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501B1 -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501B1
KR102199501B1 KR1020190089483A KR20190089483A KR102199501B1 KR 102199501 B1 KR102199501 B1 KR 102199501B1 KR 1020190089483 A KR1020190089483 A KR 1020190089483A KR 20190089483 A KR20190089483 A KR 20190089483A KR 102199501 B1 KR102199501 B1 KR 102199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wer
magnetic
handl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주영일렉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영일렉트로닉 filed Critical (주)주영일렉트로닉
Priority to KR102019008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33Electrical or magnetic means using a permanent magnet, e.g. in combination with a reed 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 센서 기반으로 밸브 제어 상태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손잡이에 부착되어,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밸브 몸체에 분산 부착되어, 마그네틱 위치에 상응하는 신호값을 가지는 다수의 센싱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다수의 홀센서; 및 상기 다수의 센싱 신호를 통해 마그네틱 위치를 역추적한 후, 상기 마그네틱 위치를 기반으로 밸브 열림 정도를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Apparatus for monitoring valve control status and valv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 센서 기반으로 밸브 제어 상태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분야의 공정라인에는 각종 기체 또는 유체를 필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이들 배관에는 기체 또는 유체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도록 소정 위치에 밸브가 설치된다.
즉, 공정 라인상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를 통해 기체 또는 유체의 공급 경로 및 정도를 실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공정 라인 상에서 밸브 각각의 개폐 정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이에 공정라인의 밸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고, 엑츄에이터를 통해 각 배관에 설치된 밸브와 연결되어 개폐상태를 제어하도록 한다.
국내 공개번호 제10-1997-0001858호 (공개일자 : 1997.01.24)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홀 센서 기반으로 밸브 제어 상태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와,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열림 정도가 제어되는 밸브 몸체로 구성된 밸브에 적용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상기 밸브 몸체에 분산 부착되어, 마그네틱 위치에 상응하는 신호값을 가지는 다수의 센싱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다수의 홀센서; 및 상기 다수의 센싱 신호를 통해 마그네틱 위치를 역추적한 후, 상기 마그네틱 위치를 기반으로 밸브 열림 정도를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홀센서 각각은 상기 마그네틱과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되는 신호값을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구동시키는 마그네틱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는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을 생성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상기 장치 구동 전력 중 일부를 상기 마그네틱 구동부에 제공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열림 정도가 제어되는 밸브 몸체; 및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과 상기 밸브 몸체에 부착된 다수의 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홀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마그네틱 위치를 통해 밸브 열림 정도를 확인 및 통보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 센서의 경우, 마그네틱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값이 가변되는 특성이 있음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은 손잡이측에 다수의 홀 센서에 밸브 몸체에 설치한 후, 다수의 홀센서를 통해 손잡이측의 회전 각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밸브 열림 정도를 역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밸브 열림 정도를 선형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홀 센서의 구비 개수에 따라 검출 해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밸브 제어 상태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하는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과 홀센서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과 홀센서을 이용한 밸브 열림 정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밸브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하는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밸브(10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110)와,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열림 정도가 제어되는 밸브 몸체(120) 이외에 손잡이와 밸브 몸체에 결합되는 마그네틱과 홀센서를 통해 밸브 열림 정도를 파악 및 통보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13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110)는 각종 손잡이 형상으로 구현 가능하며, 소정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 손잡이 본체(111), 밸브 몸체(12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손잡이 본체(111)의 회전 각도만큼 밸브 몸체(120)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밸브 몸체 결합부(112), 사용자 누름 상태일 때에는 손잡이 회전을 허용하고, 사용자 누름 해제 상태일때에는 손잡이 회전을 방지하는 스위치(11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135)는 시계 용두(stem)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밸브 몸체(120)는 기체 또는 유체 이송을 위한 배관에 삽입되는 개폐 부재(121), 손잡이(110)과 결합되어 손잡이(110)의 회전각도 만큼 개폐 