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389B1 -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389B1
KR102205389B1 KR1020157034774A KR20157034774A KR102205389B1 KR 102205389 B1 KR102205389 B1 KR 102205389B1 KR 1020157034774 A KR1020157034774 A KR 1020157034774A KR 20157034774 A KR20157034774 A KR 20157034774A KR 102205389 B1 KR102205389 B1 KR 10220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wireless communication
cell
subscriber identity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357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에드워드 존 킬고어
Original Assignee
아이피.액세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액세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피.액세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TE 셀(104)에 의해 서빙중에 있는 사용자 장비(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은 3G 셀(102)을 타겟으로서 지정하는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을 LTE(소스) 셀(104)에서 생성함으로써 통상적인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활용한다. 타겟 3G 셀은 코어 네트워크(107)로부터 수신된 재위치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LTE 셀에 포워딩하고 재위치 실패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로 되보내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METHOD FOR SUBSCRIBER IDENTITY DETERMINATION, NETWORK ELEMENT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본 발명의 분야는 네트워크 엘리먼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세대(3G) 이동 전화 표준안 및 기술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잘 알려진 것이다. 이러한 3G 표준안 및 기술의 예시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www.3gpp.orq)에 의해 개발된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이다. 일반적으로 3세대 무선 통신들은 매크로 셀 이동 전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매크로 셀은 비교적 대규모의 지리학적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통신 유닛들과 통신하기 위해 고전력 기지국들(3GPP 용어로 노드 B)을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유닛들,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이것들은 3G 용어로서 종종 칭해진다)는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 RNS)을 통해 3G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와 통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며, 이들 셀들에는 UE들이 어태치(attach)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될 수 있다. 각각의 매크로 셀룰러 RNS는 소위 말하는 lub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노드B들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의 형태의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GSM으로서도 알려진 2세대(2G) 무선 통신 시스템은 “트랜스시버 기지국”(3G 시스템의 노드B들에 등가적임)과 “이동국”(사용자 장비)이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잘 구축된 셀룰러 무선 통신 기술이다. 여러 개의 트랜스시버 기지국들은 3G 시스템의 RNC에 등가적인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에 의해 제어된다.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광대역 및 이동 시스템쪽으로 개발 중에 있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는 이동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솔루션, 즉 진화형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errito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와 이동 코어 네트워크를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솔루션, 즉 진화형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제안하였다.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네트워크는 2G 또는 3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및 회로 스위치드(circuit switched; CS) 도메인 네트워크 또는 VoIP(Voice over IP) 기술들에 의해 음성 서비스들이 제공되도록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PS) 도메인 데이터 액세스만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UE)는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GERAN) 또는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와 같은 2G/3GRAN을 통해 CS 도메인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E-UTRAN을 통해 EPC에 액세스할 수 있다.
몇몇의 사용자 장비들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UTRAN 내와 E-UTRAN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저전력(및 이에 따라 소규모 커버리지 영역) 셀들은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분야 내에서의 최근의 개발물들이다. 이러한 소형 셀들은 저전력 기지국들에 의해 지원되는 효율적인 통신 커버리지 영역들이다. 소형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셀을 의미하기 위해 “피코셀” 및 “펨토셀” 용어들이 종종 이용되는데, 펨토셀의 용어가 주거용 소형 셀들과 관련하여 보다 통상적으로 이용된다. 소형 셀들은 종종 최소 RF(무선 주파수) 플래닝으로 전개되며, 소비자의 가정 내에서의 이러한 동작은 종종 ad hoc 형태로 설치된다. 소형 셀들을 지원하는 저전력 기지국들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라고 칭해지는데, 이 AP는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는 홈 노드 B(Home Node B; HNB) 또는 진화형 홈 노드 B(Evolved Home Node B; HeNB) 용어를 갖는다. 각각의 소형 셀은 단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된다. 이러한 소형 셀들은 광역 매크로 네트워크를 증강시키고 다중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한된 형태의, 예컨대, 실내 환경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한다. 소형 셀들의 추가적인 이점은 이 소형 셀들은 매크로 네트워크로부터의 트래픽을 오프로딩(offload)함으로써 가치가 있는 매크로 네트워크 자원들을 자유롭게 해준다는 점이다. HNB는 사용자 장비 접속성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이다. 이것은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기에 대한 소위 말하는 luh 인터페이스(홈 노드 B 게이트웨이(Home Node B Gateway; HNB-GW)라고도 알려짐)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대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한다. 하나의 액세스 제어기(Access Controller; AC)는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여러 개의 HNB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일반적인 응용예들은, 예시로서, 주거지 및 상업적 장소들, 통신 ‘핫스팟’ 등을 포함하며, 이 때, 액세스 포인트들은, 예컨대, 광대역 접속 등을 이용한 인터넷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형 셀들은 예컨대, 매크로 셀 레벨의 네트워크 혼잡 또는 불량한 커버리지가 문제가 될 수 있는 특정 건물 내 장소들에서 단순하고 확장가능한 배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AP는 말하자면, 주거지 및 상업적(예컨대, 사무소) 장소들, ‘핫스팟’ 등 내에서 이러한 장소들 내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확장가능한 멀티 채널의 양방향 통신 디바이스이다. AP의 기능 컴포넌트들에 대한 표준 기준은 없지만, 3GPP 3G 시스템 내에서의 이용을 위한 일반적인 AP의 예시는 3GPP TS 25.467에서 규정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능성 중의 몇몇의 양태들 및 노드 B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셀들은 보다 폭넓게 이용되는 매크로 셀룰러 네트워크와 함께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예컨대 “건물 내” 환경의 제한된 형태로 UE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여기서, “소형 셀” 용어는 소형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임의의 셀을 의미하며, “피코셀” 및 “펨토셀”을 포함한다.
