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989B1 - Alarm Signal Relay - Google Patents

Alarm Signal Re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989B1
KR102201989B1 KR1020180072977A KR20180072977A KR102201989B1 KR 102201989 B1 KR102201989 B1 KR 102201989B1 KR 1020180072977 A KR1020180072977 A KR 1020180072977A KR 20180072977 A KR20180072977 A KR 20180072977A KR 102201989 B1 KR102201989 B1 KR 10220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relay
signal
alarm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0748A (en
Inventor
박태원
Original Assignee
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원 filed Critical 박태원
Priority to KR102018007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8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81Repe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42R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신호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연계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상기 릴레이부가 연계하는 상기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상기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알람신호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unit that receives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and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sequentially controls the entire system one by one. By electrically insulating the relaying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relay unit connecting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relay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relates to an alarm signal repeater including a stabilization uni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알람신호 중계기{Alarm Signal Relay}Alarm signal relay {Alarm Signal Relay}

본 발명은 알람신호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연계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상기 릴레이부가 연계하는 상기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상기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알람신호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ignal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unit that receives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and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sequentially controls the entire system one by one. By electrically insulating the relaying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relay unit connecting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relay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relates to an alarm signal repeater including a stabilization unit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의 동작상태를 중앙 관제시스템으로 제어하여 운용 및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order to operate the system efficiently, it is common to operate and manag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with a central control system.

도 1은 종래의 중앙 관제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1 is a diagram of a conventional central control system. Referring to Figure 1,

선박 내의 각종 설비(91)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95)의 연결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설비(91)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95)로 각각 전달되고 있다. Various facilities 91 in the ship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95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and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the facilities 91 control the entire system. ), respectively.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식은, 각 설비(91)가 중앙제어패널(95)의 연결단자에 1:1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이 복잡해지고, 연결 케이블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connection method, since each facility 91 is connected 1:1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95, the connec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connection cable increases.

또한,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91)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알람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알람신호가 중앙제어패널로(95) 그대로 전달되어, 중앙제어패널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관리자가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an alarm signal is simultaneously generated in various facilities 91 in the system,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95 as it is, and the administrator who controls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facility is mis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개별 알람신호를 하나로 취합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함으로써, 각 설비와 중앙제어패널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케이블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알람신호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bine individual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a system into one and relay the alarm signals to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there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facility and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It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repeater that minimizes the size 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중계하되, 중앙제어패널의 관리자가 해당 알람신호를 확인한 뒤에 다음 알람신호를 순차적으로 중계함으로써, 중앙제어패널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관리자가 각종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알람신호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ay the alarm signals one by one, but by sequentially relaying the next alarm signal after the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checks the alarm signal, an administrator who controls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It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repeater that can prevent missing alarm signals generated in various faciliti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를 포함하여, 중앙제어패널의 관리자가 해당 알람신호를 확인한 뒤에 다음 알람신호가 중계되는 시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각종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알람신호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to set the interval of time for relaying the next alarm signal after checking the alarm signal, including a timer, so that the administrator miss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in various facilities. It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repeater that can prevent th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화부를 포함하여,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알람신호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repeater, including a stabilization unit, that prevents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u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alarm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동작표시기를 포함하여, 설비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하였지만 아직 중앙제어패널에 중계되지 않은 알람신호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알람신호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signal repeater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an alarm signal that has generated an alarm signal in the facility but has not yet been relay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including an operation indicator that visually express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To provid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and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sequentially controls the entire syste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ntral processing unit to rela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람 신호 중계기는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연계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repeater includes a relay unit for linking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릴레이부는 입력부에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단락으로 동작하고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처리부에 지속적으로 연계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that, when the relay unit receives an alarm signal from the input unit, operates as a short circuit and maintains a short circuit state, and continuously connects the alarm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릴레이는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해제신호를 전달받으면, 단락에서 개방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returns from short to open when receiving a release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작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unit includes an operation indicator visually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작표시기는 상기 릴레이가 단락으로 동작하면 점등되고, 상기 릴레이가 개방으로 동작하면 소등되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indicator is an LED that turns on when the relay operates in a short circuit and turns off when the relay operates in an open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람 신호 중계기는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상기 릴레이부가 연계하는 상기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상기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repeater electrically insulates the relay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amage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u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alarm signal to which the relay unit is link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bilizing portion to prev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안정화부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생시킨 빛을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ilization unit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for generating light by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and a light-receiving element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by receiv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 The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light-receiving device are electrically insul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부는 수신된 알람신호의 순서에 따라 순위를 판단하는 순위판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priorit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received alarm signal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부는 하나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하는 알람신호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on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중앙제어패널로부터 수신한 해제신호를 확인하는 해제신호확인모듈과, 상기 해제신호를 상기 릴리이부에 전달하는 해제신호전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for checking a release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a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ferring the release signal to the release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은 하나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한 뒤에는 일시적으로 정지하되,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이 해제신호를 확인하면 다시 현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temporarily stops after transmitting on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but when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confirms the release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of the present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ga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알람신호 중계기는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이 해제신호를 확인하고 다시 현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하는 시간의 간격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 repeater determines the interval of time during which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checks the release signal and transmit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current time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gai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mer to se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tha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개별 알람신호를 하나로 취합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함으로써, 각 설비와 중앙제어패널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케이블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individual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into one and relays the alarm signals to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there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facility and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the size of the connecting cable.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본 발명은,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중계하되, 중앙제어패널의 관리자가 해당 알람신호를 확인한 뒤에 다음 알람신호를 순차적으로 중계함으로써, 중앙제어패널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관리자가 각종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signals are relayed one by one, but after the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checks the alarm signal, the next alarm signal is sequentially relayed, so that the administrator who controls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at various facilities. It derives an effect that can prevent missing the generated alarm signal.

