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420B1 -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420B1
KR102199420B1 KR1020200042735A KR20200042735A KR102199420B1 KR 102199420 B1 KR102199420 B1 KR 102199420B1 KR 1020200042735 A KR1020200042735 A KR 1020200042735A KR 20200042735 A KR20200042735 A KR 20200042735A KR 102199420 B1 KR102199420 B1 KR 10219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
user
notifications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이진수
우수지
안석민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04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420B1/ko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SG11202012391RA priority patent/SG11202012391RA/en
Priority to PCT/KR2020/009827 priority patent/WO2021206225A1/ko
Priority to CN202080003324.4A priority patent/CN112543929A/zh
Priority to AU2020286268A priority patent/AU2020286268A1/en
Priority to JP2020133127A priority patent/JP7034445B2/ja
Priority to US16/990,922 priority patent/US11038772B1/en
Priority to PH12020552097A priority patent/PH12020552097A1/en
Priority to TW109144174A priority patent/TW202141270A/zh
Priority to KR1020200188054A priority patent/KR102307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420B1/ko
Priority to US17/322,722 priority patent/US1160134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04L41/0627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by acting on the notification or alarm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8Restricting access to network management systems or functions, e.g. using authorisation function to access network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4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개시의 방법은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tool)을 제공하는 단계;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권한을 갖는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항목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본 개시는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아이프레임(iframe; inline frame) 또는 리디랙션(re-di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각 도메인에서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메뉴 바(menu bar))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웹 접근성이 떨어지고,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시스템에 관련된 복수의 도메인들이 동일하지 않은 형식과 디자인의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도메인 간에 통일감이 떨어질 수 있었다.
또한, 도메인들 간에 공통되는 컴포넌트에 대한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각 도메인들이 컴포넌트를 동일하게 수정하여 다시 구현해야 하므로, 통일감 형성에 어려움과 절차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많은 리소스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복수의 도메인의 사용자들에게 알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이메일, 문자 등을 통해 알림을 구현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알림을 보낸 후에 사용자의 행위를 추적할 수 없고, 복수의 도메인이 개별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알림을 구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tool)을 제공하는 단계;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권한을 갖는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항목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장치는,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및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을 제공하고,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고, 권한을 갖는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항목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단말은,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디스플레이(display); 및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시스템 관리 장치로부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단말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시스템에 관련된 복수의 도메인들이 동일한 형식과 데이터를 가지는 메뉴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이한 도메인들 간에 통일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뉴 및 권한에 대한 변경이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도메인들에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바, 변경 사항이 실시간으로 반영되고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후속 행위가 요구되는 알림인 경우,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바,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행위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사용자와 외부 사용자 모두 각자의 도메인 내 동일한 영역에서 알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를 위한 동작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툴을 통해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메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권한에 따른 상단 메뉴의 출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메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메뉴 관리 툴을 통해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알림을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은 전자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의 구조도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 및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tool)을 제공할 수 있다. 메뉴 관리 툴은 네트워크(30)를 통해서 복수의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은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메뉴 관리 툴에 접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본 개시에 관련된 웹사이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스템은 물류에 관련된 웹사이트일 수 있으며, 이 때 물류에 관련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20a)을 이용하여 제1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제2 시스템은 계약에 관련된 웹사이트일 수 있으며, 이 때 계약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20b)을 이용하여 제2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메뉴 관리 툴은 복수의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툴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이 메뉴 관리 툴을 이용하여 입력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은 시스템에 대한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입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는 메뉴의 항목과 그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위에서 설정된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10)는 해당 사용자 단말(20)이 갖고 있는 권한에 따라, 권한이 매핑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알림(alert)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알림은 사용자와 관련되고 공통된 형식을 갖는 알림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제1 시스템 및 제2 시스템으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관련된 동일한 형식의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a)이 제1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 제공된 형식으로 제1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20b)이 제2 시스템에 접속하여 제1 알림과 동일한 형식의 제2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알림을 사용자 단말(20)에 공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알림은 유형 별로 분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제공된 복수의 알림에 대해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20)은 시스템의 메뉴와 사용자에게 나타내어질 알림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메뉴 관리 툴을 제공 받아, 이를 통해 시스템에 대한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접근 권한이 설정된 메뉴의 항목을 제공 받아, 이를 기초로 구성된 메뉴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 사용자에 관련되고 기 제공된 형식을 이용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사용자에 관련되고 유형 별로 분류된 복수의 알림을 제공 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다.