부재(12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122), 회전축(122)을 지지 및 고정하며, 소정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 회전축지지 부재(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130)는 밸브 몸체(120)를 바라보도록 손잡이 본체(11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131), 마그네틱(131)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마그네틱(131)이 소정의 자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마그네틱 구동부(132), 손잡이(110)를 바라보도록 회전축 지지 부재(123)에 분산 부착된 다수의 홀 센서(133), 회전축지지 부재(123)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다수의 홀 센서(133)를 통해 마그네틱 위치를 확인한 후, 마그네틱 위치를 기반으로 밸브 열림 정도를 역추적하는 프로세서(134), 프로세서(134)와 외부 장치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134),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130)의 구동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136), 및 프로세서 구동에 필요한 클럭을 생성 및 제공하는 클럭 신호 발생부(137) 등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손잡이 회전 시작 또는 종료를 수동으로 통보하기 위한 시작 버튼(미도시)과 종료 버튼(미도시)을 추가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130)는 마그네틱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증가하고,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신호값을 발생하는 홀 센서 다수개를 이용하여 마그네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밸브 열림 정도를 역추적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과 홀센서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개 홀 센서(133)는 균일 간격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다. 즉, 홀 센서가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인 경우, "360°/ N(N은 홀 센서 총 개수)"의 간격으로 균일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그네틱(131)은 하나 또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마그네틱이 다수개로 구현된다면, 홀 센서에 1:1 위치 대응되도록 다수의 마그네틱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그네틱 배치 간격과 홀 센서 배치 간격이 동일해지도록, 마그네틱 각각을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과 홀센서을 이용한 밸브 열림 정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프로세서(134)는 표 1에서와 같은 신호 발생 패턴과 마그네틱 위치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정보와, 표 2에서와 같은 마그네틱 위치와 밸브 열림 정도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정보를 사전 획득하여 저장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신호 발생 패턴과 밸브 열림 정도간 상관관계를 직접 정의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 1 및 표 2를 이용하여 밸브 열림 정도를 파악하는 경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100)의 손잡이를 회전하면,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130)는 다수의 홀 센서(133)를 통해 획득되는 다수의 센싱 신호를 수신한 후, 표 1에 기반하여 다수의 센싱 신호의 신호값을 통해 마그네틱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표 2을 추가 참고하여 마그네트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밸브 열림 정도를 최종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밸브 열림 정도의 비율을 시청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한다.
마그네틱 위치 HS1 HS2 HS3 HS4 HS5 HS6 HS7 HS8 HS9 HS10 HS11 HS12 HS13 HS14 HS15 HS16
0°(닫힘) 1 1 0.5 0 0 0 0 0 0 0 0 0 0 0 0.5 1
22.5° 1 1 1 0.5 0 0 0 0 0 0 0 0 0 0 0 0.5
45° 0.5 1 1 1 0.5 0 0 0 0 0 0 0 0 0 0 0
67.5° 0 0.5 1 1 1 0.5 0 0 0 0 0 0 0 0 0 0
90° 0 0 0.5 1 1 1 0.5 0 0 0 0 0 0 0 0 0
112.5° 0 0 0 0.5 1 1 1 0.5 0 0 0 0 0 0 0 0
135° 0 0 0 0 0.5 1 1 1 0.5 0 0 0 0 0 0 0
157.5° 0 0 0 0 0 0.5 1 1 1 0.5 0 0 0 0 0 0
180°(열림) 0 0 0 0 0 0 0.5 1 1 1 0.5 0 0 0 0 0
202.5° 0 0 0 0 0 0 0 0.5 1 1 1 0.5 0 0 0 0
225° 0 0 0 0 0 0 0 0 0.5 1 1 1 0.5 0 0 0
247.5° 0 0 0 0 0 0 0 0 0 0.5 1 1 1 0.5 0 0
270° 0 0 0 0 0 0 0 0 0 0 0.5 1 1 1 0.5 0
292.5° 0 0 0 0 0 0 0 0 0 0 0 0.5 1 1 1 0.5
315° 0.5 0 0 0 0 0 0 0 0 0 0 0 0.5 1 1 1
337.5° 1 0.5 0 0 0 0 0 0 0 0 0 0 0 0.5 1 1
마그네틱 위치 밸브 열림 정도
0°(닫힘) 잠김 100%
22.5° 잠김 87.5%, 열림 12.5%
45° 잠김 75%, 열림 25%
67.5° 잠김 62.5%, 열림 37.5%
90° 잠김 50%, 열림 50%
112.5° 잠김 37.5%, 열림 62.5%
135° 잠김 25%, 열림 75%
157.5° 잠김 12.5%, 열림 87.5%
180°(열림) 열림 100%
202.5° 열림 87.5%, 잠김 12.5%
225° 열림 75%, 잠김 25%
247.5° 열림 62.5%, 잠김 37.5%
270° 열림 50%, 잠김 50%
292.5° 열림 37.5%, 잠김 62.5%
315° 열림 25%, 잠김 75%
337.5° 열림 12.5%, 잠김 87.5%
즉,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되는 마그네틱 위치를 계속적으로 추적 모니터링하고, 이로부터 밸브 열림 정도 또한 보다 세밀하게 감지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마그네틱(131)과 홀 센서(133)가 손잡이측과 밸브 몸체측에 분리 구성되므로, 마그네틱(131)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유선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 전력 라인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131)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밸브 몸체에서 손잡이측으로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공급함으로써, 전력 라인 관련 문제 발생을 사전 차단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부(136)은 밸브 몸체측에 위치되는 상용 전원 수신부(1361), 구동 전력 생성부(1362), 및 무선 전력 송신부(1363)과, 손잡이측에 위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부(136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용 전원 수신부(1361)는 공정 라인에 설치된 전력 공급 라인에 접속되어, AC 220V와 같은 상용 전력을 수신한다.
