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05B1 - 선로전환기 - Google Patents

선로전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05B1
KR102202605B1 KR1020190073911A KR20190073911A KR102202605B1 KR 102202605 B1 KR102202605 B1 KR 102202605B1 KR 1020190073911 A KR1020190073911 A KR 1020190073911A KR 20190073911 A KR20190073911 A KR 20190073911A KR 102202605 B1 KR102202605 B1 KR 10220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unit
signal
mo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213A (ko
Inventor
강봉완
신복원
유도균
김선동
오구식
박건원
윤도근
서지현
신재춘
나효운
진상민
Original Assignee
서울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교통공사 filed Critical 서울교통공사
Priority to KR1020190073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2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0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으로, 선로 전환을 위한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되는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흡수하여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접점 보호부; 상위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터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모터부에 출력하는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하여 상기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로가 전환될 경우, 상기 상위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신호를 다시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부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를 통해 선로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상위 제어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커넥터부; 및 상기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선로전환기간에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로전환기{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로전환기의 배선 누전 및 접점 장애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기는 철도, 지하철, 및 트램 등의 선로가 분기되거나 또는 평면 교차하는 곳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진로를 결정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선로전환기는 선로가 분기되거나 평면 교차하는 곳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 진로를 결정짓는 중요한 장치로써, 열차의 진로제어는 통제부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명령을 선로전환기제어모듈을 통하여 각 역의 연동장치에 전달하게 되며, 이 제어명령은 선로전환기로 전송되어 선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최근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철도에서의 구성 요소 관리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철도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선로전환기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안전하게 변경시키는 중요한 구성 요소로써, 선로전환기의 이상 상황과 고장 발생은 열차운행지연과 같은 작은 사고, 또는 탈선과 같은 대형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선로전환기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이상 상황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선로전환기에 이상 상황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선로전환기의 유지 및 보수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선로전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가 설치된 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습기, 진동, 및 부식에 의해 접점 장애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비가 내리거나 청소를 위해 뿌리는 물에 의해 배선이 누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점 장애 및 누전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로전환기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85425호(2009.02.18. 등록, 선로전환기의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선로전환기의 배선 누전 및 접점 장애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로전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로전환기는, 선로 전환을 위한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되는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흡수하여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접점 보호부; 상위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터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모터부에 출력하는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하여 상기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로가 전환될 경우, 상기 상위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신호를 다시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부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를 통해 선로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상위 제어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커넥터부; 및 상기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선로전환기간에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위 제어부와 상기 전로전화기간에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는 것은, 전원 및 신호의 전달 시, 물리적으로 습기, 진동, 및 부식에 의해 접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비가 내리거나 청소를 위해 뿌리는 물에 의해 배선이 누전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및 피드백 회로부는, 모터부의 구동 및 피드백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계전기를 사용하며, 상기 계전기 내부의 각 접점은 2중화 접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중화 접점은, 금 합금(PGS) 재질로서, Pt(백금) 6%, Au(금) 69%, AG(은) 25%의 조성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는, 상부에 4개의 고정 나사의 헤드가 돌출되며, 상기 각 고정 나사의 반대 측 끝이 계전기 내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잭판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고정 나사 중 커넥터부가 부착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2개의 나사는 상기 커넥터부의 숫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만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에 숫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계전기를 잭판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암 커넥터와 숫 커넥터가 셋트로 구성되며, 상기 계전기가 선로전환기의 잭판에 고정될 때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상기 암 커넥터가 부착되며, 상기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가 회전할 때, 이물질이 상기 커넥터부에 튀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 커넥터의 외측으로 보호막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로전환기는, 내측의 인터페이스부에 복수의 단자대가 설치되고, 전원과 신호의 전달을 위한 각 라인이 상기 단자대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단자대에 연결되는 각 라인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정된 컬러가 표시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단자대에는 회선 연결을 위한 링크 잭을 꽂을 수 있는 링크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로전환기는, 외측의 인터페이스부에 전원 및 신호 케이블을 케이싱하는 원형의 주름관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대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대에 삽입되는 주름관의 끝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이 삽이되는 단자대의 입구에는 원통형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위 제어부는, 선로 전환을 위하여 상기 선로전환기에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 타이머 카운트를 시작하고, 상기 선로전환기로부터 선로 전환 신호가 수신되는지 체크하여, 상기 선로 전환 신호가 지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될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선로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 카운트를 종료하고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지정된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인지 체크하고,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 아니면,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면, 상기 수신된 선로 전환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상기 선로 전환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선로전환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의 배선 누전 및 접점 장애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로전환기의 설치 위치와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전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및 피드백 회로부에 적용되는 계전기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커넥터부의 형상과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형상과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형상과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동작에 따라 상위 제어부에서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로전환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로전환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로전환기(100)는, 모터부(110), 접점 보호부(120),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 피드백 회로부(140), 커넥터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110)는 선로 전환을 위한 내부의 치차(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부(110)는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의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모터 제어신호에 따라 좌 또는 우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부(110)가 좌 또는 우로 회전함에 따라 선로전환기(100) 내부의 치차(미도시)가 회전하며 선로를 전환한다.
