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336B1 - 로터리 엔진 - Google Patents

로터리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336B1
KR102202336B1 KR1020190080594A KR20190080594A KR102202336B1 KR 102202336 B1 KR102202336 B1 KR 102202336B1 KR 1020190080594 A KR1020190080594 A KR 1020190080594A KR 20190080594 A KR20190080594 A KR 20190080594A KR 102202336 B1 KR102202336 B1 KR 10220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uel
intake
combustion chamb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휘성
박건영
장수호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336B1/ko
Priority to PCT/KR2020/007692 priority patent/WO20210026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3/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engines
    • F02B53/04Charge admission or combustion-gas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1C21/18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for variable fluid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3/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engines
    • F02B53/10Fuel supply; Introducing fuel to combustion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5/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 pistons; 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 F02B55/08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30/00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pistons rotating or oscillating with relation to the housing
    • F02B2730/01Internal combustion engines with pistons rotating or oscillating with relation to the housing with one or more pistons in the form of a disk or rotor rotating with relation to the housing; with annular working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연료의 난류강도(turbulence intensity)를 증가시키는 난류형성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난류형성부는 연료가 주입되는 흡기장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엔진 {A rotary engine}
본 발명은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에 유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로터리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엔진은 회전운동으로 동력을 생산하는 엔진을 말한다. 로터리엔진은 피스톤엔진에 비해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소형화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연소행정이 가능하여 적은 배기량으로 높은 출력을 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로터리 엔진은 회전력이 균일하여 피스톤엔진에 비해 진동 및 소음이 적고, 질소산화물을 적게 배출한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근자에는 이러한 로터리 엔진의 장점으로 인해 자동차, 자전거, 항공기, 제트스키 등의 주요 엔진으로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인해 히트 펌프 시스템의 압축기에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로터리 엔진을 대표할 수 있는 방켈 엔진을 도시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7-44078호 참조) 상기 로터리 엔진은 에피트로코이드(epitrochoid) 곡선 모양의 하우징(100)과 이것에 내접하는 삼각형 모양의 로터(2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이 실린더에 해당하고 로터(200)가 피스톤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1(a)은 종래 로터리 엔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로터(200)을 수용하며 에피트로코이드 곡선으로 구비된 연소실을 형성하는 로터하우징(130)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일면을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하우징(110)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타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엔진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연료를 주입하도록 구비되는 흡기부(140)와, 상기 하우징(100)에서 연소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기부(150)를 더 포함한다.
종래 로터리 엔진(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하우징(130)에 상기 흡기부(140)이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이로써, 상기 로터(200)의 일면이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연료가 주입되도록 하여, 상기 로터(200)에 의해 상기 연료의 주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b)는 종래 로터리 엔진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과 로터(200) 사이에 3개의 공간이 있으며, 로터(200)의 회전으로 각 공간의 부피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200)의 일면이 상기 흡기부(140)를 개방하면, 상기 흡기부(140)에서 연료(F)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다. (흡기행정) 상기 하우징(100)에 투입된 연료(F)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함께 하우징(10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며 압축된다.(압축행정) 상기 연료(F)가 점화장치(400)에 부근에 도달하면, 상기 점화장치(400)는 스파크 등을 발생시켜 상기 연료(F)를 폭발시킨다.(폭발행정) 상기 로터(200)는 상기 폭발된 연료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며 상기 배기구(150)를 개방하여 연소된 연료(F)를 배출시킨다.(배기행정)
다시말해, 종래 로터리 엔진은 상기 로터(200)가 1회전하는 사이에 흡기, 압축, 폭발, 배기의 4사이클 동작이 완성된다.
이러한, 로터리 엔진은 흡입 ·압축을 위한 밸브는 없고 2사이클과 같은 흡기구 ·배기구를 로터(200)가 회전하여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크랭크가 없으므로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2는 종래 로터리 엔진의 연소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2(a)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200)는 I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연료(F)는 상기 흡기부(140)에서 상기 I방향과 대응되는 II방향으로 유입된다. II방향으로 유입되는 연료(F)는 별다른 저항이 없기 때문에 층류(laminar flow) 형태로 유입되거나, 난류정도(turbulent intensive)가 약한 유동으로 유입된다. 상기 II방향으로 유입되는 연료(F)는 상기 점화장치(400)를 향하여 집중적으로 압축된다.