LTE 프로토콜 설계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층으로부터의 개별적인 키들을 이용함으로써 UE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간의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을 암호화하며, RRC층은 UE와 e노드B간에 암호화된다. 이것은 3G로부터 변경된 것이며, 소형 셀들에서의 통상적인 기술은 홈 노드B가 NAS(Non-Access Stratum) 아이덴티티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UE의 영구적 가입자 아이덴티티(IMSI)를 요청한다. 이러한 결과는 셀 또는 로깅 특정 성능 거동(behaviour)들 내에서의 액세스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LTE에서 배치된 NAS 암호화는 e노드B(또는, 홈 e노드B)가 이 기술을 이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청은 MME에 의해 발행되어야 했을 것이며, MME가 이러한 요청을 발행했을지라도, UE 응답은 암호화로 인해 e노드B에 의해 판독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들을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또는 제거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술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셀 내에 위치한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방법은, 제1 셀을 서빙하는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지정하고, 상기 제1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는 단계와,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1 셀로부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무선 통신 유닛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제1 셀 및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보내는 단계와, 재위치 실패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의 수신시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종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는 프로비저닝(provisioning) 프로세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두 개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간에 링크가 구축될 수 있으며, 제2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가 제2 엘리먼트에서 제1 엘리먼트로 보내질 수 있다.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히스토리 정보(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의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 내에 제1 셀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소스와 타겟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포함한 S1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원인 코드(cause code)는 코어 네트워크가 임의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의 거동을 수정하려는 시도를 초래시키지 않을 것이며/이거나 해당 메시지를 페이크(fake) 핸드오버 시도인 것으로서 식별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코드일 수 있다.
택일적인 사항으로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페이크 핸드오버가 시도중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나중에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으로서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은 이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유효한 핸드오버 프로시저들과 혼동되지 않을 것이다. 경고 메시지는 또한, 응답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즉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내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관련된 식별자를 수신하여,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원래의 경고 및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응답과 상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가능하게는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대한 아이덴티티와 결합되는, 숫자 또는 알파벳 문자열과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한 경고 메시지의 수신은 타임스탬프를 생성시킬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또한 메시지의 소스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다른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 데이터의 예시들은 핸드오버 요구 메세지 내에서 설정된 원인값, 제1(소스) 셀 내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의 개수, 사용자 평면 전송층 주소들(이것은 핸드오버 동안에 동일하게 머물러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음), 소스와 타겟간 투명 컨테이너 내에서 설정된 타겟 셀 ID의 값 및 소스와 타겟간 투명 컨테이너의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고 메시지는 대안적으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완전한 복사(copy)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수신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되고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보내진 메세지 내에 포함된 가입자 아이덴티티는 영구적 비액세스 계층 사용자 장비(Non-Access Stratum User Equipment)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셀 내에 위치한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본 장치는 제1 셀을 서빙하는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 -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를 포함함 -, 및 코어 네트워크로의 전송을 위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배열되고 -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지정하고 제1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 ,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부터 수신하도록 배열된 제1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제1 셀 및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식별하기 위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 재위치 요청 메시지의 수신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배열되고, 코어 네트워크로의 전송을 위한 재위치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배열된 제2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2 신호 프로세서는 제1 셀을 식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택일적인 사항으로서, 제1 신호 프로세서는 “페이크” 핸드오버로서 해당 메시지의 식별을 촉진시키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 내의 원인 코드를 포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택일적인 사항으로서, 제1 신호 프로세서는 페이크 핸드오버가 시도중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전송을 위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셀은 LTE 셀이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3G 셀을 지원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진화형 노드 B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진화형 홈 노드 B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홈 노드 B 게이트웨이에 결합된 홈 노드 B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엘리먼트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완전 홈 노드 B 기능성을 부분적으로만 지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실제로 전송할 필요는 없고 단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들에 응답하며 수신된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운송할 필요만이 있다. 이러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는 실질적으로 “유령” 홈 노드 B일 것이다.