상기 접점 보호부(120)는 상기 모터부(110)가 구동되는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전류에 의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돌입전류를 흡수한다.
예컨대 상기 접점 보호부(120)는 돌입전류를 흡수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커패시터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는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터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모터부(110)에 출력한다.
상기 피드백 회로부(140)는 상기 모터부(110)가 구동하여 상기 선로전환기(100) 내부의 치차(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로가 전환될 경우,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커넥터부(150)는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를 통해 상기 모터부(11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140)를 통해 선로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와 본 실시예에 따른 선로전환기(100)간에 전원 및 신호(즉, 제어신호, 피드백신호 등)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부(15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가 전원 및 신호(즉, 제어신호, 피드백신호 등)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는 의미는, 습기, 진동, 및 부식에 의해 접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비가 내리거나 청소를 위해 뿌리는 물에 의해 배선이 누전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부(15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60)가 전원 및 신호(즉, 제어신호, 피드백신호 등)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물리적인 형상에 특징이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및 피드백 회로부에 적용되는 계전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 및 피드백 회로부(140)는 모터부(110)의 구동 및 피드백신호의 안정적인 전달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전기를 사용하며, 계전기 내부의 각 접점은 2중화 접점으로 형성된다. 즉, 각 접점은 하나의 신호를 2개의 접점이 동시에 가동되는 2중화 접점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도 3에 있어서, 계전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는 상기 계전기를 고정시키는 용도(즉, 선호전환기의 바닥에 설치된 잭판에 계전기를 꽂아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접점의 재질은 금합금(PGS)으로 Pt(백금) 6%, Au(금) 69%, AG(은) 25%의 조성비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내식성이 우수하고, 접촉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미소부하용(예 : 피드백신호 전달용)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고, 신호 전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신호는 미소전류(마이크로 암페어)로 구현된다.
다만 모터부(110) 구동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접점(중.소부하용 접점)의 재질(예 : 은 재질)은 상기 미소부하용(예 : 피드백신호 전달용) 접점의 재질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계전기의 상부에는 4개의 고정 나사의 헤드가 돌출되어 있으며, 각 고정 나사의 반대 측 끝(즉, 나사선이 형성된 테일)이 내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잭판(미도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4개의 고정 나사 중 상기 커넥터부(150)가 부착되는 측면(예 :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2개의 나사는 상기 커넥터부(150)의 숫 커넥터(미도시)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만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150)에 숫 커넥터(미도시)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계전기를 잭판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형성된다. 반대로 상기 숫 커넥터(미도시)를 상기 커넥터부(15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계전기를 잭판(미도시)에 먼저 고정한 후 숫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한다.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커넥터부의 형상과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계전기의 일 측면(예 :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부착된 커넥터부(150)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커넥터부(150)(즉, 암 커넥터)에 숫 커넥터가 결합된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부(150)는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130)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140)에서 상기 모터부(110)의 구동 및 상기 피드백신호의 안정적인 전달을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계전기의 일 측면(예 :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커넥터부(150)는 암 커넥터와 숫 커넥터가 셋트로 구성되며, 상기 계전기의 일 측면(예 :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부착되는 상기 커넥터부(150)는 암 커넥터에 해당된다.