과거에는, 동일한 시스템에 관련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거나 상이한 업무 영역이, 각각의 도메인에서 공통적인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업무 영역에 따라 할당된 도메인이 다르므로, 각 도메인에서 개별적으로 컴포넌트(예를 들어, 메뉴 바)를 형성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동일한 시스템에 관련됨에도 불구하고 도메인 간에 통일감이 떨어질 수 있었다. 특히 시스템에 대해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경우, 각 도메인에서 개별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업데이트 유무로 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공통되는 컴포넌트를 일괄적으로 수정해야 할 때 더욱 두드러질 수 있으며, 이는 각 업무 영역에 많은 리소스와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개시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종래의 상황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수의 도메인에서 공통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을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툴을 통해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바, 도 2에서는 일 예시로 특정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서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을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을 제공할 수 있다(S201). 또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사용자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20a)은 수신한 메뉴 관리 툴을 통해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입력할 수 있다(S202).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 (20a)은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입력을 전자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S203).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a)로부터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입력을 제공 받은 후,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S204).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메뉴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해당 항목에 매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접근 권한이 설정된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에 제공할 수 있다(S205).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은 제공받은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에 따라 메뉴 화면을 구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206).
단계 S204 및 S205에 있어서, 전자 장치(10)는 항목에 관한 정보를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하여 이를 참조하는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목에 관한 정보를 소스 코드로 작성하여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s Delivery Network, CDN)에 업로드하고, 이를 URL을 통해 참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은 이동 단말기 또는 노트북 등 전자 기기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URL에 접속하여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개시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20a, 20b)은 동일한 소스 코드를 베이스로 하여 상단 메뉴와 하단 메뉴를 구성하는 바, 동일한 기능과 디자인을 가지는 메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02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20a)은 메뉴 관리 툴(300)을 통해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관리 툴(30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a)은 메뉴의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이전에 시스템의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20a)을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시스템 타입 항목(31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타입으로는 물류 관련 시스템, 판매자 관련 시스템, 및 관리자 관련 시스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단 메뉴의 항목 및 하단 메뉴의 항목은 시스템의 타입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20a)은 상단 메뉴의 항목 및 하단 메뉴의 항목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항목에 대해 단말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뉴 설정 항목(320)에서 상단 메뉴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메뉴는 1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단 메뉴는 3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단으로 구성된 상단 메뉴는 제1 메뉴 및 제2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뉴는 제1 메뉴의 하위 메뉴로서 그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메뉴의 항목의 세부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제1 메뉴의 항목은 하위 항목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제2 메뉴는 사용자에게 표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20a)은 메뉴 관리 툴(300)의 권한 설정 항목(330)에서 메뉴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권한은 허용(allow) 권한과 거부(deny) 권한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뉴의 어느 항목에 대해 권한 설정 항목(330)을 통해 제1 판매자에 대해서는 허용 권한(331)을 입력할 수 있고, 제2 판매자에 대해서는 거부 권한(332)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입력을 수신한 전자 장치(10)는 해당 항목에 대해 제1 판매자는 접근이 허용된다고 설정할 것이고, 제2 판매자는 접근이 거부된다고 설정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판매자의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에 설정된 메뉴의 항목이 단말의 화면에 노출될 수 있으나, 제2 판매자의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근 권한이 없기 때문에 단말의 화면에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 예시로,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사용자 단말 별로 지정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에 접속한 사용자의 ID 등을 통해서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의 항목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것은 전자 장치(10)가 사용자 단말 별로 일일이 설정할 수도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일제히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권한 설정 항목(330)에서 복수 개의 사용자 ID와 그에 대한 허용 또는 거부 권한이 목록(list)으로 나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따라 메뉴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것은 시스템의 타입 및 메뉴의 항목, 특히 상단 메뉴의 항목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권한은 한번 설정된 이후에도 사용자 단말(20) 및 전자 장치(10)를 통해 수정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는 권한의 수정이 없이도 해당 권한을 비활성화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접근 여부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뉴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시스템에 접속한 단말이 시스템의 내부 사용자의 단말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에 접속한 단말이 시스템의 내부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시스템의 관리 및 설정에 관련된 항목에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공용 컴포넌트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 시스템의 타입을 관리하기 위한 항목 및 권한 설정에 관련된 항목 등과 같이, 외부 사용자의 접근이 곤란한 항목은 내부 사용자의 단말에 대해서만 허용 권한이 설정될 것이다.
한편, 시스템에 접속한 단말이 외부 사용자의 단말인 경우, 외부 사용자가 시스템에 관련된 사용자인지 또는 시스템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제3자 인지에 따라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관련된 외부 사용자의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내부 사용자만큼은 아니지만, 해당 시스템에 관련된 항목들에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시로, 물류에 관련된 외부 사용자(예를 들어, 판매자)가 물류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외부 사용자가 내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제공 받거나 내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항목들에 대해서는 허용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의 예시로는 물류에 관련된 항목, 정산에 관련된 항목 및 계약에 관련된 항목 등이 있을 수 있다.
