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120B1 - 외과적 접근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과적 접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120B1
KR102201120B1 KR1020157012868A KR20157012868A KR102201120B1 KR 102201120 B1 KR102201120 B1 KR 102201120B1 KR 1020157012868 A KR1020157012868 A KR 1020157012868A KR 20157012868 A KR20157012868 A KR 20157012868A KR 102201120 B1 KR102201120 B1 KR 10220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section
plate
distal end
sidewal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029A (ko
Inventor
제임스 씨 로빈슨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씨 로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씨 로빈슨 filed Critical 제임스 씨 로빈슨
Publication of KR2015007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1Implants for expanding or repairing the vertebral arch or wedged between laminae or pedicle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76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5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 A61B17/8894Screwdrivers, spanners or wrenches holding the implant into or through which the screw is to be inser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3Cannula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척추궁성형술을 실시하도록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원하는 판부에 접근하는 포털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내부 도관을 규정하고 그리고 제 1 측벽 섹션과 제 2 측벽 섹션을 가진 척추궁성형술 포털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외과적 접근 시스템 {SURGICAL ACCESS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외과 처치들에 관한 것으로서, 가장 특히 척추에서의 경추 협착을 치료하기 위한 척추궁성형술 (laminoplasty) 을 실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외과 처치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원은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분리된 판부 (lamina portion) 를 릴리프 위치 (relief position) 에 고정시킴으로써 척추관의 영역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척추 협착은 척수 (spinal cord) 와 신경근들이 통과하는 척추관의 협착 (narrowing) 을 포함하는 척추의 질환이다. 이러한 협착은 선천적일 수 있고, 그리하여 어느 연령대의 환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척추 협착은 척추 인대들의 두꺼워짐 및 석회화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석회화는 척추내의 칼슘염들의 적층물들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척추 협착은 뼈들과 관절들이 확장될 때 유발할 수 있어서, 소골류 (osteophytes) (뼈 돌기들 (bone spurs)) 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소골류의 중요한 원인은 척추 디스크들이 물 (water) 을 손실하여 덜 밀집화되는 척추증 (spondylosis) 이다. 또한, 불룩하거나 탈출된 디스크가 척수 또는 신경근에 압력을 가하여, 척추관의 영역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병증이 있는 뼈 또는 종양들은 척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고, 척추관내의 신경근들이 이용가능한 공간을 저감시킨다.
척추 협착으로 인한 척수의 압축은 환자들이 느끼는 고통, 나약함 또는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로, 척수 압축은 척수장애 (myelopathy) 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신경 손상을 유발하고 그리고 척수 장애를 유발한다. 치료하지 않은 채 두면, 이러한 압축은 결국 척수내의 순환계를 손상시킬 것이고, 이는 보다 심각한 척수장애를 유도한다.
척추로의 후방 접근으로 척수를 압축해제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2 가지 외과용 방법들이 사용된다. 첫째로, 추궁절제술 (laminectomy) 은 척수를 덮는 경막을 노출시키도록 판 및 극상 돌기들의 제거를 포함한다. 척추 (spinal column) 를 정렬시키는데 사용되는 척추골의 후방에 있는 지지 구조물들의 일부를 제거하기 때문에, 추궁절제술은 환자들에게 있어서 자세 변형들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처치는 환자에게 있어서 상당한 흉터를 형성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걱정들에 대처하도록, 유합 (fusion) 을 향상시키는데 관련된 척추골 뼈들 사이에 이식편을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척추에서의 운동 범위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치료된 척추골 위 및 아래의 척추골들의 퇴화를 가속화시킬 것이다.
척수를 압축해제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두번째 방법은 척추궁성형술이다. 척추궁성형술 처치에서, 대상 척추골을 잘르고 그리하여 판 (lamina) 이 경막과 척추관을 상승시키도록 재배치된 판을 확장한다. 그 후, 플레이트 및/또는 이식편은 척추관을 영구적으로 확장시키도록 삽입된다. 일반적으로 척추궁성형술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2 가지 기술들이 있다. 첫째로, 일방향 (unilateral) 또는 "오픈 도어 (open door)" 척추궁성형술은, 대상 척추골의 중간선의 제 1 측면에서 판의 제 1 부분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절단하면서, 이 중간선의 제 2 측면에서 판의 제 2 부분만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힌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제 1 판부는 척수로부터 멀리 힌지되어 척추관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개구에 이식편 및/또는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척추관을 영구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양방향 (bilateral) 또는 "프렌치 도어 (French door)" 척추궁성형술은, 극상 돌기의 중간선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절단한 후, 판부의 양측면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2 개의 힌지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척추골은 양분된 극상 돌기에서 개방될 수 있고, 이식편 또는 플레이트는 개구에 삽입되어 척추관을 영구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추궁절제술과는 다르게, 척추궁성형술은 어떠한 뼈 재료를 절제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로, 추궁절제술과 비교하면, 이 척추궁성형술은 보다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들에 있어서 유합에 비하여 더 넓은 범위의 운동을 유지한다. 척추궁성형술 처치에서 판 유합 및 고정 기술들의 사용을 통하여, 배치된 판의 획득된 압축해제 및 위치는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척추궁성형술 처치들에서 달성되는 발달들에도 불구하고, 특히 경추 척추골에서 실시할 때, 이러한 처치들의 유효성 및 이러한 처치들이 완성되는 용이성에 있어서 여전히 몇몇 제한들이 있다. 예를 들어, 본 기술들은 의사들이 뼈에 대한 근육 및 인대 부착물들의 스트립핑을 포함하는 척추에 도달하기 위해 큰 절개를 하도록 하고, 이는 상당한 근육 및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로, 경추 척추 외과술들에서, 더 작은 크기의 대상 척추골은 수술을 보다 더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수술 공간내에서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 또는 판이 적절한 거리에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의사들이 발견하기 어렵다. 더욱이, 일부 환자들에게 있어서, 현재의 기술들로 달성될 수 있는 영역의 증가는 척수 압축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도록 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마지막으로, "오픈 도어" 척추궁성형술들의 불균일한 특성으로 인해, 환자들은 처치 후에 척추들에서의 약간의 불균형을 가질 수 있고, 척추관 직경에 있어서의 증가도 비대칭이다.
