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360B1 - 이종 물질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물질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360B1
KR102201360B1 KR1020190063561A KR20190063561A KR102201360B1 KR 102201360 B1 KR102201360 B1 KR 102201360B1 KR 1020190063561 A KR1020190063561 A KR 1020190063561A KR 20190063561 A KR20190063561 A KR 20190063561A KR 102201360 B1 KR102201360 B1 KR 10220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rt
discharge
opening
stora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355A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 서현피엠에스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현피엠에스, 이승환 filed Critical (주) 서현피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06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3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Y10S514/88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1개의 수납공간을 분할하여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 몸체; 상기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2 수납공간의 경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들에 각각 연통된 제1 토출부 및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수납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제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토출부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물질 수납 용기{CONTAINER FOR STORING DIFFERENT KIND OF MATERIALS}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종 물질을 수납 및 토출 할 수 있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 용기는 물질을 보관 또는 수납하는 역할을 하며, 현재 산업용, 가정용으로 매우 다양한 수납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수납 용기에는 하나의 물질이 수납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수납 용기에 서로 다른 2개의 물질이 수납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수납 용기에 서로 다른 2개의 물질이 수납될 경우 물질의 혼합에 의한 물성 저하가 발생 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수납 용기에 샴푸와 린스를 동시에 수납할 경우 샴푸와 린스가 혼합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고,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하나의 수납 용기에는 하나의 물질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납용기에 하나의 물질을 수납할 경우, 보관하고자 하는 물질의 개수에 따라 수납 용기의 개수가 크게 증가 되어 용기 제작 비용에 따른 제품의 생산 원가가 증가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특허 제10-1509555호, 이종 약제 배출형 용기, (등록일 : 2015년 04월 01일)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에 이종 물질을 상호 혼합되지 않게 수납 및 토출할 수 있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이종 물질을 토출 할 때 상호 겹치지 않고 상호 평행하게 토출할 수 있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하나의 뚜껑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을 토출하는 복수개의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면서 토출부의 밀봉 성능은 향상시킨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수납공간에 이종 물질을 리필 할 수 있어 재활용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수납된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1개의 수납공간을 분할하여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 몸체; 상기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2 수납공간의 경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들에 각각 연통된 제1 토출부 및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및 상기 수납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제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토출부 캡을 포함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제1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1 토출부 캡 및 상기 제1 토출부 캡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2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2 토출부 캡을 포함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상기 제1 토출부는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토출부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형성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상기 토출부 캡은 토출부 캡 몸체, 상기 토출부 캡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토출부와 결합되는 제1 토출부 캡부 및 상기 토출부 캡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토출부와 결합되는 제2 토출부 캡부를 포함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수납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제2 토출부를 모두 폐쇄 또는 적어도 1개를 개방하며,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제2 토출부의 상면은 상기 토출부 캡이 회전 및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를 밀봉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상기 수납 몸체 중 상기 토출 부재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수납 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오목한 그루브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 되는 리브 형상을 갖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리필부가 형성된다.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수납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주름을 갖는 제1 주름부 및 상기 제2 토출부 및 상기 수납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주름을 갖는 제2 주름부를 갖는 주름부; 및 상기 수납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름부에 전진 및 후진에 의하여 상기 제1 토출부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핀 및 상기 수납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하여 상기 제2 토출부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핀을 포함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에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주름부를 전진 및 후진시켜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 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에 이종 물질을 상호 혼합되지 않게 수납 및 토출할 수 있고, 이종 물질을 토출 할 때 상호 겹치지 않고 상호 평행하게 토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뚜껑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을 토출하는 복수개의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이종 물질을 리필 할 수 있어 재활용 및 재사용이 가능하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종 물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토출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수납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는 수납 몸체(100), 토출 부재(200) 및 토출부 캡(300)을 포함한다.
수납 몸체(100)는 제1 물질(1)을 수납하는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물질(2)을 수납하는 제2 수납공간(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납 몸체(100)는, 예를 들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납 몸체(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수납 몸체(100)는 적어도 3 개의 수납공간들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수납 몸체(100)에는 수납 몸체(100)의 폭을 2 등분하는 제1 방향(세로 방향)으로 열융착부(115)가 형성되고, 열융착부(115)에 의하여 수납 몸체(100)에는 상호 독립된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100)의 수납 몸체(100)의 상단이 밀봉된 상태에서 수납 몸체(100)의 하단은 제2 방향(가로방향)으로 열융착부(118)가 형성되는데, 이 열융착부(118)에 의하여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은 외부에 대하여 격리 된다.