위에 서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은 시스템의 타입,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1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메뉴의 항목 및 권한에 대해 설정할 수 있으나, 이 같은 과정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메뉴(40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의 (a)는 1단의 상단 메뉴를, (b)는 2단의 상단 메뉴를 도시한다. 도 4의 (a)에 따르면, 제1 메뉴(410)는 최상위 메뉴로서 시스템 로고(411), 알림에 관련된 항목(412),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413) 및 언어 설정 항목(4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따르면, 제2 메뉴(420)는 차상위 메뉴로서 제1 메뉴(410)의 항목에 대한 세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시스템 로고(41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예를 들어, 시스템 로고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클릭 행위), 사용자 단말(20)은 어느 화면에서나 알림에 관련 항목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후단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에 관련된 항목(412)은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알림을 컨텐츠로서 출력하는 항목일 수 있다. 나아가, 알림에 관련된 항목(412)은 사용자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컨텐츠로서 더 출력하는 항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에 관련된 항목(412)은 웹사이트의 일반적인 첫 화면인 '홈(home)' 화면을 컨텐츠로서 출력하기 위한 항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413)은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413)은 사용자 ID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도록 리디렉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413)을 통해 시스템으로의 연결을 해지하는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설정 항목(414)은 사용자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한 지역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언어 설정 항목(414)을 통해 시스템의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지닌 권한에 따라 출력될 수 있는 메뉴의 항목들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권한에 따른 상단 메뉴의 출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에게 설정된 권한에 따라 상단 메뉴의 항목이 달리 출력됨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허용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상단 메뉴(510)를 도시하고 있고, 도 5의 (b)는 항목에 접근할 수 없는 거부 권한이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상단 메뉴(520)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20a)은 '테스트' 항목(511)에 대해 허용 권한이 설정되어 있어, 시스템에 접속할 시에 '테스트' 항목(511)이 확인되고(도 5의 (a)), 해당 항목의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반면, 제2 사용자 단말(20b)은 '테스트' 항목(511)에 대해 거부 권한이 설정되어 있어, 시스템에 접속할 시에 '테스트' 항목(511)이 보이지 않고(invisible)(도 5의 (b)), 해당 항목의 컨텐츠에 접근할 수 없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메뉴(60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따르면, 하단 메뉴(600)는 시스템 정보 제공 항목(610) 및 사용자 도움 제공 항목(6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제공 항목(610)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대표 업무 영역과 연결(contact)할 수 있는 연락처,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도움 제공 항목(620)은 시스템에 접속한 단말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도움말 및 고객지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장치(10)로부터 메뉴 관리 툴을 제공받고 나서,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메뉴 관리 툴을 통해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언급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는 제1 사용자 단말(20a) 및 제2 사용자 단말(20b)에 메뉴 관리 툴을 제공할 수 있다(S701). 그리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인 제1 사용자 단말(20a)은 사용자로부터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02). 예를 들어, 메뉴의 항목 명칭을 수정하는 경우, 항목 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항목에 대한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경우 및 상단 메뉴의 단(depth)을 변경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변경 입력을 수신한 제1 사용자 단말(20a)은 전자 장치(10)로 변경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S703).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수신한 변경 입력에 따라 메뉴의 항목 또는 권한에 대한 정보를 재 설정할 수 있다(S704). 전자 장치(10)는 재 설정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 즉 제1 사용자 단말(20a) 및 제2 사용자 단말(20b)에 제공할 수 있다(S705).
단계 S704 및 S705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10)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메뉴의 항목 또는 권한에 대한 변경된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코드로 작성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수정하여 CDN에 업로드하고, 이를 URL을 통해 참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경된 정보가 소스 코드에 많은 수정을 요하는 경우, URL에 연결된 파일 자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메뉴의 단(depth)이 2단에서 3단으로 변경되는 경우, 메뉴의 구성 자체가 변경된 것이므로,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갱신된 파일을 CDN에 업로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수정된 소스 코드를 통합 서비스 제공 툴을 통해 온라인 스토리지로 업로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대한 권한을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로 작성하여 젠킨스(Jenkins)를 통해 S3(Simple Storage Service)의 특정 패스로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은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통해 S3에 업로드 되어 있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에 접근할 수 있고, 사용자는 최근 업로드된 메뉴의 항목 또는 권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은 전자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재 설정된 항목에 관한 정보에 따라 메뉴 화면을 구성하고, 변경된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706).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은 URL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다운로드 또는 별도의 설정 동작 없이 실시간으로 재 설정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 받아 변경된 메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어느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기 위해서는, 시스템 별로 개별적으로 전자 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등, 사용자에게 직접 알림을 제공해야 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도메인을 새로고침 함으로써 변동 사항을 확인해야 했다. 이는 통합적인 관리가 어려우며 사용자의 행위를 추적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알림이 분류되지 않은 채로 너무 많이 적체되면, 알림이 중복되거나 스팸성 정보로 여겨질 우려가 있으므로, 효율적인 처리가 요구되었다. 특히, 시스템의 내부 사용자와 외부 사용자 별로 별도의 알림 처리가 요구되어 번거로움을 초래하였다.
