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631B1 -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631B1
KR102201631B1 KR1020190061528A KR20190061528A KR102201631B1 KR 102201631 B1 KR102201631 B1 KR 102201631B1 KR 1020190061528 A KR1020190061528 A KR 1020190061528A KR 20190061528 A KR20190061528 A KR 20190061528A KR 102201631 B1 KR102201631 B1 KR 10220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loader
carrier
cassette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093A (ko
Inventor
김종진
조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to KR102019006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39Transport arrangements specific to flat sample substrates, e.g. pusher bla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89Magaz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38Sl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슬라이드를 출납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슬라이드 카세트와, 시료영역을 가지는 슬라이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하는 제1 이미지 스캐너와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와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 또는 퇴출시키는 슬라이드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일부에 강자성체 물질로 형성된 부착부와 탈부착되는 것인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SCANNING DEVICE AND SLIDE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여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질병의 예방과 조기 진단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검진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강 검진은 다양한 질병을 대상으로 하는데, 특히 자궁경부암과 같은 특정 암과 질병들의 발병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하여는 세포 병리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세포 병리 검사는 통상 검체 슬라이드를 필요로 하는데, 검체 슬라이드는 환자의 신체로부터 채취한 검체, 즉 시료를 슬라이드에 얇고 균일하게 도말한 후 다른 슬라이드로 시료를 덮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병리 의사는 각각의 검체 슬라이드를 현미경 등의 검사장비로 관찰하여 환자의 질병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건강 검진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세포 병리 검사를 필요로 하는 검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명의 병리 의사가 검사해야 하는 검체 슬라이드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검체 슬라이드의 검사를 위해 병리 의사가 할애할 수 있는 시간은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한 질병 유무 판단의 정확도 또한 낮아지는 실정이다.
또한, 세포 병리 검사를 필요로 하는 검체 수의 증가함에 따라 세포 병리 검사가 지연되고, 환자가 세포 병리 검사 결과를 수령하기까지 많은 시일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검체 슬라이드의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도, 질병 유무의 판단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병리 의사가 검체 슬라이드를 슬라이드 보관용기로부터 직접 꺼내어 현미경의 관찰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사의 준비를 하고, 현미경의 관찰 영역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며 검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검사를 준비하는 데에 적지 않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었다.
또한, 검체 슬라이드는 현미경의 정확한 관찰 영역에 위치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 검체 슬라이드의 수평적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에는 현미경의 관찰 영역이 이동되어야 하고, 검체 슬라이드의 수직적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에는 현미경의 초점이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에,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검체, 즉 시료 슬라이드를 현미경의 정확한 관찰 영역에 자동으로 로딩함으로써 검사의 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스캐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여 스캐닝할 수 있는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 공급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자동으로 공급하면서도 수평적 면적이 최소화된 스캐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슬라이드를 출납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슬라이드 카세트와, 시료영역을 가지는 슬라이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하는 제1 이미지 스캐너와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와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 또는 퇴출시키는 슬라이드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일부에 강자성체 물질로 형성된 부착부와 탈부착되는 것인 스캐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 또는 이동하는 방법으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하여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중심부 주변에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를 수용할 수 있는 로더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로더 수용공간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통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더 수용공간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가 회전하더라도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의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로더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의 상면을 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의 수직 간격은 상기 슬라이드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위 또는 아래로 승강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는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의 승강 시, 상기 슬라이드를 누를 수 있다.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일측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에 수용된 슬라이드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가이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상판과 슬라이드 지지부의 수직 간격은 상기 슬라이드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의 인출 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의 측면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슬라이드 캐리어에 수용되는 슬라이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적어도 일측면에 강자성체로 형성된 부착부와 식별 영역과 시료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전자석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 및 퇴출하며 전자석을 구비한 슬라이드 로더에 자기력을 이용해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것인 슬라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기 일측면과 타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로더는 전자석을 이용해 슬라이드의 일부에 강자성체 물질로 형성된 부착부와 선택적으로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의 인출과 퇴출은 정확한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수용부의 일측면에 전자석을 이용하여 슬라이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슬라이드 수용부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 또는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평적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캐닝 장치는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캐리어는 중심부 주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캐리어의 회전 시에도 내부 슬라이드 로더와 슬라이드 캐리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슬라이드 캐리어의 회전 시에도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적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캐리어는 가이드 상판을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는 슬라이드 수용부의 정위치에 들뜸 없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슬라이드를 슬라이드 수용부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의 상면을 위에서 누를 수 