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176B1 -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 Google Patents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176B1
KR102206176B1 KR1020190120843A KR20190120843A KR102206176B1 KR 102206176 B1 KR102206176 B1 KR 102206176B1 KR 1020190120843 A KR1020190120843 A KR 1020190120843A KR 20190120843 A KR20190120843 A KR 20190120843A KR 102206176 B1 KR102206176 B1 KR 10220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auxiliary case
unit
refill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김혜진
김경민
유수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7Supplying powder or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8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by squeezing, e.g. using a flexible bottle or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2Material properties using colour effect, e.g. for identific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를 지니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부에 삽입되되,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보조 케이스부, 하우징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실링부, 실링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부, 스토퍼부의 전방에서 실링부 및 스토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폐부 및 실링부 및 스토퍼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의 일 지점에서 절삭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사용자는 가압부의 단부를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보조 케이스부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가 토출부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EASY TO DRAIN TOOTH STAIN}
본 발명은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부를 지니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부에 삽입되되,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보조 케이스부, 하우징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실링부, 실링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부, 스토퍼부의 전방에서 실링부 및 스토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폐부 및 실링부 및 스토퍼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의 일 지점에서 절삭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사용자는 가압부의 단부를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보조 케이스부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가 토출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신체의 일부분 중에서 재생이 되지 않는 부위 중 하나로서, 올바른 치아 관리가 필요시 되는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식습관의 변화로 커피나 담배 등의 기호식품과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치아에는 침전물이 부착되며, 침전물은 치아의 손상 및 변색을 유발하여 현대인의 치아 착색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치아의 표면에 점착되는 이물질을 치태라고 하고, 치태가 굳어서 고착화된 것을 치석이라 하며, 이러한 치석은 치아 질환의 주유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치석과 치태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액상 형태의 치아 착색제를 치아에 묻혀 구강내부에 있는 유기물을 착색하여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끔 보여주고 있다.
치아 착색제는 인체에 무해한 액상 약품으로 단순히 치아 전체에 치아 착색제를 도포하는 작업만으로 치석 또는 치태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변색되어 양치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치아와 구강의 상태를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 착색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솜에 묻혀서 치아에 바르는 방식과 작은 알약크기의 약품을 입안에서 녹여 착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알약크기의 약품을 입안에서 녹여 착색하는 방식은 알약을 입에 넣고 입안에서 녹여 치아에 바르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치아에 골고루 묻혀지지 않고 뭉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아 착색제를 솜에 묻혀 치아에 바르는 액체 방식은 치과의사 또는 치위생사가 면봉이나 거즈에 치아 착색제를 적신 후, 직접 치아에 골고루 바르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치아를 착색하는 과정에서 치아 착색제가 옷에 튀는 경우나 손에 얼룩을 남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위생상 치아 착색에 사용되는 면봉이나 거즈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에 든 치아 착색제를 면봉이나 거즈에 묻혀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시 마다 치아 착색제이 담긴 용기를 열고 닫고를 반복함으로 치아 착색제가 수시로 공기 중에 노출되어 보관 중에 미생물 번식의 위험이 발생하여 재사용하기에 위생적으로 좋지 않을 뿐더러, 사용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치아 착색용 기구'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8-0112243으로 특허 출원을 하였다. '치아 착색용 기구'는 한 쌍의 스위치부가 본체부의 외부에서 내부로 가압될 때 마다, 본체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부가 일 방향으로 수축됨과 동시에 밀착부 및 개폐부가 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치아 착색제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치아 착색제가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흡수되는 발명이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스프링부가 치아 착색제와 동일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위생면에서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을 통해 종래의 치아 착색용 기구를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형태의 치아 착색용 기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KR 10-2014-0037996 A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의 외부로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중공부를 지니는 하우징부, 하우징부 내부에 삽입되되,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보조 케이스부, 하우징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실링부, 실링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부, 스토퍼부의 전방에서 실링부 및 스토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폐부 및 실링부 및 스토퍼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하우징부의 일 지점에서 절삭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사용자는 가압부의 단부를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보조 케이스부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가 토출부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는 중공부를 지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삽입되되,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보조 케이스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실링부, 상기 실링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에서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스토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폐부 및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지점에서 절삭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사용자는 상기 가압부의 단부를 상기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상기 보조 케이스부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가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유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중공부를 지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치아 착색제가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중심에서 십자 형상으로 절개된 십자 절개선을 