본 개시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종래의 상황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통합적인 알림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제1 사용자 단말(20a) 및 제2 사용자 단말(20b))은 전자 장치(10)로 사용자와 관련되고 공통된 형식을 갖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801). 이 때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은 동일한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일 수 있고, 상이한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일 수도 있다. 즉, 상이한 시스템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일지라도 동일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동일한 형식의 알림을 전자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와 관련되고 공통된 형식을 갖는 복수의 알림을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알림을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알림을 유형 별로 분류하고(S802), 분류된 복수의 알림을 유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S803). 예를 들어, 복수의 알림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유형,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 및 사용자의 확인 또는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는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유형의 알림은 '뉴스 알림(News alert)'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시스템의 모든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항상 노출되어 있는 알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하고 있는 시스템의 변경 사항, 계약 또는 물류의 변동 사항 및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변경으로 인한 데이터 변동 사항 등이 뉴스 알림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의 알림은 '중요 알림(required alert)'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후 특정 동작을 수행해야만 종료되는 알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에 서명이 필요한 경우, 계약과 관련하여 추가 서류 제출이 요구되는 경우 및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가 요구되는 경우 등이 중요 알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요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해당 알림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제공하는 알림에 URL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할 때 URL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이 요구되는 도메인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시스템이 물류 시스템이고, 사용자에게 제공된 중요 알림이 물류 계약에 서명을 요구하는 알림인 경우, 사용자는 해당 알림을 선택하는 순간 URL을 통해 계약서 화면으로 리디렉션 될 수 있고, 계약서에 서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 및 사용자의 확인 또는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는 유형의 알림은 '공지 알림(notice alert)'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알면 도움이 되는 정보성 알림일 수 있다. 공지 알림은 알림이 종료된 후에도 전자 장치(10)가 제공하는 링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알림은 유형 별로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지속 시간에 관한 정보가 기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알림의 유형에 따른 지속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이 지난 알림을 종료된 알림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속 시간에 관한 정보는 알림의 유형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동일한 유형이라도 알림이 지닌 속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중요 알림은 공지 알림보다 긴 지속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계약에 관련된 중요 알림의 경우, 해당 계약의 유효기간에 따라 지속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803과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알림을 그룹화(grouping)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는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알림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알림을 알림의 속성 및 알림을 제공한 시스템에 따라 묶어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알림의 유형, 속성 및 알림을 제공한 시스템을 식별하고,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동일한 유형 및 속성을 지닌 제2 알림이 동일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면, 제1 알림과 제2 알림을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을 업데이트하면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알림을 기다릴 수 있다. 한편, 대기 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더 이상 동일한 유형 및 속성을 지닌 알림이 동일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지 않으면, 대기를 종료하고 그룹화 된 알림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물류 시스템에서 제공 받은 알림 중 제1 알림이 공지 알림으로서 발주 정보 변경에 관련되고, 제2 알림이 공지 알림으로서 발주 취소에 관련되고, 제3 알림이 공지 알림으로서 발주 정보 변경에 관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알림과 제3 알림은 발주 정보 변경에 관한 그룹으로서 그룹화 되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대기 시간이 종료하기 전에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 된 알림이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그룹화를 종료하고 해당 알림의 그룹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업데이트 된 대기 시간의 총 합이 최대 시간에 도달하면, 그룹화를 종료하고 해당 알림의 그룹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은 알림의 그룹화를 통해 복수의 알림을 시스템별, 알림 유형별 및 알림 속성별로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의 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알림이 중복되거나 스팸성 정보로 여겨질 우려가 줄어들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a)과 제2 사용자 단말(20b)은 제공 받은 복수의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804). 이 때 복수의 알림은 유형 별로 상이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805).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이 사용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중요 알림인 경우에, 전자 장치(10)는 알림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확인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804 이후 사용자 단말은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905). 특히, 중요 알림의 경우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이 요구되므로 사용자 단말은 중요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20a)이 제1 알림(예를 들어, 복수의 알림 중 어느 하나의 중요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S905),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S906).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제1 알림을 포함하는 복수의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907).