있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드는 수용부의 정위치에 들뜸 없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의 일측면에 강자성체로 형성된 부착부가 구비되고, 부착부는 슬라이드 로더 및 고정부와 선택적으로 탈부착 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의 인출과 퇴출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를 구비한 슬라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카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가 슬라이드 카세트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에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에 슬라이드가 채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인출 및 퇴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승강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에 구비된 가이드 상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슬라이드 로더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슬라이드 로더가 슬라이드를 인출 및 퇴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70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부재로,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제공하는 구동력은 회전력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제공하는 구동력은 직진력일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스캐닝한 이미지를 메모리(5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 스캐너(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메모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가 스캐닝한 스캐닝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0)는 슬라이드(700)를 식별하기 위한 슬라이드(700)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이미지 재구성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재구성부(6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가 스캐닝한 이미지로부터, 시료 영역(730)에 속한 이미지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한 이미지를 재조합하여 시료 영역(730)의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수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700)의 출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카세트 승강 모듈(9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카세트(8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위 또는 아래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카세트(800)로 퇴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맞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카세트(800)로 퇴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하거나 이동하여 슬라이드(700)를 인출 및 퇴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와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제어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스캐닝 장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중심축, 즉 종축(A)으로부터 이미지 스캐너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미지 스캐너로부터 종축(A)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칭하기로 한다.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70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에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세로 중심축 즉, 종축(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종축(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중심축, 즉 종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1축(B)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종축(A)은 제1축(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종축(A)은 제1축(B) 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 또는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200)는 회전 스테이지(210) 및 리니어 스테이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스테이지(210)는 회전 플레이트(213) 및 회전 베이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213)는 회전 베이스(21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213)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플레이트(213)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213)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플레이트(213)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인접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마주보는 방향, 즉 상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회전 플레이트(213)에 형성된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과 인접한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결합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은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플레이트(213)와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재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제2 결합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을 관통하여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부재는 나사일 수 있다. 결합부재가 나사일 경우,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과 제2 결합홀(111a, 111b, 111c, 111d, 111e, 111f)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은 제1 결합홀(211a, 211b, 211c, 211d, 211e, 211f)의 내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회전 플레이트(213)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결합은 회전 플레이트(213)의 회전 중심축과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종축(A)이 일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213)의 회전 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 베이스(211)는 회전 플레이트(21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회전 플레이트(21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211)는 회전 플레이트(213)의 회전 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212)는 회전 베이스(21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스테이지(210)는 제1 커넥터(212)를 통해 제어부(11)에서 생성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는 회전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회전 스테이지(2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스테이지(210)는 제어부(11)로부터 수신한 회전 제어신호를 기초로 회전 플레이트(213)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어신호는 각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스테이지(210)는 회전 제어신호에 포함된 각속도 정보를 기초로 회전 플레이트(213)의 각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리니어 스테이지(220)는 회전 스테이지(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리니어 플레이트(223) 및 리니어 베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플레이트(223)는 회전 스테이지(21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니어 플레이트(223)의 상면은 회전 베이스(211)의 하면과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리니어 베이스(221)는 리니어 플레이트(22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리니어 플레이트(223)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베이스(221)는 리니어 플레이트(223)의 이동 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플레이트(223)는 리니어 베이스(221) 상에서 제 1축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리니어 플레이트(223)와 회전 스테이지(210)와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된 상태이므로, 리니어 플레이트(223)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제1축(B)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222)는 리니어 베이스(22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스테이지(220)는 제2 커넥터(222)를 통해 제어부(11)에서 생성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는 리니어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리니어 