도2(b)를 참조하면, 종래 로터리 엔진의 점화장치(400)는 제1점화장치(410)와, 상기 제1점화장치(420)에서 로터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점화장치(4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점화장치(410)에 연료가 더 많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점화장치(410)에 1차 점화가 발생하며, 이후 로터(200)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연료가 압축되면 제2점화장치(420)에 2차 점화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제1차점화장치(410)에서 점화된 연료는 폭발하며 II방향과 반대인 III방향으로 화염이 전파된다. 상기 전파되는 화염은 이동하며 점화장치(400)에 의해 점화되지 않는 연료까지 모두 연쇄적으로 폭발시킨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엔진은 상기 연료가 화염전파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연료의 유동 자체가 화염의 전파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연료(F)는 층류나 난류정도가 약한 유동으로 유입되어 화염의 전파정도를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로터리 엔진은 연료(F)가 전부 연소되지 않거나, 충분히 연소되지 않아 의도한 효율보다 엔진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 로터리 엔진 중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점화장치가 단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화염 전파정도가 더욱 감소하여 엔진효율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로터리 엔진은 연료의 연소가 상대적으로 느리므로 연료가 의도치 않는 부분에서 자발화되거나 폭발하여 로터(200)의 회전을 방해하는 노크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종래 로터리 엔진은 연료를 로터하우징(130)을 통해 공급하게 되므로 흡기구의 직경이나 위치가 제한되어 다량의 연료를 일시에 연소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연료에 난류정도(turbulent intensive)를 강화할 수 있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를 로터의 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공급하여 연료의 연소효율을 강화시킬 수 있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를 다양한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하여 엔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유입되는 연료들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엔진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난류형성부를 설치하여,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난류 정도를 강화시켜 공기의 혼합율을 높이고 층류 화염의 화염면보다 훨씬 빠르게 화염면을 확산시켜 연소 효율을 높인다. 또한, 빠르게 연소과정이 진행되면서 자발화와 노크의 발생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혼합기의 난류강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체를 포트 직전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을 통해 설치 하고자 하는 구조체(bluff body)는 흡기부(흡기포트) 직전, 연소실로 혼합기가 유입되기 직전, 흡기관 유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로 유입되는 혼합기의 난류강도를 증가시킨다. 구조체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로터하우징을 기준으로 양쪽 사이드 하우징으로 연료-공기 혼합기를 연소실로 유입시킨다. 따라서, 다량의 연료를 주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양쪽에서 동시에 공급되는 혼합기는 연소실에서 서로 부딪히며 운동에너지를 잃고 난류강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기가 서로 상쇄되지 않도록 제1 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흡기 유로의 방향과 곡률을 다르게 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흡기 유로로부터 포트로의 접근 각도를 달리하여 로터의 일면 및 타면으로 혼합기를 분배/공급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유로 내부에 연소실 일면 및 타면으로 혼합기를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를 설치 할 수 있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양쪽 사이드 면에서 공급되는 연료-공기 혼합기가 로터 양쪽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는 형상과 양쪽으로 분배하기 위한 흡기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연소실 양측으로 혼합기를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연료에 화염전파를 가속화하여 엔진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연료가 화염전파를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여 엔진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같은 체적에 다량의 연료를 공급하여 엔진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량의 연료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성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연료-공기 혼합기의 난류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료-공기의 혼합율을 증가시키고 화염전파속도를 증가시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소과정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자발화와 노크 발생가능성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로터리 엔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로터리 엔진에서 화염이 전파되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연료가 유입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연료에 난류강도를 강화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난류생성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연료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로터리엔진에서 연료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로터리엔진에서 연료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132)과 상기 연소실(132)로 윤활오일이 공급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상기 연소실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거나 압축하며 상기 윤활오일로 윤활되는 로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로터(200)를 수용하면서 상기 로터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로터하우징(130)과, 상기 로터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을 밀폐하는 제1하우징(110)과, 상기 로터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을 밀폐하는 제2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하우징(130)은 상기 로터(200)와 내접하며 상기 로터(200)를 수용하는 수용바디(131)와, 상기 수용바디(131)의 내부에 구비되어 로터(200)를 수용하거나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실(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로터리 엔진(1)은 상기 연소실(132)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흡기부(140)와 상기 연소실(132)에 연소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 일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는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연료의 화염전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기부(140)는 상기 연료를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200)의 양측면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결합하여 상기 연소실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를 관통하여 상기 흡기부(14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흡기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마주하면서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바디(12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를 관통하여 상기 흡기부(140)와 연통하는 제2흡기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는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의 일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터(200)의 