만약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에게 제1 알림의 처리를 요구하는 추가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체에게 계약의 서명을 요청하는 알림이 계약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고, 업체가 알림을 확인하지 않은 채로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경우,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에 계약의 서명을 요청하는 알림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알림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시스템을 통해서 제공되고 출력될 수 있으나, 종래처럼 전자 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와 같은 방법으로도 추가 알림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20a)은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으나, 제2 사용자 단말(20b)은 그렇지 않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사용자 단말(20b)로부터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는 제2 사용자 단말(20b)에게 제1 알림의 처리를 요구하는 추가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908). 이후 제2 사용자 단말(20b)은 추가 알림을 출력하여(S909),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행위에 관련한 정보를 전자 장치(1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시각,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알림이 종료된 시각 및 알림이 종료된 이유 등에 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공 받은 사용자의 행위에 관련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행위에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는 알림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추적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알림에 대해 사용자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거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자의 행위에 관련하여 저장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의 행위에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알림에 관련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계 정보는 복수의 알림 중 사용자에 의해 처리된 알림의 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시스템이 제공한 복수의 알림에 관하여 알림의 유형 및 속성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시각,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알림이 종료된 시각 및 알림이 종료된 이유 등을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알림의 속성에 따라 알림이 생성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물류 시스템에서 제공한 복수의 알림을 물류 계약 서명 요청에 관련된 알림의 건수가 총100건이고, 물류 계약 완료 여부에 관련된 알림의 건수가 총50건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별로 출력된 알림 대비 확인된 알림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약관동의 개정안내 및 재확인 요청' 알림을 사용자가 확인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의 확인 여부를 판매자 별로 체크하고, 전체 알림 대비 확인한 알림의 수를 통계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제공된 알림 대비 출력된 알림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제공받은 알림의 수가 너무 많아서 특정 알림이 다른 알림에 밀려 알림에 관련된 항목 화면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알림을 선택하여 확인하지 않는 이상, 알림이 화면에 노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를 통해 추후 사용자가 알림을 확인한 적이 있었는지 증명하는 데에 통계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별로 전체 알림 대비 종료된 알림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계약에 대해 서명을 요청하는 중요 알림은 사용자가 서명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종료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알림은 알림이 제공되는 지속 시간이 지남으로써 종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는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또는 알림이 종료된 시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어떤 알림이 사용자의 피드백 동작으로 인해 종료된 것인지, 피드백 동작이 없어 지속 시간의 지남으로 인해 종료된 것인지, 사용자 별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정보를 통해 상습적으로 계약 서명을 하지 않는 업체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업체에는 다른 방식의 서명 요청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알림이 종료된 것으로 처리되는 경우, 알림이 종료된 이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은 사용자의 행위로 인해 종료되거나, 알림의 지속 시간이 지나거나, 또는 관리자 알림을 회수함으로 인해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계약의 서명을 요청하는 중요 알림에 대해 사용자가 서명하였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의 종료 원인을 사용자의 행위로 인해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위 중요 알림에 대해 설정된 지속 기간인 2주 내에 사용자의 행위가 존재 하지 않아, 알림을 제공한 지 2주 후에 알림의 종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의 지속 기간이 지남으로써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계좌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중요 알림에 대해 사용자가 계좌번호를 입력하였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의 종료 원인을 사용자의 행위로 인해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15일 뒤에 시작되는 프로모션에 관한 계약서에 대해 서명을 요청하는 중요 알림에 대해, 알림을 제공한 지 15일 후에 알림의 종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는 알림의 지속 시간이 지남으로써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단계 S804에서, 복수의 알림은 유형 별로 상이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알림을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화면(1000)은 알림에 관련된 항목에 따른 컨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웹사이트의 일반적인 첫 화면인 '홈(home)'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의 알림을 동일한 화면(1000)에서 유형 별로 상이한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공통의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알림을 유형 별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사용자와 외부 사용자는 시스템의 동일한 화면 영역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관련된 알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물류 계약에 관련된 판매자와 내부 사용자는 물류 시스템의 홈 화면에서 발주, 계약 및 가입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계약 진행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빠른 진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유형인, 뉴스 알림의 출력 영역(1010)은 사용자로부터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만큼, 화면(10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인, 중요 알림은 뉴스 알림보다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지는 않으나, 중요도 측면에서 공지 알림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지니므로, 중요 알림의 출력 영역(1020)은 뉴스 알림의 출력 영역(1010) 아래에, 공지 알림의 출력 영역(103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지 알림의 출력 영역(1030)은 중요 알림의 출력 영역(102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알림은 그룹화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에는 판매자가 상품을 등록하고, 등록한 상품의 데이터 검증과 등록이 완료될 때에, 내부 사용자가 발주를 요청했다. 그리고 전자 메일 통해 발주를 요청하는 알림이 판매자에게 발송된다. 판매자는 전자 메일을 통해 발주 요청서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고,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 상품의 재고를 물류 창고로 발송한다. 그리고, 물류 창고에서는 상품의 재고를 적재 장소에 적재하고, 몇 개의 상품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여 해당 상품에 하자가 없는지 검토한다. 해당 상품에 하자가 없음이 확인된 경우, 내부 사용자는 상품의 실제 판매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제공된 API 통해 작성된 발주 요청 알림이 판매자의 단말에 제공되고, 각 시스템의 홈 화면에 발주 요청 알림이 출력된다. 