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612B1 -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 Google Patents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612B1
KR102201612B1 KR1020200094717A KR20200094717A KR102201612B1 KR 102201612 B1 KR102201612 B1 KR 102201612B1 KR 1020200094717 A KR1020200094717 A KR 1020200094717A KR 20200094717 A KR20200094717 A KR 20200094717A KR 102201612 B1 KR102201612 B1 KR 10220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ball glove
shape
fixed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벨
Priority to KR102020009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3Baseball or hockey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구글러브가 얹혀지는 받침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얹혀진 야구글러브를 타격하는 타격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타격장치의 타격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Baseball glove shaper device}
본 발명은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글러브를 용이하게 길들일 수 있는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 글러브는 가죽으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쥐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길들이기를 한 후 사용하게 된다.
이런 길들이기를 도와주는 도구로 공을 잡는 대신 공모양의 망치로 글러브를 내려 찍어 공을 잡는 효과를 내는‘글러브 쉐이퍼’가 있다.
그러나 이 도구는 공이 와서 부딪히는 효과만 낼 뿐 단단한 글러브를 계속 쥐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다.
한편, 각 포지션에 따라 길들이는 모양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각 포지션에 맞는 방법으로 길들이기가 진행되어야 하지만 길들이는 방법을 잘 모를 시 글러브가 공이 제대로 잡히지 않는 모양으로 길들여 질 수 있다.
또한, 손에 힘이 빠지거나 다른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 잘못된 모양으로 길들이기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밴드를 이용해 글러브의 모양을 잡는 기술, 굽어지는 지지대를 글러브에 부착해 모양을 잡는 기술, 공을 잡는 포켓 부분에 보형물을 부착해 고정하고 나머지 부분을 움직임으로써 모양을 잡는 기술 등이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글러브를 계속 쥐었다 펴는 동작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808호(2017.11.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구글러브에 타격을 가함과 동시에 쥐었다 펴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타격중에 야구글러브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구글러브가 얹혀지는 받침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얹혀진 야구글러브를 타격하는 타격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타격장치의 타격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와 상기 받침판 사이에는 상기 받침판과 결합하고 상기 지지체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받침판이 상기 지지체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받침판에 얹혀진 야구글러브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홀더는 상면이 개방된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개방된 상면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서 야구글러브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야구글러브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포지션별 또는 성향별로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되는 모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타격장치가 야구글러브를 타격할 시 야구글러브가 접혀지고 타격하지 않을 시 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1홀더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의 중심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에 야구글러브를 고정하는 홀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형부는 손바닥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결합하는 제1모형과, 손가락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모형으로부터 탈착되는 다수의 제2모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모형은 상기 삽입부와 결합하여 손바닥 모양을 형성하는 손바닥플레이트와, 상기 손바닥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모형의 결합위치를 설정하는 다수의 손가락플레이트와, 상기 손바닥플레이트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모형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1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모형은 상기 손가락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모형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2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축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일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이동판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야구글러브와 상기 홀딩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패드와,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판과 결합하여 나사 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판이 이동되도록 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노출되어 상기 볼트를 조작하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에 의하면, 야구글러브에 타격을 가함과 동시에 쥐었다 펴는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격중에 야구글러브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제1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홀더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형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제2홀더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11),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12), 베이스(1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13), 지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구글러브(20)가 얹혀지는 받침판(14), 베이스(12)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구동장치(15), 구동장치(15)와 연결되고, 받침판(14)의 상측에 위치하여 구동장치(15)에 의해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하는 타격장치(16), 프레임(11)에 고정되고 구동장치(15)를 제어하여 타격장치(16)의 타격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17) 및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구동장치(15)에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18)를 구비할 수 있다.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받침판(14)에 야구글러브(20)를 얹혀진 후, 작동제어장치(18)를 통해 구동장치(15)를 작동시켜 타격장치(16)가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속도조절장치(17)를 통해 타격하고자 하는 위치와 타격정도 등에 따라 타격속도를 다르게 하여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작업자가 직접 핸들링하여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의 타격위치를 잡아주거나 변경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상의하고, 타격장치(16)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확률이 높다.
