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06B1 -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06B1
KR102204006B1 KR1020140025746A KR20140025746A KR102204006B1 KR 102204006 B1 KR102204006 B1 KR 102204006B1 KR 1020140025746 A KR1020140025746 A KR 1020140025746A KR 20140025746 A KR20140025746 A KR 20140025746A KR 102204006 B1 KR102204006 B1 KR 10220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storage unit
unit
container
pump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988A (ko
Inventor
서보성
임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25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0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5030691-8A priority patent/BR112015030691B1/pt
Priority to BR112016020398-4A priority patent/BR112016020398B1/pt
Priority to US14/637,023 priority patent/US10125448B2/en
Priority to EP15758397.2A priority patent/EP3114269B1/en
Priority to PCT/KR2015/002048 priority patent/WO2015133796A1/en
Priority to AU2015224715A priority patent/AU2015224715B2/en
Priority to AU2015224713A priority patent/AU2015224713B2/en
Priority to CN201580012005.9A priority patent/CN106068344B/zh
Priority to JP2016516472A priority patent/JP6456927B2/ja
Priority to RU2016102856A priority patent/RU2639063C1/ru
Priority to CN201580000904.7A priority patent/CN105308230B/zh
Priority to EP15758139.8A priority patent/EP2994565B1/en
Priority to EP20154760.1A priority patent/EP3683350A1/en
Priority to US15/122,852 priority patent/US10415173B2/en
Priority to EP15759297.3A priority patent/EP3114270B1/en
Priority to RU2016138573A priority patent/RU2639066C1/ru
Priority to US14/637,037 priority patent/US9951461B2/en
Priority to PCT/KR2015/002053 priority patent/WO2015133799A1/en
Priority to CN201580011983.1A priority patent/CN106103832B/zh
Priority to PCT/KR2015/002050 priority patent/WO2015133798A1/en
Publication of KR2015010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988A/ko
Publication of KR10220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배출구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수용부;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를 구현하여 기결정된 세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DETERGENT DISPENSER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과 세탁수를 투입한 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과 세탁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 과정에서, 세탁력을 향상시키고 세탁물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첨가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세제 또는 각종 섬유유연제 등이 있다.
이러한 세제나 각종 섬유유연제(이하 약칭하여 '세제'라 칭한다)는 사용자가 직접 세탁수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세탁기 내에 구비된 세제공급장치를 통해서 세제를 공급하기도 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탁기의 전면 또는 상면에 장착되어 투입된 세제가 세탁수와 함께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투입공간에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하면, 드럼으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투입공간을 경유하도록 하여 세제와 함께 세탁수가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세탁기는 사용자가 적정량을 직접 결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매회 세탁시마다 세제를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다량의 세제를 저장하여 두고, 세탁 시마다 적정량만큼 공급되도록 하는 형태의 세제공급장치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세제의 특성상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세제분말이 서로 뭉쳐서 투입구를 막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량의 세제를 저장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배출구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수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세제를 원하는 양만큼 안정적이고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만 세제가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펌핑수단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하나는 상기 펌핑수단의 저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구동축이 상기 모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상기 펌핑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용기의 배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유로 형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는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유로측으로 압송하는 기어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 펌프는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세제가 기어펌프에 의해 기결정된 양만큼 공급됨과 동시에 기어펌프를 지나면서 뭉쳐있던 세제가 부숴져 세탁수에 잘 용해되도록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펌프의 회전축 중 하나가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회전축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는 에지테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기어 펌프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에지테이터에 의해 상기 용기 하부에 잔류하는 세제가 굳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토출부로 용이하게 세제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용기 내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에 배치되는 용기측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는 상기 저장부가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용기측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수용부측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세제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급수구 