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39B1 - the improved server rack and the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he improved server rack and the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0539B1 KR102200539B1 KR1020200032507A KR20200032507A KR102200539B1 KR 102200539 B1 KR102200539 B1 KR 102200539B1 KR 1020200032507 A KR1020200032507 A KR 1020200032507A KR 20200032507 A KR20200032507 A KR 20200032507A KR 102200539 B1 KR102200539 B1 KR 102200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er rack
- server
- rail
- inner casing
- network equip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부(110)와 저면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100);
개방된 상기 전면부(110)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싱(10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내부케이싱(200);
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되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빼내면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후좌우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ounting a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nside,
An outer casing 100 with an open front portion 110 and a bottom portion;
An inner casing 200 that slides into and out of the outer casing 100 through the opened front portion 110;
Including,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s mounted on the inner casing 200, and if the inner casing 200 is pulled out by sliding it out of the outer casing 100,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It provides an improved server rack characterized in that maintenance is possible and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버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서버랙과 달리 서버랙의 후면과 양 측면에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남겨둘 필요 없이 벽이나 다른 서버랙의 후면에 밀착할 수 있어 소요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rack used to mount servers and network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unlike a typical server rack, there is no need to leave space for maintenance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a server r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erver rack capable of minimizing the required spac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another server rack, and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기존의 서버랙을 도시한 것이고,1 shows an existing server rack,
도 2는 기존의 서버랙을 이용한 기존의 서버랙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an existing server rack.
서버 관련에서는 IEC 규격(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EIA 규격(The Electrical Industries Association)에 규정된 19인치 랙이 주류가 되어 있고, 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지지 기둥의 좌우 폭 치수가 451 ㎜, 탑재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가 1 U(1 EIA) = 44.45 ㎜라는 단위로 규정되어 있다.In terms of servers, 19-inch racks stipulated in the IEC standard (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EIA standard (The Electrical Industries Association) are the mainstream,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dimensions of the supporting pillars for mounting the device are 451 mm. The height dimension is specified in units of 1 U (1 EIA) = 44.45 mm.
기존의 일반적인 서버랙은 내부에 19인치 넓이와 1U(1U는 1.75inch) 단위 높이로 구성되는 여러 가지 컴퓨터나 전산장비들을 설치하기 위해 내부에 19인치 넓이의 랙시스템과 외부의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Existing general server racks consist of a 19-inch-wide rack system inside and an external case to install various computers or computing equipment that consist of 19 inches wide inside and 1U (1U is 1.75 inches) unit high. .
다만 대부분의 경우 랙시스템의 경우 랙시스템에 커버를 직접 장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분리 할 수 없다. However, in most cases, the rack system cannot be separated because the cover is directly attached to the rack system to form an integral structure.
기존에 일부 서버랙은 벽부 부착 또는 경량 네트워크 장비들을 위해 경첩이나 레일, 스위블 프레임을 추가하여 유사한 효과를 추구하고자 하였으나, 단일 랙에만 적용되어 데이터센터 등에 적용하기 어렵고, In the past, some server racks tried to pursue similar effects by adding hinges, rails, and swivel frames for wall mounting or lightweight network equipment, but they are only applied to a single rack and are difficult to apply to data centers.
모든 무게를 레일이나 경첩에 전가하여 경량 장비 수용 등 극히 일부 용도에만 유용할 뿐 범용적으로 적용하고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 하였다. 특히 데이터센터 등과 같이 다수의 랙을 집합한 경우에 공간 활용도를 높이지 못한다.By transferring all the weight to the rails or hinges, it was only useful for very few purposes, such as accommodating lightweight equipment, but it was impossible to apply and operate universally. In particular, space utilization cannot be improved when a large number of racks are aggregated, such as in a data center.