유사하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도 또한 제한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현재의 많은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은 작은 절개부들안으로 삽입하기 위해서 또는 경추 척추골에 효과적으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크기가 너무 크다. 추가로, 현재의 플레이트들은 적절한 위치에 판을 영구적으로 배향시키는데 필요한 안정성이 종종 부족하다. 또한, 현존하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구성은 종종 척추골 및 판에 플레이트를 부착시키는 과정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현존하는 많은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은 뼈 유합 재료의 접합 사용을 허용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되지 않는다. 현존하는 플레이트들은 또한 칼을 덜 대는 외과 처치들을 사용하는데 곤란하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전술한 제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공지된 플레이트들과 연관된 제한들에 대처하도록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을 제공할 것을 원하고 있다. 추가로, 당업계에서는, 전술한 제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공지된 방법들과 시스템들과 연관된 제한들에 대처하도록 상기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과 시스템들을 제공할 것을 원하고 있다.
본원에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판 설정 공구 및 척추궁성형술 포털을 포함하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제 1 평면에 규정된 바닥면을 가진 근위 단부와 제 2 평면에 규정된 바닥면을 가진 원위 단부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판부를 릴리프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조절가능한 스탑을 구비하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및 본체부와 제 1 지지 암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본체부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그리고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로부터 이격된다. 가이드는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 1 지지 암에 의해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에 결합된다. 제 1 지지 암의 원위 단부에서, 가이드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에 결합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스탑은 소정의 제한된 깊이에 대응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고, 이는 판의 하부측을 통하여 척추관안으로의 나사가공된 부재의 과도한 통과를 방지할 것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부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척추관이 수술전 (pre-operative) 단면적보다 더 큰 릴리프 단면적을 가지는 릴리프 위치로 제어가능하게 상승되고, 상기 판부는 그 후에 상승된 위치에 고정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부를 릴리프 위치에 제어가능하게 상승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를 보조하도록 판 설정 공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장착가능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표준 포털과 함께 상기 판 설정 공구를 사용하면, 이 포털은 판과 함께 상승되어야 하고, 이는 유체 및 연성 조직이 시각적으로 방해되도록 하고 그리고/또는 처치와 기계적으로 간섭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시적인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포털이 제공되고, 이 척추궁성형술 포털은 내부 채널과 원주방향 측벽을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도관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원주방향 측벽은 제 1 측벽 섹션 및 반대편의 제 2 측벽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은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위치에서, 2 개의 측벽 섹션들의 원위 단부들은 제 1 판부 및 제 2 판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함께 연장되어 있다. 제 1 판부가 상승됨에 따라,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이와 함께 제 2 위치로 상승되어, 제 1 측방향 매스부 (mass portion) 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를 나온다.
관련된 수술 방법들이 또한 제공된다.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다른 장치들, 방법들, 시스템들, 특징들과 장점들 및 이들의 사용 방법은 이하의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추가의 장치들, 방법들, 시스템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기재에 포함되고,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및 이들의 사용 방법의 범위내에 있으며,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 은 수술전 단면적을 가진 척추관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경추 척추골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릴리프 위치에서의 제 1 판부를 도시하는 도 1 의 경추 척추골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릴리프 위치에서의 제 1 판부와 제 2 판부를 도시하는 도 1 의 경추 척추골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예시적인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5a 는 평행한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을 도시하는 도 4 의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5b 는 서로에 대하여 예각으로 있는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을 도시하는 도 4 의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6 은 판 설정 공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7 은 판 설정 공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후방측 입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전방측 입면도이다.
도 10 은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우측 입면도이다.
도 11 은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좌측 입면도이다.
도 12 는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세장형 가이드의 원위 단부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세장형 가이드의 원위 단부의 절취측 입면도이다.
도 14 는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하우징의 절취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7 의 판 설정 공구의 드라이브 너트의 절취측 입면도이다.
도 16 은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일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17 은 판 설정 공구용 잠금 슬라이드의 일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제 1 위치에서 척추궁성형술 포털의 일 양태의 측입면도이다.
도 19 는 제 2 승강 위치에서 도 18 의 척추궁성형술 포털의 일 양태의 측입면도이다.
도 20 은 제 1 위치에서 제자리에 도시된 2 개의 척추궁성형술 포털들의 일 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21 은 제 1 위치에서 제자리에 도시된 2 개의 척추궁성형술 포털들의 일 양태의 측입면도이다.
도 22 는 판의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하는 제 1 위치에서 도 21 에 도시된 2 개의 척추궁성형술 포털들의 일 양태의 측입면도이다.
도 23 은 제 2 승강 위치에서 도 21 에 도시된 2 개의 척추궁성형술 포털들의 일 양태의 측입면도이다.
