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222B1 -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222B1
KR102199222B1 KR1020180158522A KR20180158522A KR102199222B1 KR 102199222 B1 KR102199222 B1 KR 102199222B1 KR 1020180158522 A KR1020180158522 A KR 1020180158522A KR 20180158522 A KR20180158522 A KR 20180158522A KR 102199222 B1 KR102199222 B1 KR 102199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active power
weight
reactive
p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884A (ko
Inventor
송승호
최주엽
정승기
김수빈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8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함으로써, 중출력 및 저출력 구간에서는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의 계통손실 측면에서의 성능을 가지면서 고출력 구간에서는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의 전압상승을 완화할 수 있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active Power in Electric Power System Connected with Distributed Genera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전력조류에 의한 계통전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배전계통에서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전송받는 부하는 선로 또는 케이블의 임피던스에 의해 부하 접속지점의 전압을 강하시킨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기는 접속지점의 전압을 상승시킨다. 배전계통에 접속된 발전기가 무효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접속지점 전압의 상승을 가중시키게 되고, 무효전력을 흡수하게 되면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상승을 완화시킬 수 있다.
국외 대부분의 계통연계규정에서는 계통의 전압에 대한 정상운전범위와 전압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분산전원에 무효전력공급 능력 및 기능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전압에 대한 정상운전범위는 분산전원이 계통 전압에 따라 계통 연계 모드로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정상운전 범위를 의미한다.
전압상승 완화를 위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제어 방식에는 (i) 고정역률 제어 방식, (ii) 유효전력 출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 방식, 및 (ii) 분산전원의 접속지점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 방식 등이 있다.
고정역률 제어 방식 및 유효전력 출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최대 유효전력 출력구간에서 역률이 동일하여 전압상승 완화 효과가 동일하게 나타난다.
고정역률 제어 방식은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상승이 낮은 저출력 구간에서도 무효전력을 흡수하게 되어 유효전력에 대한 역률 제어 방식에 비해 무효전력 흡수에 의한 계통손실이 크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계통손실 측면에서 유효전력에 대한 역률 제어 방식이 고정역률 제어 방식보다 유리하다.
유효전력에 대한 역률 제어 방식은 분산전원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효전력에 대해서만 무효전력 흡수량이 결정되므로 전체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출력으로 전압상승 완화 효과를 평가하면 효율적인 무효전력 흡수량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분산전원의 최대 발전 시간의 유효전력 출력과 주변 부하의 전력수요가 일치하는 상황과 같이 전압상승이 낮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무효전력 흡수가 중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불필요한 계통손실이 발생한다.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접속지점 전압을 직접 사용하므로 분산전원이 유효전력을 최대로 출력하는 상황에서 주변 부하의 전력 수요가 일치하여 전압상승이 낮으면 그에 따른 무효전력 흡수량도 낮아진다. 이에 따른 계통손실 측면에서 유효전력에 대한 역률 제어 방식보다 유리할 수 있다.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전압에 따른 분산전원 제어에서의 Q-U 곡선을 예시한 도면한 도 2을 참조하면, 불감대가 넓고 Q-U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계통손실이 낮아지지만 전압상승이 극심한 모선의 전압상승 완화 효과가 적어진다. 만일,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의 설정이 적절하게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압상승이 극심한 모선의 전압이 임계 수준에 달하게 되어도 전압상승이 미비한 모선의 분산전원이 무효전력 흡수 용량의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효전력을 흡수하지 않아서 전압상승이 높은 모선의 전압을 정상운전범위 내로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선로 및 케이블의 임피던스가 크고 분산전원의 접속이 높아서 모든 분산전원이 무효전력을 대부분 정격에 가깝게 흡수하여야 전압상승이 극심한 모선의 전압이 정상운전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는 지역에서는 충분히 불감대가 좁고, 기울기가 커야 하는데 이러한 설정으로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중출력 및 저출력 구간에서 유효전력 출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 방식보다 계통손실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2107호 (2012.03.2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함으로써, 중출력 및 저출력 구간에서는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의 계통손실 측면에서의 성능을 가지면서 고출력 