외주면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연료가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배기부(150)도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하우징(120) 중 하나 이상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제1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150)와 연통하는 제1배기홀(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120)는 상기 제2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150)와 연통하는 제2배기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도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이 구비되는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터(200)가 최대한 1회전이 완성된 상태에서 연소된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은 각각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에서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는 흡기되는 연료와 애기되는 연료가 희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면 어떠한 거리로 구비되어도 충분하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로터(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00)이 관통하거나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거나 상기 회전축의 일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1지지홀(116)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회전축(300)이 관통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회전축의 타단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제2지지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연료를 압축하거나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로터바디(210)와 상기 로터바디(21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관통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0)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20)은 상기 회전축(230)의 일부와 맞물려 구비될 수 있는 내주기어(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연소실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흡입부(140)에서 흡기된 연료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연료를 상기 로터하우징(130)으로 밀어내어 압축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로터하우징(130)과 면접촉 또는 선접촉하여 상기 연소실을 구획하는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로터(200)가 단면이 삼각형인 경우를 가정하여 서술하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 일뿐, 상기 로터(200)가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구비되어도 동일한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로터(200)는 상기 연소실(132)을 3부분으로 구획하도록 단면이 삼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터(200)는 외주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제1압축면(211)과, 상기 제1압축면(211)의 말단에서 상기 로터의 외주면 중 다른 면을 형성하는 제2압축면(212)과, 상기 제2압축면(212)의 말단에서 상기 로터의 외주면 중 또 다른 면을 형성하는 제3압축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200)는 3개이 모서리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압축면(211)과 상기 제2압축면(212)은 제1모서리(A)를 공유할 수 있고, 상기 제2압축면(212)과 상기 제3압축면(213)은 제2모서리(B)를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압축면(213)과 상기 제1압축면(211)은 제3모서리(C)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상기 로터(200)가 회전할 때마다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면접촉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상기 연소실(132)을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면접촉되어 연소실(132)을 구획하나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될 우려가 있다. 즉, 흡입된 연료가 상기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이 접촉된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내주면을 통과하여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상기 로터하우징(130)을 향하여 밀착되는 사이드실 또는 코너실(se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실 또는 코너실(seal)은 상기 로터(200)와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압축면(211)과 상기 제2압축면(212), 상기 제3압축면(213)는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연료가 수용되거나, 연료가 폭발할 때 반발력을 받을 수 있는 제1홈(2111), 제2홈(2121), 제3홈(2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은 상기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제1축(310)과, 상기 제2하우징(120)에 결합되는 제2축(330)과, 상기 제1축(310)과 상기 제2축(330)을 연결하되 상기 제1축(310)과 상기 제2축(320)의 회전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비되는 편심축(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310)과 상기 제2축(330)은 회전중심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20)은 상기 제1축 또는 상기 제2축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20)은 상기 관통홀(220)에 수용되어 상기 관통홀(220)의 일부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내주면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심축(320)은 상기 연료를 압축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편심축(320)의 외주면은 상기 내주기어(225)와 맞물릴 수 있는 외주기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실링 또는 공간분할을 위해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면접촉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서리(A), 상기 제2모서리(B), 상기 제3모서리(C)는 상기 로터하우징(130)과 마찰이 심하며, 연료가 폭발하는 경우 고온에도 노출되어 윤활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로터(200)와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접촉면을 윤활하는 윤활오일을 공급하는 오일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공급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200)에 윤활오일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오일공급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윤활오일이 이동하는 공급유로(570)와, 상기 로터(200)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공급유로(570)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실링부(530)와, 상기 실링부(530)를 상기 연소실을 향하여 가압시키는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로터리 엔진(1)은 상기 연소실(132)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흡기부(140)와 상기 연소실(132)에 연소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배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 일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는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연료의 화염전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2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기부(140)는 상기 연료를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과 무관하거나 경사진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200)의 양측면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결합하여 상기 연소실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를 관통하여 상기 흡기부(14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제1흡기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0)은 