본 발명은 LTE 내재적인 보안 설계 또는 거동을 위반하지 않고서 LTE 셀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IMSI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대안적인 기술을 통해 가입자를 실제로 처리하는 것 없이 또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표준 통신 메시지들을 수정하는 것 없이 가입자 식별정보(IMSI)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기술간 핸드오버 동작의 준비 페이즈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의 신호 프로세서들 및/또는 메모리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위의 양태들의 방법 및 장치를 지원하도록 배열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기 위해 실행되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유형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유형적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 특징들 및 장점들과 이와 다른 양태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함으로써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심화된 상세사항, 양태 및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단순한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본 도면들에서의 엘리먼트들은 단순성과 명확성을 위해 도시된 것일 뿐이며, 반드시 실척도로 작도될 필요는 없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각각의 도면들에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는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본 발명적 개념은 복수의 중첩된 통신 커버리지 영역들을 지원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예컨대 소형 셀들과 매크로 셀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특정한 응용성을 찾는다. 또한, 본 발명적 개념은 하나보다 많은 무선 액세스 기술을 포함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응용성을 찾는다.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서 설명된 특정 예시들의 구체적 사항들은 몇몇의 실시예들의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교시내용들은 다양한 대안적인 설정들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적 개념은 무선 액세스 기술들의 임의의 특정한 조합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적 개념은 RAT의 다른 조합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구상가능하지만, LTE 시스템과 3G 시스템의 조합이 본 실시예들에서 도시된다. 이에 따라, 상이한 표준안들을 따르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 내에서의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들이 구상가능하며 이것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교시내용들의 범위 내에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의 예시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100로서 표시되어 도시되며, 이것은 소형 3G 셀(102)을 서빙하는 홈 노드 B(101)와 LTE(E-UTRAN) 소형 셀(104)을 지원하는 진화형 홈 노드 B를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105)는 LTE 셀(104)에 어태치(attach)되어 있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 일반 패킷 무선 시스템(Gateway General Packet Radio System; GPRS) 지원 노드(GPRS Support Node; GGSN)(106) 및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107)를 포함한다. GGSN(106)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패킷 스위치드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Switched Data Network; PSDN)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담당한다. SSGN(107)은 셀들(102, 104)로 오고가는 트래픽을 위한 라우팅 및 터널링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GGSN(106)은 외부 패킷 네트워크들과 링크된다. 진화형 패킷 코어에서, GSGN에 등가적인 노드는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P-GW)이며, 이 예시에서, 이것들은 결합되어 도시된다.
(3G) 홈 노드 B(101)는 lu-PS 및 luh 링크들을 통해 3G 홈 노드 B 게이트웨이(HNB-GW)(108)를 경유하여 SGSN(107)에 링크된다. 진화형 홈 노드 B(103)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109)를 거쳐서 SSGN(107)에 링크된다. 진화형 홈 노드 B는 또한 MME(109) 및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 S-GW)(110)를 거쳐서 P-GW(106)와 연결된다. MME(109)는 시그널링 제어 및 이동성을 처리하는 반면에 S-GW(110)는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로컬 앵커 포인터(local anchor point)이다.