도 24 는 제 1 시상봉합 분리부와 제 2 시상봉합 분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한 쌍의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제 2 상승 위치에서 도 21 에 도시된 2 개의 척추궁성형술 포털들의 일 양태의 측면 입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실시예들, 청구범위, 및 그 이전 및 이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본 시스템, 기기들 및/또는 방법들이 개시되고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물론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개시된 특정의 시스템들, 기기들 및/또는 방법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의 양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고, 제한하려고 의도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은 현재 알려진 그 최상의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가능한 사상으로서 제공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유리한 결과를 여전히 달성하면서, 설명된 양태들에 대해 많은 변경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하는 이득의 일부는 다른 특징들을 이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들 중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본 발명에 대한 많은 개조 및 적합이 가능하고 또한 심지어 특정의 상황에서는 바람직하고, 또한 본 발명의 일부라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닌 본 발명의 원리의 설명으로서 제공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 지시대상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플레이트"라는 언급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나타내지 않는 한 2 개 이상의 플레이트들을 갖는 양태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는 "약" 하나의 특정의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의 값까지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가 표시되는 경우, 다른 양태는 하나의 특정의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의 값까지 포함한다. 유사하게, "약" 이라는 선행어를 사용하여 값이 근사치로서 표현된 경우, 특정 값은 다른 양태를 형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범위들의 각각의 종점들 (endpoints) 은 다른 종점에 관련하여 또한 다른 종점과 독립하여 모두 중요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선택적 (optional)" 또는 "선택적으로" 라는 용어는 그 이후에 기재된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그 기재가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예 및 발생하지 않은 예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원에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경추 척추골 (200) 의 분리된 판부 (210) 를 릴리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가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는 제 1 평면 (P1) 에 규정된 바닥면 (120) 을 가진 근위 단부 (110) 와 제 2 평면 (P2) 에 규정된 바닥면 (120) 을 가진 원위 단부 (105) 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은 중간부 (130) 에서 서로 이격되어, 근위 단부 (110) 의 바닥면은 원위 단부 (105) 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평면은 약 1 mm ~ 약 10 mm 의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평면과 제 2 평면은 약 3 mm ~ 약 7mm 로 이격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들, 외과용 강, 중합 재료, 세라믹 재료, 탄소 섬유 복합재, 재흡수성 재료, 폴리글리코네이트 (polyglyconate), 자가이식 뼈, 동종이식 뼈, 이종이식 뼈, 및 수산화인회석과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평면 (P1) 은 제 2 평면 (P2) 에 실질적으로 평행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제 1 평면은 제 2 평면에 대하여 예각 (α)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각은 약 0 도 ~ 89 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 도 ~ 30 도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에 연결되는 중간부 (130)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중간부 (130) 는 형상이 아치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부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의 단면적들에 비하여 감소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감소된 단면적은 뼈 유합 재료에 의해 중간부를 보다 완전히 둘러싸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부는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의 단면적들에 비하여 증가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강성 및 단면적의 증가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두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가 인장, 압축 또는 전단 부하들에 대하여 보다 저항성을 나타내도록 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미리 정해진 직경들의 다수의 보어들 (140) 을 규정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근위 단부 (110) 는, 이 근위 단부의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근위 단부를 관통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나사들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2 쌍의 대향하는 나사 보어들 (140) 을 규정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근위 단부는 또한 이 근위 단부의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근위 단부를 관통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판 설정 공구 (300) 의 일부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구 나사 구멍 (150) 을 규정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공구 나사 구멍은 근위 단부의 한 쌍의 나사 보어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공구 나사 구멍은 각각의 나사 구멍에 인접하게 또한 그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원위 단부는, 이 원위 단부의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원위 단부를 관통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나사들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2 쌍의 대향하는 나사 보어들을 규정한다. 본 발명에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상이한 수량 및 위치의 보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원위 단부는 가이드 (330) 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가능부 (160) 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장착가능부 (160) 는 가이드 (330) 가 장착될 수 있는 상승된 원뿔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장착가능부는 가이드가 장착될 수 있는 공동을 규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착가능부는 판 설정 공구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 보어 (170) 를 규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장착가능부는 원위 단부 (105) 의 한쌍의 나사 보어들 (1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장착가능부는 각각의 나사 보어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로부터 동일 거리에 위치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의 장착가능부의 상이한 위치와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 (300) 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 (200) 의 판부 (210) 를 릴리프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조절가능한 스탑 (320) 을 구비하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310) 및 본체부 (332) 와 제 1 지지 암 (334) 을 구비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본체부 (332) 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그리고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로부터 이격된다. 가이드는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 1 지지 암 (334) 에 의해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310) 에 결합된다. 제 1 지지 암의 원위 단부에서, 가이드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에 결합된다. 