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97B1 - 방수용 플로어 힌지 - Google Patents

방수용 플로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97B1
KR102206397B1 KR1020190008583A KR20190008583A KR102206397B1 KR 102206397 B1 KR102206397 B1 KR 102206397B1 KR 1020190008583 A KR1020190008583 A KR 1020190008583A KR 20190008583 A KR20190008583 A KR 20190008583A KR 102206397 B1 KR102206397 B1 KR 10220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close contact
hinge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615A (ko
Inventor
성시호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삼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삼화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삼화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0054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by means of eccentric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2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loor or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방수용 플로어 힌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는 바닥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힌지축을 구비한 플로어 힌지본체; 힌지축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케이스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 및 케이스와 덮개판 사이에 배치되되,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수분이 케이스의 내부 및 플로어 힌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용 플로어 힌지{FLOOR HINGE FOR WATER PROOF}
본 발명은 방수용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에는 일방향 혹은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에는 외력에 의해 열린 후 자체의 탄력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힌지장치가 설치된다.
힌지장치는 도어의 중앙부에 경첩과 같은 형태로 시공되거나 혹은 도어의 아랫쪽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바닥에 매설되어 시공되는 것을 플로어 힌지라 한다.
플로어 힌지는 바닥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도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힌지축을 구비한 플로어 힌지본체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내부는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에 의해 개폐되며 덮개판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특히 물이 많이 사용되는 사우나, 식당, 수영장 등의 도어에 종래와 같은 플로어 힌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덮개판과 케이스 사이의 틈새 또는 덮개판과 힌지축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로 인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플로어 힌지본체와 케이스를 부식시키고 또한 플로어 힌지본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3047호(2011.05.09.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로어 힌지본체가 수용된 케이스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로어 힌지본체의 부식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힌지축을 구비한 플로어 힌지본체;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수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플로어 힌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방수커버; 및 상기 힌지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이 상기 방수커버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주면이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하면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는 중심부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길게 형성되어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록은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관통홀의 내주면이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테두리에서 연속되고 하방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하면에서 연속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한 상기 방수커버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는 하면에 상기 제3 관통홀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힌지본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는 하면에 상기 제3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한 상기 방수커버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한 상면에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케이스와 덮개판 사이에 배치되되 힌지축의 외면에 밀착되고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마련함으로써, 제품의 동적인 상태에서도 케이스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로어 힌지본체를 이루는 힌지축, 캠 등의 외부부품과 내부부품 등의 부식방지 및 고장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100)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축(123)을 구비한 플로어 힌지본체(120)와,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130)과,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에 배치되고 힌지축(123)에 끼워져 결합되어 수분이 케이스(110)의 내부 및 플로어 힌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140)와, 힌지축(123)에 끼워져 결합되어 힌지축(123)에 결합되는 캠(121)의 상부를 덮는 캠커버(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는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1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의 아랫쪽 바닥에 매설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내부식이 강한 금속재질인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SCM 특수강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는 덮개판(130)의 테두리와 나사결합되며, 이를 위해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어 힌지본체(12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어의 회동축(미도시)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회동되는 힌지축(123)을 포함한다.
그리고 플로어 힌지본체(120)는 힌지축(123)에 결합되어 힌지축(123)을 지지하며 힌지축(123)을 회동되게 하는 캠(121)을 더 포함한다.
또한 플로어 힌지본체(120)는 도어의 회동축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전후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케이스(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판(130)은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어 케이스(110)의 상부를 개폐한다. 이때 덮개판(130)에는 힌지축(123)이 관통되는 제1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판(130)의 테두리와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는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덮개판(130)은 두 개의 금속판으로 분리되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판(130)이 하나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캠커버(170)는 힌지축(123)이 관통되는 제4 관통홀(171)이 형성된다. 캠커버(170)는 제4 관통홀(171)에 힌지축(123)이 끼워진 상태에서 덮개판(1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캠(121)의 상부를 덮는 것과 동시에 덮개판(130)의 제1 관통홀(131)을 덮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140)는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에 배치되되 힌지축(123)의 외면에 밀착되고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실링부(140)는 힌지축(123)을 따라 수분이 플로어 힌지본체(12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이루는 힌지축(123), 캠(121) 등의 외부부품과 내부부품 등의 부식방지 및 고장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140)는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에 배치되되 힌지축(123)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151)이 형성되며 덮개판(130)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방수커버(150)와, 힌지축(123)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이 방수커버(150)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주면이 힌지축(12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링블록(16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수커버(150)는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방수커버(150)는 힌지축(123)이 관통되는 제2 관통홀(151)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수커버(150)는 고무, 테프론, 합성수지 등 탄성변형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제조된다.