상기 제1하우징(110)과 마주하면서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바디(12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를 관통하여 상기 흡기부(140)와 연통하는 제2흡기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는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의 일측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터(200)의 외주면과 상기 로터하우징(1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연료가 주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이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구비된 것이 아니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면을 통해 연료가 투입되므로 다량의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어 엔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부(150)도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하우징(120) 중 하나 이상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0)은 상기 제1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150)와 연통하는 제1배기홀(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하우징(120)는 상기 제2하우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부(150)와 연통하는 제2배기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도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이 구비되는 상기 제1하우징바디(111)와 상기 제2하우징바디(1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터(200)가 최대한 1회전이 완성된 상태에서 연소된 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은 각각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에서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는 흡기되는 연료와 애기되는 연료가 희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면 어떠한 거리로 구비되어도 충분하다. 상기 제1배기홀(113)과 상기 제2배기홀(123)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로터리 엔진(1)은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장치는 상리 하우징(100)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에 노출되는 장치로서 상기 연소실에 에너지를 공급하여(ex. Spark 발생)하여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1)은 상기 점화장치를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터 하우징(130)의 내주면이 가장 연료가 많이 압축되는 영역이므로 연료의 점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터 하우징(130)은 점화장치가 결합되는 삽입홀(133,1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133,134) 로터하우징(13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과 반대 영역 또는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흡기홀과 배기홀과 마주하는 영역이 가장 많이 연료가 압축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한편, 로터(200)가 회전하여 연료를 삽입홀을 향하여 압축하기 시작하면,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연료의 앞부분을 점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연료의 앞부분이 뒷부분 보다 더 많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더욱 용이하게 점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료의 앞부분이 점화되기 시작하여 발생하는 화염은 연료의 전체영역으로 전파되어 상기 연료의 뒷부분까지 연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흡기홀이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료가 주입되는 방향은 상기 화염전파방향과 반대방향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료의 이동이 상기 화염전파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상기 연료가 더욱 효과적으로 점화되어 연소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삽입홀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의 점화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홀은 제1점화장치가 결합되는 제1삽입홀(133)과 상기 제2점화장치가 결합되되 상기 제1삽입홀(133) 보다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삽입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점화장치는 상기 연료의 후방을 재점화함으로서 전체 연료가 연소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로터하우징(130)에 흡기홀이 설치되어 연료의 이동방향이 화염전파방향과 반대가 되면, 상기 제1삽입홀(133)과 상기 제2삽입홀(134) 사이에 위치한 연료는 연소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흡기홀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므로 상기 연료의 이동방향이 화염전파방향과 반대방향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복수의 점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어도 점화장치들 사이의 연료까지 모두 연소시킬 수 있어 엔진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 흡기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4(b)는 상기 흡기부가 하우징에 결합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하우징(100)에 연료를 공급하는 흡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는 연료공급원에 결합되어 연료를 공급받는 공급부(144)와, 상기 공급부(144)에서 상기 제1흡기홀(112)에 연장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제1흡기부(141)와, 상기 상기 공급부(144)에서 상기 제2 흡기홀(122)에 연장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제2흡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는 연료가 이동하는 파이프나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를 유동하는 연료는 공기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기 일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는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를 고정하는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3)는 상기 제1흡기부(141)가 관통하는 제1고정홀(143a)과 상기 제2흡기부(142)가 관통하는 제2고정홀(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3)로 인해,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는 경사나 방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로터(200)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흡기부(141)를 통해 상기 연료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I)과 경사진 제1방향(A)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흡기부(142)를 통해 상기 연료는 상기 로터(200)의 회전방향(I)과 경사진 제2방향(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I)과 화염전파방향(III)은 서로 다른 방향이므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기 화염전파방향과도 서로 경사진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연료가 유입되는 방향(A,B)은 화염전파를 방해하는 방향이 아니므로 상기 연료의 점화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흡기부(14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상기 제1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하우징(120)에 만 연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료는 상기 화염전파가 더 많이 수행될 수록 더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다. 이때, 화염의 전파는 연료의 분자들이 수행하는 것이므로 연료가 층류 형태로 유동할 때 보다 난류 형태로 유동할 때가 훨씬 더 빠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흡기홀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동의 속도, 연료의 점성, 흡기부의 직경 등을 고려할 때 층류 형태이거나 난류정도가 약할 수 있다. 