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979B1 -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979B1
KR102201979B1 KR1020190056304A KR20190056304A KR102201979B1 KR 102201979 B1 KR102201979 B1 KR 102201979B1 KR 1020190056304 A KR1020190056304 A KR 1020190056304A KR 20190056304 A KR20190056304 A KR 20190056304A KR 102201979 B1 KR102201979 B1 KR 10220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oading
support plate
pip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540A (ko
Inventor
이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5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한 쌍의 스키드, 및 상기 한 쌍의 스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는, 적재 대상물이 안착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 면인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부는, 수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축; 상기 스크류 축이 삽입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상기 슬라이딩부재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SUPPORTS FOR LOADING COIL STRIP}
실시 예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강판 스트립은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다양한 운송수단에 의해 수요지로 공급된다. 특히,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코일은 해상운송 시 선박의 화물창 내에 2단 이상으로 적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화물창 바닥에 던니지(dunnage)를 깔고 그 위에 1단 코일을 적재한 후, 서로 인접하는 2개의 1단 코일 사이에 2단 코일을 적재하는 순서로 선적 작업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2단 코일을 1단 코일 상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1단 코일에 가해지는 충격 내지 하중으로 인해 1단 코일이 옆으로 밀리는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로 인해, 1단 코일이 던니지에서 이탈하거나 2단 코일이 낙하하여 코일이 손상되거나 심지어 인명사고를 야기하는 문제도 있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단 코일의 양 측에 삼각기둥 형상의 고임목을 괴었지만, 고임목을 제대로 괴지 않은 경우이거나 고임목을 제대로 괴었더라도 2단 코일의 적재 시에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고임목이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5713호(2008.02.21, 코일 받침장치)
실시 예는 2단 코일 적재 시 1단 코일의 밀림을 억제할 수 있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스키드, 및 상기 한 쌍의 스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는, 적재 대상물이 안착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 면인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부는, 수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축; 상기 스크류 축이 삽입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상기 슬라이딩부재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너트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위치결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결정 홀의 입구는 상기 지지판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위치결정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홀의 입구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허용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시바가 돌출되고, 상기 지시바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지시바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도록 회전하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시바에는 상기 적재 대상물을 고정하는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지시바를 한 쌍 이상씩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지시바는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스키드를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함으로써 2단 코일의 적재 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스키드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에 의해 적재부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림 방지부의 길이는 적재부에 적재되는 1단 코일의 직경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적재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실제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1)는 던니지(2) 및 고임목(3)을 포함할 수 있다.
던니지(2)는 선박의 화물창 등의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1단 코일(C1)은 던니지(2) 상에 적재될 수 있다.
고임목(3)은 예를 들어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1단 코일(C1)의 양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종래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1)를 사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2단 코일(C2)의 적재 시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1단 코일(C1)이 수평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그로 인해 1단 코일(C1)이 던니지(2)로부터 이탈하거나 2단 코일(C2)이 낙하하여 코일 손상, 심지어 인명사고를 야기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10)는 적재부(100) 및 밀림 방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100)는 한 쌍의 스키드(110), 및 한 쌍의 스키드(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키드(110)는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1단 코일(C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적재부(100)는 하나의 1단 코일(C1)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키드(110) 간 이격 거리는 연결부재(120)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스키드(110)는 1단 코일(C1)이 안착되는 내측면(110a), 및 내측면(110a)의 수평 방향으로의 반대 면인 외측면(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키드(110)의 내측면(110a)은 스키드(110)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110b)은 스키드(110)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키드(110)의 저면은 화물창 등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스키드(110)는 오각기둥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키드(110)는 예를 들어 목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120)는 예를 들어 강철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재부(100)에 적재되는 적재 대상물은 코일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종류의 화물일 수도 있고, 그 형상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밀림 방지부(200)는 적재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밀림 방지부(200)의 일단은 하나의 적재부(100)를 구성하는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밀림 방지부(200)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적재부(100)를 구성하는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밀림 방지부(200)의 타단은 화물창 등의 벽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스키드(110) 상호간은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연결부재(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예를 들어 바(bar)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120)는 스키드(110)를 관통하여 스키드(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때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부재(120)의 양단에는 너트 등의 체결부재(N)가 결합되어 연결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밀림 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밀림 방지부(200)는 스크류 축(210),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20) 및 한 쌍의 너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축(210)은 원형 단면의 바(bar) 형상일 수 있고, 스크류 축(2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10a)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210a)는 스크류 축(2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220)는 스크류 축(210)의 양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20)는 파이프(221), 및 파이프(221)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222)을 포함할 수 있고, 손잡이(2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크류 축(210)은 파이프(221)의 일단 개구를 통해 파이프(221)의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222)은 파이프(221)의 타단 개구를 폐쇄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223)는 파이프(22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작업자는 밀림 방지부(200)의 운반 시나 슬라이딩부재(220)의 회전 등 조작 시 손잡이(223)를 활용할 수 있다.
한 쌍의 너트(230)는 각각 스크류 축(210)에 나사 결합되어 스크류 축(210)의 슬라이딩부재(220)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너트(230)의 내주면에는 스크류 축(210)의 수나사(210a)에 체결되는 암나사(230a)가 형성될 수 있고, 너트(230)의 외경은 파이프(221)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한 쌍의 적재부(100) 사이에는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밀림 방지부(200)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밀림 방지부(200) 상호간은 적재부(10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복수의 연결부재(120)가 상호간 이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실제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판(222)은 장변(222a)과 단변(222b)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판(222)은 직사각형이 아니더라도 제1 방향의 폭이 제1 방향과 교차, 예를 들어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222)은 타원형 플레이트 형상일 수도 있다.
스키드(110)의 외측면(110b)에는 밀림 방지부(200)의 지지판(222)이 삽입되는 위치결정 홀(110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밀림 방지부(200)의 정확한 위치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다.
위치결정 홀(110c)의 입구는 지지판(222)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결정 홀(110c)의 입구는 지지판(222)의 단변(222b)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지지판(222)의 장변(222a)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지지판(222)이 위치결정 홀(110c)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지지판(222)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위치결정 홀(110c)의 내주면에는 이탈방지 홈(110d)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홈(110d)은 위치결정 홀(110c)의 입구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지지판(110d)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방지 홈(110d)은 위치결정 홀(110c)의 내경이 지지판(222)의 대각선 방향의 길이 이상이 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판(222)을 위치결정 홀(110c)의 이탈방지 홈(110d)이 배치된 영역까지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를 스키드(110)에 고정시키는 락킹(locking)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220)는 지시바(2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시바(224)는 파이프(22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파이프(22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시바(224)는 단변(222b)의 연장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시바(224)는 장변(222a)의 연장 방향과 평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시바(224)의 회전 각도를 보고 슬라이딩부재(220)의 락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시바(224)는 지지판(222)이 이탈방지 홈(110d)에 삽입되도록 회전하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시바(224)는 1단 코일 또는 2단 코일을 결박하는 와이어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바(224)에는 적재부(100)에 적재된 1단 코일(C1)을 감싸는 와이어(W)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이 적재부(100)의 일 측에 배치된 밀림방지부(200)의 지시바(224)에 고정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단이 적재부(100)의 타 측에 배치된 밀림방지부(200)의 지시바(224)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시바(224)는 락킹 여부를 확인시켜주는 지시자(indic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박 와이어 등이 고정되는 래싱 브릿지(lashing bridge)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스키드(110)를 단면도로 도시한 반면, 밀림 방지부(200)를 정면도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설명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재(220)는 지시바(224)를 한 쌍 이상씩 구비할 수 있고, 한 쌍의 지시바(224)는 파이프(22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W)는 한 쌍의 지시바(224)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W)로부터 한 쌍의 지시바(224)를 통해 슬라이딩부재(220)에 전달되는 한 쌍의 토크는 상호간에 평형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딩부재(2220)의 임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그로 인해 지지판(222)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0: 지지 장치 2: 던니지
3: 고임목 100: 적재부
110: 스키드 110a: 내측면
110b: 외측면 110c: 위치결정 홀
110d: 이탈방지 홈 120: 연결부재
200: 밀림 방지부 210: 스크류 축
210a: 수나사 220: 슬라이딩부재
221: 파이프 222: 지지판
222a: 장변 222b: 단변
223: 손잡이 224: 지시바
230: 너트 230a: 암나사

