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98B1 -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98B1
KR102203898B1 KR1020190081054A KR20190081054A KR102203898B1 KR 102203898 B1 KR102203898 B1 KR 102203898B1 KR 1020190081054 A KR1020190081054 A KR 1020190081054A KR 20190081054 A KR20190081054 A KR 20190081054A KR 102203898 B1 KR102203898 B1 KR 10220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g
cell line
antibody
sample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518A (ko
Inventor
김성민
김보람
김문항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9008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3Tumour cells; Cance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54Immunoglobul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6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spectroscopic/fluorescent detection, e.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e.g. VCAMs, PECAM, LFA-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5Demyelinating diseases; Multipel 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교모세포종(human glioblastoma) U87MG 세포주 (기탁번호 KCLRF BP00468); 상기 세포주를 이용한 항-MOG(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항체의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한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Novel cell line and method for detectin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y}
본 발명은 신규한 인간 교모세포종 U87MG 세포주; 상기 세포주를 이용한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한 염증성 탈수초 질환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G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서 신경(nerve)의 수초형성(myelination)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당단백질(glycoprotein)로서, 인간에서는 13 개 정도의 동형체(isoform)이 존재하고 있다. MOG isoform은 세포막에 결합되는(membrane bound) 단백질로서, 모두 동일한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 ECD)을 가지고 있다.
MOG에 대한 자가항체(autoantibody)는 중추신경계의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을 가진 환자에서 발견됨으로써,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aquaporin-4 seropositive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 NMOSD-AQP4+)을 가진 환자와 구분된다. 즉, MOG-항체(MOG-ab)의 존재는 비-다발성 경화증(non-MS)인 것이고,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및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without aquaporin4 IgG) 중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MOG-항체(MOG-ab)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세포 기반 어세이(cell based assay) 또는 유세포분석 방법이 있고, 세포 기반 어세이에서는 전장(full-length) α1 동형체(isoform)가 세포질 도메인(cytosolic domain)이 없는 동일 구조체보다 민감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현재 모든 센터에서는 세포 기반 어세이 또는 유세포 분석을 위한 기질로서 인간 MOG의 전장 α1 동형체를 사용하고 있다.
Peschl P et al.,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Deciphering a Target in 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 Front Immunol. 2017 May 8;8:529.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를 과발현하는 인간 교모세포종(human glioblastoma) U87MG 세포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상기 세포주에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상기 시료 내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을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에 따라 항-MOG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간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를 과발현하는 인간 교모세포종(human glioblastoma) U87MG 세포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포주는 기탁번호 KCLRF BP00468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예 있어서, 상기 인간 MOG는 alpha 1 isofor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세포주에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상기 시료 내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및 뇌척수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45℃ 내지 65℃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6℃에서 30분 동안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형광물질이 결합된 2차 항체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을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에 따라 항-MOG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항-MOG 항체가 대조군 시료로부터 얻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항-MOG 항체의 평균 형광 강도비(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가 2.93 이상인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은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및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without aquaporin4 Ig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aquaporin-4 seropositive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와 구별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세포주는 인간 MOG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세포주로서 상기 세포주를 이용하여 항-MOG 항체를 검출할 경우 높은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혈청 내에 존재하는 MOG 항체의 검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항-MOG 항체의 평균 형광 강도비(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다발성 경화증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와 구별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 시신경염, 횡단성 척수염 또는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작된 4 종의 세포주(G2, H5, H6 및 H9로 표시함)에서 MOG 발현율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제작된 4 종의 세포주와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MOG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신규 세포주 및 기존 연구에서 MOG를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HEK293T 세포주에서의 MOG 발현율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유세포분석을 통한 항-MOG 항체 검사로부터 평균 형광 강도비(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MFIr)를 도출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MOG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신규 세포주를 이용하여 환자 혈청 샘플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를 검출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인간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를 과발현하는 인간 교모세포종(human glioblastoma) U87MG 세포주를 제공한다.
상기 세포주는 기탁번호 KCLRF BP00468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인간미엘린희소돌기아교세포당단백질)"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에서 신경(nerve)의 수초형성(myelination)를 담당하는 당단백질(glycoprotein)을 말한다. 상기 MOG에 대한 자가항체(autoantibody)는 중추신경계의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을 가진 환자에서 발견됨으로써,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aquaporin-4 seropositive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 NMOSD-AQP4+)을 가진 환자와 구분된다.
상기 세포주는 MOG cDNA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클로닝하고, MOG cDNA가 삽입된 벡터를 형질감염시켜 제작된 세포주로서, MOG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이다.
본 발명의 용어, "벡터"는 특정 세포 내에서 발현할 수 있는 외인성 작동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모든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지칭한다. 상기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되고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벡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pIRES2-DsRed2 플라스미드 벡터일 수 있다.