상기 난류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흡기홀로 공급되는 연료의 속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는 연료공급장치의 부하를 증가시키며 상기 연소실(132)에서 연료가 역류하거나 누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연료의 기존 유입속도에서도 난류정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5는 연료에 난류를 형성시키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흡기부(140)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연료의 난류강도(turbulence intensity)를 증가시키는 난류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와 상기 하우징(100)이 결합되는 흡기홀(112,122)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흡기부가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제1흡기홀(112)의 내주면과 상기 제2흡기홀(122)의 내주면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로 유입되는 연료와 충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료에 난류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료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상기 연소실(132)로 유입되는 연료의 난류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홀에서 상기 흡기부(140)를 향해 이격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흡기부(140)과 상기 하우징(100)이 결합된 부분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흡기부(140)가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기 위해 절곡된 부분에 상기 난류형성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 또는 상기 흡기홀에서 상기 연소실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료의 유동을 적극적으로 방해하여 상기 연료에 난류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난류형성부(600)가 상기 흡기부(140)나 상기 흡기홀(112,122)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흡기부(140)나 상기 흡기홀의 직경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이로써, 연료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난류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흡기부(140)에서 유입되는 연료와 효과적으로 충돌되기 위하여,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 또는 상기 흡기홀(112,122)의 내주면 중 상기 흡기부(140)가 연장되는 방향에 위치한 부분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지만,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흡기부(14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난류형성부(600)로 인해,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를 통과한 연료는 상기 압축실(132)에서 복잡한 난류형태로 유동할 수 있다.
도6은 난류형성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를 참조하면, 상기 난류형성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 에 단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6(b)를 참조하면,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에서 직선형태로 돌출되는 차폐리브(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리브(610)는 상기 흡입부(140)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흡입부(140)에 유동하는 연료에 접촉되는 면적을 더 확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차폐리브(610)는 상기 흡입부(140)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6(c)를 참조하면,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상기 흡기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기둥(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료가 상기 돌출기둥(620)에 충돌되어도, 상기 연료의 유속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난류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6(d)를 참조하면,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부(140)가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리브(631)와, 상기 제1리브(63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2리브(6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631)와 상기 제2리브(632)는 상기 흡기부(140)의 하류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리브(631)와 상기 제2리브(632) 배면에 집중적으로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6(e)를 참조하면, 상기 난류형성부(600)는 상기 흡기홀 또는 상기 흡기부에서 직선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단리브(641)와, 상기 차단리브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안내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641)는 상기 연료와 충돌되는 면적이 더 크도록 너비가 두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642)는 상기 차단리브(641)에서 연료가 흐르는 하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리브(641)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좁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연료는 차단리브(641)에서 1차 충돌하여 상기 차단리브(641)의 배면에서 난류로 형성되고, 형성된 난류는 상기 안내부(642)의 양측에서 분리되며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난류가 일정한 와류(vortex)를 형성하며 연소실(132)에 유입될 수 있고, 화염전파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서 연료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에서 유입되는 연료는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상기 유입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하면 난류 강도는 강해질 수 있으나, 연료가 적체되어 다른 연료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양측에 연료가 유입되더라도 연료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 충돌방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제1흡기부의 내부와 상기 제2흡기부의 내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흡기부에서 공급되는 연료와 상기 제2흡기부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방지부(160)는 상기 제1흡기부(1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기부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베인(161)과, 상기 제2흡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흡기부 내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베인(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61)과 상기 제2베인(162)는 상기 흡기부(140)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61)과 상기 제2베인(162)는 상기 흡기부(140)를 유동하는 연료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161)과 상기 제2베인(162)는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료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면 어떠한 높이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베인(161) 중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말단과, 상기 제2베인(162) 중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말단이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려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베인(161) 말단 연장선(L1)과, 상기 제2베인(162)의 말단 연장선(L2)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베인(161)은 상기 제1흡기홀(112)에서 상기 로터(20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인(162)은 상기 제2흡기홀(122)에서 상기 로터하우징(130)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인의 말단과 상기 연소실이 이루는 경사와 상기 제2베인과 말단과 상기 연소실이 이루는 경사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베인(161)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와, 상기 제2베인(162)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는 