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12B1 -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12B1
KR102203812B1 KR1020150009124A KR20150009124A KR102203812B1 KR 102203812 B1 KR102203812 B1 KR 102203812B1 KR 1020150009124 A KR1020150009124 A KR 1020150009124A KR 20150009124 A KR20150009124 A KR 20150009124A KR 102203812 B1 KR102203812 B1 KR 10220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erminal
usage
base stat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654A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단말의 접속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위 동일 지역 내에서 서비스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N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되는 접속 단말로 인한 혼잡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가입자에게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 중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위 LTE-A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결합해 대역 확대 효과를 내는 주파수집성기술(CA, 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을 일컫는다.
이로써, LTE-A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여타 이동통신 서비스 환경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헌데, LTE-A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 단말이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위 불균형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선,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단말의 접속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단말의 접속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위 동일 지역 내에서 서비스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불균형 현상을 해소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접속관리장치는, 동일 지역에 대해 서비스하는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와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기초로 부하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기지국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모드 상태의 단말 및 아이들(Idle)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낮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잡상태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과거혼잡상태, 및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현재혼잡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 추이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상기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상기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일 지역에 대해 서비스하는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와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기초로 부하도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기지국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모드 상태의 단말 및 아이들(Idle)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낮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잡상태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과거혼잡상태, 및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현재혼잡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래픽 사용 추이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상기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상기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단말의 접속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위 동일 지역 내에서 서비스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와 관련된 이동통신 시스템 내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및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서의 단말의 접속상태를 관리하는 접속관리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교환장치(300), 정책관리장치(400), 및 패킷분석장치(5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은 동일 지역에서 접속된 단말에 대해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e-NodeB 또는 NodeB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위 동일 지역 내에는 기지국A(100A)로부터 서비스되는 제1주파수대역-800Mhz, 기지국B(100B)로부터 서비스되는 제2주파수대역-1,8Ghz, 및 기지국C(100C)로부터 서비스되는 제3주파수대역-2.1Ghz을 포함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설명을 위한 단순한 일례일 뿐 주파수 대역의 개수 및 실제 대역폭에는 제한이 따르지 않음은 물론이다.
접속관리장치(20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서 접속된 단말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를 관리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교환장치(30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동작을 관리/제어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서빙게이트웨이(SGW), 이동성관리개체(MME), 패킷데이터네트워크게이트웨이(PGW)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정책관리장치(40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정책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패킷분석장치(50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에서의 트래픽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패킷을 분석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말이 위 동일 지역 내 서비스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예: 제1주파수대역-800Mhz, 제2주파수대역-1,8Ghz, 제3주파수대역-2.1Ghz)을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인 주파수집성기술(CA, Carrier Aggregation)을 따르게 된다.
이로써, 위 주파수집성기술을 지원하는 단말에서는 기본적으로 1개의 P(Primary)-Cell에 접속하여 트래픽을 사용하다, 트래픽 사용이 증가(예: 20Mbps 초과)할 경우, 2개의 S(Secondary)-Cell에 동시에 접속하여 트래픽 증가분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단말이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동시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결국,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동시 접속하는 단말의 개수가 증가한다면, 특정 주파수 대역에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초래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주파수 대역에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주파수 대역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에서는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며, 이는 곧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기대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속도의 향상 효과마저도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 지역 내 서비스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접속관리장치(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별 혼잡상태 및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 추이를 확인하는 확인부(210),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하는 산출부(220), 및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상 언급한 확인부(210), 산출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접속관리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는 위 구성들을 통해서 특정 주파수 대역에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는 불균형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접속관리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별 혼잡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은 예컨대, 설정 주기 내지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요구될 수 있다.
이때, 확인부(210)는 교환장치(300)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수집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교환장치(300)로부터 수집되는 기지국 정보에는 각 기지국에 접속된 단말의 수, 접속된 단말에서의 트래픽 사용량, 접속된 단말의 현재상태(예: 액티브 모드 상태, 아이들 모드 상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국, 교환장치(300)는 기지국 정보에 포함된 접속된 단말의 수, 트래픽 사용량 및 접속된 단말의 현재상태 등의 정보들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인부(210)에서 확인되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의 경우,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과거혼잡상태는,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 즉 과거 시점(예: 이전 1개월 동안)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혼잡상태를 의미하게 되며, 그리고, 현재혼잡상태는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즉 현재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혼잡상태를 의미하게 된다.
결국,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를 함께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를 함께 확인하는 것은,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현재상태뿐만 아니라 과거상태를 추가 반영하여 각 기지국(100A, 100B, 100C)의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상태 추이를 이용한 부하도 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하여 확인된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 각각은, 예컨대, 산술식이나 기타 스코어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량화된 점수(예: 1점~100점)로 환산되어,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 과정에 이용된다.