구동 전력 생성부(1362)는 전압 레귤레이터 등을 구비하고, 이를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즉, 홀센서, 프로세서, 통신부, 클럭 신호의 구동 전력)을 생성 및 출력한다.
무선 전력 송신부(1363)는 구동 전력 생성부(1362)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력을 자기 공진 방식, 자기 유도 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손잡이측에 위치되는 무선 전력 수신부(1364)에 전송한다.
무선 전력 수신부(1364)는 무선 전력 송신부(1363)이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마그네틱 구동 전력을 생성하여 마그네틱 구동부(132)에 제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밸브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밸브(310) 각각에 앞서 설명한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320)를 결합시켜, 다수의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320)를 통해 다수의 밸브(310) 각각의 밸브 열림 정도를 동시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장치(330)를 통해 다수의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320) 각각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을 동시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320) 각각이 제공하는 알람 정보를 통해 다수의 밸브(310) 각각의 밸브 열림 정도를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와,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열림 정도가 제어되는 밸브 몸체로 구성된 밸브에 적용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손잡이 회전 각도에 따라 위치 가변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틱을 구동시키는 마그네틱 구동부;
    상기 밸브 몸체에 "360°/ N(N은 홀 센서 총 개수)"의 간격으로 균일 배치되며, 마그네틱 위치에 상응하는 신호값을 가지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센싱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N개의 홀센서;
    상기 N개의 센싱 신호를 통해 마그네틱 위치를 역추적한 후, 상기 마그네틱 위치를 기반으로 밸브 열림 정도를 "360°/ N"의 해상도로 확인 및 통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밸브 몸체에 인가되는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을 생성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상기 장치 구동 전력 중 일부를 상기 손잡이측에 위치되는 상기 마그네틱 구동부에 전송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밸브 몸체에 위치되어, 상용 전력을 수신하여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을 생성하는 상용 전원 수신부 및 구동 전력 생성부;
    상기 밸브 몸체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 구동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손잡이에 위치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력에 기반하여 마그네틱 구동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마그네틱 구동부에 제공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홀센서 각각은
    상기 마그네틱과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되는 신호값을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출력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열림 정도가 제어되는 밸브 몸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과 마그네틱 구동부,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에 "360°/ N(N은 홀 센서 총 개수)"의 간격으로 균일 배치된 N개의 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N개의 홀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마그네틱 위치를 통해 밸브 열림 정도를 "360°/ N(N은 홀 센서 총 개수)"의 해상도로 확인 및 통보하는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밸브 몸체에 인가되는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을 생성함과 동시에,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상기 장치 구동 전력 중 일부를 상기 손잡이측에 위치되는 상기 마그네틱 구동부에 전송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밸브 몸체에 위치되어, 상용 전력을 수신하여 상용 전력을 통해 장치 구동 전력을 생성하는 상용 전원 수신부 및 구동 전력 생성부;
    상기 밸브 몸체에 위치되어, 상기 장치 구동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손잡이에 위치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전력에 기반하여 마그네틱 구동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마그네틱 구동부에 제공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밸브.