방수커버(150)의 테두리는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와 덮개판(130)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된 후 덮개판(130)이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가압되어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와 덮개판(130)의 테두리 사이에 밀착된다. 이때,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와 덮개판(130)의 테두리 사이에서 방수커버(15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버(150)는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하면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연속되게 형성되며 덮개판(13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153)를 포함한다.
덮개판(130)이 케이스(11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덮개판(130)이 방수커버(15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153)를 가압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53)는 탄성변형되어 케이스(110)의 상부 테두리에 더욱 밀착되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방수커버(150)가 케이스(110)와 덮개판(13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 방수커버(150)의 자중에 의해 방수커버(150)의 중심부가 하방으로 처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커버(150)는 중심부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152)를 포함한다. 리브(152)는 방수커버(150)의 중심부 강성을 보강하여 방수커버(150)의 중심부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플로어 힌지(100)를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먼저 케이스(110)를 바닥에 매설한 후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케이스(110)에 수납하게 된다. 이때 도어의 회동축의 위치에 따라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전후좌우 이동시켜 도어의 회동축에 대한 힌지축(123)을 정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수커버(150)에 형성된 제2 관통홀(151)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커버(150)는 제2 관통홀(151)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제2 관통홀(15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주름(155)을 포함한다. 즉,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이동시킨 경우에 제2 관통홀(151)에 인접하게 복수의 주름(155)이 형성되므로 제2 관통홀(151)의 위치를 힌지축(12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2 관통홀(151)의 이동방향으로 복수의 주름(155)의 간격은 좁아지고 제2 관통홀(15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주름(155)의 간격은 넓어진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블록(160)은 힌지축(123)에 끼워져 힌지축(12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방수커버(150)의 제2 관통홀(151)에 인접한 상면에 밀착되어 수분이 힌지축(123)을 따라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실링블록(160)은 수분이 힌지축(123)을 따라 플로어 힌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로어 힌지본체(120)를 이루는 힌지축(123), 캠(121) 등의 외부부품과 내부부품 등의 부식방지 및 고장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링블록(160)은 고무, 테프론, 합성수지 등 탄성변형 가능한 가요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블록(160)은 힌지축(123)이 관통하는 제3 관통홀(162)이 형성되며 제3 관통홀(162)의 내주면이 힌지축(12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수평부(161)와, 제1 수평부(161)의 테두리에서 연속되고 하방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165)와, 절곡부(165)의 하면에서 연속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관통홀(151)에 인접한 방수커버(15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 수평부(167)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161)는 하면에 제3 관통홀(162)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제3 관통홀(162)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플로어 힌지본체(120)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163)를 포함한다.
제1 수평부(161)에 형성된 제3 관통홀(162)의 내주면은 힌지축(12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분이 힌지축(123)을 따라 유입되는 것을 1차 방지한다.
그러나 힌지축(123)이 회동됨에 따라 소량의 수분이 힌지축(123)을 따라 하방으로 흐를 수 있으므로, 제1 수평부(161)의 하면에 플로어 힌지본체(120), 구체적으로 캠(121)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163)를 형성하여 힌지축(123)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는 소량의 수분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2차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수평부(161)의 제3 관통홀(162)의 내주면이 힌지축(123)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고 제1 수평부(161)의 하면에 캠(121)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163)를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힌지축(123)을 따라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곡부(165)는 제1 수평부(161)의 테두리에서 연속되고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블록(160)이 힌지축(123)에 끼워지는 경우에 절곡부(165)의 내주면에는 나사선(166)이 형성되어 캠(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122)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실링블록(16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링블록(160)을 캠(121)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고 실링블록(16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실링블록(160)을 캠(121)의 외주면에서 결합해제할 수 있다.
제2 수평부(167)는 하면에 제3 관통홀(162)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2 관통홀(151)에 인접한 방수커버(150)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는 제1 수평부(161)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수분이 방수커버(15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방수커버(150)에는 제2 관통홀(151)에 인접한 상면에 제2 관통홀(15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2 수평부(167)의 하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기(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부(167)의 하면에 의해 제3 돌기(154)가 가압됨에 따라 제3 돌기(154)는 탄성변형되어 제2 수평부(167)의 하면에 밀착되어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플로어 힌지 110: 케이스
120: 플로어 힌지본체 123: 힌지축
130: 덮개판 140: 실링부
150: 방수커버 160: 실링블록
161: 제1 수평부 165: 절곡부
167: 제2 수평부 170: 캠커버