상기 연소실(132)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히려, 상기 제1베인(161)과 상기 제2베인(162)으로 인해 상기 연소실(132)에 강력한 와류(Vortex)가 형성되어 화염전파가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연료의 충돌을 방지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흡기부(141)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서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제2흡기부(142)는 상기 제2하우징(120)에서 경사지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흡기부(141)에서 토출되는 연료와, 상기 제2흡기부(142)에서 토출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부(142)는 상기 하우징(100)에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부(141)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상기 공급부(14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부(142)는 상기 제2하우징(120)에서 상기 공급부(14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흡기부(141)에서 배출되는 연료와 상기 제2흡기부(142)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흡기부(140) 내부에 충돌방지부가 없더라도, 연료간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 로터리 엔진은 상기 충돌방지부의 구성을 함께 구비할 경우에는 연료간의 충돌방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로터리 엔진에서 연료의 충돌을 방지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은 서로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은 엇갈려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흡기홀(112)과 상기 제2흡기홀(122)에서 토출되는 연료는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흡기홀(112)과 연결된 상기 제1흡기부(141)와 상기 제2흡기홀(122)과 연결된 상기 제2흡기부(142)의 경사도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부(141)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상기 공급부(14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흡기부(142)는 상기 제2하우징(120)에서 상기 공급부(14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흡기부(141)에서 배출되는 연료와 상기 제2흡기부(142)에서 배출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로터리 엔진
100 하우징 110 제1하우징 111 제1하우징바디
112 제1흡기홀 113 제1배기홀 114 제1공급홀
116 제1지지홀
120 제2하우징 121 제2하우징바디
122 제2흡기홀 123 제2배기홀 124 제2공급홀
126 제2지지홀
130 로터 하우징 131 수용바디 132 로브수용부
133 제1점화홀 134 제2점화홀
140 흡기부 141 제1흡기덕트 142 제2흡기덕트
150 배기부 151 배기홀
200 로터 210 로터바디 211 제1압축면 212 제2압축면 213 제3압축면
2111 제1수송부 2121 제2수송부 2131 제3수송부
A 제1모서리 B 제2모서리 C 제3모서리
220 관통홀 225 내주기어
300 회전축 310 제1축 320 편심축 330 제2축
400 점화장치 410 제1플러그 420 제2플러그
500 오일공급부 510 지지부 520 탄성부 530 실링부
531 실링바디 532 탄성결합부
533 접촉부 5331 경사면
540 오일펌프
570 공급유로 571 이동유로 572 유입유로 573 유입홀
570a 제1공급유로 571a 제1이동유로 572a 제1유입유로
573a 제1유입홀
570b 제2공급유로 571b 제2이동유로 572b 제2유입유로
573b 제2유입홀
580 결합홀

Claims (14)

  1. 연료가 압축되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어,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거나 압축하도록 편심회전하는 로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는 연료공급원과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료공급원에서 상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흡기부; 및
    상기 흡기부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연료의 난류강도(turbulence intensity)를 증가시키는 난류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연소실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연료공급원까지 연장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제1유로와 경사지게 상기 제1유로에서 연장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제1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제1유로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흡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흡기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제1유로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흡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흡기홀 또는 상기 제1유로의 내주면에서 상기 연소실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흡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흡기홀 또는 상기 제1유로에서 직선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폐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유로와 결합되는 흡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상기 흡기홀 또는 상기 제1유로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돌출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제1유로가 연장되는 방향과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흡기부와 결합되는 흡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흡기홀 또는 상기 제1유로 내부에서 직선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단리브와, 상기 차단리브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안내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터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로터하우징과,
    상기 로터하우징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을 밀폐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로터하우징의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실을 밀폐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연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포함하는 제1흡기부와,
    상기 제2하우징에 연통하여 결합되는 제2흡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흡기부는
    상기 연소실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소실로 연료를 공급하는 제3유로와,
    상기 제3유로에서 상기 연료공급원까지 상기 제3유로의 연장방향과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제4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난류형성부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3유로 중 하나 이상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와 상기 제3유로에서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하우징에서 경사지게 결합되고,
    상기 제3유로는 상기 제2하우징에서 경사지게 결합되어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흡기부가 연통하는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2흡기부가 연통하는 제2흡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은 서로 마주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내부와 상기 제3유로의 내부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로에서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와 상기 제3유로에서 상기 연소실로 공급되는 연료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부는
    상기 제1유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3유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3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제2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상기 제1베인의 말단과, 상기 연소실을 향하는 상기 제2베인의 말단이 서로 엇갈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의 말단과 상기 연소실이 이루는 경사와
    상기 제2베인의 말단과 상기 연소실이 이루는 경사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엔진.
