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807B1 -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807B1
KR102203807B1 KR1020190095160A KR20190095160A KR102203807B1 KR 102203807 B1 KR102203807 B1 KR 102203807B1 KR 1020190095160 A KR1020190095160 A KR 1020190095160A KR 20190095160 A KR20190095160 A KR 20190095160A KR 102203807 B1 KR102203807 B1 KR 10220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otonin
addiction
amount
internet
anti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은
박현미
유다정
박예은
백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9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narcotics or drugs or pharmaceuticals, neurotransmitters or associated receptors
    • G01N33/9406Neurotransmitters
    • G01N33/942Serotonin, i.e. 5-hydroxy-tryptam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0Psychoses; Psychia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0Psychoses; Psychiatry
    • G01N2800/307Drug dependency, e.g. alcoho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중독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중독 질환을 객관적이고, 간편하고, 높은 정확도 및 특이도로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Composition or kit for diagnosing addiction and method of detecting serotonin for diagnosis of addiction using the same}
중독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독은 음식이나 약물의 독성 또는 반복된 행위로 인하여 신체에 기능장애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현재까지 중독 질환은 최신 의학기술로도 완치할 수 없고, 다만 중독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보편적인 의견이다. 중독이란 크게 물질중독(chemical addiction)과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으로 구별될 수 있다. 물질 중독에는 알코올, 담배, 히로뽕, 아편, 코카인 중독 등이 있고 행위 중독에는 인터넷, 스마트폰, 게임, 도박, 경마, 종교 등이 있다. 행위중독은 물질중독과 생리적, 해부학적으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뇌의 특정부위의 기능변화로 인하여 발생하고 악화되는 질병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은 현대 사회의 가장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서 알코올 중독이나 마약 중독과 같은 다른 중독처럼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하나의 정신적 질환으로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신 의학적 증상 예를 들어, 자폐, 파킨슨 병, 치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 및 강박 신경 장애 등에 대한 바이오 마커들이 알려져 있다(미국 공개 공보 2005/0084880 A1(2005.04.21), 대한민국 등록공고 10-1157526(2016.06.27) 등). 그러나, 여전히 중독 질환의 진단을 위해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통한 뇌 영상 확인이나 설문조사를 통한 자가 진단 방법이 주로 이용될 뿐이고, 중독 질환 진단을 위해 효과적인 바이오마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용이 비싸고 번거로운 뇌 영상 진단이나 주관적 판단을 기반으로 하는 자가 설문조사 방법이 아니라, 중독 질환을 객관적이고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게 진단할 수 있고, 진단의 정확도 및 특이도가 높은 바이오마커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독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중독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중독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세로토닌(serotonin)은 5-히드록시트립타민(Hydroxytryptamine: 5-HT)으로도 불리는 모노아민 신경전달 물질 중 하나이다. 세로토닌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다:
Figure 112019080203546-pat00001
.
세로토닌은 인간과 동물의 위장관과 혈소판, 중추신경계에 주로 존재하며 행복의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물질일 수 있다.
세로토닌의 양은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측정된 절대적인 양, 생물학적 시료 중의 농도, 또는 정상 대조군의 세로토닌의 양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골수액, 림프액, 타액, 소변,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세로토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앱타머(aptamer)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일 수 있다. 용어 "항체(antibody)"는 용어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전장 항체일 수 있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항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단일-도메인 항체(single-domain antibody), Fab, Fab', 또는 scFv일 수 있다. 상기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고체 지지체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지지체는 예를 들어, 금속 칩, 플레이트, 또는 웰(well)의 표면이다.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항-세로토닌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일 수 있다. 상기 앱타머는 세로토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 가닥의 핵산(DNA, RNA 또는 변형핵산)이나 펩티드일 수 있다.