Claims (8)

  1. 바닥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되 도어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며 상기 힌지축을 회동되게 하는 캠을 구비한 플로어 힌지본체;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판; 및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게 형성된 제2 관통홀과 중심부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길게 형성되어 자중에 의해 중심부가 하방으로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판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덮개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가요성 재질의 방수커버와, 상기 힌지축이 관통되고 내주면이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방수커버의 상면에 밀착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가요성 재질의 실링블록을 구비하여, 수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상기 플로어 힌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블록은,
    상기 제3 관통홀이 형성되되 하면에 상기 제3 관통홀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캠의 상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돌기를 구비한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테두리에서 연속되고 하방 절곡되게 형성되되 내주면에 상기 캠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하면에서 연속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한 상기 방수커버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한 상면에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부의 하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캠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캠의 상면에 밀착되어 가압되고 상기 제3 돌기가 상기 제2 수평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가압되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테두리에 밀착되는 하면 테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돌기를 포함하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제2 관통홀에 인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고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주름을 포함하는 방수용 플로어 힌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08583A 2019-01-23 2019-01-23 방수용 플로어 힌지 KR10220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83A KR102206397B1 (ko) 2019-01-23 2019-01-23 방수용 플로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83A KR102206397B1 (ko) 2019-01-23 2019-01-23 방수용 플로어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15A KR20200091615A (ko) 2020-07-31
KR102206397B1 true KR102206397B1 (ko) 2021-01-22

Family

ID=7183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83A KR102206397B1 (ko) 2019-01-23 2019-01-23 방수용 플로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3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41Y1 (ko) * 1998-12-31 2001-11-15 박칠웅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JP2002339640A (ja) * 2001-05-14 2002-11-27 Tostem Inax Holding Ltd 開口部装置
JP2010101074A (ja) * 2008-10-24 2010-05-06 Nippon Door Check Mfg Co Ltd フロアヒンジ
KR101469180B1 (ko) * 2013-09-12 2014-12-04 주식회사 제철 플로어힌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47B1 (ko) 2009-11-17 2011-05-09 박찬숙 부식을 방지하는 충진용 겔이 충진된 플로어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41Y1 (ko) * 1998-12-31 2001-11-15 박칠웅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JP2002339640A (ja) * 2001-05-14 2002-11-27 Tostem Inax Holding Ltd 開口部装置
JP2010101074A (ja) * 2008-10-24 2010-05-06 Nippon Door Check Mfg Co Ltd フロアヒンジ
KR101469180B1 (ko) * 2013-09-12 2014-12-04 주식회사 제철 플로어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15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8204B1 (en) Storing device
US2838768A (en) Drain valve for plastic swimming pool
USD932654S1 (en) Roll-up door with corrugated drum
RU2008147812A (ru) Подшипник скольжения
KR102206397B1 (ko) 방수용 플로어 힌지
US9560784B1 (en) Liquid tight cover assembly for outdoor electrical devices
RU2475175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вышения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и диспенсера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840004231A (ko) 압연기 유막 베어링용 밀폐장치
KR102194408B1 (ko) 3d 프린터용 원형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KR20160084717A (ko) 도어용 경첩
KR20110101323A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KR101863865B1 (ko) Pe 복합 물탱크
CA3064699A1 (en) Drain valve assembly
US3198406A (en) Dispenser cap with deformable cone assembly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US2608982A (en) Shaft bearing seal
KR20080076475A (ko) 스윙 도어
GB2264233A (en) Bath shower screen
GB2149065A (en) Valve
KR200290679Y1 (ko)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US20060273278A1 (en) Pop-up valve with seal
IL30310A (en) Seal for a tank for storing liquids
CN212773922U (zh) 一种防水铰链和淋浴门
JP7218117B2 (ja) 浴槽パン防水部材
KR200484514Y1 (ko) 세면대의 자동팝업 배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