KR1020190080594A 2019-07-04 2019-07-04 로터리 엔진 KR10220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94A KR102202336B1 (ko) 2019-07-04 2019-07-04 로터리 엔진
PCT/KR2020/007692 WO2021002608A1 (ko) 2019-07-04 2020-06-15 로터리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594A KR102202336B1 (ko) 2019-07-04 2019-07-04 로터리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336B1 true KR102202336B1 (ko) 2021-01-13

Family

ID=7410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594A KR102202336B1 (ko) 2019-07-04 2019-07-04 로터리 엔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2336B1 (ko)
WO (1) WO202100260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016A (ja) * 1991-09-27 1993-04-06 Mazda Motor Corp ロ−タリピスト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0783011A (ja) * 1993-09-14 1995-03-28 Kanesaka Gijutsu Kenkyusho:Kk エンジン用ロータリーバルブ
JP2004044528A (ja) * 2002-07-15 2004-02-12 Mazda Motor Corp ロータリ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8185027A (ja) * 2006-12-15 2008-08-14 United Technol Corp <Utc> ロータリー内燃機関用のロータ、ワンケルエンジン用のロータ、ロータリー内燃機関および燃焼燃料/空気流の変更方法
JP2009526945A (ja) * 2006-02-16 2009-07-23 ロントラ リミテッド ロータリーピストンおよびシリンダ装置
JP2011202642A (ja) * 2010-03-26 2011-10-13 Mazda Motor Corp ロータリピストン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016A (ja) * 1991-09-27 1993-04-06 Mazda Motor Corp ロ−タリピスト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H0783011A (ja) * 1993-09-14 1995-03-28 Kanesaka Gijutsu Kenkyusho:Kk エンジン用ロータリーバルブ
JP2004044528A (ja) * 2002-07-15 2004-02-12 Mazda Motor Corp ロータリ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9526945A (ja) * 2006-02-16 2009-07-23 ロントラ リミテッド ロータリーピストンおよびシリンダ装置
JP2008185027A (ja) * 2006-12-15 2008-08-14 United Technol Corp <Utc> ロータリー内燃機関用のロータ、ワンケルエンジン用のロータ、ロータリー内燃機関および燃焼燃料/空気流の変更方法
JP2011202642A (ja) * 2010-03-26 2011-10-13 Mazda Motor Corp ロータリピストン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08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930B2 (en) Rotary combustion apparatus
WO2009109694A2 (en) Pre-chamber arrangement
US8109252B2 (en) Rotary engine combustion chamber
KR102152415B1 (ko) 터빈 베인 및 터빈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202336B1 (ko) 로터리 엔진
KR102329615B1 (ko) 로터리 엔진
KR102178956B1 (ko) 터빈 베인 및 링세그먼트와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JP2015504999A (ja) ロータリーピストン機関
US7500461B2 (en) Rotary combustion engine, designed for diesel fuel
KR102271440B1 (ko) 로터리 엔진
CN108661781B (zh) 隔板
EP2998538A1 (en) Pre-chamb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4592964A (zh) 一种内燃机燃烧室结构
CN110529232B (zh) 内燃机的吸气装置
KR100473866B1 (ko) 로타리 기관
KR950006214A (ko) 4사이클 피스톤 방식의 내연기관
RU2196906C2 (ru)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US4633829A (e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10054872A1 (en) Rotary engine
US3846053A (e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dynamic fluid seals
KR100536468B1 (ko) 로터리엔진
KR20180112604A (ko) 로터리 엔진
KR102300044B1 (ko) 로터리 엔진
JP5359268B2 (ja) ロータリーピストンエンジン
JP4867902B2 (ja) ロータリピストン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