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05B1 - 안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05B1
KR102201405B1 KR1020200141833A KR20200141833A KR102201405B1 KR 102201405 B1 KR102201405 B1 KR 102201405B1 KR 1020200141833 A KR1020200141833 A KR 1020200141833A KR 20200141833 A KR20200141833 A KR 20200141833A KR 102201405 B1 KR102201405 B1 KR 10220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shape
detection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이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희 filed Critical 이명희
Priority to KR102020014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감시 시스템으로서, 외측면을 따라 다양한 색을 가진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감시 시스템{SYSTEM FOR SAFETY MONITORING}
본 발명은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 상태의 전기설비를 진단 및 검사하는 작업 및 건설 현장은 전반적인 관리 및 감시가 용이하지 못하여, 각종 안전사고 발생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관리 대상의 안전관리를 수행하는 안전 관리자는 작업현장의 외부에 위치한 중앙관제실 또는 작업장 내부 곳곳에 배치되어 있으나, 소수의 관리자가 작업 및 건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작업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 려우므로,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다. 특히, 안전 관리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관리 대상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이 매우 높다.
또한, 작업 및 건설 현장은 작업 공간 및 관리 대상의 수 또한 적지 않아 작업공간 및 관리대상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행되지 못하여, 관리 비용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작업 및 건설현장에서 관리 대상의 추락 및 낙하 등의 사고 발생시 관리 대상 개인이 휴대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긴급상황을 알리거나 경보를 울리는 것에 불과하여, 사고 발생 구역, 사고의 종류, 사고 피해자 등의 구체적인 위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안전 관리자가 없이 작업자 단독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사고시 대처할 수 없는 단점도 있으며, 현장 안 전 관리자가 있는 경우에도 현장 이석의 인적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에 대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모 등의 안전장치를 현장 작업자에게 착용할 것을 권유하지만, 작업자의 재량에 따라 안전장치를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고, 작업자들을 일일히 찾아가 안전장치를 권유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01244호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 출입하는 현장 작업자를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작업자의 안전장치 착용 유무를 분석하여 안전장치 미착용자는 현장 출입 시 경고 신호를 제공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은, 외측면을 따라 다양한 색을 가진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은, 안전모를 필수 착용해야 하는 감시 구역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감시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감시 구역의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분석한 영상을 수신하고,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광등으로 상기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저장하는 영상수집부; 상기 영상수집부에서 저장한 상기 촬영 영상을 기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시간만큼 잘라 다수 개의 분리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분리 영상으로부터 사람과 같이 움직임이 발견되는 영상이 포함된 분리 영상만 추출 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추출한 상기 추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되어 있는 사람의 형상과 비교하여 인체로 감지되는 부분을 검출하여 검출 영상을 생성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 생성한 상기 검출 영상에 존재하는 상기 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을 분석하고, 상기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영상이 포함된 감지대상 영상을 생성하는 감지대상분석부; 및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생성한 상기 검출 영상 및 상기 감지대상분석부에서 생성한 상기 감지대상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영상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상기 검출 영상 및 상기 감지대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신부; 상기 검출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감지대상 영상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위치를 각각 매칭하는 대상매칭부;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에 따라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한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상기 경광등으로 송출하는 신호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모는, 반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돌과 마찰하는 것과 같은 외부의 충격을 견디는 합성수지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외부보호구; 머리띠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람의 머리에 안착하는 내부보호구; 양단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고, 합성섬유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감싸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밴드가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도록 위치하는 밴드부;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여 상기 내부보호구의 둘레를 조절하는 둘레조절부; 및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측 양단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연결되고, 하측 일단은 체결 가능한 체결모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상기 사람의 하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서로 체결하여 고정되고, 합성섬유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사람의 하관 방향을 감싸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전모는, 상기 밴드부의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위치와 상기 외부보호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충격흡수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보호구의 내부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단밀착부; 상기 상단밀착부의 하단에 상기 상단밀착부와 고정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밀착부; 내부가 비어 있는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밀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에는 상기 상단밀착부와 같이 상기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결합부; 상기 내부결합부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결합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상단밀착부와 같이 상기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결합부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나선형의 홈과 회전하며 결합하는 상단결합부; 상기 핀셋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단밀착부와 상기 내부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결합판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부결합부와 상기 상단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결합판이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단밀착부, 상기 내부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밀착부, 상기 내부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를 연결시키는 결합핀; 및 상기 상단결합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가 상기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이 모두 매칭되는 경우, 통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가 상기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안전모와 같은 감지 대상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정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대상분석부에서 상기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의 기울기가 일정한 기울기 이상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사 현장에 출입하는 현장 작업자를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작업자의 안전장치 착용 유무를 분석하여 안전장치 미착용자는 현장 출입 시 경고 신호를 제공하여 보다 안전한 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부와 감시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영상처리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관리서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모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와 안전모의 내부에 마련되는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부와 감시구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10)은 카메라부(100), 영상처리부(500), 관리서버(900) 및 경광등(6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0)는 안전모를 필수 착용해야 하는 감시 구역(800)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카메라가 향한 방향에 위치한 감시 구역(800)을 촬영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500)는 카메라부(100)로부터 감시 구역(800)의 촬영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수신한 영상을 분석할 수 있다.