및 배수구를 갖는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세제는 상기 내부유로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에는 상기 토출부가 안착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흐르는 세탁수에 기결정된 양의 세제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면서 내부유로에서 잘 섞여 외부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부에 터브 및 드럼이 구비되고,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는 캐비닛; 선택적으로 상기 터브에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배출구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저장부 수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세탁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 수용부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가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서 터브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와 상기 터브 사이를 연결하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유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량의 세제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뿐 아니라 세제가 굳어진 경우에도 세탁수에 잘 용해되도록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하부에서 세제가 뭉치거나 층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Ⅰ-Ⅰ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저장부 수용부와 저장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저장부 수용부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저장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유로 형성 플레이트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저장부에 수위감지센서와 기어펌프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저장부에 커플러 및 에지테이터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세탁기에 적용된 경우에 해당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상면에는 세탁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수단(112)과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4)가 각각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16)이 구비된다. 물론 컨트롤 패널(11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4)가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 패널(116) 및 세탁기의 부품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116)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 및 기저장된 프로그램을 근거로 상기 부품들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세탁기의 작동과 관련된 여러 정보들을 상기 컨트롤 패널(116)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4)로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측에는 세탁물을 드럼으로 투입하기 위한 통로인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11)는 드럼(12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투이구(111)를 통해 세탁물을 상기 드럼(120)으로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120)에서 인출할 수 있다. 도어(118)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 힌지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한다.
상기 투입구(110) 아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200)의 수납을 위해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상기 투입구(111) 아래에 수납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2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30),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130)는 대략적인 원통형이며,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30)의 전방과 상기 투입구(111) 주변을 밀폐하는 가스켓(137)이 상기 터브(130)의 전면부와 상기 투입구(1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터브(130)는 전면의 높이가 후면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서 기울어져 배치된다.
상기 터브(130)가 전면이 더 높게 기울어져 배치되면, 세탁물 투입시 사용자가 투입구(111)에서 상기 드럼(120)의 후면까지 볼 수 있고 투입구(111)가 캐비닛의 위쪽에 형성되므로 세탁물 투입이 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터브(130)의 전면이 후면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터브(130)의 전면 아래 공간이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를 설치하기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상기 터브(130)의 저면에는 세탁수 유입구(131)가 형성되고, 후술할 제3 세탁수 유로(156)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30)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미도시)과 댐퍼(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120)은 관통공이 여러 개 형성되어 세탁수가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상기 터브로 이동하거나 상기 터브에서 상기 드럼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120)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터브(130)의 후방부에는 상기 드럼(1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스테이터(141) 및 로터(143)를 포함하고, 회전축(145)에 의해 상기 드럼(12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상기 드럼(120)에 전달한다. 상기 회전축(145)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드럼의 연결부에는 세탁수가 상기 드럼(120)으로부터 누수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는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152), 세제가 섞인 세탁수를 상기 터브(130)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유로(154, 156)와 상기 터브(130)에서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 유로(163)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유로(152)에는 급수밸브(151)가 설치되어 급수원에서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세제공급유로는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를 통과하면서 세제가 섞인 세탁수를 배수 펌프(160)로 공급하는 제1 세제공급유로(154), 상기 배수펌프(160)를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130)로 공급하는 제2 세제공급유로(156)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유로(163)에는 