구간에서는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의 전압상승을 완화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하는 전압 산출부, 상기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유효전력 산출부, 및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하고, (i) 상기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및 (ii)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하고, (i) 상기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및 (ii)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혼합 무효전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함으로써, 중출력 및 저출력 구간에서는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제어의 계통손실 측면에서의 성능을 가지면서 고출력 구간에서는 역률 함수를 이용하는 무효전력 제어의 전압상승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전력조류에 의한 계통전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압에 따른 분산전원 제어에서의 Q-U 곡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혼합 무효전력 제어 모델 및 가중치 계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이 적용한 전압 기반의 제1 무효전력 제어 모델, 접속지점 전압에 따른 무효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이 적용한 유효전력 기반의 제2 무효전력 제어 모델,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및 유효전력에 따른 무효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된 모의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력 자동화 시스템은 원거리에 산재하는 전력선로용 개폐기들이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전압이나 전류 등의 계통 운전 정보를 전력 자동화 서버로 전송하고 전력 자동화 서버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전력계통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여 운영되는 시스템이다. 각 배전선로용 개폐기에는 배전 자동화 단말(Feeder Remote Terminal Unit, FRTU)이 구비되며, 배전 자동화 서버에서는 각 RFTU 또는 전압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여러 데이터를 측정하여 전송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로는 FRTU가 연결된 노드의 전압과 전류의 크기 및 위상각 등이 있다.
전력계통에는 전압과 무효전력을 제어하는 여러 기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동 전압 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는 OLTC(On Load Tap Changer) 변압기의 동작에 따라 변전소에 있는 주 변압기의 2차 측 모선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션트 커패시터(Shunt Capacitor)는 주 변압기의 2차 측 모선의 역률을 제어하기 위해 모선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AVR의 한 종류인 SVR(Step Voltage Regulator)은 배전선로 중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로 컨덴서(Line Condenser)가 전력 선로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력계통에 연계될 수 있는 분산전원(210)은 회전기 타입(Rotating-type Generator)의 AC 전력을 발전하는 동기기와 유도기 등을 사용하는 풍력발전(Wind-Turbine)이나, 정적인 타입(Static-type Generator)의 분산전원 전력을 발전하는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array) 또는 연료전지(Fuel Cell) 등이 있다.
이러한 분산전원들은 인버터 및 컨버터를 통해 계통에 연계되어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분산전원들을 전력 제어 설비로 간주하여 각 노드에 구비된 FRTU에서 분산전원의 출력 전압, 전류, 역률 등의 데이터를 계측하고 이에 따라 분산전원을 포함한 계통 전압을 조정한다.
무효전력 흡수에 따른 전압상승 완화는 분산전원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무효전력 흡수에 따른 전압상승 완화는 임피던스에 의존적인데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무효전력 흡수에 따른 전압상승 완화가 크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전체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으로 임피던스가 높은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분산전원에 무효전력 흡수량을 우선적으로 높게 분배하는 것이 더 높은 전압상승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전압상승이 크게 나타나는 모든 분산전원이 유효전력을 최대로 출력할 때, 정격에 가까운 무효전력을 흡수함으로써 전압상승 완화를 극대화할 수 있으나 부하에 관계없이 유효전력 출력만으로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하여, 주변 부하의 전력 소비에 따른 전압상승이 미비한 상황에서도 필요 이상의 무효전력 흡수를 하여 계통손실을 가중시킬 수 있다.
전압 기반의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넓은 불감대(dead band)와 Q-U 곡선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설정하여 적용하게 되면, 계통손실을 줄일 수 있으나 전압상승이 극심한 모선의 전압을 정상운전범위 내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 무효전력 제어 방법은 중출력 및 저출력 구간에서는 전압 기반의 무효전력 제어의 계통손실 측면에서의 성능을 가지면서 고출력 구간에서는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 제어의 전압상승 완화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 결정시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PF(P)) 제어를 통해 도출된 무효전력지령 Qref - PF(P)와 전압 기반의 무효전력(Q(U)) 제어를 통해 도출된 무효전력지령 Qref -Q(U)의 비중을 결정하는 가중치 계수를 적용한다.