더욱이, 가이드의 본체부는 안정적인 구조물에 고정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본체부는 실질적으로 측방향 매스 (220) 에 또는 그 근방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부는 수술실 테이블과 같은 수술실내에 위치된 안정적인 구조물에 고정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및 가이드 (330) 의 본체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들, 외과용 강, 중합 재료, 세라믹 재료, 탄소 섬유 복합재, 재흡수성 재료, 폴리글리코네이트, 자가이식 뼈, 동종이식 뼈, 이종이식 뼈, 및 수산화인회석과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스탑 (320) 은 소정의 제한된 깊이에 대응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고, 이는 판의 하부측을 통하여 척추관 (240) 안으로의 나사가공된 부재의 과도한 통과를 방지할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스탑은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길이를 따라서 조절가능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부착 지점 (230) 에서 판부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제 1 지지 암과 부착 지점 (230) 사이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310) 에 결합되는 제 2 지지 암 (비도시)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 암의 원위 단부에 연결된 소형 실린더 (340) 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소형 실린더 (340) 를 통하여 끼워지고 그리고 이에 의해 측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핸들부 (35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핸들부 (350) 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는 상승 거리를 측정하도록 조정된 게이지 (비도시) 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지는 판 설정 공구의 사용자가 특정 상승 거리를 얻는데 필요한 회전양을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특히, 게이지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완전 회전수를 추적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고, 여기에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한번의 완전 회전은 특정 상승 거리에 대응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 (500) 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단부 (512) 가 장착가능부에 또는 그 근방에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의 부분들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가이드 (51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태에서 판 설정 공구는 종방향 채널 (522) 과 내부 챔버 (524) 를 규정하는 하우징 (520) 을 포함한다. 세장형 가이드의 근위 단부 (514)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가공된다. 내부 챔버 (524) 에는 세장형 가이드 (510) 의 근위 단부 (514) 와 동축 정렬되도록 구성된 구동 너트 (530) 가 배치된다. 구동 너트 (530) 는 세장형 가이드의 근위 단부 (514) 상에 배치된 나사들의 적어도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내부 나사들 (532) 을 가진다. 구동 너트 (530) 의 보어 (534) 는, 세장형 가이드 (510) 의 근위 단부상에 배치된 나사들과 결합하고 그리고 결합해제하도록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기결정된다. 하우징이 세장형 가이드의 종축선 (LG) 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제 1 결합해제 위치에서부터, 구동 너트를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이 세장형 가이드의 종축선을 따라서 제어가능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 결합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 (500) 는 하우징의 종방향 채널 (522) 내에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 (540) 를 포함한다. 이 뼈 나사 샤프트 (540) 는 종방향 채널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8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뼈 나사 샤프트 (540) 의 원위 단부 (542) 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판의 일부로 보링하기 위한 나사들 (544) 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가이드 (510) 와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 (540) 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양태에 있어서, 결합해제 위치에서, 하우징은 세장형 가이드 (510) 의 종축선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가이드의 원위 단부 (512) 쪽으로 하우징의 종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세장형 가이드의 근위 단부 (514) 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세장형 가이드 (510) 상에 위치된 스탑 기구 (527) 가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는 또한 구동 너트 (530) 의 외부 (536) 의 외면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에 횡방향으로 하우징의 내부 챔버 (524)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 요소 (550) 를 가질 수 있다. 이 편향 요소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향 요소는, 상기 양태에서, 세장형 가이드 (510) 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나사들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동 너트를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상의 위치에서, 구동 너트는 결합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편향 요소 (550) 와 작동하도록, 일 양태에서, 하우징은 구동 너트의 외부에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잠금슬라이딩 리세스 (560) 를 규정할 수 있다. 잠금슬라이딩 리세스 (560) 에는, 구동 너트의 외부 (536) 에 대하여 끼워지고 그리고 제 1 결합해제 위치에서 제 2 결합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사진 (ramped) 표면 (567) 을 갖는 잠금슬라이드 (565) 가 있다. 경사진 표면은 예를 들어 구동 너트의 외부의 일부에 일치하도록 다수의 만곡된 경사진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 (540) 는 채널에 대하여 종방향 이동이 실질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세장형 가이드 (510) 에 대하여 하우징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너트는 그 외부면 (536) 에서 리세스 (538) 를 규정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기 양태에서, 구동 너트의 리세스 (538) 와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내부에 규정된 로커 암 구멍 (526) 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520) 의 외부 (529) 에 힌지식으로 부착된 근위 단부 (572) 와 상기 로커 암 구멍 (526) 을 통하여 위치된 원위 단부 (574) 를 가진 로커 암 (570) 이 있을 수 있다. 이 로커 암의 원위 단부는, 리세스가 구동 너트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서, 이 리세스와 결합 그리고 결합해제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너트의 회전당 적어도 1 번, 로커 암의 원위 단부는 리세스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은, 구동 유닛의 내부 나사들 및 세장형 가이드의 근위 단부상의 나사들의 나사 피치에 따라서, 잠금 너트의 회전마다 세장형 가이드에 대한 하우징의 편차 운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세장형 가이드에 대한 하우징 및 그로 인한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의 상대 운동의 촉감을 사용자에게 준다.
일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가이드 (510) 는 실질적으로 관형일 수 있고, 이는 내부 종방향 샤프트 공동 (518) 을 규정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가이드 (512) 의 원위 단부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구멍 (586) 을 규정하는 시트부 (584) 및 2 개의 레그부들 (582) 을 가진 내부로 테이퍼진 편자 (horseshoe) 단면 형상의 선단 (580) 을 포함한다. 선단 (588) 의 외부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공구 보어 (170) 의 내부 (175) 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로드 (590) 는 샤프트 공동 (518) 내에 배치된다. 세장형 로드는 2 개의 레그부들 (582) 를 서로 멀어지게 선택적으로 벌리도록 시트 구멍 (586) 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 (592) 를 가진다. 가이드의 선단의 외경이 증가하면, 이 선단의 외부 (588) 가 공구 보어 (170) 와 마찰 결합하도록 해준다. 일 양태에 있어서, 선단의 외부는 또한 공구 보어의 내부가 결합할 수 있는 원주방향 융기부 (589) 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양태에 있어서, 세장형 로드의 원위 단부 (592) 는 시트 구멍과 결합하도록 구성 및 나사가공되어, 세장형 로드 (590) 의 회전으로 인해 세장형 로드의 원위 단부가 2 개의 레그부들과 결합하도록 돌출하고 그리고 이 결합으로부터 후퇴되어, 레그부들을 일방향으로 벌리고 그리고 다른 방향으로 통상의 위치로 후퇴하도록 한다.
