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94B1 -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94B1
KR102199694B1 KR1020190056755A KR20190056755A KR102199694B1 KR 102199694 B1 KR102199694 B1 KR 102199694B1 KR 1020190056755 A KR1020190056755 A KR 1020190056755A KR 20190056755 A KR20190056755 A KR 20190056755A KR 102199694 B1 KR102199694 B1 KR 10219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eedle
cap
needle receiving
rotation
re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011A (ko
Inventor
조희민
Original Assignee
(주)풍림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풍림파마텍 filed Critical (주)풍림파마텍
Priority to KR102019005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9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재사용방지캡을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에 조립할 때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방지부와 재사용방지캡의 하단에 구비된 제2회전방지부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됨은 물론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측으로 재사용방지캡을 덮어 조립함이 용이하여 자동화라인에 의한 대량생산 작업 시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방지캡의 상부몸체를 비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재사용방지캡의 분리에 의한 주사바늘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사용방지캡의 상부몸체를 비틀어줄 때 재사용방지캡의 하부몸체의 제2회전방지부와 주사바늘수용캡의 제1회전방지부에 의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syringe needle cap for preventing reuse}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몸체와 재사용방지캡을 조립할 때 캡몸체와 재사용방지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회전방지부가 서로에 대해 어긋나지 않고 밀착 체결되도록 한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의료 용품 중 하나로, 주사 약액을 주사하거나 혈액을 채취하거나 샘플을 채취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사기는, 주사기 본체와, 주사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가압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사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주사기 본체 상단 토출구에 주사 바늘을 결합하거나 주사기 캡을 결합하거나 또는 채혈 도구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는 한 번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폐기하여 주사기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바, 이는 한 번 사용한 주사기는 주사바늘에 환자의 혈흔이 남게 되고 혈흔이 남겨진 주사기를 재차 사용하게 되면 주사바늘에 남겨진 혈흔에 포함된 병원균이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옮겨지게 되어 옮겨진 병원균에 의해 2차적인 감염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 번 사용하고 난 주사기는 재사용할 수 없도록 폐기처리하고 있으나, 일부의 경우 주사기 구입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고 난 주사기를 폐기하지 않고 재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질병의 전파에 의한 감염은 물론 감염에 의한 사회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근자들어서는, 한번 사용한 후의 주사기를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일회용주사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주사기 자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주사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한 번 사용한 후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종래 주사기를 재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일예로, 등록특허 10-1940085호인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캡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캡몸체를 상단플랜지와, 주사바늘체가 위치되어 수용되는 바늘수용부와, 상기 바늘수용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기 상단플랜지측으로 확개 연장되는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내면에 차단체고정홈이 구비되는 차단체수용부와, 상기 바늘수용부와 확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바늘수용부에 수용되는 주사바늘체의 파지돌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수용고정홈부로 구비되고, 차단체를 상기 상단플랜지 내측에 끼워져 상기 상단플랜지를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제1절개부에 의해 절개되고 상기 차단체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탄성고정부와, 상기 제1탄성고정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차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제2절개부에 의해 절개되고 상기 바늘수용부에 수용되는 주사바늘체의 연결플랜지가 걸림 고정되는 제2탄성고정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주사 후 사용된 주사바늘을 주사기 선단으로부터 분리한 후 수납하여 폐기하도록 하되 수납된 주사바늘이 캡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한 번 사용한 주사바늘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주사기 재사용에 따른 의료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차단체가 캡몸체의 상단 일측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하는데 큰 무리가 없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차단구가 캡몸체에 고정되는 하부체와 하부체와 절취부로 연결되는 상부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캡몸체와 차단구의 하부체를 조립하는 작업이 어려워 대량 생산을 위한 자동화라인에서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단구의 하부체가 캡몸체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체와 캡몸체에 서로 대응되는 회전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자동화라인에서 서로 대응되는 회전방지부를 대응되게 연결하지 못하게 되어 대량 생산 시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캡몸체의 상단과 차단구의 하부체 하단에 구비된 회전방지부를 서로 대응되도록 연결하여야 차단구가 캡몸체 상단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는 바, 회전방지부를 대응되게 연결하는 작업이 어렵고 서로 대응되게 구비된 회전방지부의 위치가 서로 어긋날 경우에는 캡몸체와 차단구의 견고한 조립이 어려워 불량이 발생된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40085호(2019.01.14.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69465호(2018.06.14. 등록)