밸브(161)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밸브(161)를 제어하여 상기 배수펌프(160)에서 토출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세제공급유로(156)로 공급되거나 상기 배수 유로(163)로 공급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터브(130)의 저면에 구비되는 유로(156)와 배수펌프(160)를 통해 상기 터브(130)의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터브(130)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도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160)를 통과하면서 세제가 세탁수에 잘 용해되므로 상기 터브(130)로 공급될 때 세제가 대부분 세탁수에 녹아있는 상태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세제공급유로(154)에는 상기 제1 세제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류방지수단(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수단(170)으로는 체크밸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역류방지수단(170)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제공급장치(200) 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제공급유로가 상기 배수펌프(160)를 경유하여 상기 터브(130)의 저면으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세제공급유로는 상기 터브(130)의 상부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고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제와 섞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는 회동하면서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는 용기 내에 저장된 세제가 기결정된 양만큼 세탁수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제가 저장되고 기결정된 양만큼 토출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를 거치하고 상기 도어(118)의 하측에 구비되는 저장부 수용부(26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는 두 개의 용기(250a, 250b)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용기(250a, 250b)는 서로 용량이 다르거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250a, 250b)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세탁물 처리를 위한 액상 유체가 각각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탁수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는 하나만 구비되어도 좋다. 이때 서로 다른 용기에 있는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가 후술할 액츄에이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용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오른쪽에 도시된 용기(25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250a)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공(25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는 상기 세제가 배출되는 배출구(252)가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는 펌핑수단을 더 포함하고 토출부(282)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252)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를 기결정된 양만큼 상기 토출부(282)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배출구(252)를 덮고 상기 배출구(252)부터 상기 토출부(282)까지 연장되는 공급유로가 형성되는 유로 형성 플레이트(280) 및 상기 공급유로상에 설치되는 기어펌프(284, 285)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280)는 상기 배출구(252)가 형성된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 상기 배출구(252)를 덮도록 체결된다.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280)는 상기 배출구(252)와 대향하는 면(280b, 이하 유로형성 플레이트의 상면)에 유입부(28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281)는 상기 상면(280b)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유로(253, 283)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252)에서 배출된 세제를 상기 공급유로(253, 283)로 안내한다.
상기 상면(280b)에는 상기 유입부(281)에서 상기 토출부(282)까지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유로의 일부를 이루는 제2 유로 형성 홈(283)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281)에는 상기 공급유로(253, 283)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펌프(284, 285)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281a)이 더 형성된다.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는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280)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안착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52)는 상기 안착부(255)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55)에는 상기 배출구(252)에서 상기 토출부(282) 쪽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 형성 홈(283)과 함께 상기 공급유로를 이루는 제1유로 형성 홈(253)이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252)와 상기 제1유로 형성 홈(253) 사이에는 상기 기어펌프(284, 285)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254)이 더 형성된다.
상기 기어펌프는 서로 맞물리는 제1기어(284) 및 제2기어(28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어(284, 285)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254, 281a) 사이에 수용된다. 이때 제1기어(284)의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25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기어(285)의 회전축은 상기 제1 수용공간(28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281a)을 관통하여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280)의 저면(280a) 밖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기결정된 양의 세제가 선택적으로 상기 토출부(282)로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제가 다소 덩어리진 경우에도 상기 기어펌프(284, 285) 사이를 지나면서 분쇄되므로 세탁수에 쉽게 용해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기어(285)의 회전축에는 공급유로를 흐르는 세제가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289)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285)의 회전축은 후술할 커플러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289)는 상기 커플러와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의 저면(28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러는 후술한다.
