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847B1 -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 Google Patents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847B1
KR102201847B1 KR1020200002888A KR20200002888A KR102201847B1 KR 102201847 B1 KR102201847 B1 KR 102201847B1 KR 1020200002888 A KR1020200002888 A KR 1020200002888A KR 20200002888 A KR20200002888 A KR 20200002888A KR 102201847 B1 KR102201847 B1 KR 10220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tical temperature
composite
paraffin wax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Pressure Sen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와 표면에 임베딩된(imbedded) 상태로 분산된 방울(droplet) 형태의 파라핀 왁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파라핀 왁스에 분산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압저항 복합체는 파라핀 왁스를 도입하여 탄소 사슬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녹는점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임계온도를 설정함으로써 특정범위의 온도에서만 작동하는 압력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ritical temperature piezo-resistive composites comprising paraffin wax and pressure sens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핀 왁스의 녹는점을 이용하여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에 관한 것이다.
외부에서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전기적인 성질인 저항이 변하는 성질인 압저항 특성은 1856년 영국의 Baron Kelvin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1954년 Smith에 의해서 실리콘과 게르마늄에서 압저항 특성이 크게 나타남을 보였다. 이후에 압저항 특성이 나타나는 물질들은 이용하여 외부에서 힘을 가했을 때 저항이 변화는 값을 통해서 가해진 힘의 크기를 감지하는 압저항 센서가 제작되었다.
압력센서는 물체에 힘이 가해질 때 단위 면적당 물체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회전의 미세한 크기 변화를 측정하는 전자소자로서 물체의 변위나 변형을 측정하여 압력의 변화를 알아내는 센서이다. 종래에는 고비용의 실리콘 기반 기술을 통해서 우주, 항공, 설비 제어 등에 사용되었던 압력 센서는 현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실리콘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통하여 저비용의 소형화 압력센서의 개발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압력센서는 성능 및 크기에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차, 항공, 우주, 산업 설비 제어, 의학 진단,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압력센서는 터치 인터페이스, 헬스 모니터링, 인공 피부 등 다양한 전자 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한편 압력센서의 경우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에 따라서 전기역학적(electrokinetic) 압력센서, FET(field effect transistors) 압력센서, 공진형 압력센서, 간섭형 압력센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및 압저항 압력센서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압저항 압력센서(resistive pressure sensor)는 정전용량형 압력센서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압력센서로서 응력을 받으면 저항이 변하는 압저항 특성을 이용해서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압저항 특성을 이용한 압력 센서의 경우 정전용량형 압력 센서에 비해서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범위가 넓고 공정이 간단해서 수율이 높고 비용도 저렴한 편이다.
이와 같은 압저항 압력센서에 대하여 낮은 감도 특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용도로 응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8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파라핀 왁스를 도입하여 압저항 압력센서의 감도를 개선하고 파라핀 왁스의 탄소수를 조절하여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온도 이상에서만 압력 센싱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라핀 왁스를 도입하여 압저항 압력센서의 감도를 개선하고 파라핀 왁스의 탄소수를 조절하여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온도 이상에서만 압력 센싱으로 작동할 수 있는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력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와 표면에 임베딩된(imbedded) 상태로 분산된 방울(droplet) 형태의 파라핀 왁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파라핀 왁스에 분산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는 탄소수 19 내지 40인 알칸일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의 방울은 직경이 2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일 수 있다.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 10 내지 15 nm, 평균길이 10 내지 20 ㎛ 일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압력 센서로 작동 가능한 임계온도가 3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임계온도는 상기 파라핀 왁스의 탄소 사슬길이를 조절하여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1 내지 100 Kpa의 압력 범위에서 압력 센서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에 고분자 화합물과 파라핀을 주입하여 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체 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제 혼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제 혼합 복합체를 기판상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압저항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a)에서 상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아세톤,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계 (b)에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는 파라핀 왁스를 도입하여 압저항 압력센서의 감도를 개선하고 파라핀 왁스의 탄소수를 조절하여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온도 이상에서만 압력 센싱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압저항 복합체를 압력 센서에 도입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람이 손으로 압력을 가할 때 센싱이 가능하지만 임계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저온의 물체가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 압력 센서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임계온도를 설정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센서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파라핀 왁스의 온도의 따른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의 압력 센서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실험예 1에 따른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 따른 전압-전류 특성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 따른 압력 센싱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4의 압력 센서 안정성 평가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개략도이고, 여기서 (a)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파라핀 왁스가 고체 상태로 포함된 것이고, (b)는 파라핀 왁스가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액체 상태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임계온도를 갖는다는 의미는 임계온도 이상에서만 압력 센싱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임계온도 미만에서는 압력 센싱이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압저항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 파라핀 왁스; 및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라핀 왁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와 표면에 임베딩된(imbedded) 상태로 분산된 방울(droplet) 형태이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파라핀 왁스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핀 왁스는 점도(viscosity)가 낮아 여기에 분산된 탄소나노튜브는 파라핀 왁스가 외부 압력에 의해 녹는 경우 더 유동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압저항 복합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파라핀 왁스의 성질에 의해 종래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압저항 소재에 비하여 압력에 대한 민감도가 우수하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 센서의 지지체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왁스 7 내지 13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는 탄소수 19 내지 40인 알칸인 것이고, 압력 센서의 임계 온도 설정에 따라 탄소수를 조절하여 파라핀 왁스의 녹는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터치 압력으로 작동하는 압력 센서 제조를 위해서는 사람의 체온에 의해 작동되는 범위로 녹는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의 방울은 직경이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파라핀 왁스의 방울 직경이 20㎛ 미만인 경우에는 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저항 복합체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 10 내지 15 nm, 평균길이 10 내지 20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하한 및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센서의 민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압력 센서로 작동 가능한 임계온도가 30℃ 내지 80℃ 일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의 용도에 따라 파라핀 왁스의 탄소 사슬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라핀 왁스이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임계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1 내지 100 Kpa의 압력 범위에서 압력 센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력 센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제조한다(단계 a).