도 8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양태에서 판 설정 공구 (500) 는 세장형 가이드 (510) 의 외부 뿐만 아니라 하우징상에 눈금 표시 (graduated marking; 594) 를 포함하여,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 (540) 의 원위 단부 (542) 의 경추 척추골의 판의 일부로의 보링 깊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세장형 가이드 (510) 에 대한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의 종방향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원에는 또한 척수 압축을 해소함으로써 환자의 경추 협착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수술전 단면적을 가진 척추관 (240) 을 규정하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 양태에 있어서, 환자의 경추 협착 영역에 걸쳐 환자의 후방 절개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후방측을 노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약 14 ~ 18 mm 범위의 작은 경로는 연조직을 통하여 원하는 경추 척추골 (200) 에 도달하도록 팽창되어, 근육과 조직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척추는 종래의 개방 접근시에 보다 광범위하게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제 1 판부가 분리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제 1 판부 (210) 를 분리하는 단계는, 척추골의 중간선의 제 1 측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외부로부터 척추관까지의 제 1 시상봉합 분리부 (225) 를 형성하는 것과, 중간선 (260) 의 제 2 측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외부로부터 척추관까지의 제 2 시상봉합 분리부 (227) 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 (200) 의 판부 (210) 및 극상 돌기 (270) 는 어떠한 지점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나머지에 더이상 부착되지 않을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시상봉합 분리부들은 판부와 측방향 매스부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 1 판부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척추관이 수술전 단면적보다 더 큰 릴리프 단면적을 가지는 릴리프 위치로 제어가능하게 상승되고, 상기 제 1 판부는 그 후에 상승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를 제공한 후에, 제 1 판부 (210) 를 릴리프 위치까지 제어가능하게 상승시키는 단계는, 우선,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시상봉합 분리부 (225) 에 인접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제 1 측방향 매스부의 일부에 부착하는 것과,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시상봉합 분리부에 인접한 제 1 판부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의 중간부 (130) 의 미리 결정된 길이는 판부와 원하는 경추 척추골 사이에 필요한 분리양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판부 (215) 를 릴리프 위치까지 제어가능하게 상승시키는 단계는, 그 후, 제 2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시상봉합 분리부 (227) 에 인접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제 2 측방향 매스부에 부착하는 것과, 제 2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 (110) 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시상봉합 분리부에 인접한 제 2 판부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은 나사들에 의해 원하는 측방향 매스부 및 판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사들은 종래의 자가 테이핑 뼈 나사들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비-자가 테이핑 뼈 나사들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원위 단부 (105) 를 원하는 경추 척추골에 부착하는 단계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원위 단부를 경추 척추골의 각각의 측방향 매스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중간선의 제 1 측 및 중간선의 제 2 측에서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식으로 완성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부를 릴리프 위치에 제어가능하게 상승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를 보조하도록 판 설정 공구 (300)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100) 의 장착가능부 (160) 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가이드는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의 상승된 원뿔형부와 상호 잠겨지도록 구성된 중공의 생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는 원위 단부의 공동내에 고정되도록 된 장착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를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장착가능부에 장착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판 설정 공구의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구 나사 구멍 (150) 을 규정할 수 있는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판 설정 공구의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310) 는 공구 나사 구멍안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와 가이드 (330) 의 본체부 (332) 사이의 거리는 공구 나사 구멍과 원위 단부의 장착가능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판부 (210) 는, 극상 돌기 (270) 의 중간선의 제 1 측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 (200) 의 외부로부터 척추관까지의 제 1 시상봉합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중간선의 제 2 측에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외부로부터 척추관까지의 제 2 시상봉합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분리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 2 시상봉합 분리부는 부분적으로 두꺼운 분리부일 수 있고, 이는 판의 제 2 부분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손상없이 남겨둔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만이 사용될 수 있고, 제 2 시상봉합 분리부 (227) 는 실질적으로 힌지되어, 제 1 판부 (210) 의 운동을 허용한다.
판부의 완전한 분리 또는 부분적인 분리 이후에,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는 제 1 시상봉합 분리부에 인접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일부에 고정된다. 판부의 초기 분리가 부분적이면, 이하의 단계들에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판에 고정시킨 후에 완성된다. 이런한 방식으로, 판은 나사가공된 샤프트와 이 판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프로세스 동안 척추골에 대하여 안정적이다. 가이드는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장착가능부 (160) 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의사는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에서 공구 나사 구멍과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정렬시킬 수 있다. 스탑이 간섭 지점에서 가이드의 제 1 지지 암과 접촉할 때까지 의사는 공구 나사 구멍 및 판부를 통하여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이 때, 판부가 다른 방식으로 상승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더라도,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다른 회전은 제 1 판부의 상승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 동안, 스탑은 판부로의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추가의 삽입을 방지하도록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에 단단히 부착되어야 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판부의 상부면이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의 바닥면 (12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의사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제 1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는 그 후 판부에 고정되고, 이 판부는 릴리프 위치에 고정된다. 판의 완전한 분리가 양방향으로 실시되면, 제 2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사용을 통하여 제 2 시상봉합 분리부를 중심으로 중간선 (260) 의 제 2 측에서 상기 처치가 완성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처치는 양측에서 차례대로, 동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외경과 내경을 가지며, 외경은 판 설정 공구를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의 미리 정해진 직경보다 더 작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는 샤프트를 따라서 나사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나사 피치를 가진다.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외경과 내경을 알게되면 나사 피치가 결정될 수 있고, 외경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 ~ 16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 mm 이고, 내경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 ~ 14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5 mm 이다. 이러한 제약들하에서, 나사 피치는 바람직하게는 0 ~ 4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 2 mm 일 것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 피치는 소정의 상승 거리를 얻는데 필요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 (310) 의 회전양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판 설정 공구 (300) 의 게이지는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의 나사 피치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판부에 부착하는 단계는, 제 1 및 제 2 시상봉합 분리부들에 인접한 중간선의 제 1 측과 제 2 측에서 구멍을 드릴링하는 것과, 중간선의 제 1 측과 제 2 측에 의해 규정된 구멍들로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나사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는 바와 같이, 드릴링된 구멍들의 직경은 회전가능한 나사가공된 샤프트를 삽입하기에는 충분히 크고 그리고 나사들과 판을 결합시키기에는 충분히 작아야 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판부를 릴리프 위치에 제어가능하게 상승시키고 고정시키는 단계를 보조하도록 판 설정 공구 (500) 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이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공구 보어 (170) 에 선단을 배치하고 그리고 공구 보어 (170) 의 내부 (175) 와 마찰 결합하도록 선단의 레그들을 벌어지게 함으로써 세장형 가이드 (510) 의 선단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를 사용하여,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측방향 매스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는 부분 시상봉합 분리부에 인접하게 측방향 매스와 판 사이의 실질적으로 연결부에서 이미 실시되었다.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를 적당한 위치에 유지할 시 도움이 되도록, 이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이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1 개 이상의 스파이크들 (178) 을 포함할 수 있다.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는 그 후 나사들을 사용하여 측방향 매스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 있어서, 하우징은 잠금 너트를 결합해제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세장형 가이드의 근위 단부에 걸쳐 슬라이딩함으로써 세장형 가이드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가 공구 나사 구멍 (150) 과 동축인 것을 보장해준다. 잠금 너트를 결합해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는 그 후 판부로 원하는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제 1 평면과 제 2 평면, 하우징상의 표시들 및 세장형 가이드 (510) 의 외부 사이의 거리를 앎으로써, 의사는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의 원위 단부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판은 측방향 매스로부터의 시상봉합 분리부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구동 너트는 결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이는 편향 요소의 힘을 극복하도록 잠금슬라이드를 재위치시킴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판은, 이제 구동 너트를 회전시키고 그리고 세장형 가이드에 대하여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를 상승시킴으로써 제어가능하게 상승될 수 있다.