용어 "중독(addiction)"은 유해 물질에 의한 신체 증상인 중독(intoxication, 약물 중독), 알코올, 마약과 같은 약물 남용에 의한 정신적인 중독이 주로 문제되는 중독(addiction, 의존증), 또는 이들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중독은 물질 중독, 행위 중독,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물질 중독(chemical addiction)은 약물 중독이라고도 하고, 생물체의 기능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화학 물질에 생물체가 노출될 경우 야기되는 증상일 수 있다. 상기 물질 중독은 의약품, 농약, 공업용 약품, 가정용 약품, 동물의 독성물질, 식물의 독성 물질, 또는 세균 등에 의한 중독일 수 있다. 상기 약물은 예를 들어, 알코올, 니코틴(담배), 카페인(커피, 차 등), 마약류(마리화나, 코카인, 암페타민, 아편류 등), 수면제, 진통제, 환각제, 및 흡입제(시너 등)일 수 있다. 용어 "알코올 중독(alcohol addiction)"은 용어 "알코올 사용 장애" 또는 용어 "알코올 의존증(alcoholism)"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은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및 알코올 의존(alcohol dependence)을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 남용은 음주로 인한 개인적 혹은 사회적 폐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 행위를 반복하는 것일 수 있다. 알코올 의존은 알코올에 대한 금단과 내성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음주에 대한 병적인 집착이 지속되는 상황일 수 있다. 알코올 중독은 알코올 금단(alcohol withdrawal), 알코올 중독(alcohol intoxication), 섬망(delirium tremens: DT),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화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사용 장애는 한국판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Korea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K), 한국형 알콜자가진단검사(Alcoholism Screening Test of National Seoul Mental Hospital: NAST), 알코올중독 자가 테스트인 CAGE 검사 등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행위 중독(behavioral addiction)은 어떠한 행위, 과정 또는 활동에 관한 중독일 수 있다. 행위 중독은 내성과 금단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행위 중독은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게임 중독, 도박 중독, 종교 중독, 성 중독, 쇼핑 중독, 운동 중독, 및 일 중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중독은 병리적 또는 강박적인 인터넷 사용으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또는 사회적 생활에 지장을 받은 중독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상기 게임 중독은 병리적 또는 강박적으로 게임에의 몰입으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또는 사회적 생활에 지장을 받은 중독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상기 인터넷 또는 게임은 컴퓨터, 휴대전화, 스마트폰, 및 TV 등의 모든 매체에 의한 사용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은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중독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중독 질환 진단에 필요한 시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고체 지지체,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합한 완충용액, 발색 효소, 형광물질로 표지된 2차 항체, 또는 발색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중독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양을 정상 대조군의 세로토닌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중독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인간,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중독 질환을 앓고 있거나 중독 질환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상기 개체로부터 수득된 시료를 말한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예를 들면 혈액, 혈장, 혈청, 골수액, 림프액, 타액, 소변,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시료로부터 수득된 신경화학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물학적 시료와, 세로토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앱타머를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MS),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단백질 칩, 면역침강, 마이크로어레이, 전자현미경법(electron microscopy),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질량분석법은 탠덤 질량분석법(Tandem mass spectrometry 또는 MS/MS)일 수 있다. 상기 ELISA는 직접(direct) ELISA, 샌드위치(sandwich) ELISA, 경쟁적(competitive) ELISA, 역(reverse) ELIS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는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생합성 관련 효소(예, 트립토판 히드록실라제(tryptophan hydroxylase: TPH) 및 방향족 아미노산 디카르복실라제(aromatic amino acid decarboxylase: DDC)) 또는 생분해 관련 효소의 유전자 발현 수준 또는 단백질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측정된 양을 정상 대조군의 세로토닌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측정된 세로토닌의 양이 정상 대조군에서 세로토닌의 양에 비해 증가되었는지 또는 측정된 세로토닌의 양이 정상 대조군에서 세로토닌의 양에 비해 감소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대조군은 중독 질환에 걸리지 않은 군으로서 음성 대조군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에서, 측정된 세로토닌의 양이 정상 대조군에서 세로토닌의 양에 비해 증가한 경우, 상기 중독은 행위 중독(예,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에 걸리거나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측정된 세로토닌의 양이 정상 대조군에서 세로토닌의 양에 비해 감소한 경우, 상기 중독은 물질 중독(예, 알코올 중독)에 걸리거나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진단될 수 있다. 중독으로 진단된 개체에 심리사회적 치료 또는 약물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예를 들어, 클로르디아제폭사이드(chlordiazepoxide), 로라제팜(lor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디아제팜(diazepam), 리아졸람(triazolam), 플루라제팜(flurazepam), 비타민(Vitamine), 날트렉손(naltrexone), 디술피람(disulfiram), 메타돈(methadone), 아캄프로세이트(acamprosate), 부프로피온(bupropion), 바레니클린(varenicline), 부르페노르핀(buprenorphin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중독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방법에 따르면, 중독 질환을 객관적이고, 간편하고, 높은 정확도 및 특이도로 진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혈청 시료 전처리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 다중반응모니터링 모드로부터 얻은 28종의 신경화학물질의 추출된 이온 크로마토그램(Extracted ion chromatogram)이다.