관리서버(900)는 영상처리부(500)로부터 분석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촬영 영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알림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경광등(600)으로 알림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경광등(600)은 외측면을 따라 다양한 색을 가진 커버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커버의 내부에는 LED 기판이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관리서버(900)에서 생성하는 알림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색을 가진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LED 기판이 발광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경광등(600)은 빨강, 주황 및 녹색으로 형성된 커버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커버의 내부에 각각 LED 기판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관리서버(900)에서 생성하는 알림신호에 따라 빨강, 주황 및 녹색으로 형성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한 LED 기판이 발광할 수 있다.
즉, 정지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알림신호인 경우 빨강색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LED 기판이 발광하여 경광등(600)은 붉은색 빛을 낼 수 있고, 알림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알림신호인 경우 주황색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LED 기판이 발광하여 경광등(600)은 주황색 빛을 낼 수 있고, 통과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알림신호인 경우 녹색 커버의 내부에 마련된 LED 기판이 발광하여 경광등(600)은 녹색 빛을 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에 있는 안전모(201, 202, 203)를 착용한 현장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구간인 감시 구역(800)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영상처리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500)는 영상수집부(510), 영상분석부(530), 인체감지부(550), 감지대상분석부(570) 및 송신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집부(510)는 카메라부(100)로부터 촬영되는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530)는 영상수집부(510)에서 저장한 촬영 영상을 기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시간만큼 잘라 다수 개의 분리 영상으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분리 영상으로부터 사람과 같이 움직임이 발견되는 영상이 포함된 분리 영상만 추출 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고, 추출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인체감지부(550)는 영상분석부(530)에서 추출한 추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되어 있는 사람의 형상과 비교하여 인체로 감지되는 부분을 검출하여 검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감지대상분석부(570)는 인체감지부(550)로부터 생성한 검출 영상에 존재하는 인체로부터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을 분석할 수 있고,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영상이 포함된 감지대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590)는 인체감지부(550)에서 생성한 검출 영상 및 감지대상분석부(570)에서 생성한 감지대상 영상을 관리서버(9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의 관리서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900)는 수신부(910), 대상매칭부(930), 신호생성부(950) 및 신호송출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910)는 영상처리부(500)로부터 검출 영상 및 감지대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대상매칭부(930)는 검출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감지대상 영상에 존재하는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위치를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신호생성부(950)는 대상매칭부(930)에서 매칭한 결과에 따라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950)는 대상매칭부(930)에서 매칭한 결과가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이 모두 매칭되는 경우, 통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신호생성부(950)는 대상매칭부(930)에서 매칭한 결과가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안전모와 같은 감지 대상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정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950)는 감지대상분석부(570)에서 안전모와 같은 감지대상의 기울기가 일정한 기울기 이상인 경우, 현장 작업자가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기 위하여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950)에서 생성한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통하여 현장에 함께 있는 다른 작업자들로부터 안전모 등의 안전장치의 착용을 함께 관리하여 줄 수 있다.