데이터센터나 전산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용회선과 공간에 소비하는 비용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으나 기존의 서버랙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 랙에 원활한 접근과 운영을 위해 랙의 가로 열간에 최소 1.2미터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order to operate a data center or computer room,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cost of leased lines and space, but in order to operate the existing server rack, a minimum distance of 1.2 meters or more between the horizontal rows of the racks is required for smooth access and operation to each rack. It is common to put it.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 하고자, 통상적인 서버랙과 달리 서버랙의 후면과 양 측면에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남겨둘 필요 없이 벽이나 다른 서버랙의 후면에 밀착할 수 있어 소요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qui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or the rear of other server racks without having to leave space for maintenance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server rack, unlike a typical server rack. It has come to develop an improved server rack that can minimize space and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만일 본 발명과 같이 각 랙의 배치시 여러 행으로 배치 가능한 랙들의 열간 간격을 줄일 수 있다면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어 데이터센터 구축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If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acing between columns of racks that can be arranged in multiple rows when each rack is arrang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duced, and thus the cost of building a data center can be drastical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버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서버랙과 달리 서버랙의 후면과 양 측면에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남겨둘 필요 없이 벽이나 다른 서버랙의 후면에 밀착할 수 있어 소요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in order to solve all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s purpose is to relate to a server rack used to mount servers and network equipment. More specifically, unlike a typical server rack, there is no need to leave space for maintenance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server rack.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improved server rack tha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of other server racks to minimize the required space and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server or network equipment therein,
전면부(110)와 저면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100);An
개방된 상기 전면부(110)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싱(10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내부케이싱(200);An
을 포함하되,Including,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되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빼내면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후좌우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제공한다.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s mounted 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서버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적인 서버랙과 달리 서버랙의 후면과 양 측면에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남겨둘 필요 없이 벽이나 다른 서버랙의 후면에 밀착할 수 있어 소요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relates to a server rack used to mount servers and network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unlike a typical server rack, there is no need to leave space for maintenance on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server rack. However, it provides an improved server rack that can minimize the required space as it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of other server racks and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기존의 서버랙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기존의 서버랙을 이용한 기존의 서버랙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하부에서 바라본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내부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을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의 위에서 바라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server rac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an existing server rack.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3 viewed from the bottom.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ca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s viewed from above of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mbodiments in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의 결합사시도이고,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을 하부에서 바라본 결합사시도이다.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3 viewed from the bottom.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내부케이싱의 사시도이다.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ca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은,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installing a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nside,
전면부(110)와 저면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100);An
개방된 상기 전면부(110)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싱(10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내부케이싱(200);An
을 포함하되,Including,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되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빼내면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후좌우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s mounted on the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싱(200)의 측면에는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블수납부(2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상기 전면부(100)에는 여닫이 또는 슬라이딩 방식의 전면도어(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도어(130)에는 내부의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를 관찰하기 위하여 투명창이 설치될 수 있다.An opening or sliding
상기 슬라이딩 방식은 구성 상호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method is opened and closed up and down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components.