상기 저장부 수용부(260)는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261)와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265a)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261)에는 상기 용기(250a)의 저면이 안착되고 커플러에 의해 상기 펌핑수단이 상기 액추에이터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261)는 상기 용기(250a)의 저면 실루엣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261)에는 액추에이터 수용부(263)와 보스부(262a, 262b)가 형성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수용부(263)는 액추에이터(265a)가 수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265a)는 상술한 기어펌프의 위치에 대응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262a)는 상기 토출부(282)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261)에 거치될 때 상기 토출부(282)가 상기 보스부에 삽입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65a, 265b) 역시 용기(250a, 250b)의 개수에 대응되게 두 개가 구비되며, 이하에서는 왼쪽의 액추에이터(265b)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액추에이터(265b)는 상기 액추에이터 수용부에 고정되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에 수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커플러가 수용되는 커플러 수용부(267)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269)이 상기 커플러 수용부(267)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커플러는 구동기어(287)와 종동기어(286)를 포함하여 상기 펌핑수단을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기어(287)는 상기 커플러 수용부(267)의 상면에서 상기 구동축(269)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269)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269)에 고정되는 구동기어(287)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286)는 상기 펌핑수단의 저면에서 상기 제2기어(285)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286)는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기 커플러 수용부(267)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기어(287)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287)가 회전하면 이에 맞물려 상기 종동기어(286)가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286)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제2기어(28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펌핑수단에 구비되는 기어펌프가 회전하면서 기결정된 양의 세제가 토출부(282)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부(282)에서 토출된 세제는 세탁수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 수용부(260)는 상기 거치부(261) 아래로 세탁수가 흐르는 내부유로(273)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유로(273)는 일단에 형성된 급수구(271)를 통해 상기 급수유로(15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내부유로(273)는 타단에 형성된 배수구(277a, 277b)를 더 포함하여 세제가 섞인 세탁수를 상기 세제공급유로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급수구(271)와 배수구(277a, 277b)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260)의 외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유로(273)는 상기 급수구(271)에서 상기 보스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수구(277a, 277b)까지 연장되는 유로이다. 이러한 내부유로는 상기 보스부(262a, 262b)와 연통되어 상기 급수구(271)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로 세제가 유입되는 세제유입유로(275a, 275b)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세제유입유로와 연통되어 세제를 상기 세제유입유로로 안내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기결정된 양만큼 공급되는 세제가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형성된 내부유로를 따라 흐르는 세탁수에 투입되면서 세탁수와 잘 섞인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제유입유로는 세제가 잘 섞이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250a) 내부의 저면상에 에지테이터(29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지테이터(296)는 상기 제1기어(284)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제1기어가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용기(250a) 내부의 세제를 상기 배출구(252) 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에지테이터(296)에 형성된 날개는 끝이 상기 배출구(252)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배출구(252)로 세제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용기(250a)에 저장된 세제의 하부층을 휘저어줌으로써 세제가 굳거나 가라앉아서 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는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세제에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291),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 설치되는 용기측 접속단자(293), 상기 용기측 접속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수용부측 접속단자(29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극(291)은 상기 용기(250a)의 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전극 삽입공(257)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용기(250a)의 내부로 노출된다. 상기 용기측 접속단자(293)는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용기(250a)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수용부측 접속단자(294)는 상기 용기측 접속단자(293)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수용부(263)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거치부(261)의 상면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261)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250a)의 저면에 배치된 용기측 접속단자(293)가 상기 수용부측 접속단자(294)와 접촉된다. 상기 수용부측 접속단자(294)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한 쌍의 전극(291)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세제공급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110 : 캐비닛 118 : 도어
120 : 드럼 130 : 터브
140 : 구동부 152 : 급수유로
154, 156 : 세제공급유로 200 : 세제공급장치
250a, 250b : 용기 260 : 저장부 수용부
262a, 262b : 보스부 265a, 265b : 엑츄에이터

Claims (22)

  1.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배출구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저장부 수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토출부로 압송하는 기어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펌프는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세제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펌핑수단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 중 하나는 상기 펌핑수단의 저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구동축이 상기 모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구동축과 상기 펌핑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용기의 배출구를 덮도록 결합되는 유로 형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는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펌프는 상기 유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공급 유로로 압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펌프의 회전축 중 하나가 상기 유로 형성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회전축의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에 구비되는 에지테이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기어 펌프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는 저장된 세제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용기 내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에 배치되는 용기측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는 상기 저장부가 상기 저장부 수용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용기측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수용부측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세제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급수구 및 배수구를 갖는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토출된 세제는 상기 내부유로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구 및 배수구는 상기 저장부 수용부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상기 토출부가 안착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장치.