본 발명은, 타이머를 포함하여, 중앙제어패널의 관리자가 해당 알람신호를 확인한 뒤에 다음 알람신호가 중계되는 시간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각종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timer, enables the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to set the interval of time at which the next alarm signal is relayed after checking the corresponding alarm signal, thereby preventing the administrator from missing alarm signals generated in various facilities.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안정화부를 포함하여,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u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alarm signal, including a stabilization unit.

본 발명은,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동작표시기를 포함하여, 설비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하였지만 아직 중앙제어패널에 중계되지 않은 신호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operation indicator that visually express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brings about an effect of visually confirming a signal that has generated an alarm signal in the facility but has not yet been relay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도 1은 종래의 중앙 관제시스템에 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신호 중계기를 포함하는 중앙 관제시스템에 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신호 중계기를 포함하는 중앙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신호 중계기의 중앙처리부에 관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신호 중계기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람신호 중계기의 사용 상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central control system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system including an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system including an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of an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of an alarm signal repeater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of an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신호 중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Hereinafter, an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s used in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직접회로, 직접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수동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apable of includ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the term is used. For example, the software may be machine language, firmware, embedded code, and application software. As another example, the hardware may be a circuit, a processor, a computer, an integrated circuit, an integrated circuit core, a sensor, a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a passive devic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제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본 발명인 알람신호 중계기(3)는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1)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하나로 취합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5)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계하는 장치로서, 각각의 설비와 상기 중앙제어패널(5)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케이블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며, 또한 중앙제어패널을 통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관리자가 각종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alarm signal repeat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1) in the system, collects them into one, and sequentially converts the alarm signals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As a relay devic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facility and the central control panel 5 is simplified, the size of the connecting cable is minimized, and an administrator who controls and manages the entire system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occurs in various facilitie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issed alarm signal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ntr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본 발명인 알람신호 중계기(3)는 시스템 내의 설비(1)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중앙제어패널(5)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계하는 장치로서, 입력부(32), 릴레이부(33), 안정화부(34), 중앙처리부(35), 타이머(36), 중앙제어패널 연결부(37)를 포함한다.The alarm signal repeat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receives an alarm signal generated from the facility (1) in the system and sequentially relays it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one by one, the input unit 32, the relay unit 33, It includes a stabilization unit 34, a central processing unit 35, a timer 36, and a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ion unit 37.