도 4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효전력 제어 장치(10)는 전압 산출부(100), 유효전력 산출부(200), 및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무효전력 제어 장치(10)는 도 4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가중치 조절기(310), 제1 무효전력 제어기(320), 제2 무효전력 제어기(330), 무효전력 혼합기(34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산출부(100)는 분산전원이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한다. 전압 산출부(100)는 물리적으로 계측하거나 인접 노드의 전압, 전류 및 역률 등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유효전력 산출부(200)는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한다. 유효전력 산출부(200)는 물리적으로 계측하거나 인접 노드의 전압, 전류 및 역률 등을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한다. 가중치 조절기(310)는 유효전력 산출부(200)에 연결되어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설정한다. 가중치 조절기(310)는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의 합을 1로 설정하며, 제1 가중치 또는 제2 가중치는 0 이상 1 이하의 값을 갖는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i)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및 (ii)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출력한다.
제1 가중치(w1) 및 제2 가중치(w2)를 통한 무효전력 지령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의 관계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1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2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비중결정계수 K를 통해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지령을 계산한다. 비중결정계수 K는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흡수량 결정시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PF(P))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무효전력지령 Qref - PF(P)와 제1 무효전력(Q(U))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무효전력지령 Qref-Q(U)의 비중을 결정하는 계수이다.
도 5의 (a)는 수학식 1을 기반으로 유효전력에 따른 K 계수에 대한 함수 K(P) 설정을 통해 무효전력 지령을 결정하는 혼합 무효전력 제어 모델의 블록선도이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제1 가중치 또는 제2 가중치는 제1 기준 가중치를 하한으로 설정하고, 제2 기준 가중치를 상한으로 설정한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을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으로 구분한다. 제2 가중치, 즉, 비중결정계수 K는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수학식 3과 같이 구분된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3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300)는 제1 구간에서는 제1 무효전력만을 출력하고, 제2 구간에서는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제1 무효전력과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제3 구간에서는 제2 무효전력만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기준 가중치 K1은 0 이상의 값을 가지며, 제2 기준 가중치 K2는 1 이하의 값을 가진다. 제1 기준 가중치 K1이 0에 가까울수록 제1 기준 유효전력 P1 이하의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서 혼합 모델은 Q(U) 제어에 가깝게 동작하게 되고, 제2 기준 가중치 K2가 1에 가까울수록 제2 기준 유효전력 P2 이상의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서 PF(P) 제어에 가깝게 동작하게 된다.
즉,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유효전력이 제1 기준 유효전력보다 작으면, 제1 무효전력만을 출력한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유효전력이 제2 기준 유효전력보다 크면, 제2 무효전력만을 출력한다.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유효전력이 제1 기준 유효전력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유효전력이 제2 기준 유효전력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연속 또는 불연속하는 함수로 정의된 관계에 따라 제1 무효전력과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출력한다. 도 5의 (b)에 비중결정계수 K와 유효전력 P의 관계 곡선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이 적용한 전압 기반의 제1 무효전력 제어 모델, 접속지점 전압에 따른 무효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1 무효전력 제어기(320)는 접속지점의 전압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하한 내지 상한 범위에서 제1 무효전력을 결정한다. 유효전력 출력에 의한 전압상승은 분산전원의 접속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Q(U) 제어는 인접 지역의 전력 생산과 소비의 결과인 연계지점 전압을 직접 사용하여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한다. Q(U) 제어의 전압구간에 따른 무효전력 흡수량이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4
전압상승은 분산전원의 접속지점에서의 임피던스(일반적으로 송전선로나 케이블, 변압기 등이 가지는 임피던스)에 따라 달라지는데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모선의 전압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모선의 전압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압에 대한 무효전력 Q(U) 제어를 사용하게 되면, 변전소 변압기에 가까이 위치한 분산전원이 멀리 위치한 분산전원보다 접속지점 전압이 낮으므로 무효전력 흡수량도 그만큼 낮게 나타나게 된다.