신호송출부(970)는 신호생성부(950)에서 생성한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경광등(6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모에 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00)는 외부보호구(210), 내부보호구(230), 밴드부(270), 둘레조절부(250) 및 길이조절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보호구(210)는 반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벽돌과 마찰하는 것과 같은 외부의 충격을 견디는 합성수지와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보호구(230)는 머리띠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사람의 머리에 안착할 수 있다.
밴드부(270)는 양단이 내부보호구(230)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합성섬유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감싸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밴드가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도록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둘레조절부(250)는 내부보호구(23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회전함에 따라 내부보호구(230)의 둘레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290)는 'Y'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양단이 내부보호구(230)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하측 일단은 체결 가능한 체결모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내부보호구(230)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사람이 하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서로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고, 합성섬유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사람의 하관 방향을 감싸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와 안전모의 내부에 마련되는 충격흡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200)는 충격흡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400)는 밴드부(270)의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위치와 외부보호구(2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모(200)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400)는 밀착부(410), 내부결합부(430), 상단결합부(470), 결합핀(450) 및 완충모듈(492)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410)는 상단밀착부(415) 및 하단밀착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밀착부(415)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는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4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보호구(210)의 내부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단밀착부(413)는 상단밀착부(415)의 하단에 상단밀착부(415)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결합부(4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밀착부(415)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단에는 상단밀착부(415)와 같이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4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홈(43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결합부(470)는 내부결합부(430)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결합부(43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는 상단밀착부(415)와 같이 핀셋이 관통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홀(47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돌기(47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내부결합부(430)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나선형의 홈(435)과 회전하며 결합할 수 있다.
결합핀(450)은 핀셋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밀착부(415)와 내부결합부(4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결합판(451)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결합부(430)와 상단결합부(47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결합판(455)이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밀착부(415), 내부결합부(430) 및 상단결합부(470)를 관통하여 상단밀착부(415), 내부결합부(430) 및 상단결합부(470)를 연결할 수 있다.
완충모듈(492)은 상단결합부(47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일부 구성인 완충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400)의 일부 구성인 완충모듈(492)은 제1 지지부(4921), 제1 탄성부(4922), 제1 결합부(4923), 제2 결합부(4924), 제2 탄성부(4925), 제1 패드(4926) 및 제2 지지부(49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9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두 개의 원기둥이 원기둥의 사이를 연결해주는 작은 너비의 원기둥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4921)의 일단에는 제1 탄성부(4922), 제1 결합부(4923), 제2 결합부(4924), 제2 탄성부(4925), 제1 패드(4926) 및 제2 지지부(4929)가 제1 지지부(4921)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출입지지부(4921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출입지지부(49211)는 제1 지지부(492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4921)의 비어 있는 내부로 제1 탄성부(4922) 등의 모듈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너비를 갖는 비어 있는 공간이 원의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지지부(4921)는 제1 지지부(4921)의 내부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결합부(4923), 제2 결합부(4924), 제2 탄성부(4925), 제1 패드(4926) 및 제2 지지부(4929)를 관통하여 중심을 고정시키는 제1 기둥부(49215)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탄성부(4922)는 탄성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꼬아져 있는 용수철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스프링강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할 수 있고, 자체적인 탄성에 의하여 이완이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1 탄성부(4922)는 제1 지지부(4921)의 하단에 위치한 원기둥의 비어 있는 내부로 관통하여 들어갈 수 있는 너비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결합부(4923)는 제1 탄성부(4922)의 외측면을 감싸는 것이 가능한 너비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돌출부(4923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결합부(4924)는 제1 결합부(4923)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형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는 제1 지지부(4921)로의 삽입을 용이하기 하기 위하여 제1 기둥부(49215)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탄성부(4925)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는 