스테이지(2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스테이지(220)는 제어부(11)로부터 수신한 리니어 제어신호를 기초로 리니어 플레이트(223)를 제1축(B)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2차원 영역을 스캐닝하는 AREA 카메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 상의 단위 스캐닝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단위 스캐닝 영역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생성한 2차원 이미지를 메모리(5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하나의 단위 스캐닝 영역에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단위 스캐닝 영역을 촬영하여 생성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들은 서로 다른 초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들, 즉 초점 가변 이미지들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생성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를 메모리(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하나의 단위 스캐닝 영역에서 촬영된 복수의 초점 가변 이미지들을 기초로 하나의 단위 스캐닝 영역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제1축(B)에 평행한 선형의 영역을 스캐닝하는 LINE 카메라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이미지 스캐너(300)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에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직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스캐너(3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400)가 제공한 직진력을 이용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스캐너(300)의 초점은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700)의 예시적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슬라이드(700)의 형태는 외부에서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드(700)는 상부 유리(701)와 하부 유리(7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유리(701)와 하부 유리(702)의 사이에 시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리(701)와 하부 유리(702)는 투명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시료는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의 상면에는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시료 영역(7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700)는 일단에 식별 영역(7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영역(740)은 바코드, 2차원 코드, 전자식 코드 또는 RF(RADIO FREQUENCY) 태그 등의 식별 수단(7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수단(741)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슬라이드(700)에 포함된 시료를 제공한 환자의 정보, 슬라이드(700)의 제조 일자 등의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700)는 일측에 부착부(7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750)는 상자성체 또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자기력을 가진 물체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종축(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측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측방향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중심으로부터 테두리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복수의 날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수용부(110)는 어느 하나의 날개부(120) 및 이와 인접한 다른 날개부(1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20)는 슬라이드 가이드면(1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가이드면(121)은 날개부(120)의 측면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면(121)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수용되는 슬라이드(700)와 접하는 면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슬라이드 지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드 지지부(130)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 지지부(130)는 슬라이드 가이드면(121)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지지부(13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슬라이드(7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고정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 각각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5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내측 테두리면(140)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50)는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력을 가지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력을 잃는 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고정부(150)에 구비된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고정부(150)에 구비된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0)는 슬라이드(700)의 일면과 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슬라이드(700)가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측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삽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다른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개방된 측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수용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지지부(130)에 걸쳐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지지부(130)에 걸쳐진 상태로 슬라이드 가이드면(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의 일면은 고정부(150)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의 이동은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700)의 일면은 부착부(750)가 구비된 면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50)에 구비된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는 상태, 즉 자기력을 가진 상태일 수 있으며, 부착부(750)를 끌어당길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700)는 고정부(150)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흔들림 없이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곡면(123)은 슬라이드 가이드면(121)과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외측 테두리면(1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곡면(123)은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측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삽입됨에 있어,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외측 테두리면(122)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자가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삽입하는 경우, 슬라이드(700)의 삽입방향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소폭 틀어질 수도 있다. 이때, 가이드 곡면(123)은 슬라이드(700)의 삽입방향이 소폭 틀어지더라도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로 가이드하게 되므로,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750)를 구비한 슬라이드(7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100)는 부착부(7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750)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부(750)는 슬라이드(70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부(750)는 슬라이드(7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75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150)와 탈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고정부(150)에 포함된 전자석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는 고정부(150)가 자기력을 가지거나 또는 잃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고정부(150)가 자기력을 가질 때 고정부(150)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700)는 고정부(150)가 자기력을 잃을 때 고정부(150)와 탈착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상부벽(803), 하부벽(804) 및 측벽(805)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복수의 선반(810)을 구비할 수 있다. 