여기서,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부터 환산되는 정량화된 수치는, 그 혼잡상태가 크면 클수록 보다 큰 점수로 환산될 수 있다.
또한, 확인부(210)는 접속된 단말에 대한 트래픽 사용 추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의 확인이 완료되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확인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 트래픽 사용 추이는 접속된 단말의 현재 상태 즉, 액티브 모드 상태와 아이들 모드 상태와 무관하게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모든 단말에 대해 확인될 수 있다.
허나, 이는 일례일 뿐 추후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혼잡상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즉, 아이들 모드 상태인 단말이 추후 액티브 모드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만을 예측 확인한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확인부(210)는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 즉, 과거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즉, 현재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접속된 각 단말에 대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이력정보에는 예컨대, 평균 데이터 사용량, 트래픽 사용 패턴(예: 다운로드 트래픽, 동영상 트래픽, 웹 트래픽 비율), 평균 전송속도, 최대 전송속도, 사용빈도, 주요 트래픽 사용 지역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와 비교되는 사용현황정보에는 예컨대, 현재 데이터 사용량, 현재 전송속도, 현재 트래픽 사용 지역, 이동 여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트래픽 사용 추이는 앞서 언급한 혼잡상태와 마찬가지로 산술식이나 기타 스코어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량화된 점수(예: 1점~100점)로 환산되어,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 과정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의 사용현황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현재 데이터 사용량과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평균 데이터 사용량을 비교하는 경우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 사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특정 단말의 사용현황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현재 데이터 사용량이 크며,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평균 데이터 사용량보다 적을수록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00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해당 단말의 현재 데이터 사용량이 적으며, 평균 데이터 사용량 대비 차이가 없을수록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데이터 사용량이 적을 것으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단말의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 사용 패턴으로부터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 사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특정 단말의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트래픽 사용 패턴으로부터 해당 단말에서 다운로드 트래픽이 많고, 헤비(heavy) 유저 적발 횟수가 많은 것이 인지되면,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데이터 사용량이 많을 것으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00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반대로, 트래픽 사용 패턴으로부터 해당 단말에서 웹 트래픽이 많고, 헤비유저 적발 횟수가 적은 것이 인지되면, 해당 단말이 앞으로 사용할 데이터 사용량이 적을 것으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특정 단말의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평균 전송속도, 최대 전송속도, 사용빈도가 큰 것이 확인될수록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00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해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 예로서, 특정 단말의 사용현황정보로부터 확인되는 현재의 트래픽 사용지역이 사용이력정보로부터 확인되는 주요 사용지역이 아니며, 이동중이 아닐 경우, 해당 단말이 무선인터넷(예: WIFI)을 이용할 확률이 그만큼 낮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결국,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무선인터넷 미사용(이동통신 시스템 접속)으로 인해 100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으며, 만약 반대의 경우라면 예측 확인된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되는 점수는 1점에 가까워짐을 예상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이력정보와,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하는 것은,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들이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트래픽 사용량뿐만 아니라,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이어지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이용한 부하도 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확인부(210)는 접속된 단말에 대한 이용중인 서비스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예: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확인부(210)는 패킷분석장치(500)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식별정보를 전달받게 되며, 이로써 위 서비스 식별정보로부터 접속된 단말에서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인부(210)는 서비스 식별정보에 대해, 서비스 명과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매핑 테이블을 관리하여야 하며, 만약, 패킷분석장치(500)로부터 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위 매핑 테이블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 대해 확인된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은, 추후 핸드오버를 수행할 단말을 선별하는데 이용되게 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산출부(220)는 부하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출부(22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와,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트래픽 사용 추이가 확인되면,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산출부(220)는 앞서 언급한 같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상태 추이, 그리고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들의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이어지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산출부(220)는 예컨대, 아래 [수식 1]을 통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하게 된다.
[수식 1]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2
는 부하도,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3
는 현재혼잡상태를 환산한 점수,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4
는 과거혼잡상태를 환산한 점수,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5
는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된 점수(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6
)를 합산한 결과를 접속된 단말 수(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7
)로 나눈 결과 값을 말한다.
결국, 산출부(220)는 위 [수식 1]을 통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부터 환산된 점수, 그리고 접속된 단말에 대해 예측 확인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된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해 산출되는 부하도는,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부터 환산된 점수 그리고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된 점수는 그 중요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각각의 가중치(σ,β,γ)를 부여하기 위한 아래 [수식 2]을 통해 산출될 수도 있다.
[수식 2]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8
한편,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하여 산출되는 부하도는, 각 기지국에서의 혼잡상태를 대변하는 수치로서, 부하도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혼잡상태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하도가 작다는 것은 반대의 경우를 의미한다 할 것이다.
제어부(230)는 핸드오버 대상을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완료되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중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과, 반대로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을 선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완료된 경우를 가정하면, 기지국 선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여기서, 부하도는 위 [수식 1]을 통해 산출됨).