제1 수납공간(110)에 수납되는 제1 물질(1) 및 제2 수납공간(120)에 수납되는 제2 물질(2)은 서로 다른 소재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에 각각 수납되는 제1 물질(1) 및 제2 물질(2)은, 예를 들어, 샴푸와 린스, 클린징 오일과 클린징 크림, 미백 물질 및 구취 제거 물질, 얼굴 클린징 물질 및 눈썹 클린징 물질, 보습 크림과 영양크림, 에탈올과 메탄올과 같이 상호 혼합되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열융착부(115)가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을 동일한 부피로 이등분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제1 수납공간(110)의 부피 및 제2 수납공간(120)의 부피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 부재(200)는 수납 몸체(100)에 형성되며, 토출 부재(200)는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부(210)는 제1 길이로 형성되고, 제2 토출부(220)는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길이의 편차는 제1 토출부(21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경우, 제1 토출부(210)에서 토출된 제1 물질(1) 및 제2 토출부(220)에서 토출된 제2 물질이 높이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동일한 두께로 상호 나란하게 토출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는 치약 용기, 화장품 용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토출부(210)는 제1 수납공간(110)과 연통되어 제1 수납공간(110)에 수납된 제1 물질(1)을 수납 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토출부(210)는, 예를 들어, 수납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토출부(210)에는 제1 수납공간(110)과 연통된 개구가 형성된다.
제2 토출부(220)는 제2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어 제2 수납공간(120)에 수납된 제2 물질(2)을 수납 몸체(100)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토출부(220)는, 예를 들어, 수납 몸체(100)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토출부(220)에는 제2 수납공간(120)과 연통된 개구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는, 예를 들어, 동일한 높이 및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는 열융착부(115)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수납공간(110) 및 제2 수납공간(120)을 형성하는 열융착부(115)에 의하여 형성된 경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은 상호 인접한 상태에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을 상호 인접하게 배치할 경우 후술 될 토출부 캡(300)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을 개폐할수 있게 된다.
토출부 캡(300)은 수납 몸체(100)에 결합 되며, 토출부 캡(300)은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토출부 캡(300)은 제1 토출부 캡(301) 및 제2 토출부 캡(302)을 포함한다.
제1 토출부 캡(301)은 제1 토출부(210)를 개폐하고, 제2 토출부 캡(302)은 제2 토출부(320)를 개폐하며, 제1 토출부 캡(301) 및 제2 토출부 캡(302)은 상호 분리되어 있다.
제1 토출부 캡(301) 및 제2 토출부 캡(302)은 공통적으로 캡 몸체(310) 및 연결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몸체(310)는 제1 토출부(210) 및 제2 토출부(220)에 각각 결합 되며, 캡 몸체(310)는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연결 부재(320)는 일측단이 캡 몸체(31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에 연결되어 캡 몸체(310)의 분실을 방지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320)의 타측단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에 연결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연결 부재(320)의 타측단은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 대신 수납 몸체(100)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토출부 캡을 제외하면 앞서 도 1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는 수납 몸체(100), 토출 부재(200) 및 토출부 캡(350)을 포함한다.
토출부 캡(350)은 토출부 캡 몸체(352), 연결부재(354), 제1 토출부 캡부(356) 및 제2 토출부 캡부(358)를 포함한다.
토출부 캡 몸체(352)는 연결부재(354) 및 제1 및 제2 토출부 캡부(356,358)들이 형성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며, 토출부 캡 몸체(352)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부재(354)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354)의 일측단부는 토출부 캡 몸체(352)의 일측단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54)의 타측단은 제1 토출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토출부 캡부(356)는 토출부 캡 몸체(352)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2 토출부 캡부(358)도 토출부 캡 몸체(352)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 토출부 캡부(356)는 제1 토출부(210)를 개폐하며, 제2 토출부 캡부(358)는 제2 토출부(220)를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토출부 캡 몸체(352)에 제1 및 제2 토출부 캡부(356,358)이 함께 형성되어 동시에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1 물질 및 제2 물질을 외부로 토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는 토출부 캡을 제외하면 앞서 도 1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는 수납 몸체(100), 토출 부재(200) 및 토출부 캡(360)을 포함한다.
토출부 캡(360)은 수납 몸체(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토출부 캡(360)은 제1 토출부(210) 및 상기 제2 토출부(220) 모두 폐쇄 또는 적어도 1개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토출부 캡(360)은 회동 몸체(362) 및 회전축(364)을 포함한다.