선반(810)은 측벽(805)의 내측면에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반(810)은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선반(810)들은 수직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선반(810)들은 균등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선반(810)은 좌우가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쌍을 이루는 좌우 선반(810)의 위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전방 개구(801)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후방벽(820)을 구비할 수 있다. 후방벽(82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벽(82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일 예로, 후방벽(820)은 상부벽(803)과 하부벽(804)과 측벽(805)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벽(820)은 후방 개구(80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후방 개구(802)의 폭은 슬라이드(700)의 폭에 비해 좁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후방 개구(802)를 통해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후방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후방 개구(802)를 통과하여 슬라이드(700)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 및 외부 슬라이드 로더 신축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는 슬라이드(700)의 후면과 접하여 밀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700)를 밀어내거나 당길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0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030)를 통해 슬라이드(700)의 후면과 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030)는 진공 흡착 방식으로 슬라이드(700)의 후면과 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030)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자기력으로 슬라이드(700)의 일측면과 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030)는 슬라이드(700)와 물리적 힘으로 체결되는 걸쇠 또는 단차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슬라이드 로더 신축부(1020)는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향해 신축할 수 있다. 즉, 외부 슬라이드 로더 신축부(1020)는 직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직진력을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010)는 슬라이드(700)에 직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위 또는 아래로 승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를 구비할 수 있다.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하부벽(804)과 밀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하부벽(804)이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와 밀착됨으로써 직립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카세트 고정벽(9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고정벽(92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카세트 고정벽(920)은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의 일부가 위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카세트 고정벽(9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카세트 고정벽(920)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폭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승강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930)는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카세트 끼움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카세트 끼움부(940)는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카세트 끼움부(940)는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카세트 끼움부(94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하부벽(804)이 한 쌍의 카세트 끼움부(94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카세트 승강 모듈(90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복수의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인출 및 퇴출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카세트(800)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 카세트(800)가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각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전면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a)의 좌측에 구비된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슬라이드 퇴출부(800a)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7 (a)의 우측에 구비된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슬라이드 인출부(800b)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수납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스캐닝 장치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 와 인접하여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향해 신축하는 제1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에 인접하여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향해 신축하는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테두리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안쪽 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중심에서 테두리로 향하는 방향을 바깥쪽 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먼저,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가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서로 마주볼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가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이미 마주보는 상태일 경우,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하단으로부터 첫번째 위치한 선반(811b)이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과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승강은 같은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안쪽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향해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바깥쪽 방향으로 신축하여 안쪽 방향으로 신축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첫번째 선반(811b)의 상면이 슬라이드 지지부(13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이는 스캐닝 장치(10)의 제조 공차 또는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승강높이 오차 등으로 인해, 첫번째 선반(811b)의 상면과 슬라이드 지지부(130)의 상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면,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지지부(130)에 걸리지 않고 제1 슬라이드(700) 수납부로 안전하게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캐리어(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가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서로 마주볼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 시,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과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하강은 같은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하단으로부터 두번째 위치한 선반(812b)이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안쪽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두번째 선반(812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와 밀착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드 인출부(800b)가 하강할 때,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두번째 선반(812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안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리고, 두번째 선반(812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바깥쪽 방향으로 신축하여 안쪽 방향으로 신축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도 7의 과정을 반복하여, 슬라이드 인출부(800b)에 수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로 인출할 때, 고정부(150)에 구비된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는 고정부(150)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캐리어(100)가 회전하더라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인출부(800b)에 수납된 복수의 다른 슬라이드(700)로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도 7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 전체에 슬라이드(700)가 수용된 상태로 가정한다. 