실린더와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결합부(4924)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1 기둥부(49215)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홈(49255)을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패드(4926)는 제2 탄성부(4925)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으며, 제1 패드(4926)의 중앙에는 제1 패드홈(49265)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제2 결합부(4924) 및 제2 탄성부(4925)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제1 기둥부(49215)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지지부(4929)는 제1 지지부(4921)의 상단에 위치한 원기둥의 비어 있는 내부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1 지지부(4921)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지지부(4921)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4929)는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4923), 제2 결합부(4924), 제2 탄성부(4925) 및 제1 패드(4926)가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929)의 타단은 제1 결합부(4923), 제2 결합부(4924), 제2 탄성부(4925) 및 마찰방지부(59157)가 삽입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기둥부(49215)가 일단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도록 일단의 중심부에는 제1 기둥부(49215)의 너비와 같은 크기를 갖는 제2 지지홈(49295))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4929)는 제3 결합부(4927), 제4 결합부(4928) 및 외측고정부(49291)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일단 외측에는 제2 패드(4920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결합부(4927)는 제1 결합부(4923)의 외측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3 결합부(4927)의 내측면은 제1 결합부(4923)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9235)와 맞닿아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결합부(4923)와 제3 결합부(4927)는 서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4 결합부(4928)는 제2 결합부(4924)의 외측 지름보다 큰 지름은 갖는 원형 테두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4 결합부(4928)의 내측면은 제2 결합부(4924)의 외측면과 맞닿아 고정 가능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어 제2 결합부(4924)와 제4 결합부(4928)는 서로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3 결합부(4927) 및 제4 결합부(4928)는 제2 지지부(4929)의 지름과 같거나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제1 지지부(4921)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4921)로 삽입할 수 있다.
외측고정부(49291)는 제2 지지부(4929)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돌출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측고정부(49291)의 내부에는 제2 탄성부(4925)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4929)의 내측면은 외측고정부(49291)가 돌출되어 있는 길이만큼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제2 탄성부(4925)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패드(49201)는 제2 지지부(4929)의 일단 외측면에 제2 지지부(4929)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패드(49201)의 중앙에는 제2 지지부(4929)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지지홈(49295)과 같은 위치에 제1 기둥부(49215)가 관통 가능하도록 제2 패드홈(4920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패드(4926)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 또는 제2 지지부(4929)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위하여 제1 기둥부(49215)의 가장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패드(49201)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외부보호구(210)가 흔들림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 또는 외부보호구(210)의 흔들림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위하여 상단결합부(470)와 완충모듈(49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전 감시 시스템
100: 카메라부
500: 영상처리부
600: 경광등
900: 관리서버

Claims (2)

  1. 외측면을 따라 다양한 색을 가진 커버가 구비되어 있는 경광등;을 포함하고,
    안전모를 필수 착용해야 하는 감시 구역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있어 상기 감시 구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감시 구역의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분석한 영상을 수신하고, 알림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광등으로 상기 알림신호를 송출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상기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저장하는 영상수집부;
    상기 영상수집부에서 저장한 상기 촬영 영상을 기설정되어 있는 일정한 시간만큼 잘라 다수 개의 분리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분리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움직임이 발견되는 영상이 포함된 분리 영상만 추출 영상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 영상을 시간 순서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추출한 상기 추출 영상으로부터 기설정되어 있는 사람의 형상과 비교하여 인체로 감지되는 부분을 검출하여 검출 영상을 생성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 생성한 상기 검출 영상에 존재하는 상기 인체로부터 상기 안전모가 인체에 착용되어 있는 감지대상을 분석하고, 상기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영상이 포함된 감지대상 영상을 생성하는 감지대상분석부; 및
    상기 인체감지부에서 생성한 상기 검출 영상 및 상기 감지대상분석부에서 생성한 상기 감지대상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영상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상기 검출 영상 및 상기 감지대상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수신부;
    상기 검출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와 상기 감지대상 영상에 존재하는 상기 안전모가 인체에 착용되어 있는 감지대상이 존재하는 위치를 각각 매칭하는 대상매칭부;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에 따라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한 정지, 경고 또는 통과 신호를 상기 경광등으로 송출하는 신호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는,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을 견디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는 외부보호구;
    머리띠 형상으로 상기 사람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람의 머리에 안착하는 내부보호구;