구비하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십자 절개선에 관통될 때,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에 관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케이스부는, 중공부를 지니되,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보조 케이스, 상기 보조 케이스의 일 지점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보조 케이스의 후방에서 연장 형성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굴곡부는 상기 가압부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아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과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나사산 구조로 맞물린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치아 착색제가 추가로 저장되는 리필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리필부의 양 단부에는 동일선상에서 원 형상으로 절삭되는 리필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리필 홈을 통해 상기 리필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가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 추가로 유입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필부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중심에서 상기 리필 홈을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리필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리필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리필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로 향할수록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부는, 일 지점에서 사각형상으로 절삭되는 보조 흡수 홈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부터의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되는 경로가 추가되어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부는, 외측면을 따라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구비하되, 상기 투명부를 통해 상기 보조 케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의 양이 점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에 의하면 솜은 보조 케이스부 내부에 위치하여 치아 착색제가 솜에 적셔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아 착색제가 손실되는 낭비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가압부를 가압할 때에, 사용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케이스부보다 직경이 큰 저장부의 내부에는 유동 가능한 치아 착색제의 양이 많게되어 기구의 교체 주기를 길게 형성하여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십자 절개선을 십자(十字) 형상으로 구비하여, 수직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토출부의 삽입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 착색제는 보조 케이스부 내부에서 완전히 밀봉되어 있고, 사용 직후에, 토출부만을 개폐부로부터 탈거시켜 세척하면 됨으로, 교체가 용이하고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를 제2 홈에만 삽입한 상태로 보조 케이스부를 기울여주면 치아 착색제가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여 필요 시에 보조 케이스의 내부에 치아 착색제의 리필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실링부, 스토퍼부, 개폐부 및 토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토출부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에 치아 착색제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가압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리필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캡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캡부와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치아 착색제가 유동하여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개폐부"와 가까운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후방"이란, 치아 착색제가 유입되는 "리필부"와 가까운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외지름"이란, 구성요소의 단면에서 외측면의 지름을 의미하고, "안지름"이란, 구성요소의 단면에서 내측면의 지름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는 하우징부(100), 보조 케이스부(200), 솜(300), 실링부(400), 스토퍼부(500), 개폐부(600), 토출부(700) 및 캡부(8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하우징부(100) 및 보조 케이스부(200)의 결합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부(100)는 본체부(110), 가압부(120), 리필부(130), 리필홈(140) 및 투명부(150)로 구비된다.
본체부(1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부(110) 내부에는 보조 케이스부(200)가 삽입될 수 있고, 일정 시기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을 도모할 수 있다.
보조 케이스부(200)는 보조 케이스(210), 굴곡부(220) 및 저장부(230)로 구비된다.
또한,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는 솜(300)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솜(300)은 일반 치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일회용 솜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솜(300)은 보조 케이스부(200)의 일측에서 삽입되고, 가볍고 부드러운 무명베의 거즈 형태 또는 목화씨에 달라붙은 털 모양의 흰 섬유재질인 솜의 형태를 포함하여 치아 착색제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솜(300)은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 위치하여 치아 착색제가 솜(300)에 적셔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아 착색제가 손실되는 낭비를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치아 착색제가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닌 가느다란 실이 연속되어 있는 솜(300)에 한 번 흡수되어 배출되므로 유동 속도가 빨라지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는 사용자의 치아 바로 앞에서 사용되어지는데,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서 치아 착색제의 유동 속도가 빠르게 되면, 외부로 배출되면서 치아에 닿을 때 빠른 속도에 의해 치아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 솜(300)을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켜 치아 착색제의 유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고, 치아 착색제의 빠른 배출 속도에 의해 주변에 튀거나 치아에 압력이 가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조 케이스(210)는 중공부를 지니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치아 착색제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케이스(210)의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 및 보조 케이스(210)의 일측은 실링부(400)와 맞닿아 결합되는 지점을 의미한다.
또한, 보조 케이스(210)는 탄성을 지니는 용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압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굴곡부(220)는 보조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서 일지점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굴곡부(220)가 형성되는 위치는 가압부(120)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6(a)는 가압부(120)가 위치한 하우징부(100)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가압부(120)의 단면도이다.
가압부(120)는 본체부(110)의 일지점에서 캡부(800)를 향하여 열린 디귿'ㄷ'자 형상으로 절삭되어 구비되어진다. 즉,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어 본체부(110)와는 다르게 가압부(120)는 수직방향으로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압부(120)를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굴곡부(220)의 형상이 변형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손의 압력에 의해 가압부(120)는 내부를 향하도록 변형되고, 굴곡부(220)는 일 예로, 치약이 짜지는 형상과 같이, 내부에 치아 착색제가 흡수된 솜(300)을 누르게 되어 치아 착색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120)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는 전방을 향할수록 얇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과 같이, 가압부(120) 후방에서 어느 일 지점의 수직 방향의 두께가 h라 할 경우, 타 지점을 향할수록 가압부(120)의 수직 방향의 두께는 h-α가 된다.