그리고,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는 제1 이미지 스캐너(300)를 통해 스캐닝이 완료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스캐닝이 필요한 복수의 다른 슬라이드(700)를 수납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사용자 또는 별도의 장비에 의해 사전에 마련되어 카세트 승강 모듈(900)에 끼워진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수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700)의 인출부에 수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로 교체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가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마주볼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퇴출부(800a)는 하단으로부터 첫번째에 위치한 선반(811a)이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과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승강은 같은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a)는 신축하여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에 수용된 슬라이드(700)의 일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a)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밀착된 상태로 당겨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첫번째 선반(811a) 상으로 퇴출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세트 승강 모듈(900)은 복수, 즉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하나의 카세트 승강 모듈(900)을 통해 함께 승강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가 하나의 카세트 승강 모듈(900)을 통해 승강하는 실시예는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가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마주보고,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가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마주보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퇴출부(800a)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두번째 선반(812a)이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첫번째 선반(811b)이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a)는 신축하여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에 수용된 슬라이드(700)의 일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a)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밀착된 상태로 당겨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두번째 선반(812a) 상으로 퇴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b)는 신축하여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의 일측면과 밀착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첫번째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밀어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로의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에 수용된 슬라이드(700)의 퇴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 차이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선반(810)의 상면과, 어느 하나의 선반(810)과 수직하게 인접한 다른 선반(810)의 상면 사이의 높이 차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 차이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형성된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일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 차이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형성된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 이상일 수도 있다. 이는,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 시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지지부(130) 또는 선반(8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 차이는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 이상이고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로부터 퇴출된 슬라이드(700)가 수납된 슬라이드 퇴출부(800a)내의 선반(810)은 동일한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인출된 슬라이드(700)가 위치하였던 슬라이드 인출부(800b)내의 선반(810)과 같은 순번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제1 선반(811a)으로 퇴출되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제1 선반(811b)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로 인출된다.
즉, 동일한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인출 및 퇴출되는 슬라이드(700)는 각각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슬라이드 퇴출부(800a) 내의 같은 순번의 선반(810)으로부터 퇴출되거나 인출된 슬라이드(700)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가 슬라이드 인출부(800b)와 마주보고, 제3 슬라이드 수용부(110c)가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마주보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퇴출부(800a)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의 세번째 선반(813a)이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두번째 선반(812b)이 슬라이드 지지부(130)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승강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가 승강하는 거리는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선반(810)들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복수의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도 8의 과정 즉, 슬라이드(700)의 인출 및 퇴출과,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 및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승강을 교대로 반복하여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인출부(800b)에 수납된 복수의 다른 슬라이드(700)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수평적 이동 없이도 스캐닝이 완료된 슬라이드 캐리어(100) 상의 슬라이드(700)들을 스캐닝이 필요한 슬라이드(700)들로 자동 교체할 수 있다. 즉,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700) 자동 교체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슬라이드(700)의 교체는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단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스캐닝 장치(10)는 도 7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되어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닝 장치(10)는 인출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스캐닝한 후, 도 8의 방법을 통해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카세트(800)로 퇴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승강 모듈(9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는 하나의 카세트 승강 모듈(900)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는 좌우로 단차지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세트 지지 플레이트(910)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를 지지하는 제1 카세트 지지면(910a)과, 슬라이드 인출부(800b)를 지지하는 제2 카세트 지지면(910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세트 지지면(910a)과 제2 카세트 지지면(910b)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1 카세트 지지면(910a)과 제2 카세트 지지면(910b)의 높이 차이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형성된 복수의 선반(810)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한편, 제1 카세트 지지면(910a)과 제2 카세트 지지면(910b)의 높이 차이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형성된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 이상일 수도 있다. 