다음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11),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12), 베이스(12)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13), 지지체(13)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구글러브(20)가 얹혀지는 받침판(14), 베이스(12)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구동장치(15), 구동장치(15)와 연결되고 받침판(14)의 상측에 위치하여 구동장치(15)에 의해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하는 타격장치(16), 프레임(11)에 고정되고 구동장치(15)를 제어하여 타격장치(16)의 타격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17) 및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구동장치(15)에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1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회전체(100), 제1홀더(200) 및 제2홀더(300)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체(100)는 지지체(13)와 받침판(14) 사이에 구비되어 받침판(14)과 결합하고, 지지체(13)를 축으로 회전하여 받침판(14)이 지지체(13)를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체(100)는 작동제어장치(18)와 연결되어 작동제어장치(18)에 의해 구동장치(15)가 작동될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홀더(200)는 받침판(14)의 상면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고, 야구글러브(20)와 결합하여 회전체(100)가 작동제어장치(18)에 통해 회전할 시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가 회전체(100)의 회전력에 의해 받침판(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홀더(300)는 제1홀더(200)와 마찬가지로 받침판(14)의 상면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되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야구글러브(20)의 양끝을 잡아 타격장치(16)가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할 시 야구글러브(20)가 접혀지고 타격하지 않을 시 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100)와 제1홀더(200)를 통해 야구글러브(20)가 용이하게 회전되면서 타격장치(16)에 의해 타격되고, 동시에 제2홀더(300)를 통해 야구글러브(20)의 접힘과 펴짐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야구글러브(20)의 쉐이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홀더(200)와 제2홀더(300)를 통해 기계적으로 야구글러브(20)의 위치를 잡거나 변경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타격장치(16)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확률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홀더(2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제1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홀더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받침판(14)에 얹혀진 야구글러브(20)가 회전체(100)의 회전력에 의해 받침판(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홀더(2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홀더(200)는 고정부(210), 결합부(220), 삽입부(230) 및 모형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10)는 상면이 개방된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판(14)의 상면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며, 개방된 상면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는 결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고정부(210)와 마찬가지로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고정부(2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고정부(210)에 형성된 결합홈(211)에 끼워져 고정부(210)와 결합하거나 고정부(2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삽입부(230)는 결합부(220)의 일면에서 야구글러브(20)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야구글러브(2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211)은 결합부(220)가 고정부(210)와 결합하거나 고정부(210)로부터 분리될 시 삽입부(230)가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받침판(14)의 중심방향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모형부(240)는 삽입부(230)의 일단에 구비되며, 포지션별 또는 개인 성향별로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되어 야구글러브(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20), 삽입부(230) 및 모형부(240)는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결합부(220)로부터 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야구글러브(20)를 모형부(240)에 끼운 후 모형부(240)와 일체화된 결합부(220)를 고정부(210)에 끼움으로써 야구글러브(20)를 받침판(14)에 얹힘과 동시에 제1홀더(20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화된 결합부(220), 삽입부(230) 및 모형부(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구글러브(20) 받침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쉐이퍼 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야구글러브(20)를 장식할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제1홀더(200)의 모형부(24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모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의 제1홀더(200)는 삽입부(230)의 일단에 구비되고, 포지션별 또는 개인 성향별로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되어 야구글러브(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모형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형부(240)는 손바닥 모양으로 구비되어 삽입부(230)와 결합하는 제1모형(240a)과 손가락 모양으로 구비되어 제1모형(240a)으로부터 탈착되는 다수의 제2모형(240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모형(240a)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1모형(240a)은 삽입부(230)와 결합하여 손바닥 모양을 형성하는 손바닥플레이트(241)와 손바닥플레이트(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모형(240b)의 결합위치를 설정하는 다수의 손가락플레이트(242)를 구비할 수 있다.