따라서, 가압부(120)를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가압할 때에, 사용되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120) 및 굴곡부(220)는 본 발명에 의한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전방을 향하여 편향되게 위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치아를 향해 기구의 전방에서 치아 착색제가 배출되는데, 전방에 편향되도록 위치된 가압부(120)를 가압하여 치아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한 손으로만 가압부(120)를 가압하여 치아 착색제의 배출을 유도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치아 착색제는 하우징부(100) 또는 또 다른 배출 기구에 맞닿아 배출되는 것이 아닌, 치아 착색제가 보조 케이스부(200)의 내측면과만 맞닿아 보조 케이스부(200)의 형상 변형에 따라 배출됨으로 위생 및 청결의 효과가 발생된다.
즉,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제10-2018-0112243)의 치아 착색제가 배출되기 위해 스프링부와 동일공간에서 스프링부에 의해 배출되었던 구성 즉, 기구가 보관 또는 사용될 때 모두 치아 착색제에 스프링부가 지속적으로 담궈져 있어 비 위생적이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에 형성되며, 보조 케이스(210) 보다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따라서, 저장부(230) 내부에 유동 가능한 치아 착색제의 양을 많게 함으로써, 기구의 교체 주기를 길게 형성하여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의 전방에서 실링부(400), 스토퍼부(500) 및 개폐부(600)의 결합을 설명하도록 한다.
실링부(400)는 원판 형상으로 외지름이 하우징부(100)의 외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우징부(100)의 전방에서 결합된다.
또한, 실링부(400)는 패킹체의 종류로 압축하여 밀봉 작용을 하는 일 예로, 오링(O-ring)과 같은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부(100) 및 보조 케이스부(200)의 전방에서 치아 착색제가 누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원통 형상으로 실링부(400)의 전방에서 결합된다.
스토퍼부(500)는 개폐부(600)가 실링부(400) 및 하우징부(100)를 향해 결합될 때, 압력을 흡수하는 역할로, 실링부(400) 및 개폐부(600)의 손상을 방지하여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하우징부(100), 실링부(400) 및 스토퍼부(500)의 결합은 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여 끼움 결합이 될 수도 있고, 나사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품이 사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6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개폐부(600)의 후방에서 실링부(400) 및 스토퍼부(5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삭되어 디귿자(ㄷ) 단면을 가진 원통 형상을 지니게 된다.
또한, 개폐부(600)의 내측면 및 스토퍼부(500)의 외측면은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폐부(600) 및 스토퍼부(500)의 나사산 결합으로, 결합 및 분리가 비교적 자유로워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위치된 보조 케이스부(200) 및 솜(30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개폐부(600)의 중심에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절개되고,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교차되도록 절개되는 십자(十字) 형상의 십자 절개선(6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십자 절개선(610)에 토출부(700)가 관통될 수 있게 된다.
토출부(700)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가 구비되어 토출부(700)의 내부를 통해 치아 착색제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700)는 십자 절개선(610)의 십자 형상에 따라 교차로 수직 방향이든 또는 폭 방향이든 사용자의 임의대로 선택적으로 관통될 수 있다.
만약, 십자 절개선(610)이 토출부(7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십자(十字) 형상이 아닌, 일자(一字) 형상으로 구비되었다면, 십자 절개선(610)에 토출부(700)의 삽입 및 탈거를 반복해야 하는 구조 특징 상, 기구의 마모가 빨라져 치아 착색제가 누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십자 절개선(610)을 십자(十字) 형상으로 구비하여, 수직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토출부(700)의 삽입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마모를 줄일 수 있다(여기서, 토출부(700)가 십자 절개선(610)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하면, 폭 방향으로 절개된 십자 절개선(610)은 막혀 있어 치아 착색제가 누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부(400) 및 스토퍼부(500)의 중심에는 원통 형상으로 절삭되는 실링 관통 홈(410) 및 스토퍼 관통 홈(510)이 구비되어, 토출부(700)가 십자 절개선(610)을 관통한 뒤, 스토퍼 관통 홈(510) 및 실링 관통 홈(410)을 차례로 관통하여 솜(300)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결합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부(100) 내부에 치아 착색제가 저장된 보조 케이스부(200)가 위치하고,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솜(300)이 위치된다.