도 3은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상 대조군,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군 및 알코올 중독군의 세로토닌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독군의 혈청 성분 중 차등 발현된 신경화학물질의 확인
1.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및 알코올 사용 장애군의 시료의 준비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 보라매 병원으로부터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환자 및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n=65)의 혈청 시료를 수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환자 및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로 진단되지 않은 정상인(n=35)의 혈청 시료를 수득하였다.
혈청 시료의 단백질 분해 또는 변형을 막기 위해, 혈청을 수득한 직후에 수득된 혈청에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로서 cOmplete, Mini EDTA-free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Roche) 및 포스파타아제 저해제로서 PhosSTOP(Roche)을 첨가하였다. 상기 저해제는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1개의 정제를 200 ㎕의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녹여 50 X로 만든 후, 각 시료에 저해제의 최종 농도 1.5 X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저해제를 첨가한 혈청 시료를 정량하고,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2. 혈청 시료의 전처리
혈청 시료 10 ㎕에 내부 표준물질 혼합물이 용해된 아세토나이트릴 30 ㎕를 첨가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한 단백 침전을 진행하였다. 상층액 30 ㎕를 취한 후 0.1%(v/v) 포름산이 첨가된 물 30 ㎕로 희석하였다. LC 바이알에 LC 인서트(insert) 바이알을 넣어 희석된 혈청 시료 60 ㎕를 옮겨 담고, UPLC-MS/MS에 5 ㎕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전처리 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3.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28종의 신경화학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Agilent 1290 infinity II LC system(Agilent technologies, Inc.)을 사용하였다. 분석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한 분석 컬럼은 Acquity UPLC HSS T3 컬럼(Waters corporation, 2.1 Х 100 mm, 1.8 ㎛)을 사용하였다.
분석 컬럼으로 적절한 분리를 위해 사용한 이동상은 0.1%(v/v) 포름산(formic acid)을 첨가한 물(이동상 A)과 0.1%(v/v) 포름산을 첨가한 아세토니트릴(이동상 B)를 사용하였다. 이동상 A와 B의 비율을 조절하는 기울기 용매를 사용하며, 기울기 용매 조건은 초기에 이동상 A를 100%로 시작하여 시작점부터 1.5분간 유지하였다. 1.5분 내지 6분 동안 이동상 A를 40%로, 6분 내지 7.2분 동안 이동상 A를 5%로 변화시켜 주었다. 7.2분 내지 7.5분 동안 이동상 A를 5% 유지한 뒤, 7.5분 내지 7.8분 동안 A를 다시 100%를 상승시켜 주었다. 7.8분 내지 9분 동안 초기 조건인 이동상 A 100%로 재평형(re-equilibrium) 시간을 두었다. 분석 시간은 총 9분이며,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컬럼의 온도는 40℃로 유지하고, 유속은 0.5 ㎖/분이고, 시료 주입 부피는 5 ㎕로 하였다.
4. 다중 반응 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분석
글루타메이트, 트립토판, 및 티로신의 대사체에 대한 MS/MS(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또는 tandem mass spectrometry) 분석은 전자분무 이온화방식(electro spray ionization: ESI)과 triple quadrupole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AB SCIEX™ QTRAP 6500+ system(SCIEX)을 사용하였다. 이온화는 양이온 모드 및 음이온 모드로 동시 분석하였으며, 네뷸라이징(nebulizing) 기체와 가온(heating) 기체로 질소 가스를 사용하였다. 28종의 분석물질의 조각이온(fragment)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물질을 각각 100 ng/㎖로 희석하고 MS/MS에 주입하였다. 분석모드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모드를 사용하였다.