하우징상의 표시 (528) 및 세장형 가이드의 외부상의 표시 (594) 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판이 릴리프 위치로 상승되면,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근위 단부에서 나사들을 나사 보어들에 배치함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되면, 세장형 뼈 나사 샤프트 뿐만 아니라 세장형 가이드는 제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단계들은, 필요에 따라 의사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양방향으로 또는 전술한 개방 도어 처치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이식편 (비도시) 은 다수의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릴리프 위치에서 판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식편은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들의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중간부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에 대하여 단면적이 감소될 수 있고, 이 이식편은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의 중간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실질적으로 U 형상일 수 있다. 더욱이, 이식편은 자가조직 뼈, 동종 뼈, 합성 뼈 대체물, 및 뼈전도성 작용제 (osteoinductive agent) 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을 실시하는 시스템은 포털을 포함하고, 이 포털을 통하여 본원에 제시된 방법들이 실시될 수 있다. 판 설정 공구가 포털의 기하학적 형상내에서 작동될 수 있는 한, 표준 포털이 사용될 수 있다. 표준 포털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일 문제점은, 제 1 판부가 릴리프 위치로 상승되면 포털안으로 조직이 도입되는 것이다. 표준 포털의 원위 단부가 제 1 판부의 일부에 위치되면, 이 원위 단부는 그와 함께 상승할 것이다. 이와 같이, 다른 양태에 있어서, 시스템은 척추궁성형술 포털 (600) 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양태에 있어서, 척추궁성형술 포털 (600) 은 내부 채널 (610) 과 원주방향 측벽 (620) 을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도관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원주방향 측벽은 제 1 측벽 섹션 (622) 및 반대편의 제 2 측벽 섹션 (62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 (622) 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 (624) 은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위치에서, 2 개의 측벽 섹션들 (632, 634) 의 원위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함께 연장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제 1 판부 및 제 2 판부 (210, 215) 에 대하여 위치된다. 함께 연장된다는 것은, 제 1 위치에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의 원위 단부들이 내부 채널의 종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평면에 놓이도록 동일한 양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판부 (210) 가 상승되면, 제 1 측벽 섹션 (622) 의 원위 단부 (632) 는 제 1 판부를 따라서 제 2 위치로 상승되어, 제 2 측벽 섹션 (624) 의 원위 단부 (634) 를 제 2 판부 (215) 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두고 그리고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로부터 변위된다.
제 1 측벽 섹션 (622) 과 제 2 측벽 섹션 (624) 각각은 관형 측벽의 절반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측벽 섹션의 단면이 부 (minor) 원호를 포함하고, 제 2 측벽 섹션의 단면은 상보적인 (complimentary) 주 (major) 원호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도 가능한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척추궁성형술 포털은 원통형과는 다른 관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 2 측벽 섹션은 척추궁성형술 포털을 고정된 구조물, 예를 들어 수술 테이블에 고정시키는 레그 (670)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는 일반적으로 원형과는 다른 상이한 단면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타원형, 난형, 다각형, 직사각형 등일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포털의 근위 단부 (640) 는 제 1 측벽 섹션과 일체화 및 원주방향으로 일체화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 2 측벽 섹션 (624) 의 근위 단부 (644) 는 제 1 위치에서 제 1 측벽 섹션 (622) 의 근위 단부 (642) 의 일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제 2 측벽 섹션 (624) 의 근위 단부 (644) 는 제 1 측벽 섹션 (622) 의 근위 단부 (642) 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2 개의 측벽 섹션들이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정할 수 있는 여러 개의 수단이 있다. 2 개의 측벽들의 측 에지들은 여러 가지 공지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측벽 섹션 또는 제 2 측벽 섹션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슬롯 (650) 을 포함하는 반면, 제 1 측벽 섹션 또는 제 2 측벽 섹션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종방향 슬롯내에 끼워지고 그리고 그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 (660) 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종방향 융기부는 각각의 슬롯보다 종방향으로 더 짧아서, 제 1 측벽이 제 2 측벽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면 융기부 자체는 스탑으로서 작용한다.
예시적인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측벽 섹션과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들은 제 1 및 제 2 판부들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제 1 판부와 실질적으로 결합하도록 각지게 된다.