홈 노드 B(101)와 진화형 홈 노드 B(103) 사이에는 통신 링크(111)가 제공된다. 이 링크는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다.
홈 노드 B(101)에는 메모리(112)와 신호 프로세싱 모듈(113)이 제공되며, 이것들의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진화형 홈 노드 B(103)에는 또한 메모리(114)와 신호 프로세싱 모듈(115)이 제공된다.
이제부터 도 1의 실시예의 동작을 도 2의 메시지 흐름도 및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초기에, 홈 노드 B(101)는 HNB-GW(108)에 등록된다. 진화형 홈 노드 B(103)는 홈 노드 B(101)의 아이덴티티로 미리 프로비져닝된다. 홈 노드 B가 셀을 지원중에 있는 이 예시에서, 아이덴티티는 셀 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홈 노드 B(101)의 아이덴티티는 진화형 홈 노드 B의 메모리(114) 내에 저장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예컨대, 홈 노드 B(101)는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링크(111)를 통해 진화형 홈 노드 B(103)에 전송하며, 수신된 아이덴티티는 메모리(114) 내에 저장된다.
이 예시에서, 사용자 장비(105)는, LTE 셀(104)의 커버리지의 영역 내에 위치하며, 진화형 홈 노드 B(103)를 거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진화형 홈 노드 B(103)에 등록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TE 셀(104)을 지원하는 진화형 홈 노드 B(103)는 (3G 셀의 경우에서와 같이) 사용자 장비(105)의 IMSI를 아이덴티티 요청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장비(105)의 IMSI를 학습할 수 없다. 하지만, 3GPP 릴리즈 8은 핸드오버 동안에 UE의 아이덴티티들 및, 이전 셀들에서 UE가 서비스를 수신했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G, 3G 및 LTE 셀들(RNC, HNB, (H)e노드B)를 위한 (LTE에 대해서 의무적인) 기능성을 도입시켰다. 이것은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를 포함하는 (3GPP 기술 규격 36.413 섹션 9.2.1.42에서 기술된) “UE 히스토리 정보” 정보 엘리먼트 내에 기록된다. 이 정보는 핸드오버 메시징(예컨대, S1 핸드오버 요구(의무적), 3G 재위치 요청)에서 이용되는 소스와 타겟간 투명 컨테이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장비(105)와 연관된 IMSI를 식별하기를 원하는 진화형 홈 노드 B(103)는 이 핸드오버 기능성을 활용하고, 홈 노드 B(101)를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하고 (하지만, 물론 실제적으로는 핸드오버가 필요하지 않음) UE 히스토리의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 내에 자신의 셀 아이덴티티를 포함시키면서 S1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202)를 코어 네트워크(MME(109))를 향해 발행함으로써 핸드오버(201)를 개시한다. (예컨대, Misc 미규정된) 핸드오버 메시지의 식별을 촉진시키는 원인 코드가 또한 설정된다. 소스 셀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를 홈 노드 B에 제공하기 위한 한가지 대안적인 수단은 타겟 RNC 투명 컨테이너에 대해 소스 RNC 내의 타겟 셀 ID 엘리먼트 내의 정보를 임베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진화형 홈 노드 B(103) 내의 신호 프로세서(115)는 셀 아이덴티티에 관한 정보를 비롯한 “페이크”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생성한다. 하지만, 코어 네트워크는 이 메시지를 진실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로서 바라본다. 홈 노드 B(101)가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이 전송 중에 있다는 것을 알아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화형 홈 노드 B(103) 내의 신호 프로세서(115)가 또한 경고 메시지(203)를 생성하며, 이 경고 메시지(203)는 링크(111)를 통해 홈 노드 B에 보내진다. 유입중에 있는 재위치 요청을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에 의해 개시된 것으로서 홈 노드 B(101)가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경고 메시지가 구축된다. 이 경고 메시지는 또한, 페이크 핸드오버 요청이 진화형 홈 노드 B(103)에 의해 개시되었다는 것을 홈 노드 B(101)가 알도록 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런 후, 홈 노드 B(101)는 미래의 참조를 위해 자신의 메모리(112) 내에 이 식별자를 저장한다. 재위치 요청 메시지는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 내의 가장 최근의 셀로서 진화형 홈 노드 B를 포함하며, 또한 (3GPP 기술 규격 TS 25.413 Rel-8+ 섹션 9.1.10에서 기술된) UE의 영구적 NAS 사용자 장비 아이덴티티(즉, IMSI)를 포함한다. MME(109)는 포워드 재위치 요청 메시지(204)를 생성한다. 그런 후, SGSN(107)은 UE의 IMSI를 포함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205)를 생성한다.