회동 몸체(362)는 수납 몸체(100)에 형성된 회전축(364)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회동 몸체(362)는 회동되면서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때, 회동 몸체(362) 중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와 마주하는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와 마주하는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할 경우, 회동 몸체(352)가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를 밀봉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된 회동 몸체(352)와 마주하는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들의 상면은 회동 몸체(352)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수납 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의 수납 몸체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종 물질 수납 용기(500)의 수납 몸체(100)에는 리필부(150)가 형성된다.
수납 몸체(100)에 형성된 리필부(150)는 수납 몸체(100) 중 토출 부재(200)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된다.
리필부(150)는 제1 결합부(152) 및 제2 결합부(154)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52)는 수납 몸체(100)의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오목한 그루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결합부(154)는 제1 결합부(152)에 결합 되는 리브 형상을 갖는 제2 결합부(154)를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152)가 그루브 형상을 갖고, 제2 결합부(154)가 리브 형상을 갖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결합부(152)가 리브 형상을 갖고, 제2 결합부(154)가 그루브 형상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필부(150)를 수납 몸체(100)에 형성함으로써 수납 몸체(100)에 형성된 제1 수납공간 및 제2 수납공간에 채워지는 제1 물질(1) 및 제2 물질(2)을 사용자가 직접 리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물질 수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종 물질 수납장치의 토출부 캡이 개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장치는 주름부 및 누설 방지부를 제외하면 앞서 도 1에 도시된 이종 물질 수납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종 물질 수납 장치(400)는 수납 몸체(100), 토출 부재(200), 토출부 캡(300), 주름부(380) 및 누설 방지부(390)를 포함한다.
주름부(380)는 토출 부재(200) 및 수납 몸체(100) 사이에 형성되며, 주름부(380)는 제1 주름부(382) 및 제2 주름부(384)를 포함한다.
제1 주름부(382)는 수납 몸체(100) 및 제1 토출부(210) 사이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토출부(210)는 제1 주름부(382)에 의하여 전진 및 후퇴되면서 변위가 발생된다.
제2 주름부(384)는 수납 몸체(100) 및 제2 토출부(220) 사이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2 토출부(220)는 제2 주름부(384)에 의하여 전진 및 후퇴되면서 변위가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토출부 캡(300)을 토출 부재(200)에 덮을 경우 주름부(380)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토출 부재(200)가 수납 몸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토출부 캡(300)을 토출 부재(200)로부터 제거할 경우 주름부(380)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토출 부재(200)는 수납 몸체(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누설 방지부(390)는 수납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누설 방지부(390)는 제1 수납공간에 형성된 제1 물질 및 제2 수납공간에 형성된 제2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누설 방지부(390)는 제1 개폐 핀(392) 및 제2 개폐 핀(394)을 포함한다.
제1 개폐 핀(392)은 수납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1 개폐 핀(392)은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개폐 핀(392)은 제1 토출부(210)의 개구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개폐 핀(392)이 제1 토출부(210)의 개구에 삽입될 경우 제1 개폐 핀(392)에 의하여 제1 토출부(210)로부터 제1 수납공간의 제1 물질은 토출되지 못하고, 제1 개폐 핀(392)이 제1 토출부(210)로부터 제거되어야만 제1 물질이 제1 토출부(210)를 통해 토출된다.
제2 개폐 핀(394)은 수납 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2 개폐 핀(394)은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개폐 핀(394)은 제2 토출부(220)의 개구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개폐 핀(394)이 제2 토출부(220)의 개구에 삽입될 경우 제2 개폐 핀(394)에 의하여 제2 토출부(220)로부터 제2 수납공간의 제2 물질은 토출되지 못하고, 제2 개폐 핀(394)이 제2 토출부(220)로부터 제거되어야만 제2 물질이 제2 토출부(220)를 통해 토출된다.