KR1020190089483A 2019-07-24 2019-07-24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KR102199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83A KR102199501B1 (ko) 2019-07-24 2019-07-24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83A KR102199501B1 (ko) 2019-07-24 2019-07-24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501B1 true KR102199501B1 (ko) 2021-01-06

Family

ID=7412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83A KR102199501B1 (ko) 2019-07-24 2019-07-24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5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5019A (zh) * 2021-04-15 2021-07-23 上海凡亚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阀门开闭角度位置无线传感器
CN113685610A (zh) * 2021-08-24 2021-11-23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阀位信号发讯器
CN115875506A (zh) * 2023-02-06 2023-03-31 泉州昆泰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阀门开度检测装置及管道输送控制装置
CN115875507A (zh) * 2023-02-08 2023-03-31 泉州艾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阀门的开度检测装置及管道输送控制装置
KR102623670B1 (ko) * 2022-11-15 2024-01-11 김봉국 공정 신호의 추적 관리를 통한 공정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858A (ko) 1995-06-30 1997-01-24 츠카하라 시게히사 다단개방도 밸브장치
KR200352376Y1 (ko) * 2004-03-23 2004-06-05 성기찬 버터플라이 밸브
KR20110009394A (ko) * 2009-07-22 2011-01-28 김동현 가스 차단기
KR20130019099A (ko) * 2011-08-16 2013-02-26 (주)씨엠엔텍 제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제수밸브 관리 시스템
KR20150007624A (ko) * 2013-07-11 2015-01-21 박종영 버터플라이 밸브 디스크의 개도 확인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858A (ko) 1995-06-30 1997-01-24 츠카하라 시게히사 다단개방도 밸브장치
KR200352376Y1 (ko) * 2004-03-23 2004-06-05 성기찬 버터플라이 밸브
KR20110009394A (ko) * 2009-07-22 2011-01-28 김동현 가스 차단기
KR20130019099A (ko) * 2011-08-16 2013-02-26 (주)씨엠엔텍 제수밸브 및 이를 이용한 제수밸브 관리 시스템
KR20150007624A (ko) * 2013-07-11 2015-01-21 박종영 버터플라이 밸브 디스크의 개도 확인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5019A (zh) * 2021-04-15 2021-07-23 上海凡亚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阀门开闭角度位置无线传感器
CN113685610A (zh) * 2021-08-24 2021-11-23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阀位信号发讯器
KR102623670B1 (ko) * 2022-11-15 2024-01-11 김봉국 공정 신호의 추적 관리를 통한 공정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5875506A (zh) * 2023-02-06 2023-03-31 泉州昆泰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阀门开度检测装置及管道输送控制装置
CN115875507A (zh) * 2023-02-08 2023-03-31 泉州艾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阀门的开度检测装置及管道输送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501B1 (ko) 밸브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밸브
US66628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osing an existing valve in response to a detected leak
CA2927464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lve
DK2715290T3 (en) FLOA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RELATED TO IT
CN108430344A (zh) 用于补偿电动外科器械中的传动系故障的机构
JP5978223B2 (ja) 計量器の流量測定装置
WO2013150646A1 (ja) 磁気駆動ポンプ装置
TWI473973B (zh) 伺服馬達及編碼器
US20160238668A1 (en) Power Detection System For Valve Actuators
CN105593521A (zh) 检定盒和相关方法
CA3082225C (en) Inline demagnetization for operational pipelines
US20230163863A2 (en) Method and system for non-electric communic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s or medical appliances
KR102071413B1 (ko) 누수 위치 파악이 용이한 누수탐지장치
Bernard Lung abscess and necrotizing pneumonia: chest tube insertion or surgery?
CN110597200A (zh) 一种基于物联传感的供水信息分析方法和系统
JPH039397Y2 (ko)
Aleef et al. Early mobilization and ICU rehabilitation of ECMO patients
JP7458603B2 (ja) 医療デバイスに対するステータスチェックを管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069067A (ja) 医療機器の稼働監視システム
JPS59501486A (ja) 磁気テ−プ駆動装置のための空圧作動監視システム
JP3729921B2 (ja) 核融合装置の磁場計測装置
US9013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target operating device of a process control system
WO2019188084A1 (ja) エンコーダ装置、駆動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Kim et al. Ramp system for proactive pipeline monitoring
JP3055324B2 (ja) 器具使用状態推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