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25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25B1
KR102206325B1 KR1020130166661A KR20130166661A KR102206325B1 KR 102206325 B1 KR102206325 B1 KR 102206325B1 KR 1020130166661 A KR1020130166661 A KR 1020130166661A KR 20130166661 A KR20130166661 A KR 20130166661A KR 102206325 B1 KR102206325 B1 KR 10220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using
electrode plate
cleaning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806A (ko
Inventor
윤병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통이 설치되는 물통 설치부와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물통 설치부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및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된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변형되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전극판을 클리닝 하는 가습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한편, 최근에는 수조에 흡수부재를 침지시킨 후 흡수부재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습기는 수조에 오랜 시간동안 물이 저장되므로 수조내부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세균으로 오염된 물이 살균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분무되기 때문에 인체, 특히 환자나 유아의 인체에 극히 해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습기용 살균시스템은 백금이 도금된 작은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살균물질(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거나 격막과 전극을 적용하여 pH가 일반적인 물보다 낮게하여 세균을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pH가 일반적인 물보다 낮게 하는 경우 물속에 녹아 있는 이물질인 무기질과 스케일 등과 반응이 쉽게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상기한 전극에 이물질이 쉽게 달라 붙어 살균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07535호
전극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통이 설치되는 물통 설치부와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물통 설치부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전기분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및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된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변형되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전극판을 클리닝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 시 상기 케이스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클리닝부재를 통해 수조의 착탈 시 전극판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전극판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분해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유닛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수조(120), 물통(130) 및 전기분해유닛(14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습기(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수조(12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전기분해유닛(14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112)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기분해유닛(140)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조(120)는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통(130)이 설치되는 물통 설치부(122)와, 물통 설치부(122)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가습필터(102)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124)를 구비한다.
즉, 물통 설치부(122)와 필터 설치부(124)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 설치부(124)는 물통 설치부(122)의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조(12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조(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 설치부(122)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에의 착탈 시 전기분해유닛(140)을 회전시킨다.
물통(130)은 수조(120)의 물통 설치부(122)에 설치되며, 수조(120)와 함께 하우징(110)에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진다.
전기분해유닛(140)은 수조(120)의 하우징(110)에의 장착 시 물통 설치부(122)에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전기분해유닛(140)은 일예로서, 케이스(141), 전극판(142), 클리닝부재(143), 제1 탄성부재(144) 및 제2 탄성부재(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41)에는 전극판(142)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1a)에는 클리닝부재(14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케이스(141)는 일예로서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케이스(141)에는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41b)를 구비하며, 연장부(141b)에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회전축(112)이 삽입되는 설치홀(141c)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141)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전극판(142)은 케이스(141)의 내부면 양측에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판(142)은 서로 근접하게 구성된 구 개의 금속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조(120)에 수용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두 전극에 고압전류가 흘러 수조(120)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극판(14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면에도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전원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극판(142)은 살균작용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극판(142)이 수조(120)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도 물의 살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살균작용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클리닝부재(143)는 전극판(142)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토록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14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리닝부재(143)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141)의 관통홀(141a)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부는 케이스(141)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클리닝부재(143)는 상기한 제1 탄성부재(144)와 수조(1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며, 구동을 위한 모터 등 구동부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소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전극판(142)의 유지,보수 즉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클래닝부재(143)의 구체적 작동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탄성부재(144)는 클리닝부재(14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탄성부재(144)는 일단이 케이스(141)에 지지되고 타단이 클리닝부재(143)에 지지된다. 한편, 제1 탄성부재(144)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부재(143)에 제1 탄성부재(144)가 설치되므로, 클리닝부재(14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제1 탄성부재(144)의 복원력에 의해 클리닝부재(143)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클리닝부재(143)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전극판(142)이 수조(120)에 침지되지 않는 경우 클리닝부재(143)는 케이스(141)의 연장부(141b)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 때, 제1 탄성부재(144)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수조(120)를 하우징(110)에 삽입 장착하는 경우 클리닝부재(143)의 타단부가 수조(120)의 물통 설치부(122)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클리닝부재(143)가 관통홀(141a)을 따라 이동되면서 일단부를 통해 전극판(142)의 청소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클리닝부재(143)는 전극판(142)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리닝부재(143)의 이동에 따라 점차적으로 제1 탄성부재(144)는 압축된 상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수조(120)의 장착 시 클리닝부재(143)에 의해 전극판(142)의 청소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수조(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클리닝부재(143)가 물통 설치부(122)의 일단부에 의해 더 이상 가압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144)의 복원력에 의해 클리닝부재(143)는 상기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시 한 번 전극판(142)의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탄성부재(145)는 일단이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타단이 케이스(141)의 연장부(141b)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부재(145)는 수조(120)의 하우징(110)으로부터의 분리 시 케이스(141)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41)의 회전 이동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조(120)가 하우징(110)으로 삽입 장착되는 경우 수조(120)의 물통 설치부(1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먼저 클리닝부재(143)의 하단부를 가압한다. 이후 클리닝부재(143)가 케이스(141)의 관통홀(141a)의 끝단까지 이동되면 물통 설치부(122)는 케이스(141)의 연장부(141b)의 하단부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141)는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때 제2 탄성부재(145)는 신장되기 시작한다. 즉, 제2 탄성부재(145)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케이스(141)는 전극판(142)이 물통 설치부(122)에 침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케이스(141)의 회전이 완료되면 케이스(141)의 연장부(141b)는 물통 설치부(122)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조(120)를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제2 탄성부재(145)로부터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41)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는 공기 정화 필터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10)에는 공기 정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습기(100)는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가습기(100)에는 공기 정화 필터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가습기
110 : 하우징
120 : 수조
130 : 물통
140 : 전기분해유닛