상기 입력부(32)는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1)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입력받는 부분이다. 상기 알람신호는, 상기 설비(1)가 고장 내지는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거나, 주어진 관리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발생시키는 이상신호를 말한다. 상기 입력부는(32)는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1)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설비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의 입력단자가 존재한다.The input unit 32 is a part that receives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1 in the system. The alarm signal refers to an abnormal signal generated when the facility 1 has a failure or an abnormality in an operating state or deviates from a given management condition. The input unit 32 has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equipment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equipment 1 in the system.

상기 릴레이부(33)는 상기 입력부(32)에서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중앙처리부(35)로 연계하며, 릴레이(331)와 동작표시기(332)를 포함한다.The relay unit 33 links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32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and includes a relay 331 and an operation indicator 332.

상기 릴레이(331)는 반도체 또는 전기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기유지회로로 구성되어 동작하는데, 입력부에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릴레이(331)는 단락으로 동작하고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알람신호를 중앙처리부(5)에 지속적으로 연계한다. 설비(1)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는, 중앙제어패널(5)에서 해당 알람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설비(1)를 조치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설비(1)가 고장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자가복귀되는 경우에는 알람신호가 단발성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중앙제어패널(5)에서 해당 설비의 이상 유무의 확인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자기유지회로로 구성되는 릴레이를 포함하여 상기 설비(1)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가 단발성이더라도,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해당 설비(1)에 대한 알람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설비(1)의 알람신호에 대한 해제를 할 때까지, 상기 중앙처리부(5)에 지속적으로 연계하여, 단발성 알람신호에 대하여도 해당 설비(1)에 대한 관리 점검에 허점이 없도록 하였다. 상기 릴레이(331)는 상기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해당 설비(1)에 대한 알람신호를 확인하면, 상기 중앙제어패널(5)에서 해제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해제신호는 중앙처리부(35)를 통하여 상기 릴레이(331)에 전달되고, 상기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릴레이(331)는 단락에서 개방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The relay 331 may be configured in a semiconductor or electromechanical manner, and is configured as a self-holding circuit. When an alarm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the relay 331 operates as a short circuit and maintains a short circuit state, and the alarm The signal is continuously link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 In general,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facility 1 is continuously generated until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the alarm signal and takes action on the facility 1. However, when the facility 1 is self-recovering from a faulty state to a normal state,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as a single occurrence. Eve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acility is abnormal in the central control panel 5.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facility 1 including a relay composed of a self-holding circuit is single-shot,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the alarm signal for the facility 1 and Until the alarm signal of (1) is canceled, it is continuously link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 so that there is no loophole in the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the facility 1 even for a single alarm signal. When the administrato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the alarm signal for the facility 1, the relay 331 generates a release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5, and the relea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The relay 331 is transmitted to the relay 331 through 35) and received the release signal, and returns to an open state from a short circuit.

상기 동작표시기(332)는 상기 릴레이(331)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릴레이(332)가 단락으로 동작하면 점등되고, 상기 릴레이(332)가 개방으로 동작하면 소등되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설비(1)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그대로 중앙제어패널(5)로 중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취합하여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계하기 때문에, 설비(1)에서는 알람신호가 발생하였지만, 순위로 인하여 아직 중앙제어패널(5)로 중계되지 않은 알람신호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해당 알람신호 입력에 대응하는 릴레이(331)는 단락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동작표시기(332)를 통하여 설비(1)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하였지만 아직 중앙제어패널(5)에 중계되지 않은 알람신호를 포함하여, 설비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알람신호 중계기(3)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operation indicator 332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331, which is turned on when the relay 332 operates in a short circuit, and turns off when the relay 332 operates in an open state. Can be configure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lay the alarm signals generated in several facilities 1 as it is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but collects them as one and relays them one by one in sequence, so the alarm signal was generated in the facility 1, but due to the ranking There may be an alarm signal that has not yet been relay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In this case, since the relay 33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larm signal input maintains a short-circuit state,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acility 1 through the operation indicator 332, but has not yet been relay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e alarm signals generated in the facility, including the unused alarm signals, can be checked by the alarm signal repeater (3).