    양단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측면에 고정 연결되고, 굽어지는 것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사람의 머리의 둘레를 감싸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형성된 밴드가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도록 위치하는 밴드부;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여 상기 내부보호구의 둘레를 조절하는 둘레조절부; 및
    'Y'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측 양단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 연결되고, 하측 일단은 체결 가능한 체결모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내부보호구의 일단 및 타단으로부터 상기 사람의 하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서로 체결하여 고정되고, 굽어지는 것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사람의 하관 방향을 감싸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는,
    상기 밴드부의 서로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위치와 상기 외부보호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핀셋이 관통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보호구의 내부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단밀착부;
    상기 상단밀착부의 하단에 상기 상단밀착부와 고정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단밀착부;
    내부가 비어 있는 '∩'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밀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에는 상기 상단밀착부의 형태로 상기 핀셋이 관통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결합부;
    상기 내부결합부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부결합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상단밀착부의 형태로 상기 핀셋이 관통 가능한 크기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하단에는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결합부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나선형의 홈과 회전하며 결합하는 상단결합부;
    상기 핀셋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단밀착부와 상기 내부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결합판이 상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부결합부와 상기 상단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결합판이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단밀착부, 상기 내부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단밀착부, 상기 내부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를 연결시키는 결합핀; 및
    상기 상단결합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축 또는 이완 가능한 장치로 마련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가 상기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안전모가 인체에 착용되어 있는 감지대상이 모두 매칭되는 경우, 통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매칭부에서 매칭한 결과가 상기 사람의 형상이 존재하는 위치에 상기 안전모가 인체에 착용되어 있는 감지 대상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정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대상분석부에서 상기 안전모가 인체에 착용되어 있는 감지대상의 기울기가 일정한 기울기 이상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41833A 2020-10-29 2020-10-29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201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33A KR102201405B1 (ko) 2020-10-29 2020-10-29 안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833A KR102201405B1 (ko) 2020-10-29 2020-10-29 안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05B1 true KR102201405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833A KR102201405B1 (ko) 2020-10-29 2020-10-29 안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667U (ko) * 2009-05-22 2010-12-01 이주창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20190101244A (ko) 2018-02-22 2019-08-30 이철희 중장비 공사 현장의 안전감시시스템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667U (ko) * 2009-05-22 2010-12-01 이주창 위험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 시스템
KR20190101244A (ko) 2018-02-22 2019-08-30 이철희 중장비 공사 현장의 안전감시시스템
KR20200082737A (ko) * 2018-12-31 2020-07-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6349T3 (es) Método y sistema computarizados de seguimiento y advertencia de proximidad para el personal, la planta y el equipo que funcionan tanto por encima como por debajo del suelo o su movimiento entre ellos
US10512294B2 (en) Impact awareness device
RU2691296C2 (ru) Средства защиты, включающие систему аварий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DE19653773C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fassung von Sturzsituationen gesundheitsgefährdeter Personen
EP1547036B1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US20130282609A1 (en) Image recognition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ompliance enforcement in work areas
CN106579627A (zh) 一种智能警示穿戴设备
US20160171854A1 (en) Permissions-based alarm system and method
KR20200095630A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537242A (ja) 複数の可動センサを含むセンサシステムの校正
KR102052548B1 (ko)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KR102201405B1 (ko) 안전 감시 시스템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CN107657776A (zh) 一种用于要地安保的周界管理系统
KR102151978B1 (ko) 근로자 안전모 정상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52420A (ko)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현장 작업 관리 시스템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ES2686086B1 (es) Sistema autónomo de seguridad privada, capaz de prestar servicios pasivos y activos y en la lucha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ES2778226T3 (es) Distribución de luz NIR altamente eficiente para la detección de intrusión basada en creación de imágenes
EP3701619A1 (en) Portable detection systems and devices including a detector that detects reflected energy
WO2000068908A1 (en) Surveillance system
EP3984009B1 (en) Kit for monitoring and assistance to security guards and porters
KR102467786B1 (ko) 열사병 방지를 위한 실시간 안전모 온도측정시스템
KR102616808B1 (ko) 군 통제지역 무인화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