  17. 내부에 터브 및 드럼이 구비되고,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는 캐비닛;
    선택적으로 상기 터브에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 및 배출구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에 구비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펌핑수단 및 상기 펌핑수단에 의해 압송된 세제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펌핑수단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저장부 수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펌핑수단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용기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세제를 상기 토출부로 압송하는 기어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펌프는 상기 커플러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그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캐비닛의 내부로 수납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와 상기 저장부 수용부를 연결하는 급수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가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서 터브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수용부는 급수구 및 배수구를 갖는 내부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유로가 상기 급수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와 상기 터브 사이를 연결하며,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40025746A 2014-03-04 2014-03-04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KR10220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46A KR102204006B1 (ko) 2014-03-04 2014-03-04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US14/637,037 US9951461B2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with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unit
CN201580000904.7A CN105308230B (zh) 2014-03-04 2015-03-03 洗衣机
EP15758397.2A EP3114269B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PCT/KR2015/002048 WO2015133796A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AU2015224715A AU2015224715B2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AU2015224713A AU2015224713B2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CN201580012005.9A CN106068344B (zh) 2014-03-04 2015-03-03 洗衣机
JP2016516472A JP6456927B2 (ja) 2014-03-04 2015-03-03 洗濯機
EP20154760.1A EP3683350A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BR112015030691-8A BR112015030691B1 (pt) 2014-03-04 2015-03-03 Máquina de lavar
US14/637,023 US10125448B2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RU2016102856A RU2639063C1 (ru) 2014-03-04 2015-03-03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US15/122,852 US10415173B2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EP15759297.3A EP3114270B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RU2016138573A RU2639066C1 (ru) 2014-03-04 2015-03-03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BR112016020398-4A BR112016020398B1 (pt) 2014-03-04 2015-03-03 Máquina de lavagem
PCT/KR2015/002053 WO2015133799A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CN201580011983.1A CN106103832B (zh) 2014-03-04 2015-03-03 洗衣机
PCT/KR2015/002050 WO2015133798A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EP15758139.8A EP2994565B1 (en) 2014-03-04 2015-03-03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746A KR102204006B1 (ko) 2014-03-04 2014-03-04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88A KR20150103988A (ko) 2015-09-14
KR102204006B1 true KR102204006B1 (ko) 2021-01-18

Family

ID=5424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746A KR102204006B1 (ko) 2014-03-04 2014-03-04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915B1 (ko) 2016-01-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제펌프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
KR102450182B1 (ko) * 2016-01-05 202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세탁제공급방법
KR102638183B1 (ko) * 2019-04-12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57349B1 (ko) * 2019-04-12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638184B1 (ko) * 2019-04-12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L3888521T3 (pl) * 2020-03-30 2024-04-08 Elbi International S.P.A. Urządzenie piorące/zmywające mające system dozowania detergentu, takiego jak środek do prania/zmywania i/albo środek do płukania/nabłyszczania, powiązany z drzwiami urządzenia piorącego/ zmywającego, w szczególności zmywarka
CN111424406A (zh) * 2020-04-29 2020-07-17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加液系统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43B1 (ko) * 2007-04-11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액체세제 검출 장치
KR20110083833A (ko) * 2010-01-15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20044427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제함
KR20130131653A (ko) * 2012-05-24 201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988A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06B1 (ko) 세제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세탁기
US10125448B2 (en) Washing machine
EP271981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EP3719315B1 (en) Washing agent pump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739578B2 (en) Washing machine with a liquid detergent mixer
CN102741472B (zh) 具有自动配量系统的载水家用电器以及自动配量方法
US2016001026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US20130312463A1 (en) Detergent feed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703545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20170095686A (ko) 세탁기 및 그 세탁기에 구비된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KR20210027018A (ko)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3346683U (zh) 洗衣机用洗涤剂投放组件及其转向阀
EP3786341B1 (en)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28026A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KR102200044B1 (ko) 세탁기
CN117203388A (zh) 衣物处理装置
CN117120683A (zh) 衣物处理装置
KR20140145751A (ko) 세탁기
JP2023080771A (ja) 洗濯機
CN114687150A (zh) 洗衣机
WO2015037196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10111070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