상기 내부케이싱(200) 하부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바퀴 등의 이동수단(230)을 부착한다.A moving means 230 such as a wheel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내부케이싱(200)은 상기 외부케이싱(100)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의 위에서 바라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s viewed from above of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내부케이싱(200)의 상단 모서리의 3부분에 돌출된 제1,2,3연결부(251, 252, 253)를 설치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상판(150) 하부에는 제1레일(151)과 제2레일(152)이 형성된다.A
상기 제1연결부(251)는 상기 제1레일(151)에 결합하여 이동하고, The
상기 제2연결부(252) 및 제3연결부(253)는 상기 제2레일(152)에 결합하여 이동하되, The
상기 제1레일(151)의 끝단은 막혀있고 상기 제2레일(152)의 끝단은 개방되어,The end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전면부(110)로 슬라이딩하여 꺼내면 상기 제2연결부(252) 및 제3연결부(253)는 상기 제2레일(152)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1연결부(251)는 상기 제1레일(151)의 끝단에 걸리므로 결국 상기 내부케이싱(200)이 상기 제1연결부(25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된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전후좌우로 접근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mounted on the
그리고 상기 케이블수납부(210)는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수납하고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상기 내부케이싱(200)과 상기 외부케이싱(100) 사이에 굴절 등으로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케이블지지대(30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케이블지지대(300)는 The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외부로 돌출한 경우에도 외부에서 인입되는 주 전원선 및 케이블 등의 당김 또는 파손 없이 사용자가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ven when the
도 2는 기존의 서버랙을 이용한 기존의 서버랙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an existing server rack.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서버랙 배치구조는 기존 서버랙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기존 서버랙의 전면과 후면의 공간을 확보해야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As shown, the existing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that users can access it only by securing spaces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existing server rack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rver rack structure.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을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개량형 서버랙을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the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improved server rack of the present invention,
개량형 서버랙을 다수개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It is to deploy multiple improved server racks,
1개의 상기 개량형 서버랙의 배면에 다른 1개의 상기 개량형 서버랙의 배면이 밀착하여 1유닛(U)을 설치하고,One unit (U)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other improved server rack,
상기 1유닛을 다수개 밀착하여 종방향으로 1세트(S)를 설치하며,One set (S)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losely contacting a plurality of one unit,
상기 1세트와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다른 1세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set is installed by spaced apart from the one se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내부케이싱(200)을 고정된 외부케이싱(100)에서 전면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므로,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개량형 서버랙 상호간의 배면을 밀착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Space saving is possible because the rear surfaces of the improved server racks can be closely attached.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Accordingl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외부케이싱
110: 전면부
130: 전면도어
150: 상판
151: 제1레일
152: 제2레일
200: 내부케이싱
210: 케이블수납부
230: 이동수단
251: 제1연결부
252: 제2연결부
253: 제3연결부
300: 케이블지지대100: outer casing
110: front
130: front door
150: top
151: first rail
152: second rail
200: inner casing
210: cable housing
230: vehicle
251: first connection
252: second connection
253: third connection
300: cable support
Claims (3)
전면부(110)와 저면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100);
개방된 상기 전면부(110)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싱(10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출입되는 내부케이싱(200);
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되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빼내면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전후좌우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내부케이싱(200)의 상단 모서리의 3부분에 돌출된 제1,2,3연결부(251, 252, 253)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상판(150) 하부에는 제1레일(151)과 제2레일(15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251)는 상기 제1레일(151)에 결합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연결부(252) 및 제3연결부(253)는 상기 제2레일(152)에 결합하여 이동하되,
상기 제1레일(151)의 끝단은 막혀있고 상기 제2레일(152)의 끝단은 개방되어,
상기 내부케이싱(200)을 상기 외부케이싱(100)의 전면부(110)로 슬라이딩하여 꺼내면 상기 제2연결부(252) 및 제3연결부(253)는 상기 제2레일(152)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제1연결부(251)는 상기 제1레일(151)의 끝단에 걸리며 상기 내부케이싱(200)이 상기 제1연결부(25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내부케이싱(200)에 탑재된 상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전후좌우로 접근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서버랙.
It is for installing a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nside,
An outer casing 100 with an open front portion 110 and a bottom portion;
An inner casing 200 that slides into and out of the outer casing 100 through the opened front portion 110;
Including,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s mounted on the inner casing 200, and if the inner casing 200 is pulled out by sliding it out of the outer casing 100,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repair,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251, 252, 253 protruding from three portions of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asing 200 are installed,
A first rail 151 and a second rail 152 are formed under the upper plate 150 of the outer casing 100,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51 is coupled to the first rail 151 and moved,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52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53 are coupled to the second rail 152 to move,
The end of the first rail 151 is closed and the end of the second rail 152 is open,
When the inner casing 200 is pulled out by sliding to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outer casing 10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52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253 are separated from the second rail 152 and 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251 is caught on the end of the first rail 151 and the inner casing 200 rotates arou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51,
The improved server r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server or network equipment mounted on the inner casing 200 from front to back, left and right to perform maintenance.