이는,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 시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지지부(130) 또는 선반(8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제1 카세트 지지면(910a)과 제2 카세트 지지면(910b)의 높이 차이는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 이상이고 복수의 선반(810)들의 간격의 2배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가 하나의 카세트 승강 모듈(900)에 지지되어 승강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가 개별로 승강하는 구조에 비해 스캐닝 장치(10)의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의 높이 차이는 고정되기 때문에, 각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개별 승강 시, 승강 거리의 오차로 인해 카세트 간의 수직 간격이 달라지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슬라이드 퇴출부(800a)와 슬라이드 인출부(800b) 중 어느 하나의 높이만을 고려하여 카세트 승강 모듈(900)을 제어하면 되므로, 스캐닝 장치(10)의 동작 안정성은 높아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구비된 가이드 상판(1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가이드 상판(16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내측 테두리면(140)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상판(160)은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내측 테두리면(140)으로부터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상판(160)은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800)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700)의 상면을 덮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상판(160)은 고정부(150)에 비하여 슬라이드 카세트(800)와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상판(160)과 슬라이드 지지부(130)의 수직 간격은 슬라이드(700)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가이드 상판(160)과 슬라이드 지지부(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700)의 인출 시,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70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지지부(130)로부터 들뜬 상태에서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진입하는 경우,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지지부(130)에 밀착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가이드 상판(160)을 구비한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슬라이드(700)가 수용되는 구조를 도시한 C-C`단면도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700)는 가이드 상판(160)의 하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는 부착부(750)가 고정부(150)와 밀착됨으로써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상판(160)의 하면은 일부가 곡면일 수 있다. 이는 슬라이드(700)의 인출 또는 퇴출 시, 슬라이드(700)가 가이드 상판(160)에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700)의 들뜸 정도가 큰 경우에도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가이드 상판(160)이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가이드 상판(160)은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내측 테두리면(140)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상판(160)은 제1 이미지 스캐너가 스캐닝하는 미리 설정된 영역이 아닌 영역이라면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드 가이드면(120)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의 측면은 슬라이드 가이드면(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700)의 측면과 슬라이드 가이드면(120)은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장치(1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하거나, 슬라이드 수용부(110)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카세트(800)로 퇴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하거나 이동하여 슬라이드(700)를 인출 및 퇴출시킬 수 있다.
즉,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하거나 이동하여 슬라이드(700)를 인출 및 퇴출시키고, 외부 슬라이드 로더(100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바깥쪽 방향으로부터 슬라이드 캐리어(100)를 향하여 신축하거나 이동하여 슬라이드(700)를 인출 및 퇴출시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에는 중심부 주변에 로더 수용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로더 수용공간(10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더 수용공간(101)은 고리 형상의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로더 수용공간(101)은 연결 통로(102)를 통해 슬라이드 수용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통로(102)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와 로더 수용공간(10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통로(102)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 통로(102)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110) 전체와 로더 수용공간(10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내부와 날개부(120)를 연결하는 브릿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170)는 로더 수용공간(101)으로 인해 슬라이스 캐리어(100)의 내부와 날개부(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로더 수용공간(101)이 고리의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로더 수용공간(101)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바디(1110)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슬라이드 로더 바디(111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 바디(111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 슬라이드 로더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 구동부는 리니어 모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 구동부는 랙 앤 피니언 (Rack and Pinion)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는 전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는 슬라이드(700)에 구비된 부착부(750)와 자기력을 통해 탈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를 구비할 수 있다.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카세트(800)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는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800)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700)의 상면을 덮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와 슬라이드 지지부(130)의 수직 간격은 슬라이드(700)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와 슬라이드 지지부(13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는 도 10에서 설명한 가이드 상판(160)과 같이 슬라이드(700)가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에 수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가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이동하여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를 통해 슬라이드(700)에 구비된 부착부(7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의 돌출된 부분은 슬라이드 카세트(800)에 수납된 복수의 슬라이드(700)의 사이로 진입하므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700)의 부착부(750)에 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700)를 당겨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승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700)와 부착부(750)에 인접한 상태에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1130)는 슬라이드(700)의 상면을 위에서 아래로 누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슬라이드(7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 내의 정위치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연결 통로(102)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캐리어(100)에 형성된 고정부(150)에 넘겨주고 로더 수용공간(1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내부 슬라이드 로더 탈부착부(1120)는 자기력을 잃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150)는 자기력을 가진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도 12의 (c)에서 하강한 높이만큼 다시 승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가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카세트(800)로부터 슬라이드 수용부(110)로 인출 및 퇴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가 슬라이드(700)를 인출 및 퇴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 (a)의 좌측에 위치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3 (a)의 우측에 위치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를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라 칭하기로 한다.