Claims (6)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통이 설치되는 물통 설치부와 가습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를 구비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물통 설치부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전기분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판;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리닝부재; 및
    상기 클리닝부재에 연결된 제1 탄성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때,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단부가 가압되어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변형되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수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전극판을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전극판을 클리닝 하는 가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 시 상기 케이스가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가습기.
  6. 삭제
KR1020130166661A 2013-12-30 2013-12-30 가습기 KR10220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661A KR102206325B1 (ko) 2013-12-30 2013-12-3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661A KR102206325B1 (ko) 2013-12-30 2013-12-30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806A KR20150077806A (ko) 2015-07-08
KR102206325B1 true KR102206325B1 (ko) 2021-01-22

Family

ID=5379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661A KR102206325B1 (ko) 2013-12-30 2013-12-3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3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995A (ja) * 2004-07-21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01332849B1 (ko) * 2012-12-21 2013-11-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질소, 인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886B1 (ko) 2012-03-22 2018-11-0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7995A (ja) * 2004-07-21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KR101332849B1 (ko) * 2012-12-21 2013-11-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질소, 인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806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6357B2 (ja) 加湿装置
JP4737338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JP3214558U (ja) 空気清浄器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JP2007138605A (ja) ミスト洗浄装置付き便器
JP4737330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KR200380283Y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KR102206325B1 (ko) 가습기
KR102092223B1 (ko)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KR101352776B1 (ko)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20140111127A (ko) 초음파 가습기
KR20120065887A (ko) 초음파 가습기
CN210241820U (zh) 一种新型空气净化超声波负离子加湿器
JP2009136305A (ja) ドライヤー
US20170028407A1 (en) Air treatment device
KR20110043321A (ko) 은이온세정기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JP2010025384A (ja) 調湿装置
WO2016103723A1 (ja) 水処理装置
KR102186342B1 (ko) 이온 발생기
CN207622148U (zh) 一种光触媒专用自动喷雾器
JPH11351622A (ja) 空気処理装置
KR20120057152A (ko) 라디칼 살균 가습기
CN207688293U (zh) 一种高效空气消毒机
RU206598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и обеззараживатель воздуха
KR200319599Y1 (ko) 음이온 발생구조를 갖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