상기 벡터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 유전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항생제는 퓨로마이신, 하이그로마이신, 블라스티시딘, 네오마이신, 제네티신 및 카나마이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네오마이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형질감염"은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를 숙주세포(host cell) 내로 주입하는 것을 말한다. 형질감염된 숙주세포는 해당 벡터에 포함된 모든 작동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다. 형질감염은 안정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있으며, 일시적 형질감염의 경우 벡터가 숙주세포의 게놈 내에 통합되지 않고 발현되는 것이고, 안정적 형질감염은 벡터가 숙주세포의 게놈 내에 통합되어 발현되는 것이다. 형질감염을 일으키는 방법 및 조건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세포주는 안정적 형질감염을 통해 MOG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세포주에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상기 시료 내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및 뇌척수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포주에 상기 시료를 처리하는 것은 상기 세포주에 상기 시료를 혼합하거나 반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방법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포주에 상기 시료를 처리한 경우, 상기 세포주에서 MOG가 발현되고, 상기 시료에 MOG에 대한 자가항체가 존재하면 상기 MOG 항체는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시료에 MOG에 대한 자가항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결합하지 않아 탐지되지 않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시료 내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45℃ 내지 65℃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6℃에서 30분 동안열불활성화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열불활성화 과정을 거치면 항체 활성이 높은 시료에 의한 세포주 사멸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사의 위음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항체를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형광물질이 결합된 2차 항체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에 따라 항-MOG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즉, 상기 항-MOG 항체가 검출되면 염증성 탈수초 질환(IDD)이거나 IDD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항-MOG 항체가 대조군 시료로부터 얻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MOG 항체의 평균 형광 강도비(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가 2.93 이상인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은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및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without aquaporin4 Ig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aquaporin-4 seropositive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와 구별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MOG 를 발현하는 세포주의 제작 및 선별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cDNA (NM_206809.3)는 네오마이신(neomycin) 저항성의 pIRES2-DsRed2 플라스미드 벡터로 클로닝되었다. 이후, 인간 MOG cDNA가 클로닝된 pIRES2-DsRed2 플라스미드 벡터를 인간 교모세포종 세포주인 U87MG 세포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Life Technologies, USA)을 사용하여 형질감염시켰다. 24 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세포에서 인간 MOG가 과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1 주 내지 2 주 동안 네오마이신(neomycin)이 포함된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여 pIRES2-DsRed2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되지 않은 세포주를 제거하고, pIRES2-DsRed2 플라스미드로 형질감염되어 인간 MOG를 발현하는 세포주만을 선별하였다. 이후, 세포의 콜로니(colony)가 형성됨을 확인하고, 하나의 콜로니를 96-well plate에 각각 분주한 후, 세포의 성장 및 인간 MOG의 발현을 각각 광학 현미경 및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생존률(cell viability)이 높고, ds-Red 형광이 가장 잘 발현하는 4 종의 세포주(G2, H5, H6 및 H9)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2. 제작된 4 종의 세포주에서 MOG 발현율 비교
본 발명자들은 선별된 4 종의 세포주 중에서 유세포분석을 통해 MOG가 가장 많이 발현되는 세포주를 선별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각 세포주를 FACS 버포로 세척하고, 2 ml의 항-MOG 항체를 넣어 4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FACS 버퍼로 다시 세척한 후, 18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였고, FITC-conjugated anti-human secondary antibody를 추가하여 4 ℃에서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상기 세포를 세척하고, FACS 버퍼에 재현탁시키고, FACS 칼리버 (BD bioscience)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ds-Red 형광(세로축)의 발현이 높은 세포주가 인간 MOG의 발현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고, 4 종의 세포주 중 G2 세포주(88.1%)가 MOG의 발현이 가장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도 1).
실시예 3. MOG 과발현 세포주의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 비교
본 발명자들은 제작된 4 종의 U87MG 기반 세포주를 이용하여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각 세포주에 뇌척수염 (encephalomyelitis, EM) 환자의 혈청을 1:5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FITC-conjugated anti-human IgG1 secondary antibody (DAKO)를 1:5로 첨가하여 100 ml의 혼합물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혼합물은 유세포분석기로 판독하여 환자의 혈청 내에 포함된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을 비교하였다.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은 (a) MOG의 발현이 높은 세포와 MOG의 발현이 낮은 세포가 얼마나 구분되어 관찰되는지; 및 (b) MOG의 발현이 높은 세포 (2 개의 peak 중 우측)에서 우측 peak를 이루는 세포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제작된 4 종의 세포주 중에서 G2 로 표시된 세포주에서 우측 peak를 이루는 세포와 좌측 peak를 이루는 세포가 가장 잘 구분되어 관찰되었고, 우측 peak를 이루는 세포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어, 상기 세포주가 인간 항-MOG 항체와의 반응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
상기 G2로 표시된 세포주는 항-MOG 항체 검사에 적합한 세포주로 선정하여 한국세포주은행에 기탁하였다 (기탁번호 KCLRF-BP-00468).