상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아세톤,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에 고분자 화합물과 파라핀을 주입하여 복합체 용액을 제조한다(단계 b).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왁스 7 내지 13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1 내지 3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압력 센서는 상기 압저항 복합체에 전극을 배치하고 필요한 접촉부 등의 부품을 추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파라핀 왁스/PDMS/MWCNT 압저항 복합체 제조
직경 10~15 nm, 길이가 약 10~20 ㎛ 정도의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를 클로로포름(chloroform) 용매에 분산시키고 이후 PDMS와 탄소수 19 내지 40의 파라핀 왁스(paraffin wax)를 주입하여 복합체 용액을 만든다. 이 때 비율은 0.5g paraffin wax : 0.1g MWCNT : 5g PDMS (sylgard 184) 이다. 이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PDMS 경화제를 약 1g 주입하여 섞은 후 진공분위기에서 거품을 제거하고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0.4 mm 두께로 코팅하였다. 이후 80℃에서 3시간 건조 후 120℃에서 overnight 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압저항 복합체 박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파라핀 왁스의 온도의 따른 상태를 나타낸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15℃에서는 고체로 존재하였으나, 60℃에서는 액체로 존재하였으며,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하면서 20%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압력 센서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완성된 압저항 복합체 박막의 상하에 두께 0.4 mm의 ITO 전극을 붙여 샌드위치 구조의 압력 센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압력 센서의 측면 개략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PDMS/MWCNT 압저항 복합체 제조
파라핀 왁스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DMS/MWCNT 압저항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압력 센서 제조
실시예 1 대신에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PDMS/MWCNT 복합체 박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력 센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SEM 이미지 분석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압저항 복합체 박막의 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PDMS 매트릭스 내에 임베딩된(imbedded) 파라핀 왁스의 마이크로 스케일의 방울(droplets)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압-전류 특성 분석
도 3과 같이 제작한 압력 센서의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에 직류전압을 가하여 얻은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압-전류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 저항 (Ωcm)
15℃ 1.34E+06
60℃ 4.17E+06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파라핀 왁스/PDMS/MWCNT 압저항 복합체는 15 ℃인 경우와 비교하여 60 ℃에서 저항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파라핀 왁스가 녹아 액체가 되면 고체일 때 보다 부피가 20% 가량 팽창하여 MWCNT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전류의 흐름이 감소하고 저항은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예 3: 압력 센싱 분석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라 각각 제조된 압력 센서에 대한 압력 센싱을 분석하였다. 도 3과 같이 제작한 압력 센서의 상부전극에 압력을 가하면서 측정한 전류-전압 곡선을 통해 저항을 구하여 압력에 따른 저항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a)는 실시예 2의 압력 센서에 대한 결과이고, (b)는 비교예 2의 압력 센서에 대한 결과이다. 모든 측정결과는 압력 센서의 이완을 위하여 10초 경과한 후에 측정하였다.