다음으로, 하우징부(100) 전방에서 순차적으로 실링부(400), 스토퍼부(500) 및 개폐부(600)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토출부(700)가 개폐부(600)의 전방에서 십자 절개선(610), 스토퍼 관통 홈(510) 및 실링 관통 홈(4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솜(300)의 일측에 맞닿도록 끼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손으로 가압부(120)를 가압하여 굴곡부(220)의 형상을 변형시켜 솜(300)에 적셔져 있는 치아 착색제가 토출부(7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치아 착색제는 보조 케이스부(200) 내부에서 완전히 밀봉되어 있고, 사용 직후에, 토출부(700)만을 개폐부(600)로부터 탈거시켜 세척하면 됨으로, 교체가 용이하고 위생적일뿐만 아니라,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리필부(130) 및 캡부(8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리필부(130)는 본체부(110)의 후방에서 본체부(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단, 리필부(130)의 양 단부는 밀폐되어 있어, 본체부(110)와 리필부(130) 사이에는 벽이 존재하여 각각의 내용물이 공유될 수 없다.
이때, 리필부(130)의 양단부는 동일선상에서 원 형상으로 절삭되는 각각의 리필 홈(15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리필부(130)의 전방에서 제1 홈(141) 및 후방에서 제2 홈(142)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한 사용 방법 및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리필부(130) 내부에는 보조 케이스(210) 내부에 저장된 치아 착색제 외에 추가적인 치아 착색제가 저장될 수 있고, 리필부(130)의 양단부는 폐쇄되어 리필부(130) 내부의 치아 착색제와 보조 케이스(210) 내부의 치아 착색제는 서로 공유될 수 없다(도 7 참조).
도 8을 참조하여, 캡부(800)는 리필부(130)의 후방에서 결합되어 치아 착색제의 누수를 차단하는 역할로, 받침부(810), 기둥부(820) 및 돌출부(830)로 구비된다.
받침부(81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기둥부(820)는 받침부(810)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기둥부(820) 내부로 본체부(110)의 후방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중공부를 지닌다.
따라서, 기둥부(820)는 본체부(110)의 후방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치아 착색제의 누수를 한 번 더 방지할 수 있고, 결합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돌출부(830)는 기둥부(820)가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810)의 일측에서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돌출부(830)는 리필 홈(140)의 제1 홈(141) 및 제2 홈(142)을 통과하여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을 뚫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이때, 돌출부(830)는 받침부(8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돌출부(830)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고, 타 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830)의 받침부(810)에 결합에 따라 돌출부(830)의 단부 중 원뿔 형상의 일 단부가 먼저 리필 홈(140)에 삽입될 수 있고, 원통 형상의 타 단부가 먼저 리필 홈(1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와 같이, 돌출부(830)의 원뿔 형상의 일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받침부(810)에 결합되었다면, 돌출부(830)는 리필부(130)의 후방에서 제2 홈(142) 및 제1 홈(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을 뚫을 수 있다.
이에, 리필부(130)에 추가로 저장되었던 치아 착색제가 제1 홈(141)과 뚫린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을 통과하여 보조 케이스(2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보조 케이스(210)의 내부에 추가로 치아 착색제의 리필이 필요하지 않다면, 돌출부(830)의 원통 형상의 타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받침부(810)와 결합되어, 돌출부(830)는 리필부(130)의 후방에서 제2 홈(142) 및 제1 홈(14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돌출부(830)의 원통 형상의 타 단부는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에 맞닿아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돌출부(830)의 타 단부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 케이스(210)의 후방은 뚫리지 않고, 여전히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돌출부(830)를 제2 홈(142)에만 삽입한 상태로 보조 케이스부(200)를 기울여주면 치아 착색제가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여 필요 시에 보조 케이스(210)의 내부에 치아 착색제의 리필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부(100)에 길이 방향으로 투명 재질의 투명부(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으로 보조 케이스(210) 내부의 치아 착색제의 남아 있는 양을 수시로 확인이 가능하고, 리필이 필요한 시점을 즉시 점검할 수 있으므로 기구 사용의 편리성이 더욱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하우징부, 110 : 본체부,
120 : 가압부, 130 : 리필부,
140 : 리필 홈, 141 : 제1 홈,
142 : 제2 홈, 150 : 투명부,
200 : 보조 케이스부, 210 : 보조 케이스,
220 : 굴곡부, 230 : 저장부,
300 : 솜, 400 : 실링부,
410 : 실링 관통 홈, 500 : 스토퍼부,
510 : 스토퍼 관통 홈, 600 : 개폐부,
610 : 십자 절개선, 700 : 토출부,
710 : 보조 흡수 홈, 800 : 캡부,
810 : 받침부, 820 : 기둥부,
830 : 돌출부.