본 발명은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연결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갖는 재사용방지캡을 주사바늘수용캡에 쉽고 용이하게 연결 조립함은 물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화라인에 의한 대량 생산 시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는, 주사바늘체가 수용되는 주사바늘수용캡과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을 덮어주고 비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체가 수용된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를 개방하는 재사용방지캡으로 이루어진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수용캡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제1회전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재사용방지캡의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제2회전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방지부는, 상기 주사바늘수용캡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돌출되되 호형의 인입홈과 호형의 인입돌부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방지부는, 상기 재사용방지캡의 하단 내면 둘레부에 대해 파여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호형의 인입홈과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돌부와 상기 호형의 인입돌부와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홈부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회전방지부와; 상기 주사바늘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는 주사바늘체가 안착되어 받쳐지는 안착턱과; 상기 제1회전방지부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수용캡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의 하부측으로 확장 경사지는 조립경사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재사용방지캡은, 상기 제1회전방지부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부에 조립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제2회전방지부가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연결되고 외면에 파지면을 갖는 상부몸체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몸체 내면에는, 상기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상부몸체와 연결된 하부몸체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에 끼워질 때 상기 조립경사면을 따라 하강 가이드되는 경사가이드면과; 상기 경사가이드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경사면을 따라 경사가이드면이 하강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제2회전방지부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의 제1회전방지부에 조립연결될 때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연결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고정턱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재사용방지캡의 상부몸체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된 미끌림방지부를 갖는 파지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비틀림절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재사용방지캡을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에 조립할 때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단에 구비된 제1회전방지부와 재사용방지캡의 하단에 구비된 제2회전방지부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됨은 물론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측으로 재사용방지캡을 덮어 조립함이 용이하여 자동화라인에 의한 대량생산 작업 시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방지캡의 상부몸체를 비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수용캡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재사용방지캡의 분리에 의한 주사바늘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사용방지캡의 상부몸체를 비틀어줄 때 재사용방지캡의 하부몸체의 제2회전방지부와 주사바늘수용캡의 제1회전방지부에 의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일실시예에 의해 재사용방지캡이 주사바늘수용캡에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재사용방지캡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일부절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재사용방지캡이 주사바늘수용캡에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되는 주사바늘수용캡(20)과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을 덮어주고 비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된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를 개방하는 재사용방지캡(30)으로 이루어진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되는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에 재사용방지캡(30)이 구비되어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을 분리하지 않고서는 주사바늘수용캡(20)의 내부에 수용된 주사바늘체(10)를 꺼내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재사용방지캡(30)의 분리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사바늘의 사용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주사바늘의 재사용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에 재사용방지캡(30)을 조립하여 생산할 때 자동화라인에 의해 대량 생산 시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에 재사용방지캡(30)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제1회전방지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제2회전방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회전방지부(21)는,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돌출되되 호형의 인입홈(21a)과 호형의 인입돌부(21b)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전방지부(31)는,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하단 내면 둘레부에 대해 파여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호형의 인입홈(21a)과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돌부(31a)와 상기 호형의 인입돌부(21b)와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홈부(31b)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측에 위치된 재사용방지캡(30)이 주사바늘수용캡(20)측으로 눌러지면서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와 제2회전방지부(31)가 서로에 대해 끼워질 때 상기 호형의 인입홈(21a)가 상기 호형의 회전방지돌부(31a)에 끼워지고 상기 호형의 인입돌부(21b)가 상기 호형의 회전방지홈부(31b)에 끼워지기 때문에 주사바늘수용캡(20)의 제1회전방지부(21)와 재사용방지캡(30)의 제2회전방지부(31)가 어긋남 없이 끼워져 조립된다.