실시예 4. 신규 MOG 과발현 세포주와 기존 세포주의 MOG 발현율 비교
본 발명자들은 MOG를 안정적을 발현하는 MOG 과발현 세포주(기탁번호 KCLRF-BP-00468) 및 기존 연구에서 MOG를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HEK-293T 세포주에서의 MOG 발현율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MOG를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HEK293T 세포주의 경우 MOG cDNA가 클로닝된 pIRES2-DsRed2 플라스미드 벡터를 HEK-293T 세포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Life Technologies, USA)을 사용하여 4 시간 동안 형질감염시키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여 제작하였다.
유세포분석을 통해 MOG 발현율을 측정한 결과, 신규 제작한 MOG 과발현 세포주는 ds-Red 형광(세로축)이 88.10 % 로서, 기존 MOG를 일시적으로 발현하는 HEK-293T 세포주(19.25 %)에 비해 MOG 발현율이 약 4.6 배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도 3).
상기 결과로부터, 신규 제작된 MOG 과발현 세포주는 인간 항-MOG 항체의 검사에서 양성 및 음성의 구분을 더욱 명확하게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항-MOG 항체 검사를 통한 정확도 검증
본 발명자들은 유세포 분석을 이용한 항-MOG 항체 검사를 통해 염증성 탈수초 질환의 진단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신규 제작된 세포주에 56 ℃에서 30 분 동안 열불활성화한 환자의 혈청을 1:10 으로 희석하여 4 ℃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세척한 후, Alexa Fluor 488-conjugated goat anti-human IgG1 (A10631, Invitrogen)를 1:100 으로 희석하여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세포를 세척하고, FACS 버퍼에 재현탁시키고, FACS 칼리버 (BD bioscience)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 혈청의 MFIr (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평균 형광 강도비)는 하기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기 환자 혈청의 MFIr를 통한 실제 검사 결과의 예시는 도 4와 같다.
MFIr = dsRed MOG로 감염된 세포에 대한 환자 항체의 녹색 MFI(상부 게이트) / dsRed MOG로 감염된 세포에 대한 건강한 대조군 혈청의 녹색 MFI(상부 게이트).
본 발명자들은 신규 제작한 MOG 과발현 세포주를 이용하여 환자 혈청 샘플로부터 항-MOG 항체 검사를 수행하였다.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이 있는 275 명의 환자 [42명의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53 명의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aquaporin-4 seropositive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 NMOSD-AQP4+), 64 명의 시신경염(optic neuritis, ON), 8 명의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 14 명의 AQP4-IgG가 없는 NMOSD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without aquaporin4 IgG, NMOSD-AQP4(-)), 54 명의 급성 횡단성 척수염(acute transverse myelitis, TM), 41 명의 다른 IDD] 및 IDD가 없는(non-IDD) 97 명의 대조군으로부터 총 372 개의 샘플이 2015년 9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전향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포함되었고, 이는 한국의 9개의 3차 의뢰 병원에서 수집되었다. 비-IDD 그룹은 말초 신경병증 20 명, 악성 종양 15 명, 혈관 질환 9 명, 망막증 6 명, 정신분열병 5 명, 퇴행성 척추질환 4 명, 심인성 질환 4 명, 대사성 질환 4 명, 감염성 질환 4 명, 혈관염 3 명, 홍반성 루푸스 3 명, 류마티스 관절염 1 명, 수막염 1 명, Leber의 유전성 시신경 병증 1 명, 백혈구 증후군 1 명, 원인 불명 1 명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372개의 혈청은 민감도(sensitivity)를 평가하기 위한 MS, NMOSD-AQP4(+) 외의 IDD 그룹 (n = 182) 및 특이도(specificity)을 평가하기 위한 비-MOG 그룹 (n=192)인 두 그룹으로 나누었고, 비-MOG 그룹은 항-MOG 항체 검사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MS, NMOSD-AQP4(+) 또는 비-IDD 그룹으로 나누었다. 상기 비 MOG 그룹에서의 MFIr 값을 이용하여 MFIr의 컷오프 값을 설정하였다. 양성에 대한 컷오프(cut-off)는 비-MOG 그룹의 평균 MFIr 값보다 6 표준 편차(SD)로 설정되었다.