상기 안정화부(34)는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중앙처리부(35)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커플러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생시킨 빛을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데, 입력단을 구성하는 발광소자는 입력신호를 전기에서 빛으로 변환하고, 출력단을 구성하는 수광소자는 상기 빛을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포토커플러는 빛으로 신호를 전달하므로 입력단과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입력단에 외란이나 과전류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출력부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결과적으로 출력단에 연결되는 장치인 중앙처리부(3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abilization unit 34 is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due to the voltage level of the alarm signal, and may include a photo coupler. The photocoupler includes a light-emitting device that generates light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 light-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light generated by the light-emitting device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are electrically insulated,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constituting the input terminal converts an input signal from electricity to light,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constituting the output terminal converts the light back into an electric signal to transmit the signal. Is done. That is, since the photocoupler transmits a signal by light,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can be electrically separated, so that even if a problem such as disturbance or overcurrent occurs at the input terminal, it does not affect the output terminal. As a result, it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can be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부에 관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4 is a block diagram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4,

상기 중앙처리부(35)는 릴레이부(33)를 통하여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앙제어패널(5)로 중계하는 부분으로서, 알람신호확인모듈(351), 순위판단모듈(352), 알람신호전달모듈(353), 해제신호확인모듈(354), 해제신호전달모듈(355)을 포함한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is a part that sequentially relays the alarm signals input through the relay unit 33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one by one, and includes an alarm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1, a priority judgment module 352, and an alarm. 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3, a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and a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5.

상기 알람신호확인모듈(351)은 상기 릴레이부(33)의 연계를 통하여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확인하는 부분이다.The alarm signal checking module 351 is a part that checks the alarm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inkage of the relay unit 33.

상기 순위판단모듈(352)은 상기 알람신호확인모듈(351)이 확인한 알람신호를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순위를 판단하는 부분으로서, 현재 시점에서 첫번째로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최선 순위 알람신호로 판단한다.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is a part that determines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alarm signal checked by the alarm signal check module 351 is received, and determines the first alarm signal received at the current time a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은 상기 순위판단모듈(352)이 최선 순위 알람신호로 판단한 알람신호를 중앙제어패널 연결부(37)를 통하여 중앙제어패널(5)로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은 상기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전달한 뒤에는 일시적으로 정지하되, 후술할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상기 중앙제어패널(5)로부터 수신한 해제신호를 확인하면 다시 현재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로 전달하고, 다음 해제신호가 확인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설비(1)로부터 입력된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앙제어패널(5)로 중계하게 된다.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3 transmits the alarm signal determined by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a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or 37. The alarm signal delivery module 353 temporarily stops after transmitting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but when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to be described later checks the release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e current time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is temporarily stopped until the next release signal is confirmed, and the alarm signals input from the facility 1 are sequentially relay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one by one. .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은,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알람신호전달모듈(353)로부터 전달받은 특정 설비(1)의 알람신호를 확인을 하면, 해당 알람신호에 대한 해제신호가 상기 중앙제어패널(5)로부터 중앙제어패널 연결부(37)를 통하여 중앙처리부(35)에 전달되고,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이를 확인하게 된다.When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the alarm signal of the specific facility 1 received from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3,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receives a release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alarm signal. It i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ion unit 37, and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confirms this.

상기 해제신호전달모듈(355)은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확인한 해제신호를 릴레이부(33)에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릴레이부(33)의 릴레이(331)는 단락 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해당 알람신호는 해제가 되며, 그 결과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해제신호를 확인하기 전 시점에서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는 사라지고, 순위판단모듈(352)은 차선 순위였던 알람신호를 현재 시점에서 최선 순위 알람신호로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시점에서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는 전술한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을 통하여 중앙제어패널(5)로 전달되며, 이것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중앙제어패널(5)은 설비(1)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계받게 된다.The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5 transmits the release signal checked by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to the relay unit 33.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331 of the relay unit 33, which has received the release signal, returns from the short-circuit state to the open state, and the corresponding alarm signal is released. As a result,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time before confirming the release signal disappears, and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determines the alarm signal that was the second best priority a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present time. And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present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rough the above-described alarm signal delivery module 353, and through this repetition, the central control panel 5 is generated in the facility 1 Alarm signals are relayed one by one in sequence.