Claims (10)

  1. 중공부를 지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삽입되되, 치아 착색제가 저장되는 보조 케이스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실링부;
    상기 실링부의 전방에서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스토퍼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에서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스토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개폐부; 및
    상기 실링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일지점에서 절삭되어 형성되는 가압부;가 구비되되,
    사용자는 상기 가압부의 단부를 상기 보조 케이스부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상기 보조 케이스부의 형상이 일부 변형되어 내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가 상기 토출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중공부를 지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치아 착색제가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로 이동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중심에서 십자 형상으로 절개된 십자 절개선;을 구비하되,
    상기 토출부가 상기 십자 절개선에 관통될 때, 폭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에 관통이 가능한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케이스부는,
    중공부를 지니되, 일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보조 케이스;
    상기 보조 케이스의 일 지점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굴곡부; 및
    상기 보조 케이스의 후방에서 연장 형성되는 저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굴곡부는 상기 가압부와 수직 방향으로 맞닿아 위치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내측면과 상기 스토퍼부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나사산 구조로 맞물리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치아 착색제가 추가로 저장되는 리필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리필부의 양 단부에는 동일선상에서 원 형상으로 절삭되는 리필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리필 홈을 통해 상기 리필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가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 추가로 유입 가능한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부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캡부는,
    중심에서 상기 리필 홈을 관통하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리필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리필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이 제한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리필부로부터 상기 개폐부로 향할수록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두께가 얇아지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일 지점에서 사각형상으로 절삭되는 보조 흡수 홈;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 케이스부로부터의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되는 경로가 추가되어 상기 치아 착색제의 유동이 원활하게 되는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외측면을 따라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구비하되,
    상기 투명부를 통해 상기 보조 케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치아 착색제의 양이 점검 가능한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KR1020190120843A 2019-09-30 2019-09-30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KR10220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43A KR102206176B1 (ko) 2019-09-30 2019-09-30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843A KR102206176B1 (ko) 2019-09-30 2019-09-30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176B1 true KR102206176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843A KR102206176B1 (ko) 2019-09-30 2019-09-30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15B1 (ko) * 2020-09-16 2022-02-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착색되는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672Y1 (ko) *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20140037996A (ko)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제노스 인공 치아 착색용 기구
KR101501721B1 (ko) * 2014-02-14 2015-03-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672Y1 (ko) * 2006-12-15 2008-04-25 강성일 도포 팁 교체 사용이 가능한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20140037996A (ko) 2012-09-19 2014-03-28 주식회사 제노스 인공 치아 착색용 기구
KR101501721B1 (ko) * 2014-02-14 2015-03-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015B1 (ko) * 2020-09-16 2022-02-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착색되는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0436B2 (ja) 薬剤一体型ケア具
EP2764844B1 (en) Interdental cleaning device
US7048120B2 (en) Package construction for fluid applicator device
JPH03261469A (ja) 口腔内衛生装置
MXPA06003394A (es) Aplicador para limpiarse los dientes.
JP6074782B2 (ja) 携帯用歯間ブラシ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KR102075421B1 (ko) 치아 착색용 기구
US9610147B2 (en) Brush head
KR102206176B1 (ko)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US4411623A (en) Device for applying toothpaste
US4617918A (en) Device for combined therapeutic and stimulative treatment of the gums
ITGE20140031U1 (it) Sistema di sbiancamento dentale
KR101501721B1 (ko) 치아 착색용 기구
KR102364015B1 (ko) 치아에 착색되는 착색제의 배출이 용이한 치아 착색기구
JP2005013375A (ja) 薬液内蔵ブラシ
KR20220051736A (ko) 착색제 도포가 가능한 칫솔
KR101466542B1 (ko) 휴대용 치간 칫솔
KR102542048B1 (ko) 영아용 구강관리기
KR102065624B1 (ko) 의료용 칫솔
KR20170135792A (ko) 치주관리용 이쑤시개
KR102594383B1 (ko) 세정제 일체형 치간 칫솔
KR100728885B1 (ko) 치아 미백장치 및 치아 미백제 용기
JP2017104486A (ja) 歯間ブラシ
KR101651599B1 (ko) 구강 세척기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