이에 따르면, 파라핀 왁스를 도입한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압력 센서는 15 ℃ 온도 조건에서 10~30 KPa 크기의 압력을 가했을 때 저항변화가 매우 작아 압력 센싱 특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60 ℃의 온도 조건에서 압력을 가한 경우에는 압력에 따른 저항변화가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파라핀 왁스를 도입하지 않은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압력 센서는 60 ℃와 15 ℃에서 저항 변화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4: 압력 센서 안정성 평가
도 3과 같이 제작한 압력 센서의 상부전극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압력 센서의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압력 센서에 20 KPa의 압력을 가하고 압력을 제거하는 과정을 10회 반복하여 압력 센서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10회 압력을 가하는 시점은 최초 0초, 101초, 163초, 192초, 255초, 515초, 567초, 611초, 658초, 705초가 각각 경과할 때이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모든 측정결과는 압력 센서의 이완을 위하여 10초 경과한 후에 측정하였다. 여기서 (a)는 전압-전류 변화를 측정한 것이고, (b)는 상대적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10회 반복 측정하여도 상대적 전기전도도의 편차가 매우 작게 측정되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압력 센서가 오류 없이 매우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고분자 매트릭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와 표면에 임베딩된(imbedded) 상태로 분산된 방울(droplet) 형태의 파라핀 왁스; 및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와 상기 파라핀 왁스에 분산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고분자 매트릭스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핀 왁스는 탄소수 19 내지 40인 알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핀 왁스의 방울은 직경이 2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평균직경 10 내지 15 nm, 평균길이 10 내지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저항 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압력 센서로 작동 가능한 임계온도가 30 ℃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온도는 상기 파라핀 왁스의 탄소 사슬길이를 조절하여 녹는점을 조절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 복합체는 1 내지 100 Kpa의 압력 범위에서 압력 센서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
  12. (a)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 분산시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에 고분자 화합물과 파라핀을 주입하여 복합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복합체 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제 혼합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경화제 혼합 복합체를 기판상에 코팅한 후 경화시켜 압저항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용매는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아세톤,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 상기 고분자 화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파라핀 왁스 5 내지 20중량부; 및 탄소나노튜브 0.5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임계온도를 갖는 압저항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200002888A 2020-01-09 2020-01-09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KR10220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88A KR102201847B1 (ko) 2020-01-09 2020-01-09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888A KR102201847B1 (ko) 2020-01-09 2020-01-09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847B1 true KR102201847B1 (ko) 2021-01-12

Family

ID=7412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888A KR102201847B1 (ko) 2020-01-09 2020-01-09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989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이루켐 탄소 나노튜브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도성 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770B1 (ko) * 2012-12-17 2014-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측정용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및 압력측정방법
KR101546869B1 (ko) 2014-02-25 2015-08-24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재료가 분산된 시멘트 매트릭스 기반 압저항 센서의 제조방법
KR20160109266A (ko) * 2015-03-10 2016-09-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된 산화그래핀/pvdf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써미스터 센서
KR101943519B1 (ko) * 2017-09-26 2019-01-29 울산과학기술원 복합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유연한 온도 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770B1 (ko) * 2012-12-17 2014-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측정용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그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갖는 압력감응센서 및 압력측정방법
KR101546869B1 (ko) 2014-02-25 2015-08-24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재료가 분산된 시멘트 매트릭스 기반 압저항 센서의 제조방법
KR20160109266A (ko) * 2015-03-10 2016-09-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원된 산화그래핀/pvdf 복합소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써미스터 센서
KR101943519B1 (ko) * 2017-09-26 2019-01-29 울산과학기술원 복합소재,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복합소재를 포함하는 유연한 온도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989A (ko) * 2021-03-08 2022-09-15 주식회사 이루켐 탄소 나노튜브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도성 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514631B1 (ko) 2021-03-08 2023-03-27 주식회사 이루켐 탄소 나노튜브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전도성 폴리머 복합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ffney et al. Highly stretchable printed strain sensors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ilicone rubber composites
Wang et al. Strain sensing of printed carbon nanotube sensors on polyurethane substrate with spray deposition modeling
Wu et al. Screen-printed flexible temperature sensor based on FG/CNT/PDMS composite with constant TCR
Natarajan et al. Strong strain sensing performance of natural rubber nanocomposites
Jeong et al. Flexible resistive pressure sensor with silver nanowire networks embedded in polymer using natural formation of air gap
Michelis et al. Highly reproducible, hysteresis-free, flexible strain sensors by inkjet printing of carbon nanotubes
EP3397702B1 (en) Piezoresistive ink, methods and uses thereof
Xin et al. A highly stretchable strain-insensitive temperature sensor exploits the Seebeck effect in nanoparticle-based printed circuits
Shakeel et al. Fabrication of cost effective and high sensitivity resistive strain gauge using DIW technique
US20090309172A1 (en) Sensor and a method of making a sensor
US20120073388A1 (en) Force sensing compositions, devices and methods
US10590296B2 (en) Piezoresistive ink,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08030284A2 (en) Soft mems
KR102201847B1 (ko) 파라핀 왁스를 포함하는 임계온도 압저항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Yi et al. A new approach for an ultra-thin piezoresistive sensor based on solidified carbon ink film
Gao et al. Water-proof and thermally inert flexible pressure sensors based on zero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hybrid films
Huang et al. A multilayered flexible piezoresistive sensor for wide-ranged pressure measurement based on CNTs/CB/SR composite
Zhang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and flexible MWCNT/PDMS based resistive force sensor
Fekiri et al. Multi-material additive fabrication of a carbon nanotube-based flexible tactile sensor
Abshirini et al. Three-dimensional printed highly porous and flexible conductive polymer nanocomposites with dual-scale porosity and piezoresistive sensing functions
Karuthedath et al. Characterization of carbon black filled PDMS-composite membranes for sensor applications
Engel et al. Multi-layer embedment of conductive and non-conductive PDMS for all-elastomer MEMS
Ma et al. Tunneling piezoresistive tactile sensing array fabricated by a novel fabrication process with membrane filters
Aasmundtveit et al. Direct integ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Si microstructures
Keulemans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carbon nanotube composites for strain senso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