더욱이,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의 인입홈(21a)과 인입돌부(21b)가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형상의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회전방지부(31)의 회전방지돌부(31a)와 회전방지홈부(31b)가 역시 물결형상의 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을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측에 위치한 후 눌러주면서 끼워줄 때 상기 호형의 인입홈(21a)와 상기 호형의 회전방지돌부(31a) 및 상기 호형의 인입돌부(21b)와 상기 호형의 회전방지홈부(31b)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더라도 자연스럽게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호형의 인입홈(21a)와 인입돌부(21b)가 상기 호형의 회전방지돌부(31a)와 회전방지홈부(31b)에 용이하게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회전방지부(21)와, 상기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2)와, 상기 수용공간부(2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22)에 수용되는 주사바늘체(10)가 안착되어 받쳐지는 안착턱(23)과, 상기 제1회전방지부(21)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24)과, 상기 걸림턱(24)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하부측으로 확장 경사지는 조립경사면(2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은,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에 조립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제2회전방지부(31)가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하부몸체(30a)와, 상기 하부몸체(30a)와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연결되고 외면에 파지면(33)을 갖는 상부몸체(30b)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30a) 내면에는, 상기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상부몸체(30b)와 연결된 하부몸체(30a)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에 끼워질 때 상기 조립경사면(25)을 따라 하강 가이드되는 경사가이드면(34)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4)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경사면(25)을 따라 경사가이드면(34)이 하강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몸체(30a)의 제2회전방지부(31)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제1회전방지부(21)에 조립연결될 때 상기 걸림턱(24)에 걸어져 상기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몸체(30a)와 상부몸체(30b)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고정턱(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30b)에 파지면(33)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30b)를 하부몸체(30a)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부몸체(30b)를 회전시킬 때 상부몸체(30b)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동화라인에 의해 이송되는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에 재사용방지캡(30)이 하강되어 눌러질 때 상기 조립경사면(25)을 따라 경사가이드면(34)이 하강 가이드되어 재사용방지캡(30)이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에 조립되기 때문에 자동화라인에 의한 대량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주사바늘수용캡(20)측으로 하강 가이드되어 조립된 재사용방지캡(30)의 하부몸체(30a)의 구비된 고정턱(35)이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걸림턱(24)에 걸어짐에 따라 상부몸체(30b)를 하부몸체(30a)로부터 분리하지 않는 한 재사용방지캡(30)이 주사바늘수용캡(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주사바늘수용캡(20)에 수용된 주사바늘체(10)를 꺼내기 위해 재사용방지캡(30)의 상부몸체(30b)를 하부몸체(30a)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부몸체(30b)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하부몸체(30a)에 구비된 제2회전방지부(31)가 주사바늘수용캡(20)에 구비된 제2회전방지부(21)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하부몸체(30a)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부몸체(30b)를 회전시켜 비틀림절취부(32)를 절취하여 상부몸체(30b)를 하부몸체(30a)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상부몸체(30b)의 상단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된 미끌림방지부(36)를 갖는 파지부(37)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부몸체(30b)의 파지부(37)를 잡은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상부몸체(30b)를 돌려 하부몸체(30a)로부터 상부몸체(30b)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 때 상부몸체(30b)의 상부측으로 상기 파지부(37)가 연장되고 파지부(37)에 복수개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미끌림방지부(36)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몸체(30b)에 대한 파지력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상부몸체(30b)를 돌려 분리함이 더욱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주사바늘체 20 : 주사바늘수용캡
21 : 제1회전방지부 21a : 인입홈
21b : 인입돌부 22 : 수용공간부
23 : 안착턱 24 : 걸림턱
25 : 조립경사면 30 : 재사용방지캡
30a : 하부몸체 30b : 상부몸체
31 : 제2회전방지부 31a : 회전방지돌부
31b : 회전방지홈부 32 : 비틀림절취부
33 : 파지면 34 : 경사가이드면
35 : 고정턱 36 : 미끌림방지부
37 : 파지부

Claims (3)

  1.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되는 주사바늘수용캡(20)과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을 덮어주고 비틀어주는 동작에 의해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된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를 개방하는 재사용방지캡(30)으로 이루어진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제1회전방지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제2회전방지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방지부(21)는,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돌출되되 호형의 인입홈(21a)과 호형의 인입돌부(21b)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방지부(31)는,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하단 내면 둘레부에 대해 파여진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호형의 인입홈(21a)과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돌부(31a)와 상기 호형의 인입돌부(21b)와 대응되는 호형의 회전방지홈부(31b)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회전방지부(21)와;