도 7은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이 적용한 유효전력 기반의 제2 무효전력 제어 모델,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및 유효전력에 따른 무효전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제2 무효전력 제어기(330)는 유효전력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하한 내지 상한 범위에서 제2 무효전력을 결정한다. 고정역률 제어 및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P에 따라 전압이 상승한다고 가정하여 P에 따라 무효전력 흡수량을 결정한다.
역률 지령 PFref 값이 정해졌을 때, 유효전력 P에 따른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지령 Qref을 계산하면,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5
고정역률 제어는 역률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유효전력 출력에 비례하는 무효전력을 흡수하며,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PF(P)) 제어는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역률을 다르게 적용한다. PF(P) 제어는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 상승 영향이 낮은 출력 구간에서는 역률을 1 또는 1에 가깝게 적용하게 되며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 상승 영향이 일정 수준 이상 발생될 수 있는 출력 구간에서는 일정 기울기로 역률을 낮추고,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 상승 영향이 높게 나타나는 출력 구간에서 최소 역률 또는 최소 역률에 가깝게 동작한다.
유효전력 P에 따른 역률 PF(P) 제어는 도 7의 (b)로 표현될 수 있고,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6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7
도 7의 (a)에 도시된 제어 블록선도에서 PF(P) 블록에 수학식 7을 적용하면, 고정역률 제어로 동작하게 된다. 고정 역률 제어 및 유효전력 기반의 무효전력 PF(P) 제어를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른 무효전력으로 나타내면 도 7의 (c)와 같이 도시된다. 도 7의 (c)에서 빨간 점선은 고정역률 제어할 때 동작 곡선을 나타내며, 파란 점선은 PF(P) 제어할 때 동작 곡선을 나타낸다.
전압 기반의 제1 무효전력 제어 모델 및 유효전력 기반의 제2 무효전력 제어 모델이 융합된 본 실시예에 따른 무효전력 제어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도 4에서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무효전력 제어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효전력 제어 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무효전력 제어 방법은 무효전력 제어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무효전력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810에서, 무효전력 제어 장치는 분산전원이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한다.
단계 S820에서, 무효전력 제어 장치는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한다.
단계 S830에서, 무효전력 제어 장치는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하고, (i)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및 (ii)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혼합 무효전력을 출력한다.
혼합 무효전력을 출력하는 단계(S830)는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을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으로 구분하고, 제1 구간에서는 제1 무효전력만을 출력하고, 제2 구간에서는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제1 무효전력과 제2 무효전력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제3 구간에서는 제2 무효전력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된 모의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무효전력 제어 혼합 모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표 1 및 도 9의 피더 모델을 MATLAB/Simulink에 적용하여 PF(P) 제어 및 Q(U) 제어, PF(P)-Q(U) 혼합모델의 비중결정계수 설정을 도 10과 같이 적용하여 모의하였다.
Figure 112018123727106-pat00008
표 1은 피더 모델의 파라미터이다.
도 10의 (a)는 PF(P) 제어에서 PF-P 곡선을 설정한 값이고, 도 10의 (b)는 Q(U) 제어에서 Q-U 곡선을 설정한 값이고, 도 10의 (c)는 PF(P)-Q(U) 혼합 모델에서 비중결정계수 K-P 곡선을 설정한 값이다.
도 11은 피더 모델에서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 분산전원 DG1과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먼 지점에 위치한 분산전원 DG8의 무효전력제어 방식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을 나타낸다. 도 11의 (a)는 분산전원 DG1의 유효전력 출력과 무효전력제어 방식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이고, 도 11의 (b)는 분산전원 DG8의 유효전력 출력과 무효전력제어 방식에 따른 무효전력 출력이다.