척추궁성형술 포털과 같은 외과적 접근 포털 시스템은, 튜브 시스템의 2 개 이상의 슬라이딩부들을 가지는 이점으로 인해 튜브의 내부로부터 조직을 효과적으로 절개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다른 처치들에서도 유용할 수 있음을 또한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털이 사용되는 해부학적 영역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외과적 접근 포털은 3 개 이상의 슬라이딩 측벽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추가로, 튜브는 튜브 시스템상의 안정화 암 또는 다른 요소에 의해 처치시 관심 영역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상정할 수 있고, 이 안정화 암 또는 다른 요소는 중간 연결부를 통하여 수술 테이블에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1 개 이상의 부착 부재들, 예를 들어 뼈의 안정부에 나사가공된 포스트를 통하여 원하는 척추골 또는 뼈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 개의 양태들이 전술한 명세서에 개시되었으나, 전술한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 제시된 사상의 이익을 갖는 많은 변형 및 기타 본 발명의 양태들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상도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개시된 특정의 양태들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많은 변형 및 기타 양태들은 첨부된 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됨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 뿐만 아니라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특수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 용어들은 일반적이고도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된 것이고, 설명된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Claims (25)

  1. 척추궁성형술 (laminoplasty) 시스템으로서,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분리된 판부를 릴리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척추궁성형술 플레이트,
    분리된 판부를 상기 릴리프 위치로 상승시키는 판 설정 공구,
    척추궁성형술 포털 (portal) 을 포함하고,
    상기 척추궁성형술 포털은,
    내부 채널을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도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진 제 1 측벽 섹션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진 반대편의 제 2 측벽 섹션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은 상기 제 2 측벽 섹션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판부에 인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인접한 측방향 매스부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측벽 섹션은, 상기 제 1 측벽 섹션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coextensive)에 있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판 설정 공구가 상기 분리된 판부를 상기 릴리프 위치로 상승시키면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가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에 대하여 상승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 또는 상기 제 2 측벽 섹션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 또는 상기 제 2 측벽 섹션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상기 종방향 슬롯에 끼워지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방향 슬롯 각각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방향 슬롯 각각보다 종방향으로 더 짧아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이 상기 제 2 측벽 섹션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 자체는 스탑으로서 작용하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를 상기 측방향 매스부로부터 분리하는, 시상봉합 분리 (division) 를 실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궁성형술 포털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근위 단부와 일체화되고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일체화되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판부 및 상기 측방향 매스부 근방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상화되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상기 판부에 실질적으로 결합하도록 각지는,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9. 외과적 접근 포털로서,
    내부 채널을 규정하는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도관,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진 제 1 측벽 섹션 및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진 반대편의 제 2 측벽 섹션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은 상기 제 2 측벽 섹션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제 1 뼈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제 2 뼈 부분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측벽 섹션은, 상기 제 1 측벽 섹션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coextensive)에 있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가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에 대하여 상승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 또는 상기 제 2 측벽 섹션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벽 섹션 또는 상기 제 2 측벽 섹션 중 다른 것은, 각각의 상기 종방향 슬롯에 끼워지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방향 슬롯 각각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종방향 슬롯 각각보다 종방향으로 더 짧아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이 상기 제 2 측벽 섹션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상보적인 종방향 융기부 자체는 스탑으로서 작용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은 원하는 경추 척추골의 분리된 판부를 릴리프 위치로 상승시키는 판 설정 공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척추궁성형술 포털이고, 상기 제 1 뼈 부분은 판부이고, 상기 제 2 뼈 부분은 인접한 측방향 매스부이며,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의 원위 단부의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판 설정 공구가 상기 분리된 판부를 상기 릴리프 위치로 상승시키면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의 원위 단부의 제 1 부분이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의 원위 단부의 제 2 부분에 대하여 상승되는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를 상기 측방향 매스부로부터 분리하는, 시상봉합 분리를 실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의 근위 단부는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근위 단부와 일체화되고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일체화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5. 삭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과 상기 제 2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판부 및 상기 측방향 매스부 근방의 영역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형상화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 섹션의 원위 단부는 상기 판부에 실질적으로 결합하도록 각지는, 외과적 접근 포털.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적 접근 포털의 일부를 상기 제 1 뼈 부분 또는 상기 제 2 뼈 부분의 일부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외과적 접근 포털.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57012868A 2012-10-18 2013-10-17 외과적 접근 시스템 KR102201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655,393 2012-10-18
US13/655,393 US8915947B2 (en) 2012-10-18 2012-10-18 Surgical access system
PCT/US2013/065502 WO2014062953A1 (en) 2012-10-18 2013-10-17 Surgical acces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29A KR20150071029A (ko) 2015-06-25
KR102201120B1 true KR102201120B1 (ko) 2021-01-11

Family

ID=5048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868A KR102201120B1 (ko) 2012-10-18 2013-10-17 외과적 접근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915947B2 (ko)
EP (1) EP2908754B1 (ko)
JP (1) JP6274595B2 (ko)
KR (1) KR102201120B1 (ko)
CN (1) CN105377166B (ko)