이때 내부 사용자에게도 동일 내용의 발주 요청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발주 요청 알림은 판매자의 등록된 상품이 데이터 검증과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전달하기 위한 정보성 알림으로서 공지 알림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1030)에 출력될 수 있다. 판매자는 홈 화면에 출력된 발주 요청 알림을 통해 발주 요청서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와 공통으로 내부 사용자도 홈 화면을 통해 발주 요청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에는 내부 사용자가 판매자와 논의한 후 상품 광고 또는 상품 등록에 관련하여 계약서를 발송하였다. 그리고 판매자가 계약 시스템에 접속하고 계약 관리를 위한 메뉴에 진입하여, 새로고침을 통해 계약을 확인하고 서명을 완료하였다. 이후 내부 사용자가 계약 시스템에 접속하고 물류 관리 메뉴에 진입하여, 새로고침을 통해 서명이 완료된 계약서를 확인하고 계약을 완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약서는 기 제공된 API 통해 판매자의 단말에 제공되고, 시스템의 홈 화면에 계약 서명 요청 알림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계약 서명 요청 알림은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알림으로서 중요 알림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102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별도의 계약 관리를 위한 메뉴에 진입할 필요없이, 시스템의 첫 화면에서 계약서를 확인하고, 알림을 통해 계약서에 서명을 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서명 시점에 내부 사용자에게도 판매자의 서명 사실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 사용자도 실시간으로 서명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에는 판매자가 가입에 요구되는 서류와 함께 물류 시스템에 가입을 요청하고, 내부 사용자는 가입 관련 메뉴를 통해 새로운 가입 요청 또는 추가 서류 제출 요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내부 사용자는 판매자에게 추가 서류를 요청하는 전자 메일을 발송하고, 판매자는 전자 메일을 확인하고 물류 시스템에 다시 접속하여 추가 서류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가입 절차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메일을 통해 가입 절차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고, 판매자의 가입 요청, 추가 서류 제출 및 절차 진행 확인 모두 홈 화면의 알림에 관련된 영역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은 판매자는 물론 내부 사용자도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입 요청과 추가 서류 제출을 요구하는 알림은 중요 알림으로서 알림 영역(1020)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가입 절차의 진행 상태에 따른 알림은 공지 알림으로서 알림 영역(1030)에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n device)(12) 및 제어부(controller)(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12)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2)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12)는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디바이스(12)는 사용자 단말(20)로 메뉴 관리 툴을 제공하고,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12)는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2)는 복수의 알림을 수신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전자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는 통신 디바이스(1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는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통신 디바이스(12)를 이용하여, 메뉴의 항목 및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변경 입력에 따라 메뉴의 항목 또는 권한에 관한 정보를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복수의 알림을 분류하고 그룹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복수의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거나 알림을 종료된 알림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알림의 처리를 요구하는 추가 알림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또한, 복수의 알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22), 디스플레이(display)(24) 및 제어부(controller)(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2)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2)는 전자 장치(10)로부터 메뉴 관리 툴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22)는 권한이 설정된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2)는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는 사용자 단말(2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24)는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는 복수의 알림을 유형 별로 상이한 화면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6)는 사용자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6)는 통신 디바이스(22)를 통해 전자 장치(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는 시스템 로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존재하는 경우, 메뉴 화면을 알림에 관련된 항목에 관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은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는 시스템 로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복수의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2)

  1.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tool)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여, 복수의 시스템 별로 상기 메뉴의 항목 및 상기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는 단계;
    제1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알림(alert)을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 중 제1 시스템이 포함하는 항목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단말인 -;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시스템의 항목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을 확인한 시각,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및 상기 복수의 알림이 종료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관리 툴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툴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스템의 타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시스템의 타입에 따라 상단 메뉴의 항목 및 하단 메뉴의 항목을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 메뉴의 항목 및 상기 하단 메뉴의 항목은 시스템의 타입 별로 상이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메뉴는 제1 메뉴 및 상기 제1 메뉴의 하위 메뉴인 제2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뉴 및 상기 제2 메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뉴의 항목은 상기 제1 메뉴의 항목의 세부 항목을 포함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메뉴는 시스템 로고, 알림(alert)에 관련된 항목,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 및 언어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메뉴는 시스템 정보 제공 항목 및 사용자 도움 제공 항목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말이 상기 시스템의 내부 사용자의 단말 인지 또는 물류에 관련된 사용자의 단말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이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관리 툴을 통해 상기 메뉴의 항목 및 상기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변경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 입력에 따라 상기 메뉴의 항목 또는 상기 권한에 관한 정보를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설정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림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에 대하여 공통된 형식을 갖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림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알림 중 제1 알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알림의 처리를 요구하는 추가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알림을 유형 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알림을 상기 유형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유형,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 및 사용자의 확인 또는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는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형 별로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되는 지속 시간에 관한 정보가 기 설정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는,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알림 중 제2 시간 동안 수신되는 알림을 알림의 속성 및 알림을 제공한 시스템에 따라 그룹화(grouping)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림의 유형에 따른 상기 지속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알림 중 지속 시간이 지난 알림을 종료된 알림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알림 중 종료된 알림의 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종료된 알림의 비율에 관한 정보는 상기 지속 시간이 지나 종료된 알림으로 처리된 알림의 비율 및 사용자에 의해 처리된 알림의 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로 제공된 상기 복수의 알림 대비 상기 제1 단말에 출력된 알림의 비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6. 시스템 관리를 위한 장치(apparatus)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및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시스템의 메뉴를 관리하기 위한 메뉴 관리 툴(tool)을 제공하고,
