기 지지수단을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지지대 중 서로 이웃한 수직지지봉에 장착되어 서로 이웃한 지지대는 타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건조대.
  14. 삭제
KR1020200028808A 2020-03-09 2020-03-09 빨래건조대 KR10220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08A KR102206567B1 (ko) 2020-03-09 2020-03-09 빨래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808A KR102206567B1 (ko) 2020-03-09 2020-03-09 빨래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567B1 true KR102206567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808A KR102206567B1 (ko) 2020-03-09 2020-03-09 빨래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56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703Y1 (ko) * 2001-12-20 2002-03-16 김현주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25515Y1 (ko) 2006-06-12 2006-09-13 박성희 빨래 건조대
KR101118088B1 (ko) 2010-05-24 2012-02-29 김병진 빨래 건조대
KR20130078368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세탁물건조대용 바구니받침대
KR101410982B1 (ko) 2012-10-12 2014-06-23 김양현 다기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150000132A (ko) 2013-06-24 2015-01-02 이영동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구
KR20150117381A (ko) * 2014-04-10 2015-10-20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세탁물 건조대
KR101734432B1 (ko) * 2016-04-15 2017-05-11 정순원 간편 접이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703Y1 (ko) * 2001-12-20 2002-03-16 김현주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425515Y1 (ko) 2006-06-12 2006-09-13 박성희 빨래 건조대
KR101118088B1 (ko) 2010-05-24 2012-02-29 김병진 빨래 건조대
KR20130078368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세탁물건조대용 바구니받침대
KR101410982B1 (ko) 2012-10-12 2014-06-23 김양현 다기능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150000132A (ko) 2013-06-24 2015-01-02 이영동 빨래 건조대의 높이 조절구
KR20150117381A (ko) * 2014-04-10 2015-10-20 주식회사 수빈홈아트 세탁물 건조대
KR101734432B1 (ko) * 2016-04-15 2017-05-11 정순원 간편 접이식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US20080222909A1 (en) Drying apparatus
KR102206567B1 (ko) 빨래건조대
KR102206566B1 (ko) 빨래건조대
KR101920054B1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KR101280139B1 (ko) 걸이봉 사이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세탁물건조대
KR200381878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
KR102411827B1 (ko) 세탁물건조대
KR101151649B1 (ko) 세탁물건조대
KR101639425B1 (ko) 빨래 건조대
CN210506880U (zh) 可折叠晾衣架及烘衣机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2247771B1 (ko) 세탁물건조대
US5680943A (en) Standing closet device
KR10140624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서랍식 빨래건조대
KR102212701B1 (ko) 세탁물건조대
KR101305050B1 (ko)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KR101183349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US3606018A (en) Folding indoor clothes dryer
KR102070550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2241928B1 (ko) 인출식 빨래 건조대
KR101291733B1 (ko) 빨래건조대
KR20090014836A (ko) 접이식 세탁물 걸이대
KR100814287B1 (ko) 빨래 건조대용 걸이대의 접는 장치
KR20150004071U (ko)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