HNB-GW(108)를 통해 재위치 요청을 수신하면, 홈 노드 B(101) 내의 신호 프로세서(113)는,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 내의 가장 최근의 셀이, 아이덴티티가 경고 메시지 내에 포함되었던(그리고, 메모리(112) 내에 저장되었던) 바로 그 셀이라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개시 셀을 식별한다. 따라서, 신호 프로세서(113)는 링크(111)를 통해 진화형 홈 노드 B(103)에 보내지는 아이덴티티 메시지(206)를 생성한다. 이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105)의 IMSI를 포함하며, 이 IMSI를 신호 프로세서(113)는 재위치 요청으로부터 추출한다. 택일적인 사항으로서, 이 메시지는 또한, 하나보다 많은 이러한 식별 프로세스가 동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진화형 홈 노드 B(103)가 원래의 경고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경고 메시지(203) 내의 진화형 홈 노드 B에 의해 공급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113)는 또한 재위치 실패 메시지(207)를 생성하며, 이 재위치 실패 메시지(207)는 홈 노드 B(101)로부터 HNB-GW를 거쳐서 코어 네트워크(SGSN)(107)에 보내진다. 통상적인 바와 같이, 이것은 코어 네트워크(SGSN)107))가 재위치 응답(거절) 메시지(208)를 생성하여 이것을 MME(109)에 포워딩하는 것을 초래시킨다. 이어서, MME(109)는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209)를 진화형 홈 노드 B(103)에 보낸다. 이러한 핸드오버 준비 실패 메시지의 수신시, 진화형 홈 노드 B는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폐쇄시키고 사용자 장비(105)에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정상적으로 계속된다(2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성, 특히 신호 프로세싱 모듈들(113, 115)은 본 발명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알려진 컴퓨팅 시스템들 또는 아키텍쳐들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데스크탑,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PDA, 셀룰라 폰, 팜탑 등), 메인프레임, 서버, 클라이언트, 또는 주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환경에 대해 적절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특수 목적용 또는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팅 시스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이와 다른 제어 모듈과 같은 범용 또는 특수목적용 프로세싱 엔진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정보와 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이와 다른 동적 메모리와 같은, 주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 메모리는 또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들의 실행 동안에 임시 변수들 또는 이와 다른 매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서를 위한 명령어들과 정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이와 다른 정적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예컨대, 매체 드라이브와 탈착가능형 저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정보 저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 드라이브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드라이브(DVD) 판독 또는 기록 드라이브(R 또는 RW), 또는 이와 다른 탈착가능형 또는 고정형 매체 드라이브와 같은, 고정형 또는 탈착가능형 저장 매체를 지원하는 드라이브 또는 이와 다른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CD 또는 DVD, 또는 매체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되고 기록되는 이와 다른 고정형 또는 탈착가능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특정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정보 저장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이와 다른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 내로 로딩되도록 해주는 이와 유사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포넌트들에는 예컨대, 프로그램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인터페이스, 탈착가능형 메모리(예컨대, 플래쉬 메모리 또는 이와 다른 탈착가능형 메모리 모듈) 및 메모리 슬롯과 같은 탈착가능형 저장 유닛 및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와 데이터가 탈착가능형 저장 유닛으로부터 컴퓨팅 시스템에 전송되도록 해주는 이와 다른 탈착가능형 저장 유닛들 및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와 데이터가 컴퓨팅 시스템과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들의 예들에는 모뎀, (이더넷 또는 이와 다른 NIC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컨대, 범용 직렬 버스(USB) 포트와 같은) 통신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 매체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전자적, 전자기적, 및 광학적 또는 이와 다른 신호들일 수 있는 신호들의 형태를 취한다.