손바닥플레이트(241)와 손가락플레이트(242)는 제1모형(240a)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타격장치(16)에 의한 타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바닥플레이트(241)에는 손바닥플레이트(241)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제1모형(240a)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1외피(2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외피(243)는 야구글러브(2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손바닥 두께와 크기에 따라 두께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전면(미부호)과 후면(미부호)의 유닛으로 구비되어 손바닥플레이트(241)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외피(243)는 타격장치(16)의 타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 타격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모형(240b)은 제1모형(240a)의 손가락플레이트(242)가 삽입되는 삽입홈(2441)이 형성되는 몸체(244)와 몸체(244)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제2모형(240b)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2외피(245)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244)는 제2모형(240b)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타격장치(16)에 의한 타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고, 착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제2외피(245)는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고, 몸체(244)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타격장치(16)의 타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하면서 타격에 의해 형태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모형부(240)를 통해 착용자의 손바닥의 두께, 손바닥의 크기, 손가락의 길이 및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손모양에 맞는 쉐이핑이 가능하며, 제2모형(240b)의 탈착이 용이하므로 포지션별 또는 개인 성향별로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2홀더(3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의 제2홀더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10)는 타격장치(16)가 야구글러브(20)를 타격할 시 야구글러브(20)가 접혀지고 타격하지 않을 시 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홀더(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홀더(300)는 제1홀더(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받침판(14)의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립부(310), 기립부(3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받침판(14)의 중심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부(320) 및 작동부(3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작동부(320)에 야구글러브(20)를 고정하는 홀딩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작동부(320)는 기립부(3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본체(321)와 본체(321)를 축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322)을 구비하고, 홀딩부(330)는 피스톤(322)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31), 일부분이 피스톤(322)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머지 일부분이 고정판(331)과 마주보는 이동판(33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야구글러브(20)의 끝 부분은 고정판(331)과 이동판(332)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판(331)과 이동판(332) 사이에 위치한 야구글러브(20)의 끝 부분은 고정판(331)과 이동판(332)에 의해 제2홀더(300)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딩부(330)는 피스톤(322)의 내부에 볼트(334)를 구비하고, 볼트(334)는 이동판(332)과 결합하여 나사 결합방식을 통해 이동판(332)을 고정판(331)에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야구글러브(20)의 끝 부분이 제2홀더(300)에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334)는 일단이 피스톤(32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피스톤(322)의 외부로 노출된 볼트(334)의 일단에는 피스톤(322)의 일면에 노출되어 볼트(334)를 조작하는 손잡이(33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야구글러브(20)의 끝 부분을 고정판(331)과 이동판(332) 사이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335)를 돌려 이동판(332)을 고정판(331)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야구글러브(20)의 끝 부분을 제2홀더(30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홀더(300)는 작동제어장치(18)와 연결되어 작동제어장치(18)를 통해 타격장치(16)가 작동될 시 함께 작동될 수 있다.