    상기 메뉴 관리 툴을 통한 입력을 수신하여, 복수의 시스템 별로 상기 메뉴의 항목 및 상기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제1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알림을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 중 제1 시스템이 포함하는 항목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단말인 -,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1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시스템의 항목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을 확인한 시각,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및 상기 복수의 알림이 종료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단말(terminal)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
    디스플레이(display);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 및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복수의 시스템 별로 상기 단말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와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복수의 알림을 제공받고,
    상기 단말이 제1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에 따라 메뉴 화면과 상기 복수의 알림을 출력하고 - 상기 제1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시스템에 포함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시스템이 포함하는 항목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설정된 단말임 -,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알림에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을 확인한 시각,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피드백 동작을 한 시각 및 상기 복수의 알림이 종료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시스템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시스템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알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는, 상단 메뉴의 항목 및 하단 메뉴의 항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메뉴는 시스템 로고, 알림(alert)에 관련된 항목, 사용자 정보에 관련된 항목 및 언어 설정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메뉴는 시스템 정보 제공 항목 및 사용자 도움 제공 항목을 포함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시스템 로고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알림에 관련된 항목에 관한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유형 별로 분류된 복수의 알림을 제공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알림을 유형 별로 상이한 영역에 출력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유형,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이 요구되는 유형 및 사용자의 확인 또는 피드백이 요구되지 않는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22. 삭제
KR1020200042735A 2020-04-08 2020-04-08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9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35A KR102199420B1 (ko) 2020-04-08 2020-04-08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CT/KR2020/009827 WO2021206225A1 (ko) 2020-04-08 2020-07-24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202080003324.4A CN112543929A (zh) 2020-04-08 2020-07-24 用于对系统进行管理的方法及其设备
AU2020286268A AU2020286268A1 (en) 2020-04-08 2020-07-24 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SG11202012391RA SG11202012391RA (en) 2020-04-08 2020-07-24 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2020133127A JP7034445B2 (ja) 2020-04-08 2020-08-05 システム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16/990,922 US11038772B1 (en) 2020-04-08 2020-08-11 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PH12020552097A PH12020552097A1 (en) 2020-04-08 2020-12-07 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TW109144174A TW202141270A (zh) 2020-04-08 2020-12-15 管理系統之方法及用於其之設備
KR1020200188054A KR102307474B1 (ko) 2020-04-08 2020-12-30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7/322,722 US11601341B2 (en) 2020-04-08 2021-05-17 Method for manag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735A KR102199420B1 (ko) 2020-04-08 2020-04-08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54A Division KR102307474B1 (ko) 2020-04-08 2020-12-30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420B1 true KR102199420B1 (ko) 2021-01-06

Family

ID=741285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735A KR102199420B1 (ko) 2020-04-08 2020-04-08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00188054A KR102307474B1 (ko) 2020-04-08 2020-12-30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054A KR102307474B1 (ko) 2020-04-08 2020-12-30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38772B1 (ko)
JP (1) JP7034445B2 (ko)
KR (2) KR102199420B1 (ko)
AU (1) AU2020286268A1 (ko)
TW (1) TW202141270A (ko)
WO (1) WO202120622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244A (ja) * 2002-08-22 2004-03-18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進行状況管理システム、進行状況管理装置、進行状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475734A2 (en) * 2003-03-31 2004-11-10 Sap Ag Alert Notification Management
JP2012203614A (ja) * 2011-03-25 2012-10-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KR102076162B1 (ko) * 2016-12-14 2020-02-11 최재호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567A (en) * 1998-05-05 2000-12-26 3Com Corporation Technique for automatically updating software stored on a client computer in a networked client-server environment
US6453353B1 (en) * 1998-07-10 2002-09-17 Entrust, Inc. Role-based navig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US6182142B1 (en) * 1998-07-10 2001-01-30 Encommerce, Inc. Distributed access management of information resources
US6405238B1 (en) * 1998-07-31 2002-06-11 Hewlett-Packard Co. Quick navigation upon demand to main areas of web site
US7130854B2 (en) * 2001-08-14 2006-10-31 Endforce, Inc. Selection and storage of policies in network management
JP2004164618A (ja) 2002-10-14 2004-06-10 Oce Technol Bv 携帯端末における選択メカニズム
KR20030039336A (ko) 2003-03-03 2003-05-17 주식회사 디지틀조선일보 복수개의 웹 사이트에 대한 통합 편집 기능을 갖는시스템.