질량분석기는 전자분무 이온화법으로 표준물질의 m/z 값과 질량 단편화(mass fragmentation)를 확인하였다. 먼저, 10 ng/㎖ 내지 100 ng/㎖ 농도의 표준물질을 주사기로 질량분석기에 주입하고, 전구체(precursor) 이온과 생성물(product) 이온이 높은 감도로 나올 수 있도록 MS/MS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이때, 처음 원료(source) 및 기체 파라미터의 수치는 초기 설정값으로 사용하였다. 각각 주입된 표준물질은 Q1 MS 스캔 모드로 확인하였다. 첫 번째 사중극자(quadrupole 1, Q1)에서 전구체가 [M+H]+ 또는 [M+H]- 형태로 선택되고, 이 전구체의 m/z 피크가 높게 생성되는 디클러스터링 포텐셜(declustering potential: DP) 값을 결정하였다.
이후 두 번째 사중극자를 통해 충돌(collision) 기체를 주입하여 전구체의 단편화를 일으켰다. 이 조각이온을 세번째 사중극자(quadrupole 3, Q3)에서 생성물 이온으로 선정하였다. 각 조각이온의 충돌 에너지(collision energy: CE) 값을 결정하고, 마지막에 최적화되는 파라미터는 CXP(collision cell exit potential)이고, 이외에도 EP(entrance potential), CEP(collision cell entrance potential)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였다.
이 후 MS 원료 파라미터는 자동 최적화 방법인 FIA(flow injection analysis)를 통해 최적화하였다. 이는 혼합된 분석대상이 컬럼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LC 시스템을 통해 전달되어 이온화와 관련된 원료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방법이다. 커튼 기체(curtain gas: CUR), 이온 스프레이 전압(ion spray voltage: IS), 온도(temperature: TEM), 네뷸라이징 기체(nebulizing gas), 가온 기체(heating gas)의 값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기기명 QTRAP 6500+ System
이온화 모드 ESI, 양이온 및 음이온 모드
스캔 종류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커튼 가스(curtain gas: CUR) 35 psi
이온 스프레이 전압(Ion spray voltage: IS) 5500 V
온도(temperature: TEM) 600℃
가스 압력 1(Gas pressure 1, nebulizing gas) 50 psi
가스 압력 2(Gas pressure 2, heating gas) 50 psi
분석 대상 물질들은 내인성 물질들로, 100 Da 내지 300 Da의 대체적으로 작은 분자량을 가지고, 동시 분석을 목적으로 하므로 Q1 MS 스캔 모드 모드에서 겹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분석대상 물질들의 이온 피크 감도가 좋은 이온을 2개씩 선정하였고, 그 중 이온의 강도가 좋은 이온을 정량분석에 이용하고 나머지 이온을 정성분석을 위해 선택하였다.
MS/MS를 통해 최적화된 전구체 이온 및 생성물 이온의 Q1과 Q3의 m/z, 그리고 이에 따른 DP, CE, CXP 값을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그룹 화합물 Q1 (m/z) Q3 (m/z) DP (V) CE (V) CXP (V)
Glu 글루탐산 148.1 83.9, 130 1 11, 21 6, 4
γ-아미노부티르산 104.006 87.0, 69.0 36 13, 21 10
글루타민 147.003 130, 84 1 13, 23 18, 12
4-아미노부티르-d6 산 110.085 93 1 15 14
Trp 트립토판 205.047 188.1, 146.0 31 13, 21 10, 12
세로토닌 177.071 160.1, 115.0 16 13, 37 8, 14
6-히드록시 멜라토닌 249.011 190.1, 130.0 1 19, 53 10, 10
인돌-3-프로피온산 190 130, 77 51 19, 61 16, 34
인돌-3-락트산 205.988 130.2, 118.0 61 33 14
인돌-3-아세트산 176.046 130.0, 103.1 46 19, 41 16, 14
트립타민 161.059 144, 117.0 1 13, 33 22, 16
키누레닌(Kynurenine) 209.055 192.1, 146.1 31 13, 27 12, 18
키누렌산(Kynurenic acid) 189.986 144.0, 115.9 116 25, 43 20, 54
3-히드록시키누레닌 224.978 110.0, 162.0 1 21, 27 14, 18
안트라닐산(Anthranilic acid) 137.99 120, 92 16 15, 29 16, 12
3-히드록시안트라닐산 153.719 136 150 47 15