이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선로전환기(100) 내부의 치차(미도시) 회전 시, 이물질(예 : 오일 등)이 상기 커넥터부(150)에 튀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부(150)의 외측으로 보호막(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형상과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의 (a)는 도 5의 (b)에 도시된 단자대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와 선로전환기(100)간에 전원 및 신호(즉, 제어신호, 피드백신호 등)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
이때 선로전환기(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160)는 각 라인(예 : 전원 라인, 신호 라인)이 단자대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에는 각 라인(예 : 전원 라인, 신호 라인)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정된 컬러(색상)를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단자대에는 링크 잭(즉, 회선 연결을 위한 점프 케이블의 잭)을 꽂기 위한 링크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 잭을 상기 링크 홀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 연결을 위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의 개략적인 형상과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전환기(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은 고압으로 살수되는 물이나 장마철에 내리는 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주름관을 통해 케이싱되며, 상기 주름관의 끝은 말랑말랑한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름관을 단자대 내부 끝까지 밀어 넣어 밀착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대의 끝(즉, 입구)에는 원통형 클립이 형성됨으로써, 단자대에 주름관을 결합할 때는 상기 클립을 열어 주름관이 쉽게 삽입되게 하고, 상기 주름관을 단자대의 내부 끝까지 밀어 넣은 후에는 상기 클립을 고정하여 주름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밀착시킨다. 더구나 상기 주름관을 고정하기 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외부의 물이나 습기로부터 내부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로전환기(100)는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이나 이상 상황의 발생을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에서 상기 선로전환기(100)의 고장 발생이나 이상 상황의 발생을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선로전환기의 동작에 따라 상위 제어부에서 선로전환기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위 제어부(미도시)가 선로 전환을 위하여 상기 선로전환기(100)에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S101), 상기 상위 제어부는 타이머 카운트를 시작한다(S102).
또한 상기 상위 제어부는 선로 전환 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지 체크하고(S103), 선로 전환 신호가 지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될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S103의 아니오, S104의 아니오), 선로전환기(100)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한다(S110).
또한 상기 상위 제어부는 상기 선로 전환 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면(S103의 예), 상기 타이머 카운트를 종료하고(S105),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인지 체크한다(S106).
예컨대 상기 선로 전환 신호(즉, 피드백 신호)가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 너무 빨리 수신되거나 너무 늦게 수신되는 경우(즉, 지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난 시간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로전환기(100)의 배선이나 내부 회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크(S106) 결과,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면(S106의 예), 상기 상위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선로 전환 신호(즉, 피드백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S107),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 아니면(S106의 아니오), 선로전환기(100)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한다(S110).
또한 상기 선로 전환 신호(즉, 피드백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또는 오차율) 이내인 경우(S108의 예), 상기 상위 제어부는 상기 선로전환기(10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S109), 만약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또는 오차율)를 벗어나는 경우(S108의 아니오), 선로전환기(100)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한다(S110).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로전환기(10))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개선하여, 습기, 진동, 및 부식에 의한 접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비가 내리거나 청소를 위해 뿌리는 물에 의한 배선의 누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선로전환기(100)와 연결된 상위 제어부(예 : 기계실, 관제실 등)(미도시)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선로전환기(100)의 고장 발생이나 이상 상황의 발생을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로전환기(100)에 의한 열차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선로전환기
110 : 모터부
120 : 접점 보호부
130 :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140 : 피드백 회로부
150 : 커넥터부
160 : 인터페이스부

Claims (9)

  1. 선로 전환을 위한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되는 초기에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흡수하여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접점 보호부;
    상위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모터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상기 모터부에 출력하는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상기 모터부가 구동하여 상기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선로가 전환될 경우, 상기 상위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신호를 다시 상위 제어부에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부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를 통해 선로 전환을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상기 상위 제어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커넥터부; 및
    상기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선로전환기간에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 회전방향 제어부 및 피드백 회로부는,