Claims (8)

  1. 한 쌍의 스키드, 및 상기 한 쌍의 스키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드는, 적재 대상물이 안착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의 반대 면인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부는,
    수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축;
    상기 스크류 축이 삽입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축의 상기 슬라이딩부재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판이 삽입되는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은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결정 홀의 입구는 상기 지지판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위치결정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홀의 입구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회전을 허용하는 이탈방지 홈이 형성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시바가 돌출되고,
    상기 지시바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바는 상기 지지판이 상기 이탈방지 홈에 삽입되도록 회전하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바에는 상기 적재 대상물을 고정하는 와이어가 결합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지시바를 한 쌍 이상씩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지시바는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KR1020190056304A 2019-05-14 2019-05-14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KR10220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04A KR102201979B1 (ko) 2019-05-14 2019-05-14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304A KR102201979B1 (ko) 2019-05-14 2019-05-14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40A KR20200131540A (ko) 2020-11-24
KR102201979B1 true KR102201979B1 (ko) 2021-01-12

Family

ID=7367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04A KR102201979B1 (ko) 2019-05-14 2019-05-14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9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324Y1 (ko) * 1996-12-27 2000-10-02 이구택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KR20000021251U (ko) * 1999-05-19 2000-12-26 장기운 코일 운반용 안전 받침대
KR100805713B1 (ko) 2001-11-12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540A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649B2 (en) Twist lock coupling spigot
US20140090317A1 (en) Wooden Member Assembly
KR101813350B1 (ko) 운송수단, 특히 선박 상의 컨테이너를 위한 래싱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래싱 플레이트, 및 이로 이루어진 래싱 시스템
CN105620673A (zh) 用于在运输船上运输风力涡轮机塔架段的系统和方法
JP2010024747A (ja) 山形鋼部材の座屈補強方法及び当該方法において使用する補強具
US11027912B2 (en) Removable container shipping frame for vehicle
FI122380B (fi) Tuentajärjestely kuorman tukemiseksi kuljetusyksikössä
KR102201979B1 (ko)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US7824139B2 (en) Parallel shaft strap tie down apparatus and system
US20090320248A1 (en) Synthetic rope socket
US9517714B2 (en) Connector anchor having multiple direction connectivity
US20140234048A1 (en) Cargo dunnage device
US7887272B2 (en) Load security device including a coupling part with snap action
US8857753B1 (en) Split-flange reel and associated disassembly/transport rack system
US7775496B2 (en) Metal support column shipping assembly
US8152425B2 (en) Apparatus for securing heavy columnar construction members, including oilfield tubulars, to a transporting conveyan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9914819B (zh) 用于建筑模块的运输支腿和建筑模块装置
EP2877751B1 (en) Tensioning system with tensioning ring applicable therein
US4497271A (en) Stowing strut for making fast containers or the like
AU2014201055B2 (en) Pipe support apparatus for padding and chocking
CA2289862C (en) Connector device assembly
EP42929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rollable product
AU2005203294A1 (en) Load Stabilisation Apparatus
KR20230035900A (ko)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JPH03127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