크산투렌산(Xanthurenic acid) 205.979 160.1, 132.0 81 25, 37 10, 22
하르만(Harmane) 183.062 115.0, 168.1 121 39, 43 20, 14
노르하르만(Norharmane) 169.059 115.0, 142.1 131 37, 45 14, 16
13C-11 트립토판 216.18 199.1 1 13 12
세로토닌-d4 181.13 164.1, 136.1 1 11, 31 8
키누렌산-d5 194.93 149.1, 177.1 1 17, 27 14
하르만-d3 186.057 115 131 43 54
Tyr 티로신 182.033 165, 136 21 13, 17 24, 22
레보도파(Levodopa) 197.882 152, 181 76 13, 19 10, 18
도파민 154.045 137, 91 1 13, 31 22, 12
메타네프린(Metanephrine) 198.013 165.1, 120.1 1 27, 25 14, 8
3-메톡시티라민(Methoxytyramine) 168.101 119, 151 31 13, 25 20, 14
도파민-d4 158.11 141.2 1 15 6
호모바닐린산(Homovanilic acid) 180.858 135.9 -30 -12 -13
바닐릴만델산(Vanillylmandelic acid) 196.91 137.8 -40 -16 -15
히스타민 111.968 95.1, 83.0 1 19, 19 8,14
아세틸콜린 146.146 87.0, 58.0 1 19, 63 10, 26
아세틸콜린-d4 150.08 91.1, 43.1 36 19, 45 40,20
코르티솔 362.909 121, 91.1 1 25, 27 16
(†: 정량자 이온(Quantifier ion))
5. 크로마토그램 확인
실시예 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UPLC-MS/MS를 분석하여 신경화학물질이 적절히 분리된 크로마토그램을 얻었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도 2에 나타내었고, 각각의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화합물 약어 머무름 시간 (분)
히스타민 Hist 0.44
글루타민 Gln 0.52
글루탐산 Glu 0.54
4-아미노부티르-d6 산 IS_GABA-d6 0.54
γ-아미노부티르산 GABA 0.55
아세틸콜린-d4 IS_Ach-d4 0.85
아세틸콜린 Ach 0.9
레보도파 L-Dopa 1.22
도파민-d4 IS_DA-d4 1.26
도파민 DA 1.29
3-히드록시키누레닌 3-HK 1.70
메타네프린 MN 1.84
티로신 Tyr 1.86
바닐릴만델산 VMA 3.03
세로토닌-d4 IS_Ser-d4 3.05
세로토닌 Ser 3.05
3-메톡시티라민 3-MT 3.07
키누레닌 KYN 3.12
3-히드록시안트라닐산 3-HAA 3.36
크산투렌산 XA 3.52
13C-11 트립토판 IS_Trp-13C 3.52
트립토판 Trp 3.53
키누렌산-d5 IS_KA-d5 3.66
키누렌산 KA 3.66
트립타민 Trypta 3.70
노르하르만 NHM 3.97
호모바닐린산 HVA 4.07
하르만-d3 IS_HM-d3 4.13
하르만 HM 4.13
6-히드록시 멜란토닌 6-HM 4.13
안트라닐산 AA 4.32
인돌-3-락트산 ILA 4.55
인돌-3-아세트산 IAA 4.91
인돌-3-프로피온산 IPA 5.32
코르티솔 corti 5.33
6.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및 알코올 중독 환자의 세로토닌 농도에 대한 통계 분석
질량 분석 데이터에서 바이오마커 후보로 선정된 세로토닌 신경화학물질의 대조군 35명,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군 35 명 그리고 알코올 중독군 30 명의 발현 양상을 만-휘트니(Mann-Whitney) U-검정법으로 통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로토닌은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p 값 = 0.0465). 반면에, 알코올 중독군에서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 값 = 0.0325). 이를 통해, 세로토닌이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군, 및 알코올 중독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정확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진단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세로토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앱타머인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폴리클론 항체 또는 모노클론 항체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 진단용 키트.