도 13의 (a)는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가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에 수용된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 퇴출부(800b)로 퇴출하고,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가 슬라이드(700)를 슬라이드(700) 인출부로부터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와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연결 통로(102)를 경유하여 로더 수용공간(1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제1 슬라이드 수용부(110a)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캐리어(100)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가 슬라이드(700) 인출부를 마주보고, 제3 슬라이드 수용부(110c)가 슬라이드 퇴출부(800b)를 마주볼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슬라이드 카세트(800)는 슬라이드 캐리어(100)의 회전 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와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로더 수용공간(101)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슬라이드 캐리어(700)와의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와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슬라이드 캐리어(100)가 회전하더라도 슬라이드 캐리어(100)와 부딪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로더 수용공간(101)이 고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즉, 로더 수용공간(101)은 슬라이드 캐리어(100)가 회전하더라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는 제3 슬라이드 수용부(110c)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제2 슬라이드 수용부(110b)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a)는 연결 통로(102)를 통해 이동하여 제3 슬라이드 수용부(110c)에 수용된 슬라이드(700)의 부착부(750)에 부착된 후, 슬라이드(700)를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퇴출부(800b)로 퇴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b)는 슬라이드(700) 인출부에 수납된 슬라이드(700)를 제2슬라이드 수용부(110b)로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캐닝 장치(10)는 슬라이드 카세트(800)의 수와 대응하는 수의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만을 이용하여 슬라이드(700)의 인출과 퇴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는 슬라이드 수용부(110)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하거나 이동하므로, 내부 슬라이드 로더(1100)의 구비를 위한 별도의 수평적 공간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스캐닝 장치(10)는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캐닝 장치 11 : 제어부
100 : 슬라이드 캐리어(100) 101 : 로더 수용공간
102 : 연결 통로 110 : 슬라이드 수용부
120 : 날개부 121 : 슬라이드 가이드면
122 : 외측 테두리면 123 : 가이드 곡면
130 : 슬라이드 지지부 140 : 내측 테두리면
150 : 고정부 200 : 슬라이드 캐리어 구동부
300 : 제1 이미지 스캐너 400 : 제1 이미지 스캐너 구동부
500 : 메모리 600 : 이미지 재구성부
700 : 슬라이드 730 : 시료 영역
740 : 식별 영역 741 : 식별 수단
750 : 부착부 760 : 가이드 상판
800 : 슬라이드 카세트 800a : 슬라이드 인출부
800b : 슬라이드 퇴출부 810 : 선반
820 : 후방벽 900 : 카세트 승강 모듈
1000 : 외부 슬라이드 로더 1100 : 내부 슬라이드 로더

Claims (14)

  1. 복수의 슬라이드를 출납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슬라이드 카세트와,
    시료영역을 가지는 슬라이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하는 제1 이미지 스캐너와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와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 또는 퇴출시키는 슬라이드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일부에 강자성체 물질로 형성된 부착부와 탈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 또는 이동하는 방법으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하여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이고,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중심부 주변에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를 수용할 수 있는 로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로더 수용공간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통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와 상기 로더 수용공간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복수의 연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것인 스캐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 수용공간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가 회전하더라도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계되는 것인 스캐닝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의 회전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로더 수용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인 스캐닝 장치.