US7739345B2 (en) * 2003-03-31 2010-06-15 Sap Ag Alert notification engine
US8024367B2 (en) * 2003-03-31 2011-09-20 Sap Ag Alert engine
US7827204B2 (en) * 2003-03-31 2010-11-02 Sap Ag Order document data management
US8874561B2 (en) * 2003-03-31 2014-10-28 Sap Se Time series data management
US20040266396A1 (en) * 2003-06-25 2004-12-30 Henry Steven G Digital transmitter displays
US9489496B2 (en) * 2004-11-12 2016-11-08 Apple Inc. Secure software updates
US20060183477A1 (en) 2005-02-15 2006-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Network selection user interface for wireless devices
CN101187993A (zh) 2006-11-17 2008-05-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企业信息化管理系统中的策略管理方法
US7913247B2 (en) * 2007-02-13 2011-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ftware updates based on RSS feeds
US7853480B2 (en) * 2007-05-21 2010-12-14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port services to merchants
US8036923B2 (en) * 2007-11-30 2011-10-11 Sap Ag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work orders
US8386779B2 (en) * 2008-08-20 2013-02-2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ole navigation designer and verifier
KR101132238B1 (ko) 2009-11-04 2012-03-30 (주)아사달 통합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통합 서비스 관리 방법
US8909673B2 (en) * 2011-01-27 2014-12-09 Varonis Systems, Inc. Access permission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751879B2 (en) * 2011-03-30 2014-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ly monitoring and dispatching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alerts
KR20130047193A (ko) 2011-10-31 2013-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직 구조에 상응하는 선설정된 접근 제어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전달 방법 및 장치
CN104468819B (zh) 2014-12-24 2017-10-31 福建江夏学院 一种物联网消息推送系统及其方法
KR101885430B1 (ko) * 2016-09-27 2018-09-10 강연운 웹사이트 통합 관리시스템
US10769268B2 (en) * 2016-11-01 2020-09-08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91240B1 (ko) 2016-12-15 2018-08-24 주식회사 진앤현시큐리티서비스 통합보안업무 관리시스템
KR101950422B1 (ko) 2017-08-10 2019-02-20 (주)사이냅소프트 편집 권한 설정을 지원하는 공동 편집을 위한 문서 편집 시스템 및 방법
KR101950636B1 (ko) * 2017-12-27 2019-02-20 주식회사 팍스에스앤티 단말기, 단말기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주소 통합 관리 시스템
CN109960904A (zh) 2019-03-29 2019-07-02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业务系统管理方法、管理服务器、用户终端和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244A (ja) * 2002-08-22 2004-03-18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進行状況管理システム、進行状況管理装置、進行状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475734A2 (en) * 2003-03-31 2004-11-10 Sap Ag Alert Notification Management
JP2012203614A (ja) * 2011-03-25 2012-10-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KR102076162B1 (ko) * 2016-12-14 2020-02-11 최재호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92210A (ja) 2021-12-16
US11038772B1 (en) 2021-06-15
TW202141270A (zh) 2021-11-01
US11601341B2 (en) 2023-03-07
KR102307474B1 (ko) 2021-10-01
AU2020286268A1 (en) 2021-10-28
US20210320849A1 (en) 2021-10-14
JP7034445B2 (ja) 2022-03-14
WO2021206225A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3074B2 (en) Monitoring a privacy rating for an application or website
US11876794B2 (en) Managed domains for remote content and configuration control on mobile information devices
US9749321B2 (en) System for multi-point publication syndication
US915894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flexible internet based information with physical objects
US9026563B2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social media-based management of assets in an on-demand services environment
US20180005276A1 (en) User controlled profiles
US10747728B2 (en) Edit and share unsupported files through instantly generated preview
AU2015288253B2 (en) Maintaining a limited user profile for social networking system users unable to establish a user profile
US20130204906A1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management of assets in an on-demand services environment
KR102199420B1 (ko)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25446A (ko)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543929A (zh) 用于对系统进行管理的方法及其设备
US20160224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KR102166996B1 (ko) 부동산 허위매물 방지를 위한 매도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IE20190191A1 (en) Digital user consent preferences and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