PF(P) 제어 시에는 분산전원은 위치에 관계없이 유효전력 출력에 따라 무효전력을 흡수하게 되어 분산전원 DG1과 DG2의 무효전력 흡수량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반면에 Q(U) 제어 시에는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일수록 유효전력에 따른 전압상승이 크게 나타나서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가까이에 위치한 분산전원 DG1은 유효전력 출력이 높은 구간에서도 무효전력 흡수량이 낮고, 먼 지점에 위치한 분산전원 DG8의 무효전력 흡수량은 PF(P) 제어 시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PF(P)-Q(U) 혼합 제어 시에는 0.8 [p.u]이하의 구간에서는 Q(U) 제어와 동일하게 동작하다가 0.8 [p.u] 이후의 구간에서는 Q(U) 제어 시 무효전력 지원에 대한 기여가 거의 없었던 분산전원 DG1의 무효전력이 증가하였다.
도 12의 (a)는 무효전력제어 방식에 따른 전압상승 영향이 가장 높은 지점의 전압을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무효전력제어 방식에 따른 분산전원 DG8에서의 전압 변동을 참조하면, 분산전원이 무효전력제어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분산전원 DG8에서의 전압이 1.1204 [p.u]까지 상승하였다. 무효전력제어를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분산전원 DG8에서의 전압이 PF(P) 제어 시 1.0924 [p.u], Q(U) 제어 시 1.0996 [p.u], PF(P)-Q(U) 혼합 제어 시 1.0943 [p.u]까지 상승하여 PF(P) 제어가 전압상승 완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Q(U) 제어는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가까이 위치한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지원 능력에 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저조한 지원으로 분산전원 DG8에서의 전압이 임계수준에 근접하여 정상운전범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PF(P)-Q(U) 혼합 제어는 변전소 변압기로부터 가까운 지점의 분산전원들도 출력이 높은 구간에서는 무효전력 지원을 하도록 하여 Q(U) 제어 시 보다는 전압상승을 완화하였다.
도 12의 (b)는 무효전력제어 방식과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출력구간에 따른 계통손실을 나타낸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무효전력제어에 따른 계통손실과 무효전력제어를 하지 않은 경우의 계통손실 간의 차를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 따라 파형으로 나타낸다. 계통 유효전력 손실은 약 0.5 [p.u] 이하의 분산전원 유효전력 출력구간에서 PF(P) 제어와 Q(U) 제어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후 구간에서는 Q(U) 제어가 PF(P) 제어보다 계통손실이 낮게 나타났다. PF(P)-Q(U) 혼합 제어 시에는 분산전원의 유효전력 출력이 0.8 [p.u] 이하 구간에서 Q(U) 제어와 동일한 계통손실이 나타났으며, 이후 구간에서는 계통손실이 Q(U) 제어보다 높지만 PF(P) 제어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 무효전력 제어 방식은 전압상승 문제가 크지 않은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서는 계통손실 측면에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Q(U) 제어에 가깝게 동작하며, 전압상승 문제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유효전력 출력 구간에서는 전압상승 완화 측면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 PF(P) 제어에 가깝게 동작한다. 이를 분산전원의 무효전력량을 Q(U)로 계산된 무효전력량과 PF(P)로 계산된 무효전력량의 비율로 결정할 수 있는 비중결정계수 K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상승이 낮게 나타나는 출력 구간에서는 계통손실 측면에서 Q(U) 제어와 동일한 수준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유효전력에 의한 전압상승이 높게 나타나는 출력 구간에서는 PF(P) 제어와 동일한 수준의 전압상승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효전력 제어 장치 100: 전압 산출부
200: 유효전력 산출부 300: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
310: 가중치 조절기 320: 제1 무효전력 제어기
330: 제2 무효전력 제어기 340: 무효전력 혼합기

Claims (11)

  1.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하는 전압 산출부;
    상기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유효전력 산출부; 및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하고, (i) 상기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제어값 및 (ii)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기는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하한 내지 상한의 범위에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기는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역률을 다르게 적용하여 기 설정된 상기 하한 내지 상기 상한의 범위에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 가중치는 0이거나 0초과 1이하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가중치는 0이거나 0초과 1이하의 값을 갖고,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의 합은 1로 설정되며,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유효전력과의 관계로 정의된 비중결정계수이며,
    상기 비중결정계수는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상기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출력량을 결정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의 비중을 결정하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을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만을 출력하고, 상기 제2 구간에서는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3 구간에서는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유효전력이 제1 기준 유효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유효전력이 제2 기준 유효전력보다 크면,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유효전력이 제1 기준 유효전력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상기 유효전력이 제2 기준 유효전력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연속 또는 불연속하는 함수로 정의된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중치 또는 상기 제2 가중치는 제1 기준 가중치를 상기 하한으로 설정하고, 제2 기준 가중치를 상기 상한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장치.