    모터부의 구동 및 피드백신호의 전달을 위하여 계전기를 사용하며, 상기 계전기 내부의 각 접점은 2중화 접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제어부와 상기 선로전환기 간에 전원 및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한다는 것은,
    전원 및 신호의 전달 시, 물리적으로 습기, 진동, 및 부식에 의해 접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비가 내리거나 청소를 위해 뿌리는 물에 의해 배선이 누전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중화 접점은,
    금 합금(PGS) 재질로서, Pt(백금) 6%, Au(금) 69%, AG(은) 25%의 조성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는,
    상부에 4개의 고정 나사의 헤드가 돌출되며, 상기 각 고정 나사의 반대 측 끝이 계전기 내부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잭판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고정 나사 중 커넥터부가 부착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2개의 나사는 상기 커넥터부의 숫 커넥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만 노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부에 숫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계전기를 잭판에서 분리할 수 없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암 커넥터와 숫 커넥터가 셋트로 구성되며,
    상기 계전기가 선로전환기의 잭판에 고정될 때 치차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에 상기 암 커넥터가 부착되며,
    상기 선로전환기 내부의 치차가 회전할 때, 이물질이 상기 커넥터부에 튀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 커넥터의 외측으로 보호막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전환기는,
    내측의 인터페이스부에 복수의 단자대가 설치되고,
    전원과 신호의 전달을 위한 각 라인이 상기 단자대에 각기 연결되며,
    상기 단자대에 연결되는 각 라인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정된 컬러가 표시되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단자대에는 회선 연결을 위한 링크 잭을 꽂을 수 있는 링크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전환기는,
    외측의 인터페이스부에 전원 및 신호 케이블을 케이싱하는 원형의 주름관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대가 설치되고,
    상기 단자대에 삽입되는 주름관의 끝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관이 삽입되는 단자대의 입구에는 원통형 클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제어부는,
    선로 전환을 위하여 상기 선로전환기에 모터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 타이머 카운트를 시작하고,
    상기 선로전환기로부터 선로 전환 신호가 수신되는지 체크하여, 상기 선로 전환 신호가 지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될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선로 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 카운트를 종료하고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지정된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인지 체크하고,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 아니면,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타이머 카운트 값이 기준 범위 이내의 값이면, 상기 수신된 선로 전환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고,
    상기 선로 전환 신호의 파형을 분석한 결과,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선로전환기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신호 파형의 찌그러짐이 기준 파형의 형태 대비 지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선로전환기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로전환기.
KR1020190073911A 2019-06-21 2019-06-21 선로전환기 KR10220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11A KR102202605B1 (ko) 2019-06-21 2019-06-21 선로전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11A KR102202605B1 (ko) 2019-06-21 2019-06-21 선로전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13A KR20200145213A (ko) 2020-12-30
KR102202605B1 true KR102202605B1 (ko) 2021-01-13

Family

ID=7408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11A KR102202605B1 (ko) 2019-06-21 2019-06-21 선로전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25B1 (ko) * 2008-12-31 2009-02-24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선로전환기의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1015974B1 (ko) * 2009-02-13 2011-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의 전기선로 전환기용 모터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711A (ko) * 2014-04-15 2015-10-23 한국철도공사 선로 전환 밀착 검지 장애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425B1 (ko) * 2008-12-31 2009-02-24 대전광역시 도시철도공사 선로전환기의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1015974B1 (ko) * 2009-02-13 2011-02-2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의 전기선로 전환기용 모터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213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2298A1 (en) Elevator car with a foldable balustrade and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having such an elevator car
EP2003038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the operation of a railroad gate
CN103545804A (zh) 一种直流输入端防反接保护电路和方法、直流输入设备
KR20140029971A (ko) 분기기 및 선로전환기 실시간 감시 및 진단 시스템
CN102006768A (zh) 一种smt停机的方法及其装置
CN107946767A (zh) 一种基于can总线的天线倒伏控制装置
KR102202605B1 (ko) 선로전환기
CN103741614A (zh) 一种智能道闸机及其控制方法
CN201877307U (zh) 一种断路器工作与试验位置自动转换机构
CN110763990A (zh) 一种新能源汽车中继电器的诊断方法
CN107422227B (zh) 一种列车车门安全互锁回路的故障检测装置及方法
US10138712B2 (en) Subsea electrical unit and system
CN103863361B (zh) 屏蔽门故障定位系统
CN104192665A (zh) 电梯厅门检测报警系统及方法
CN105974852A (zh) 一种水利闸门远程控制的方法及装置
CN201289512Y (zh) 一种电缆拖链断裂检测装置
CN201522537U (zh) 接触网检修作业中挂接地线状态检报装置
CN109132813B (zh) 电梯门电路及其短接检测方法
CN112462300A (zh) 轨道电路分路不良监测系统及方法
KR20200063547A (ko) 단선 길이 영향 없는 지중 배전선로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CN213734958U (zh) 一种轨道交通站台的等电位控制系统
CN209890031U (zh) 一种带安全保护的电梯检修控制回路
CN104742915A (zh) 一种选择性分合的地铁屏蔽门等电位连接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47083B1 (ko) 단지내 지중 통신 케이블 고장 복구 설비
CN2207654Y (zh) 高压接地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