    상기 주사바늘체(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부(22)와;
    상기 수용공간부(2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부(22)에 수용되는 주사바늘체(10)가 안착되어 받쳐지는 안착턱(23)과;
    상기 제1회전방지부(21)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 상단 외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24)과;
    상기 걸림턱(24)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하부측으로 확장 경사지는 조립경사면(25)으로 구비되고,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은,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회전방지부(21)에 조립연결되어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제2회전방지부(31)가 하단 내면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하부몸체(30a)와;
    상기 하부몸체(30a)와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연결되고 외면에 파지면(33)을 갖는 상부몸체(30b)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몸체(30a) 내면에는,
    상기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상부몸체(30b)와 연결된 하부몸체(30a)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단에 끼워질 때 상기 조립경사면(25)을 따라 하강 가이드되는 경사가이드면(34)과;
    상기 경사가이드면(34)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립경사면(25)을 따라 경사가이드면(34)이 하강 가이드되어 상기 하부몸체(30a)의 제2회전방지부(31)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제1회전방지부(21)에 조립연결될 때 상기 걸림턱(24)에 걸어져 상기 비틀림절취부(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몸체(30a)와 상부몸체(30b)가 상기 주사바늘수용캡(20)의 상부측으로 빠짐을 방지하는 고정턱(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방지캡(30)의 상단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된 미끌림방지부(36)를 갖는 파지부(37)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KR1020190056755A 2019-05-15 2019-05-15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KR10219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55A KR102199694B1 (ko) 2019-05-15 2019-05-15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55A KR102199694B1 (ko) 2019-05-15 2019-05-15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11A KR20200132011A (ko) 2020-11-25
KR102199694B1 true KR102199694B1 (ko) 2021-01-07

Family

ID=7364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55A KR102199694B1 (ko) 2019-05-15 2019-05-15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468B2 (ja) 1993-11-25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認識方法
KR101337823B1 (ko) 2012-06-19 2013-12-06 조희민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기용 마감캡
KR101433829B1 (ko) 2014-05-22 2014-08-26 (주)풍림파마텍 안과용 주사침 밀봉형 포장케이스
KR101869465B1 (ko)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KR101940085B1 (ko) * 2018-03-29 2019-01-18 (주)풍림파마텍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468U (ja) * 2005-07-07 2005-10-27 川澄化学工業株式会社 医療用針
KR101251172B1 (ko) * 2011-05-04 2013-04-08 조희민 가축 및 동물용 일회용 주사기
KR101508648B1 (ko) * 2013-08-23 2015-04-06 (주)풍림파마텍 일회용 밀봉형 주사 바늘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4468B2 (ja) 1993-11-25 2000-1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声認識方法
KR101337823B1 (ko) 2012-06-19 2013-12-06 조희민 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기용 마감캡
KR101433829B1 (ko) 2014-05-22 2014-08-26 (주)풍림파마텍 안과용 주사침 밀봉형 포장케이스
KR101869465B1 (ko)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KR101940085B1 (ko) * 2018-03-29 2019-01-18 (주)풍림파마텍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11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352B1 (ko)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기 캡
KR970006093B1 (ko) 재사용방지주사기
KR101424823B1 (ko) 플런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안전 주사기
US7303547B2 (en) Interchangeable needle safety syringe
KR101897956B1 (ko) 재사용 방지 및 안전 폐기용 주사 바늘 조립체
US6808512B1 (en) Safety syringe
KR101940085B1 (ko)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캡
KR102199694B1 (ko) 조립이 용이한 주사바늘 재사용 방지구
KR101557398B1 (ko) 플런저 잠금 수단을 구비한 안전 주사기
KR102185590B1 (ko) 주사기 안전캡 장치
KR102224517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20180103496A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주사기
KR102035551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KR200391370Y1 (ko) 안전 주사기
KR102514886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 장치
KR101869465B1 (ko)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KR102182278B1 (ko) 슬립방지 체결구조를 갖는 개량 주사기 캡
KR102188185B1 (ko)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가드형 안전캡 주사기
KR102219035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해 잠김 구조를 갖는 일회용 주사 장치
CN209123086U (zh) 一种针座与护套的配合结构以及一种注射针
KR102604179B1 (ko) 재사용방지용 최소잔량 주사기
KR102188184B1 (ko) 찔림사고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원터치 수직형 안전캡 주사기
KR102202885B1 (ko) 체결력 강화 나선절취부를 갖는 주사기 침
KR102213863B1 (ko) 의약품 주입용 기구 재사용방지구의 록킹돌기 작동장치
KR102213870B1 (ko) 의약품 주입용 기구 재사용방지구의 주사기배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