1개의 상기 개량형 서버랙의 배면에 다른 1개의 상기 개량형 서버랙의 배면이 밀착하여 1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1유닛을 다수개 밀착하여 종방향으로 1세트를 설치하며,
상기 1세트와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다른 1세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서버랙을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It i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mproved server racks of Clause 1,
One uni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improved server rack,
One se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losely contacting a plurality of the 1 unit,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an improved server rack, characterized in that one set is spaced apart from the one se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install another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939 | 2020-03-02 | ||
KR20200025939 | 2020-03-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0539B1 true KR102200539B1 (en) | 2021-01-11 |
Family
ID=7412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507A Active KR102200539B1 (en) | 2020-03-02 | 2020-03-17 | the improved server rack and the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05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5960A (en) | 2022-03-17 | 2023-09-26 | 아이라자스(주) | Server dec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50436A (en) * | 2003-11-17 | 2005-06-09 | Nihon Form Service Co Ltd | Storage device for computer system |
KR100997045B1 (en) | 2010-10-13 | 2010-11-29 | 에스피산업기술주식회사 | Server rack |
KR20150049606A (en) * | 2013-10-30 | 2015-05-08 | (주) 지트시스템 | cable arrangement device for rack |
KR101635448B1 (en) | 2016-02-04 | 2016-07-08 | (주) 아스카넷 | A server rack |
-
2020
- 2020-03-17 KR KR1020200032507A patent/KR10220053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50436A (en) * | 2003-11-17 | 2005-06-09 | Nihon Form Service Co Ltd | Storage device for computer system |
KR100997045B1 (en) | 2010-10-13 | 2010-11-29 | 에스피산업기술주식회사 | Server rack |
KR20150049606A (en) * | 2013-10-30 | 2015-05-08 | (주) 지트시스템 | cable arrangement device for rack |
KR101635448B1 (en) | 2016-02-04 | 2016-07-08 | (주) 아스카넷 | A server rac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5960A (en) | 2022-03-17 | 2023-09-26 | 아이라자스(주) | Server deci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9437B2 (en) | Server system | |
US6655534B2 (en) | Configurable rack rail system for dual mount configurations | |
US8153893B2 (en) | Vertical patching system | |
US6667891B2 (en) | Computer chassis for dual offset opposing main boards | |
TWI461136B (en) | Rack mounted computer system and cable management mechanism thereof | |
US8710369B2 (en) | Horizontal cable manager | |
US9769947B1 (en) | Cable management for rack-mounted computing devices | |
US20080035810A1 (en) | Offset brackets for expanding electronic equipment cabinets | |
US8398039B2 (en) | Mounting panel, system and method for high density fiber optic applications | |
US20030226812A1 (en) | Cable management system | |
US8433063B2 (en) | Horizontal copper patching assembly | |
US6507487B1 (en) | Removable structures for mounting computer drive devices, pivotable between operating and service positions | |
US20030227753A1 (en) | Cable management system | |
US20110149524A1 (en) | Enclosure with access panel | |
US10642320B2 (en) | Drive carrier and method therefor | |
KR102200539B1 (en) | the improved server rack and the server rack arrangement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09526175A (en) | Cable Manipulator Arm Assembly and Equipment Rack | |
US9674981B1 (en) | Rack sidecar for additional IT equipment and cable management | |
US20210251101A1 (en) | Base electrical module for modular data center | |
US6510055B1 (en) | Backplane and shelf arrangement with front access features | |
JPH11225835A (en) | Moving server rack | |
US20200067284A1 (en) | Specialized In-Wall Mounting Apparatus for Vertically and Inversely-Orienting a Virtualized Hardware Box | |
US11564325B2 (en) | System chassis with raised sliding channel | |
CN215376217U (en) | System case and electronic system using the same | |
CN214756635U (en) | Flip formula video cassette recorder machine case and flip formula video cassette recor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