작동 측면에서, 사용자가 토출부 캡(300)을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에 결합함에 따라 주름부(280)가 후퇴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의 개구에는 제1 및 제2 개폐 핀(392,394)이 삽입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1 및 제2 물체는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를 통해 토출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토출부 캡(300)을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으로부터 제거함에 따라 주름부(280)는 전진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의 개구로부터 제1 및 제2 개폐 핀(392,394)가 제거되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수납공간에 수납된 제1 및 제2 물체들은 제1 및 제2 토출부(210,2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에 이종 물질을 상호 혼합되지 않게 수납 및 토출할 수 있고, 이종 물질을 토출 할 때 상호 겹치지 않고 상호 평행하게 토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뚜껑을 이용하여 이종 물질을 토출하는 복수개의 토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수납공간에 이종 물질을 리필 할 수 있어 재활용 및 재사용이 가능하며, 수납공간에 수납된 이종 물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수납 몸체 200...토출 부재
300...토출부 캡

Claims (7)

1개의 수납공간을 분할하여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1 수납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 몸체;
상기 제1 수납공간 및 상기 제2 수납공간의 경계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들에 각각 연통된 제1 토출부 및 제2 토출부를 포함하는 토출부재;
상기 수납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제2 토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토출부 캡;
상기 제1 토출부 및 상기 수납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주름을 갖는 제1 주름부 및 상기 제2 토출부 및 상기 수납 몸체 사이에 형성되며 주름을 갖는 제2 주름부를 갖는 주름부; 및
상기 수납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주름부에 전진 및 후진에 의하여 상기 제1 토출부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제1 개폐 핀 및 상기 수납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주름부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하여 상기 제2 토출부의 개구를 개폐시키는 제2 개폐 핀을 포함하는 누설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에 각각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주름부를 전진 및 후진시켜 상기 제1 및 제2 토출부를 개방 또는 폐쇄 시키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캡은 상기 제1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1 토출부 캡 및 상기 제1 토출부 캡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2 토출부를 개폐하는 제2 토출부 캡을 포함하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캡은 토출부 캡 몸체, 상기 토출부 캡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토출부와 결합되는 제1 토출부 캡부 및 상기 토출부 캡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토출부와 결합되는 제2 토출부 캡부를 포함하는 이종 물질 수납 용기.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몸체 중 상기 토출 부재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상기 수납 몸체의 상기 제1 및 제2 수납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오목한 그루브 형상을 갖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 되는 리브 형상을 갖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리필부가 형성된 이종 물질 수납 용기.
삭제
KR1020190063561A 2019-05-30 2019-05-30 이종 물질 수납 용기 KR10220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61A KR102201360B1 (ko) 2019-05-30 2019-05-30 이종 물질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61A KR102201360B1 (ko) 2019-05-30 2019-05-30 이종 물질 수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55A KR20200137355A (ko) 2020-12-09
KR102201360B1 true KR102201360B1 (ko) 2021-01-11

Family

ID=7378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61A KR102201360B1 (ko) 2019-05-30 2019-05-30 이종 물질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3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746A (ja) * 2000-11-24 2002-06-04 Eisuke Onishi 携帯用詰め替え容器
JP2004299743A (ja) * 2003-03-31 2004-10-28 Yoshino Kogyosho Co Ltd 押出し容器
JP2008162612A (ja) * 2006-12-27 2008-07-17 Kokuyo Co Ltd 収納具
JP2014240281A (ja) * 2013-06-11 2014-12-25 忠洋 嶋田 多室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55B1 (ko) 2013-10-17 2015-04-10 장가흔 이종 약제 배출형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746A (ja) * 2000-11-24 2002-06-04 Eisuke Onishi 携帯用詰め替え容器
JP2004299743A (ja) * 2003-03-31 2004-10-28 Yoshino Kogyosho Co Ltd 押出し容器
JP2008162612A (ja) * 2006-12-27 2008-07-17 Kokuyo Co Ltd 収納具
JP2014240281A (ja) * 2013-06-11 2014-12-25 忠洋 嶋田 多室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355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9361A (en) Hinged closure for a dual chamber dispensing package
US8052016B2 (en) Dual tube container with one way valves and applicator
CN103459111B (zh) 用于flair应用的改进预成型件
US20060006077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integral piercing unit
US20050236424A1 (en) Single use unit dosage dispensing closure
US11174081B2 (en) Child-resistant locking cap for laminated tubes with improved locking cap insert to reduce substance leakage after the locking cap is closed
JP2020182825A (ja) 化粧品容器
US20180228269A1 (en) Child-resistant locking cap for laminated tubes with improved locking cap insert to reduce substance leakage after the locking cap is closed
US3648895A (en) Collapsible tube containers
CN112236368A (zh) 能够垂直压扁的容器及多重容器
JP2018062351A (ja)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詰め替え容器
CN113784896B (zh) 包括外管和内部容器的管状容器
KR102201360B1 (ko) 이종 물질 수납 용기
WO2016084724A1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その作製方法および液体収納容器
JP2010509143A (ja) ヒンジキャップを備える分注ヘッド
WO2020195688A1 (ja) プリフォーム組立体、二重容器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JP2016101966A (ja) 二重容器
JP7039433B2 (ja) 吐出容器
CN101842291A (zh) 用于流体产品的容器
US8430488B2 (en) Automatic vacuum ink container and its ink supply device and vacuum piston device
JP7313120B2 (ja) 吐出容器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JP7109313B2 (ja) スクイズボトル
JP6910715B2 (ja)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JP7154176B2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