기지국
Figure 112015005716177-pat00009
Figure 112015005716177-pat00010
Figure 112015005716177-pat00011
Figure 112015005716177-pat00012
기지국A 145 55 50 40
기지국B 155 60 50 45
기지국C 160 50 50 60
결국, 제어부(230)는 위 [표 1]에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중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으로 기지국C(100C)를 선별하게 되며, 반대로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으로 기지국C(100C)를 선별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기지국 선별 과정이 완료되면,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핸드오버 대상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을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의 핸드오버를 통해 서비스 단절 내지는 불필요한 시그널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표 1]을 참조한 앞선 예에 따르면,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C(100C)가 선별되었으므로, 제어부(230)는 트래픽 사용량 또는 이용중인 서비스를 확인하는 위 방식을 통해 기지국C(100C)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에서 핸드오버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에서 핸드오버 대상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액티브 모드 상태의 단말에 대해서도 핸드오버 대상을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액티브 모드 상태의 단말 중 핸드오버 대상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모든 액티브 모드 상태의 단말 각각에 대해 현재 점유중인 트래픽 상태와 앞서 설명한 트래픽 사용 추이를 확인하여, 확인된 값이 임계 값 이상인 단말을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대상이 결정되면,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하여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하게 된다.
[표 1]을 참조한 앞선 예에 따르면,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C(100C)가 선별되며,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A(100A)가 선별되었으므로, 제어부(230)는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하여 이전 접속중인 기지국C(100C)로부터, 기지국A(100A)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지시를 정책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정책관리장치(400)에서는 해당 핸드오버 지시와 관련된 핸드오버 정책을 생성하여 교환장치(300)를 통해 해당 기지국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교환장치(300)로 전달되는 핸드오버 정책에는, 핸드오버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예: ARP, QCI)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핸드오버 정책은, RAR(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결국,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중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에서는, 위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 대상으로 선별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을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게 된다.
한편, 위 핸드오버 정책의 경우,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대상으로 선별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을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일대일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등의 다양한 핸드오버 방식이 반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에 따르면,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단말의 접속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위 동일 지역 내에서 서비스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기준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접속관리장치(200)와 관련된 이동통신 시스템 내 동작 흐름을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확인부(210)는 예컨대, 설정 주기 내지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요구되는 경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를 확인하게 된다(S110).
이때, 확인부(210)는 도 4의 '단계 S210-S22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교환장치(300)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동작과 관련된 기지국 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수집된 기지국 정보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인부(210)에서 확인되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의 경우,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결국,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요구되는 경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 즉 과거 시점(예: 이전 1개월 동안)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과거혼잡상태와,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즉 현재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현재혼잡상태를 함께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를 함께 확인하는 것은,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현재상태뿐만 아니라 과거상태를 추가 반영하여 각 기지국(100A, 100B, 100C)의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상태 추이를 이용한 부하도 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나서, 확인부(21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의 확인이 완료되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확인한다(S120).
이때, 확인부(210)는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 즉, 과거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즉, 현재 시점에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접속된 각 단말에 대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단계 S23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사용이력정보와,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서 트래픽 사용 추이를 예측 확인하는 것은, 이후 산출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부하도 산출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들이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트래픽 사용량뿐만 아니라,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이어지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이용한 부하도 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런 다음,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예: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한다(S130).
이때, 확인부(210)는 도 4의 '단계 S240-S25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패킷분석장치(500)로부터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식별정보를 전달받게 되며, 이로써 위 서비스 식별정보로부터 접속된 단말에서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해, 확인부(210)는 서비스 식별정보에 대해, 서비스 명과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이 매핑 테이블을 관리하여야 하며, 만약 패킷분석장치(500)로부터 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위 매핑 테이블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 대해 확인된 이용중인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트래픽 사용량은, 추후 핸드오버를 수행할 단말을 선별하는데 이용되게 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산출부(22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혼잡상태와,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트래픽 사용 추이가 확인되면,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한다(S140).
이때, 산출부(22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상태 추이, 그리고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에 접속된 단말들의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이어지는 트래픽 사용 추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단계 S26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산출부(220)는 위 [수식 1]을 통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의 과거혼잡상태와 현재혼잡상태로부터 환산된 점수, 그리고 접속된 단말에 대해 예측 확인되는 트래픽 사용 추이로부터 환산된 점수를 모두 고려하여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어부(23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부하도 산출이 완료되면,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중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과, 반대로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을 선별한다(S150-S160).
이때, 제어부(230)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해 산출된 부하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 즉, 불균형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한해서만, 위 기지국 선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단계 S26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30)는 기지국 선별 과정이 완료되면,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핸드오버 대상을 결정한다(S170).