상기 타이머(36)는 전술한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해제신호를 확인한 시점과, 그 뒤에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이 현재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전달하는 시점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알람신호를 확인하고 해제한 뒤에 곧바로 다음 알람 신호를 중계받게 되면, 상기 관리자가 새롭게 중계된 알람신호를 놓칠 염려가 있는데, 상기 타이머(36)를 통하여 시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각종 설비(1)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를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놓치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The timer 36 sets the interval between the time when the above-described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checks the release signal and the time when the alarm signal delivery module 353 transmit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current time after that. Part. If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and releases the alarm signal and immediately receives the next alarm signal, there is a concern that the manager may miss the newly relayed alarm signal. By adjusting,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an manage the alarm signals generated in the various facilities 1 without missing it.

상기 중앙제어패널 연결부(37)는 중앙처리부(5)가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중앙제어패널(5)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제어패널(5)로부터 해제신호를 전달받는 부분이다. 종래에는 시스템 내의 각각의 설비(1)가 직접 중앙제어패널(5)의 연결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연결이 복잡해지고, 연결 케이블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은 각 설비(1)에서 발생하는 알람신호를 취합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의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 연결부(37)를 통하여 중계하므로,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케이블의 사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or 37 is a part in whic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 transmit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and receives a release signal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onventionally, each facility (1) in the syste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so that the connec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ize of the connection cable increases. Since the generated alarm signals are collected and one alarm signal is sequentially relay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ion unit 37,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connection cable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설비#1, 설비#2, 설비#3이 순차적으로 알람이 발생한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larm is sequentially generated in facility #1, facility #2, and facility #3. 5 to 6,

도 5는 설비#1, 설비#2에서 순차적으로 알람신호가 발생한 상태인데, 상기 알람신호는 입력부(32)를 통하여 알람신호중계기(3)에 입력되고, 해당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릴레이(331)는 단락 상태가 되며, 해당 동작표시기(332)의 LED가 점등 상태인 것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331)는 자기유지회로로 구성되어 상기 설비#1과 설비#2에서 발생한 알람신호가 단발성 신호더라도 해제신호를 전달 받기 전까지는 상기 릴레이(331)는 단락 상태를 유지하여 해당 알람신호를 중앙처리부(35)에 전달한다. 상기 알람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처리부(35)는 알람신호확인모듈(351)에서 알람신호를 확인하고, 순위판단모듈(352)는 알람신호확인모듈이 확인한 순서에 따라 알람신호의 순위를 판단한다.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은 상기 순위판단모듈(352)의 판단을 바탕으로 현재 시점에서 최선 순위 알람신호인 설비#1에서 발생된 알람신호를 중앙제어패널(5)로 전달한 뒤에 일시정지되고, 상기 알람신호는 중앙제어패널(5)에 표시되게 된다.5 is a state in which an alarm signal is sequentially generated in facility #1 and facility #2, the alarm signal is input to the alarm signal repeater 3 through the input unit 32, and a relay 331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nput terminal Is in a short-circuit state, and shows that the LED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dicator 332 is lit.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331 is composed of a self-holding circuit, so even if the alarm signals generated in the facility #1 and the facility #2 are single-shot signals, the relay 331 maintains a short-circuit state until a release signal is received.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receiving the alarm signal checks the alarm signal in the alarm signal check module 351, and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order checked by the alarm signal check module.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3 is temporarily stopped after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generated in the facility #1, which i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present time,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The alarm signal is displayed on the central control panel 5.