이 명세서에서,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매체’ 등은 예컨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저장 유닛과 같은 유형적 매체를 총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 또는 이와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가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의 형태로 그룹화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그룹화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라고 총칭되는 이와 같은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에,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코드는 직접적으로 프로세서가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할 수 있거나, 이렇게 행하도록 컴파일될 수 있거나, 및/또는 이렇게 행하도록 이와 다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엘리먼트들(예컨대, 표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라이브러리)과 결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엘리먼트들이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탈착가능형 저장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컴퓨팅 시스템 내에 로딩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이 예시에서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들 또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은, 컴퓨터 시스템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적 개념은 네트워크 엘리먼트 내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반도체 제조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응용 특정 집적 회로(ASIC) 및/또는 임의의 다른 서브 시스템 엘리먼트의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독립형 디바이스의 설계에서 본 발명적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구상가능하다.
명확화를 목적으로, 위의 설명은 신호 프로세싱 로직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적 개념은 신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상이한 기능 유닛들 및 프로세서들을 통해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기능 유닛들에 대한 언급은, 엄격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내는 것이라기 보다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서만 바라봐야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택일적인 사항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들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또는 FPGA 디바이스들과 같은 구성가능한 모듈 컴포넌트들 상에서 운영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엘리먼트들 및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및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기능은 단일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복수의 유닛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 다른 기능 유닛들의 일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몇몇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특정한 형태로 한정시키려고 의도한 것은 아니다. 이보다는,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추가적으로, 비록 특정한 실시예들과 관련된 특징이 설명된 것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이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포함한다"라는 용어는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수단들, 엘리먼트들 또는 방법 단계들이 개별적으로 나열되었지만, 이것들은 예컨대 단일 유닛 또는 단일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청구항들에 개별적인 특징들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들은 잠재적으로 이롭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이한 청구항들에서의 이러한 포함은 특징들의 결합이 실현가능하지 않거나 및/또는 이롭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청구항 카테고리에서의 특징의 포함은 이러한 카테고리에 대한 한정을 내포하지 않으며, 오히려 이 특징은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에 적절한 방식으로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청구항들에서의 특징들의 순서는 특징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암시하지 않으며, 특히 방법 청구항내의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는 단계들이 이러한 순서로 수행되어야하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단계들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단수 언급은 복수를 배제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 ‘일’, ’제1’, ‘제2’ 등은 복수를 제외시키지는 않는다.

Claims (18)

  1.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101, 103) 및 코어 네트워크(106, 107, 109, 110)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제1 셀(104) 내에 위치한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에 있어서, 본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서,
    상기 제1 셀(104)을 서빙하는 단계와,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핸드오버 타겟 셀로서 지정하고, 상기 제1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핸드오버 프로시저를 개시하는 단계(201)와,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는 단계(202)
    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타겟 셀을 서빙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서,
    상기 제1 셀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의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제1 셀 및 상기 무선 통신 유닛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205)와,
    상기 수신된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보내는 단계(206)와,
    재위치 실패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보내는 단계(20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게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의 아이덴티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는 사용자 장비 히스토리 정보(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의 최종 방문된 셀 리스트 내에 상기 제1 셀(104)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소스와 타겟간 투명 컨테이너(Source to Target Transparent Container)를 포함한 S1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된 원인 코드(cause code)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에 의한 핸드오버 프로세스의 동작(behaviour)을 수정(modify)하려는 시도(attempt)를 야기하지 않을 코드인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서, 페이크(fake) 핸드오버가 시도중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 보내는 단계(203)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복사(copy)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facilitate) 식별자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서 수신되는 상기 재위치 요청 메시지(205)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 의해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 보내진 메세지 내에 포함된 상기 가입자 아이덴티티는 영구적 NAS(Non-Access Stratum) 사용자 장비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200).
  10.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101, 103) 및 코어 네트워크(106, 107, 109, 110)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제1 셀(104) 내에 위치한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는 제1 셀(104)을 서빙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는,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메모리(114),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의 전송을 위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 -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핸드오버 타겟으로서 지정하고 상기 제1 셀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 프로세서(115)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서 수신된 가입자 아이덴티티와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에 응답하여 생성되었던, 상기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신호 프로세서(115)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프로세서(115)는,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페이크 핸드오버 시도인 것으로서 식별하는 것을 도와주는 원인 코드를 상기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 내에 포함시키는 것; 및
    페이크 핸드오버가 시도중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로의 전송을 위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
    의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배열된 것인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
  12. 복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101, 103) 및 코어 네트워크(106, 107, 109, 110)를 포함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제1 셀(104) 내에 위치한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107)로부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104)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재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상기 무선 통신 유닛(105)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및
    상기 재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로의 전송을 위한 가입자 아이덴티티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107)로의 전송을 위한 재위치 실패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2 신호 프로세서(115)
    를 특징으로 하는 것인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기는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엘리먼트(103)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제2 네트워크 엘리먼트(101).