  6.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이 의심되는 개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서 세로토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양을 정상 대조군의 세로토닌의 양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세로토닌의 양이 정상 대조군의 세로토닌의 양과 비교하여 증가한 경우,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 혈장, 혈청, 골수액, 림프액, 타액, 소변, 누액, 점막액, 양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물학적 시료와, 세로토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앱타머를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질량분석법(mass spectrometry: MS),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단백질 칩, 면역침강, 마이크로어레이, 전자현미경법(electron microscopy),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190095160A 2019-08-05 2019-08-05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KR10220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60A KR102203807B1 (ko) 2019-08-05 2019-08-05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60A KR102203807B1 (ko) 2019-08-05 2019-08-05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07B1 true KR102203807B1 (ko) 2021-01-15

Family

ID=7412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60A KR102203807B1 (ko) 2019-08-05 2019-08-05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1222A (zh) * 2023-03-23 2023-07-04 北京巴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血清素发光免疫检测方法及血清素检测试剂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944A (ja) * 2003-10-27 2006-04-20 Tosoh Corp ニコチン依存度の判定方法
KR20100127799A (ko) * 2008-02-28 2010-12-06 유니버시티 오브 버지니아 페이턴트 파운데이션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 및 알콜중독의 치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944A (ja) * 2003-10-27 2006-04-20 Tosoh Corp ニコチン依存度の判定方法
KR20100127799A (ko) * 2008-02-28 2010-12-06 유니버시티 오브 버지니아 페이턴트 파운데이션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 및 알콜중독의 치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혈액시료기반 인터넷, 게임 중독 통합 바이오마커 발굴 및 예측 모델 개발, 정부과제 최종보고서, 2017, pp 1-3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1222A (zh) * 2023-03-23 2023-07-04 北京巴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血清素发光免疫检测方法及血清素检测试剂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legrini et al.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assay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and metabolites, caffeine and arecoline in breast milk
Shi et al. Salivary tau species are potential biomarkers of Alzheimer's disease
Boroumand et al. Saliva, a bodily fluid with recognized and potential diagnostic applications
US20160231341A1 (en) Multidrug analysis in urine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Matus et al. A multi‐residue method for 17 anticoccidial drugs and ractopamine in animal tissues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d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EP3070477A1 (en) Trimethylamine compounds as risk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Desiderio et al. Cerebrospinal fluid top‐down proteomics evidenced the potential biomarker role of LVV‐and VV‐hemorphin‐7 in posterior cranial fossa pediatric brain tumors
US20090011452A1 (en) Method of Prognosis of Mental Diseases, E.G. Autism and Cerebral Palsy
EP3028049B1 (en) Diagnostic tools for alzheimer's disease
Wang et al. Label‐free quantitative comparison of cerebrospinal fluid glycoproteins and endogenous peptides in subjects with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healthy individuals
Yang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vel LC-MS/MS opioid confirmation assay: evaluation of β-glucuronidase enzymes and sample cleanup methods
Shin et al. Identification of ganglioside GM 2 activator playing a role in cancer cell migration through proteomic analysis of breast cancer secretomes
CN112630311A (zh) 用于检测情感障碍的代谢标记物和试剂盒及使用方法
Lee et al. Analysis of benzodiazepines and their metabolites using DBS cards and LC–MS/MS
Shah et al. Evaluation of serum glycoprotein biomarker candidates for detection of esophageal adenocarcinoma and surveillance of barrett's esophagus
Aror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SI‐LC‐MS/MS method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24 analytes of forensic relevance in vitreous humour, whole blood and plasma
Chirollo et al. Investigation of the persistence of penicillin G and dihydrostreptomycin residues in milk of lactating buffaloes (Bubalus bubalis) using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andem mass spectrometry
KR102203807B1 (ko) 중독의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중독의 진단을 위한 세로토닌의 검출 방법
Jiang et al. Quantification of major royal jelly proteins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and application in honey authenticity
Das Gupta et al. Dynamics of clusterin protein expression in the brain and plasma following experimental traumatic brain injury
Mittal et al. Detection of new human metabolic urinary markers in chronic alcoholism and their reversal by aqueous extract of Tinospora cordifolia stem
Kim et al. A comprehensive and sensitive method for hair analysis in drug-facilitated crimes and incorporation of zolazepam and tiletamine into hair after a single exposure
Jang et al. Mass spectrometry‐based proteomics analysis of human globus pallidus from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atients discovers multiple disease pathways
Lin et al. The identification of a potential plasma metabolite 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by LC-MS untargeted metabolomics
J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Novel Human β-glucocerebrosidase Antibodies for Parkinson’s Disease Resea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