도 6은 상기 중앙제어패널(5)의 관리자가 설비#1에 해당하는 알람표시를 확인하였고, 그 뒤에 설비#3에서 알람신호가 발생하였으며, 중앙제어패널(5)에 다음 순위 알람신호인 설비#2에 해당하는 알람신호가 표시된 상태이다. 상기 관리자의 설비#1에 대한 알람표시 확인으로 인하여 상기 중앙제어패널(5)은 설비#1의 알람신호에 대한 해제신호를 중앙처리부(35)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중앙처리부(35)의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은 이를 확인하고, 해제신호전달모듈(355)은 이를 릴레이부(33)에 전달한다. 설비#1의 알림신호에 대한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릴레이부(33)의 해당 릴레이(331)는 단락 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복귀되고, 해당 동작표시기(332)의 LED는 소등 상태로 된다. 6, the manager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5 checks the alarm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1, after which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acility #3, and the nex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he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2 is displayed. Due to the administrator's confirmation of the alarm display for facility #1, the central control panel 5 transmits a release signal for the alarm signal of facility #1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35 is released. Th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confirms this, and the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5 transmits it to the relay unit 33. The corresponding relay 331 of the relay unit 33, which has received the release signal for the notification signal of the facility #1, returns from the short state to the open state, and the LED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dicator 332 is turned off.

그리고 일시정지상태인 알람신호전달모듈(353)은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354)이 해제신호를 확인함에 따라 다시 현재 시점에서 상기 순위판단모듈(352)이 최선순위로 판단한 설비#2에 해당하는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5)로 전달하고, 설비#2에 해당하는 알람신호는 상기 중앙제어패널(5)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3 in the paused state corresponds to the facility #2 determined by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352 as the highest priority at the present time again as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4 checks the release signal.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5, and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2 is displayed on the central control panel 5.

또한, 설비#3에서 발생한 알람신호로 인하여 해당 릴레이는 단락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해당 동작표시기의 LED는 점등 상태로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alarm signal generated from facility #3, the relay maintains a short circuit, and the LED of the operation indicator turns on.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shows and describe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or the skill or knowledge of the ar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mbodiments.

1: 설비
3: 알람신호 중계기
32: 입력부
33: 릴레이부
331: 릴레이
332: 동작표시기
34: 안정화부
35: 중앙처리부
351: 알람신호확인모듈
352: 순위판단모듈
353: 알람신호전달모듈
354: 해제신호확인모듈
355: 해제신호전달모듈
36: 타이머
37: 중앙제어패널 연결부
5: 중앙제어패널
1: equipment
3: Alarm signal repeater
32: input
33: relay unit
331: relay
332: motion indicator
34: stabilization unit
35: central processing unit
351: alarm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2: ranking judgment module
353: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354: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355: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36: timer
37: central control panel connection
5: Central control panel

Claims (13)