  14. 제1항에서 기재된 방법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LTE 셀인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
  16.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플래쉬 메모리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것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8. 삭제
KR1020157034774A 2013-05-08 2014-04-09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205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08204.5A GB2513871B (en) 2013-05-08 2013-05-08 Transmitting a fake handover request to obtain a subscriber identity
GB1308204.5 2013-05-08
PCT/EP2014/057119 WO2014180619A1 (en) 2013-05-08 2014-04-09 Method for subscriber identity determination, network element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357A KR20160005357A (ko) 2016-01-14
KR102205389B1 true KR102205389B1 (ko) 2021-01-19

Family

ID=4862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774A KR102205389B1 (ko) 2013-05-08 2014-04-09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26054B2 (ko)
EP (1) EP2995122B1 (ko)
JP (1) JP2016518086A (ko)
KR (1) KR102205389B1 (ko)
CN (1) CN105210412B (ko)
GB (1) GB2513871B (ko)
WO (1) WO2014180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9524B2 (en) * 2019-01-31 2021-08-1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Automatic cell discovery of a source radio access network (RAN) cell by a neighboring, target ran by initiating a fake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UE) from the source RAN cell to the target RA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173A1 (ja) 2009-08-07 2011-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コネクション切替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5320B1 (en) * 2002-12-19 2016-11-23 Fujitsu Limited Mobile node
KR101100157B1 (ko) * 2004-06-08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주파수간 핸드오버방법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BRPI0707092A2 (pt) * 2006-03-09 2011-04-19 Interdigital Tech Corp método e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para executar o processo de passagem entre duas tecnologias de acesso por meio de rádio
US20080064399A1 (en) * 2006-09-09 2008-03-13 Jeou-Kai Li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B0619179D0 (en) * 2006-09-29 2006-11-08 Ip Access Ltd Telecommunications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998133B2 (ja) * 2007-08-07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リンク確立方法
US8848688B1 (en) * 2008-10-03 2014-09-30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handoff threshold associated with a slot cycle index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n access terminal handoff
US8929894B2 (en) * 2009-01-06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failure messaging schemes
US20110149913A1 (en) * 2009-12-17 2011-06-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erving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handover type,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WO2011085973A1 (en) * 2010-01-12 2011-07-21 Nec Europe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network-based mobility management of a mobile terminal
WO2011121172A1 (en) * 2010-03-31 2011-10-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mploying an indication of stored temporary information during redirection
US8954051B2 (en) * 2010-04-23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Uniquely identifying target femtocell to facilitate femto-assisted active hand-in
KR101231778B1 (ko) * 2011-04-13 2013-02-08 콘텔라 주식회사 펨토셀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펨토셀 시스템
US8767581B2 (en) * 2012-03-28 2014-07-0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ordinated multipoint (CoMP)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173A1 (ja) 2009-08-07 2011-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コネクション切替の制御方法
JP5500174B2 (ja) 2009-08-07 2014-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13871A (en) 2014-11-12
KR20160005357A (ko) 2016-01-14
US9526054B2 (en) 2016-12-20
JP2016518086A (ja) 2016-06-20
EP2995122A1 (en) 2016-03-16
GB2513871B (en) 2015-08-19
CN105210412A (zh) 2015-12-30
CN105210412B (zh) 2019-03-08
US20160119843A1 (en) 2016-04-28
EP2995122B1 (en) 2018-03-21
GB201308204D0 (en) 2013-06-12
WO2014180619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79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subscriber in a network environment
JP6562935B2 (ja) ネットワーク要素、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らのための方法
US9654979B2 (en) Network e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9596576B2 (en) Providing services according to subscription status of user equipment
EP3062543B1 (en) Network e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WO2017190953A1 (en) Network entiti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features to mobile handsets
KR102205389B1 (ko) 가입자 아이덴티티 결정 방법, 이를 위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
US991320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ess point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esenc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3379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adio access points
WO2016188728A1 (en) Network e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WO2013025138A1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