한편, 고정판(331)과 이동판(332)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마찰패드(333)가 각각 구비되어 야구글러브(20)와 홀딩부(330)의 마찰력을 높임과 동시에 고정판(331)과 이동판(332)에 야구글러브(20)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야구글러브(20)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홀더(200)와 제2홀더(300)를 구비함으로써 기계적으로 야구글러브(20)의 위치를 잡거나 변경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타격장치(16)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확률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인 쉐이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11: 프레임
12: 베이스 13: 지지체
14: 받침판 15: 구동장치
16: 타격장치 17: 속도조절장치
18: 작동제어장치 20: 야구글러브
100: 회전체 200: 제1홀더
210: 고정부 211: 결합홈
220: 결합부 230: 삽입부
240: 모형부 240a: 제1모형
240b: 제2모형 241: 손바닥플레이트
242: 손가락플레이트 243: 제1외피
244: 몸체 2441: 삽입홈
245: 제2외피 300: 제2홀더
310: 기립부 320: 작동부
321: 본체 322: 피스톤
330: 홀딩부 331: 고정판
332: 이동판 333: 마찰패드
334: 볼트 335: 손잡이

Claims (3)

  1.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야구글러브가 얹혀지는 받침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어 작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얹혀진 야구글러브를 타격하는 타격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타격장치의 타격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장치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와 상기 받침판 사이에는 상기 받침판과 결합하고 상기 지지체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받침판이 상기 지지체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받침판에 얹혀진 야구글러브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홀더는 상면이 개방된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의 개방된 상면에서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서 야구글러브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야구글러브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포지션별 또는 성향별로 서로 다른 형상의 손모양으로 조립되는 모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타격장치가 야구글러브를 타격할 시 야구글러브가 접혀지고 타격하지 않을 시 펴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홀더는 상기 제1홀더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받침판의 테두리 일측에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의 중심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에 야구글러브를 고정하는 홀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부는 손바닥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와 결합하는 제1모형과,
    손가락 모양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모형으로부터 탈착되는 다수의 제2모형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모형은 상기 삽입부와 결합하여 손바닥 모양을 형성하는 손바닥플레이트와, 상기 손바닥플레이트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모형의 결합위치를 설정하는 다수의 손가락플레이트와, 상기 손바닥플레이트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모형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1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모형은 상기 손가락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모형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제2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축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일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되어 나머지 일부분이 상기 고정판과 마주보는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이동판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각각 구비되어 야구글러브와 상기 홀딩부의 마찰력을 높이는 마찰패드와,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판과 결합하여 나사 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이동판이 이동되도록 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피스톤의 일면에 노출되어 상기 볼트를 조작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KR1020200094717A 2020-07-29 2020-07-29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KR10220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17A KR102201612B1 (ko) 2020-07-29 2020-07-29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17A KR102201612B1 (ko) 2020-07-29 2020-07-29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612B1 true KR102201612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17A KR102201612B1 (ko) 2020-07-29 2020-07-29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6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27B1 (ko) * 2012-08-01 2013-10-04 조명제 다목적 다듬질 장치
KR20170131808A (ko) 2016-05-21 2017-11-30 김현욱 야구 글러브 길들이는 도구
KR102043912B1 (ko) * 2018-09-04 2019-11-12 조명제 금형부착형 실린더 기반 다듬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27B1 (ko) * 2012-08-01 2013-10-04 조명제 다목적 다듬질 장치
KR20170131808A (ko) 2016-05-21 2017-11-30 김현욱 야구 글러브 길들이는 도구
KR102043912B1 (ko) * 2018-09-04 2019-11-12 조명제 금형부착형 실린더 기반 다듬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3025B2 (ja) ゴルフ用パッティング練習機
KR19980701823A (ko) 골프 보조기구
US7491132B2 (en) Golf swing guide
KR102201612B1 (ko) 야구글러브 쉐이퍼장치
US5672117A (en) Articulated putter with sighting device
JP2005514079A (ja) ゴルフグリップ訓練補助具
KR20010035442A (ko)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
US5803821A (en) Golf club gripping ai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32713B1 (en) Golf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17249B1 (ko) 이면 타법이 가능한 펜 홀더형 탁구 라켓
ES2211027T3 (es) Un soporte ergonomico para la mano para trabajo de precision.
KR102031298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골프 퍼터
CN105147361A (zh) 新型两用微创手术钳
USD940402S1 (en) Thumb sleeve for enhancing hand position on a golf club
KR200170689Y1 (ko) 퍼팅용레이저지시기
KR20010099365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골프 티
JP5841282B1 (ja) 防塵カバー
CN104842093A (zh) 安装在焊把上的防护罩
JP2008142104A (ja) 目元に化粧を施すための化粧用の補助具
CN210282168U (zh) 一种防伤手的握钉器
CN204863380U (zh) 新型两用微创手术钳
KR102555591B1 (ko) 네일작업용 팔목 받침대
RU231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отки атакующих действий в ударных единоборствах
US6019259A (en) Athletic glove conditioning system
KR20160021461A (ko) 볼 게임용 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