그 결과, 192 개의 비-MOG 그룹에서의 MFIr 값은 0.99 ± 0.32 (0.64 - 3.48) 으로 측정되었으므로(평균 ± 표준 편차(min - max)), 2.93 이상의 MFIr 값이 양성으로 간주되었다 (도 5). MS, NMOSD-AQP4(+) 외의 IDD 그룹 (n=182)에서는 22.5 %의 환자에서 항-MOG 항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신규 제작된 세포주를 이용하여 항-MOG 항체 검사를 수행한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염증성 탈수초 질환으로부터 다발성 경화증 또는 아쿠아포린-4 혈청반응 양성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를 구별할 수 있고,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 시신경염, 횡단성 척수염 또는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세포주연구재단 KCLRFBP00468 20190619

Claims (12)

  1. 인간 MOG (human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를 과발현하는 인간 교모세포종(human glioblastoma) U87MG 세포주 KCLRF BP00468.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MOG는 alpha 1 isoform인 것인 세포주.
  4. (a) 제 1 항의 세포주에 개체로부터 분리된 시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기 세포주에서 발현된 MOG와 상기 시료 내에 존재하는 항-MOG 항체의 결합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MOG 항체의 검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 및 뇌척수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45℃ 내지 65℃에서 10분 내지 1시간 동안 열불활성화한 것인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형광물질이 결합된 2차 항체를 이용하는 것인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여부의 탐지는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항-MOG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탈수초 질환(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 IDD)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항-MOG 항체가 대조군 시료로부터 얻은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되는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MOG 항체의 평균 형광 강도비(mean fluorescence intensity ratio)가 2.93 이상인 경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탈수초 질환은 급성 전염성 뇌척수염(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횡단성 척수염(Transverse myelitis) 및 아쿠아포린 4 IgG가 없는 시신경 척수염 스펙트럼 장애(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without aquaporin4 Ig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190081054A 2019-07-05 2019-07-05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KR10220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54A KR102203898B1 (ko) 2019-07-05 2019-07-05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054A KR102203898B1 (ko) 2019-07-05 2019-07-05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18A KR20210004518A (ko) 2021-01-13
KR102203898B1 true KR102203898B1 (ko) 2021-01-15

Family

ID=7412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054A KR102203898B1 (ko) 2019-07-05 2019-07-05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98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r Adv Neurol Disord, vol.(5(3), pp.147~159(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18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kawa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A receptor autoantibodies in autoimmune encephalitis
Jarius et al. Aquaporin‐4 antibodies (NMO‐IgG) as a serological marker of neuromyelitis optica: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Waters et al. Evaluation of aquaporin‐4 antibody assays
Brodsky et al. Improved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using fluorescent aerolysin
Borowitz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and related disorders by flow cytometry
Ruiz-García et al. Limitations of a commercial assay as diagnostic test of autoimmune encephalitis
Chan et al. Aquaporin-4 autoantibodies in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s: comparison between tissue-based and cell-base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s
Budhram et al. Neural antibody testing in patients with suspected autoimmune encephalitis
Kim et al. Large-scale in-house cell-based assay for evaluating the serostatus in patients with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based on new diagnostic criteria
Kang et al. Clinical usefulness of cell-based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for the detection of aquaporin-4 antibodies in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Chen et al. CDK14 involvement i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esophageal cancer
Xu et al. Chloroquine treatment induces secret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and inclusion of Atg8-family proteins in distinct extracellular vesicle populations
De Vidi et al. Strategy for anti-aquaporin-4 auto-antibody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using a new cell-based assay
Brando et al. Flow cytometric diagnosis of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earls and pitfalls–a critical review article
CN113755443A (zh) 自身免疫性脑炎抗体瞬转与稳转检测方法及其应用
Masi et al. The clinical need for clustered AChR cell-based assay testing of seronegative MG
Kim et al. Evaluating an in-house cell-based assay for detecting antibodies against muscle-specific tyrosine kinase in myasthenia gravis
Soh et al. Evaluation of measurable residual disease in multiple myeloma by multiparametric flow cytometry: Current paradigm, guidelines, and future applications
Yuan et al. B7-H6 is a new potential biomarker and therapeutic target of T-lymphoblastic lymphoma
KR102203898B1 (ko) 신규한 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인간 mog 항체의 검출 방법
EP3828543B1 (en) Method and kit for rapid measurement of autoantibody activity with respect to tsh receptor
JP7021949B2 (ja) 抗体検出法及び抗体検出系
Rosenbluth et al. Evaluation of p63 and p73 antibodies for cross-reactivity
Liu et al. Narrative review of autoantibodies in idiopathic inflammatory myopathies
KR102089042B1 (ko) 보체불활성화법을 이용한 항-아쿠아포린 4 항체의 개선된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