  7. 복수의 슬라이드를 출납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슬라이드 카세트와,
    시료영역을 가지는 슬라이드를 수용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원형의 슬라이드 캐리어와,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스캐닝 하는 제1 이미지 스캐너와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와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 또는 퇴출시키는 슬라이드 로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일부에 강자성체 물질로 형성된 부착부와 탈부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개방된 공간에서 신축 또는 이동하는 방법으로 상기 슬라이드를 인출하여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지지부에 안착시키는 내부 슬라이드 로더이고,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중심부 주변에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를 수용할 수 있는 로더 수용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카세트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의 상면을 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와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의 수직 간격은 상기 슬라이드의 두께 이상인 것인 스캐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위 또는 아래로 승강하고,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 헤드는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의 승강 시, 상기 슬라이드를 누르는 것인 스캐닝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슬라이드 로더는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인 스캐닝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의 일측에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수용부에 수용된 슬라이드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가이드 상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상판과 슬라이드 지지부의 수직 간격은 상기 슬라이드의 두께 이상인 것인 스캐닝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캐리어는 적어도 일부가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한 슬라이드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의 측면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의 인출 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의 측면은 체결되는 것인 스캐닝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61528A 2019-05-24 2019-05-24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KR10220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28A KR102201631B1 (ko) 2019-05-24 2019-05-24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528A KR102201631B1 (ko) 2019-05-24 2019-05-24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93A KR20200135093A (ko) 2020-12-02
KR102201631B1 true KR102201631B1 (ko) 2021-01-12

Family

ID=7379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528A KR102201631B1 (ko) 2019-05-24 2019-05-24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318A (en) 1991-09-20 1995-01-31 Jenoptron Gesellschaft fur Optoelektronik und Handling mbH Apparatus for handling biological specimens
JP2007506944A (ja) * 2003-08-12 2007-03-22 アイデックス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分析装置と共に使用するスライ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試薬試験スライド、並びにその化学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800B2 (ja) * 1994-04-21 2000-07-12 旭テクノグラス株式会社 線量計マガジン交換装置
US7597847B2 (en) * 2003-03-31 2009-10-06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Analyzer having a stationary multifunction prob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318A (en) 1991-09-20 1995-01-31 Jenoptron Gesellschaft fur Optoelektronik und Handling mbH Apparatus for handling biological specimens
JP2007506944A (ja) * 2003-08-12 2007-03-22 アイデックス ラボラ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化学分析装置と共に使用するスライ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試薬試験スライド、並びにその化学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93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658B1 (ko) 슬라이드 자동 로딩이 가능한 스캐닝 장치
US7575242B2 (en) Collimator change cart
CN111344574A (zh) 载片架夹持器设备
BR112012009241A2 (pt) ''dispositivio para obter uma imagem focada de um especime,método,meio legível por computador,dispositivo para um estagio de microscópio,dispositivo para cache de lâmina,dispositivopara varredura de lâmina e método para varrer a lâmina''
US11446670B2 (en) Adjustable slide stage for differently sized slides
KR102201631B1 (ko) 스캐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JP2021502551A (ja) スライドラッククランプ装置
CN111279200B (zh) 载片架转盘
CN115903205A (zh) 用于检视整个样本图像的系统
CN111406218B (zh) 用于载片装载和卸载的固定的基准边缘系统
EP2883031B1 (en) Devices applicable to tissue(s) which facilitates confocal microscopy, optical microscopy, spectroscopy and/or imaging
CN111542742B (zh) 载片架确定系统
CN108226041A (zh) 设有支撑组件的切片装卸系统和病理切片扫描仪
CN108254316A (zh) 一种抽屉式切片装卸系统和病理切片扫描仪
CN208921606U (zh) 荧光检测显微镜
JP3867590B2 (ja) 樹脂成型品の検査
CN114878464A (zh) 用于细胞形态学自动显微扫描仪的双片双推玻片装卸机构
CN108387518A (zh) 无托盘架升降装置的切片装卸系统和病理切片扫描仪
JP2005292725A (ja) プレパラート自動交換装置
EP3739036B1 (en) Biological subject transfer device
CN217365832U (zh) 活体固定适配器
KR102605450B1 (ko) 슬라이드 자동 스캐닝 시스템
CN108152208A (zh) 设有水平引导臂的切片装卸系统和病理切片扫描仪
JP7034274B2 (ja) 分析装置
CN217180600U (zh) 一种荧光图像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