이때, 제어부(230)는 기지국 선별 과정이 완료되면,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핸드오버 대상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단계 S29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을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이들 모드 상태에서의 핸드오버를 통해 서비스 단절 내지는 불필요한 시그널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제어부(230)는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대상이 결정되면,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하여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지시한다(S180).
이때, 제어부(230)는 핸드오버 대상으로 결정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지시를 정책관리장치(4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정책관리장치(400)에서는 해당 핸드오버 지시와 관련된 핸드오버 정책을 생성하여 교환장치(300)를 통해 해당 기지국에 전달하게 된다.
결국,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중 부하도가 가장 크게 산출된 기지국에서는, 위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핸드오버 대상으로 선별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을 부하도가 가장 작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게 된다.
위 과정은 도 4의 단계 'S290-S320'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관리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100A, 100B, 100C) 각각에 대한 단말의 접속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위 동일 지역 내에서 서비스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단말의 접속이 집중되어 발생하는 불균형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동일 지역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비스하는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서 발생되는 접속 단말로 인한 혼잡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기지국
200: 접속관리장치
210: 확인부 220: 산출부
230: 제어부
300: 교환장치
400: 정책관리장치
500: 패킷분석장치

Claims (8)

  1. 동일 지역에 대해 서비스하는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와, 상기 접속된 단말의 현재 데이터 사용량과 상기 접속된 단말의 과거 데이터 사용량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예측되는 앞으로의 데이터 사용량인 트래픽 사용 추이를 기초로 부하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기지국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모드 상태의 단말 및 아이들(Idle)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낮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상태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과거혼잡상태, 및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현재혼잡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사용 추이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상기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상기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
  5. 동일 지역에 대해 서비스하는 2 이상의 기지국 각각에 대하여, 접속된 단말의 트래픽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혼잡상태와, 상기 접속된 단말의 현재 데이터 사용량과 상기 접속된 단말의 과거 데이터 사용량을 비교한 결과로부터 예측되는 앞으로의 데이터 사용량인 트래픽 사용 추이를 기초로 부하도를 산출하는 산출단계; 및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높게 산출되는 기지국에 접속된 액티브(Active) 모드 상태의 단말 및 아이들(Idle)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부하도가 기 설정치보다 낮게 산출된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혼잡상태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으로 발생된 과거혼잡상태, 및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중인 트래픽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현재혼잡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사용 추이는,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 이전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된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이력정보와, 상기 부하도를 산출하는 시점에 상기 접속된 단말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래픽과 관련된 사용현황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특정 기지국에 접속된 아이들 모드 상태의 단말 중, 상기 아이들 모드 상태로 전환되기 이전 액티브 모드 상태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임계 값 이상이거나, 또는 임계 값 이상의 트래픽 사용량이 요구되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한 단말을 상기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50009124A 2015-01-20 2015-01-20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4A KR102203812B1 (ko) 2015-01-20 2015-01-20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124A KR102203812B1 (ko) 2015-01-20 2015-01-20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54A KR20160089654A (ko) 2016-07-28
KR102203812B1 true KR102203812B1 (ko) 2021-01-14

Family

ID=5668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124A KR102203812B1 (ko) 2015-01-20 2015-01-20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785B1 (ko) * 2017-12-20 2019-10-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60B1 (ko) * 2007-11-14 2010-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비스 측정 관리를 통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718088B1 (ko) * 2011-04-19 2017-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셀의 부하 예측을 기반으로 하는 전력 할당 및 부하 균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654A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81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드웨어를 최소화하고 용량을 최대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47304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gateway having plural user plane AGWs
EP2675234A1 (en)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quality of service
CN113556754A (zh) 一种业务体验测量收集方法和设备
JP6249305B2 (ja) 無線ベアラ制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102115218B1 (ko)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QoS 제어방법
CN103237328B (zh) 基于小区自动调整覆盖的负载均衡方法和设备
JP5209803B2 (ja) オーバーロードインジケーター報告のトリガ方法及びシステム
US8027683B2 (en) Handover between radio networks
US8189465B1 (en) Deep packet inspection policy enforcement
US9723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warding handover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507520A (zh) 處理基於錨定的移動管理方法
WO2011032504A1 (zh) 一种高速移动场景下的通信方法和系统
KR102027930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03874131A (zh) 一种基于服务质量的小区内负载均衡方法、装置及系统
KR102203812B1 (ko) 접속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9324A (ko) 이종망 접속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115213B1 (ko) 기지국장치 및 단말장치와, QoS 제어방법
CN102769875A (zh) 一种服务质量协商方法和装置
KR2016007160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089128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08184266A (zh) 一种设置寻呼方案的方法和移动性管理实体
Mohammed et al. Modification of load balancing method in networks with wimax technology
US10342000B2 (en)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533889B1 (ko) 네트워크에서 전력 피크 타임 동안 전력 감소 및 피크 스무딩을 위한 네트워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