WO (1) WO2014062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6664B1 (en) 2006-11-07 2015-01-06 Globus Medical, Inc. Laminoplasty fixaction devices
US9949744B2 (en) * 2012-08-30 2018-04-24 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Implant suitable for calcaneal osteotomy
US9107708B2 (en) * 2012-11-19 2015-08-18 Spectrum Spine Ip Holdings, Llc Laminoplasty system
EP3116462B1 (en) 2014-03-10 2018-05-02 Stryker Corporation Limb positioning system
US10105234B2 (en) * 2014-03-13 2018-10-23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60206358A1 (en) * 2015-01-21 2016-07-21 Chunfeng Zhao Orthopedic Fixation System and Method
US9951904B2 (en) 2015-03-24 2018-04-24 Stryker Corporation Rotatable seat clamps for rail clamp
CN105078622A (zh) * 2015-09-02 2015-11-25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椎体结构
US10695107B2 (en) * 2015-12-03 2020-06-30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1033341B2 (en) 2017-05-10 2021-06-15 Mako Surgical Corp. Robotic spine surgery system and methods
US11076902B2 (en) * 2018-02-22 2021-08-03 Phoenix Spine Holdings, Inc. Locking screw assembly for facilitating direct lateral interbody fusion procedures
US11389209B2 (en) 2019-07-19 2022-07-19 Medos International Sarl Surgical plating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963704B2 (en) * 2021-09-16 2024-04-23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3590A1 (en) 2007-03-15 2010-03-11 Blue Fury Consulting, L.L.C. Laminoplasty implant
WO2010144636A1 (en) * 2009-06-09 2010-12-16 Robinson James C Laminoplast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10034781A1 (en) * 2009-08-05 2011-02-10 Thomas Stuart Loftus Retractor compon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20158061A1 (en) 2010-12-17 2012-06-21 David Koch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arch expans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1752A (en) * 1985-03-08 1987-03-24 Fuerst Erwin J Biopsy needle
US4929247A (en) 1988-10-06 1990-05-29 Rayhack John M Bone compression and distraction device
US5928139A (en) 1998-04-24 1999-07-27 Koros; Tibor B. Retractor with adjustable length blades and light pipe guides
AU738199B2 (en) 1998-10-15 2001-09-13 Synthes Gmbh Telescopic vertebral prosthesis
US6648895B2 (en) * 2000-02-04 2003-11-18 Sdgi Holdings, Inc. Methods and instrumentation for vertebral interbody fusion
US6491695B1 (en) 1999-11-05 2002-12-10 Carl Roggenbuck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vertebrae
US7008431B2 (en) * 2001-10-30 2006-03-07 Depuy Spine, Inc. Configured and sized cannula
US8105366B2 (en) 2002-05-30 2012-01-31 Warsaw Orthopedic, Inc. Laminoplasty plate with flanges
US6945974B2 (en) 2003-07-07 2005-09-20 Aesculap Inc. Spinal stabilization implant and method of application
US20050096507A1 (en) 2003-10-30 2005-05-05 Prosek Michael U. Adjustable length cannula
US8100822B2 (en) * 2004-03-16 2012-01-24 Macroplata Systems, Llc Anoscope for treating hemorrhoids without the trauma of cutting or the use of an endoscope
US7264620B2 (en) 2004-06-04 2007-09-04 Depuy Spine, Inc. Variable laminoplasty implant
US20060195017A1 (en) * 2004-11-22 2006-08-31 Shluzas Alan E Expandable device for providing access to the spine
US20060200186A1 (en) * 2005-03-04 2006-09-07 Marchek Connie P Adjustable access device for surgical procedures
US20070208229A1 (en) * 2006-03-02 2007-09-06 Prusmack Chad J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US8343048B2 (en) * 2006-10-31 2013-01-01 Lanx, Inc. Retractor system
US8328815B2 (en) * 2006-11-03 2012-12-11 Innovative Spine, Llc. Surgical access with target visualization
US8814880B2 (en) 2006-12-28 2014-08-26 Craig M. McAllister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 object on a bone
US7866313B2 (en) * 2007-01-02 2011-01-11 Isen Innovations, Llc Oral airways that facilitate tracheal intubation
US8097002B2 (en) * 2007-04-18 2012-01-17 Delaney Conor P Anoscope for inspection and/or surgery
EP2268219B1 (en) 2008-03-28 2016-11-09 K2M, Inc. Expandable cage
EP2355721A2 (en) * 2008-06-19 2011-08-17 Synthes GmbH Bone screw purchase augmentation implants, systems and techniques
US20100057127A1 (en) 2008-08-26 2010-03-04 Mcguire Brian Expandable Laminoplasty Fixation System
US8246682B2 (en) 2008-12-16 2012-08-21 Depuy Spine, Inc. Methods and devices for expanding a spinal canal using balloons
KR100897928B1 (ko) 2008-12-23 2009-05-18 박윤관 척추 후궁 확장을 위한 거상장치
WO2010078436A2 (en) * 2008-12-30 2010-07-08 Brandon Mark L Minimally invasive endoscopic systems for placing intramedullary nails and methods therefor
US8409087B2 (en) 2009-04-13 2013-04-02 Lanx, Inc. Expandable retractor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US8617062B2 (en) 2010-07-08 2013-12-31 Warsaw Orthopedic, Inc. Over di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3590A1 (en) 2007-03-15 2010-03-11 Blue Fury Consulting, L.L.C. Laminoplasty implant
WO2010144636A1 (en) * 2009-06-09 2010-12-16 Robinson James C Laminoplast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10034781A1 (en) * 2009-08-05 2011-02-10 Thomas Stuart Loftus Retractor compon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20158061A1 (en) 2010-12-17 2012-06-21 David Koch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ally invasive posterior arch expa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029A (ko) 2015-06-25
CN105377166B (zh) 2018-07-20
EP2908754A1 (en) 2015-08-26
WO2014062953A1 (en) 2014-04-24
EP2908754B1 (en) 2018-10-03
US9968380B2 (en) 2018-05-15
JP2015533304A (ja) 2015-11-24
US20150094771A1 (en) 2015-04-02
US8915947B2 (en) 2014-12-23
US20140114361A1 (en) 2014-04-24
US20150088211A1 (en) 2015-03-26
CN105377166A (zh) 2016-03-02
JP6274595B2 (ja) 2018-02-07
US9987050B2 (en) 2018-06-05
EP2908754A4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120B1 (ko) 외과적 접근 시스템
JP6728411B2 (ja) 後方脊椎固定術のための組織開創および椎骨変位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16200077B2 (en) Laminoplast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20116006A1 (en)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implant insertion
KR102201132B1 (ko)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WO2009083583A1 (en) Percutaneous interspinous process spacer
MX2012005333A (es) Dispositivo de distraccion de faceta, implante de faceta articular, y metodos asociados.
US20120265213A1 (en) Surgical distraction instrument for laminoplasty
US9968370B2 (en) Multi-tine cutting device
US20230310169A1 (en)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240164909A1 (en) Implant system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