시스템 내의 각종 설비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한 상기 알람신호를 중앙처리부로 연계하는 릴레이부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제어패널로 입력된 상기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계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단락으로 동작하고 단락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알람신호가 단발성이더라도 상기 알람신호에 대한 해제가 있을 때까지 상기 중앙처리부에 지속적으로 연계되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릴레이의 연계를 통하여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확인하는 알람신호확인모듈과, 상기 알람신호확인모듈이 확인한 알람신호를 입력받은 순서에 따라 순위를 판단하되 현재 시점에서 가장 먼저 입력받은 알람신호를 최선 순위 알람 신호로 판단하는 순위판단모듈과, 상기 순위판단모듈이 최선 순위 알람신호로 판단한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하는 알람신호전달모듈과, 상기 중앙제어패널로부터 수신한 해제신호를 확인하는 해제신호확인모듈과, 상기 해제신호를 상기 릴레이에 전달하는 해제신호전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은, 하나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한 뒤에는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상기 해제신호확인모듈이 상기 중앙제어패널로부터 수신한 해제신호를 확인하면, 상기 릴레이에 의해 상기 중앙처리부에 지속적으로 연계된 상기 알람신호 가운데 다시 현재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로 전달하고 다음 해제신호가 확인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설비로부터 입력된 알람신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중앙제어패널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신호 중계기.
An input unit that receives various types of alarm signals generated from various facilities in the system, a relay unit that links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alarm signal input to a central control panel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I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relays sequentially one by one,
The relay unit operates as a short circuit when the alarm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maintains a short circuit state, so that even if the alarm signal is single-shot, the relay unit includes a relay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until the alarm signal is releas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etermines an alarm signal confirmation module that checks the alarm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relay, and the alarm signal confirmation module checks the order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alarm signal is input, but receives the first input at the current point in time. A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n alarm signal a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that delivers the alarm signal determined by the priority determination module as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a release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A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for checking a signal, and a release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ferring the release signal to the relay,
The alarm signal transmission module temporarily stops after transmitting on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when the release signal confirmation module confirms the release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panel, the relay Among the alarm signals continuously link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current tim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nd temporarily stopped until the next release signal is confirmed, and the alarm signals input from the facility are sequentially sequentially performed. Alarm signal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relaying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해제신호를 전달받으면, 단락에서 개방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신호 중계기.The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ay returns from short to open when receiving a release signal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 상기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작표시기를 포함하는 알람신호 중계기.The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relay unit comprises an operation indicator visually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el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표시기는 상기 릴레이가 단락으로 동작하면 점등되고, 상기 릴레이가 개방으로 동작하면 소등되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 신호 중계기. The alarm signal repeat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operation indicator is an LED that turns on when the relay operates in a short circuit and turns off when the relay operates in an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 중계기는 상기 릴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서, 상기 릴레이부가 연계하는 상기 알람신호의 전압 크기에 의한 상기 중앙처리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알람신호 중계기.The alarm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signal repeater electrically insulates the relay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prevent damage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due to a voltage level of the alarm signal connected to the relay unit. Signal repea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발생시킨 빛을 수신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알람신호 중계기.The light emitting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stabilizing unit comprises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generates light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Is an electrically isolated alarm signal repe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신호 중계기는 상기 알람신호전달모듈이 해제신호를 확인하고 다시 현 시점의 최선 순위 알람신호를 상기 중앙제어패널에 전달하는 시간의 간격을 설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알람신호 중계기.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arm signal repeater comprises a timer that sets an interval of time for the alarm signal delivery module to check the release signal and to transmit the highest priority alarm signal at the current time to the central control panel again. Repeater.
KR1020180072977A 2018-06-25 2018-06-25 Alarm Signal Relay KR102201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977A KR102201989B1 (en) 2018-06-25 2018-06-25 Alarm Signal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977A KR102201989B1 (en) 2018-06-25 2018-06-25 Alarm Signal Re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48A KR20200000748A (en) 2020-01-03
KR102201989B1 true KR102201989B1 (en) 2021-01-12

Family

ID=6915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977A KR102201989B1 (en) 2018-06-25 2018-06-25 Alarm Signal Re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98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496B2 (en) * 1993-03-31 1999-02-03 ホーチキ株式会社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device
JP2002014722A (en) * 2000-06-30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larm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612A (en) * 2004-04-02 2005-10-10 (주)바로텍 Apparatus for turn on a light in uninhabited area and uninhabited guard system using by th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496B2 (en) * 1993-03-31 1999-02-03 ホーチキ株式会社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for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device
JP2002014722A (en) * 2000-06-30 200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larm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48A (en)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273B2 (en) Monitoring control system
US723981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device
KR100783503B1 (en) Digital mosaic system
KR102201989B1 (en) Alarm Signal Relay
US9826293B2 (en) Control system and subscriber device of a communications network of a control system
KR100825359B1 (en) Master CPU structure
US20100098418A1 (en) Switched optical fibre network for airplane seats
CN101931209A (en) The equipment of signaling electric fault and method, the unit that comprises this equipment and distribution panelboard
KR20150113752A (en) The P-type fire receiver control system Using a repeater
WO2016108577A1 (en) Redundant control system
JP670201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JP5924069B2 (en) Monitoring system
CN109038512B (en) The anti-wired instruction cycle BIT in outside is reported by mistake therefore circuit and control method
RU2741317C2 (en) Electronic device disconnector
CN114520892B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optical network unit
JP5940845B2 (en) Disaster prevention panel i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CN107337037B (en) Device for remotely controlling elevator
JPS6069931A (en) Remote controller
JP6419516B2 (en) Communication cabl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00270U (en) Inspecting Device For Aircraft Data Processing Equipment
JP5578828B2 (en) Control system and logic module board
JP2016025537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JP2011123827A (en)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22084424A (en) Communication system, branch switch, and distribution board
CN109478776A (en) Electronic equipment electic protection and conversion equipment with the control of converting member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