  8. 삭제
  9. 삭제
  10.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산전원이 상기 전력계통에 연계된 접속지점의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분산전원의 유효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를 조절하고, (i) 상기 제1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을 이용한 제1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1 무효전력 제어값 및 (ii)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유효전력에 따른 역률 함수를 이용한 제2 무효전력 제어기가 출력한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혼합 무효전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기는 상기 접속지점의 전압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하한 내지 상한의 범위에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기는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역률을 다르게 적용하여 기 설정된 상기 하한 내지 상기 상한의 범위에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결정하고,
    상기 혼합 무효전력 제어부는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1 가중치는 0이거나 0초과 1이하의 값을 갖고,
    상기 제2 가중치는 0이거나 0초과 1이하의 값을 갖고,
    상기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가중치의 합은 1로 설정되며,
    상기 제2 가중치는 상기 유효전력과의 관계로 정의된 비중결정계수이며,
    상기 비중결정계수는 상기 유효전력의 출력구간에 따라 상기 분산전원의 무효전력 출력량을 결정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기를 통해 도출된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의 비중을 결정하는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무효전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전력이 제1 기준 유효전력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상기 유효전력이 제2 기준 유효전력보다 작거나 동일하면, 연속 또는 불연속하는 함수로 정의된 관계에 따라 상기 제1 무효전력 제어값과 상기 제2 무효전력 제어값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KR1020180158522A 2018-12-10 2018-12-10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99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22A KR102199222B1 (ko) 2018-12-10 2018-12-10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22A KR102199222B1 (ko) 2018-12-10 2018-12-10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84A KR20200070884A (ko) 2020-06-18
KR102199222B1 true KR102199222B1 (ko) 2021-01-06

Family

ID=7114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22A KR102199222B1 (ko) 2018-12-10 2018-12-10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141A (ko) * 2021-04-19 2022-10-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계통 전압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689A (ko) 2021-10-22 2023-05-0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그리드 전력 중계 라우터를 활용한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647B1 (ko) * 2020-07-07 2022-10-19 한국지역난방공사 계통 진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96530B1 (ko) * 2021-12-01 2023-10-31 한국전력공사 능동적 전압조정이 가능한 분산전원에 포함된 출력제어장치의 볼트-바 곡선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648358B1 (ko) * 2022-03-14 2024-03-18 박운학 분산전원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에서 전력 수요 계산 및 보호협조 기준 계산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단선도를 생성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107B1 (ko) * 2010-09-29 2012-04-05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전압/무효전력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957A (ko) * 2016-09-23 2018-04-02 한국전력공사 분산형 전원에 연계된 전력변환장치 및 분산형 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안정화 방법
KR102522118B1 (ko) * 2016-10-24 2023-04-17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분산전원의 전압-무효전력 및 주파수-유효전력 제어 곡선 설정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107B1 (ko) * 2010-09-29 2012-04-05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전압/무효전력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141A (ko) * 2021-04-19 2022-10-2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계통 전압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52773B1 (ko) 2021-04-19 2023-07-0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계통 전압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689A (ko) 2021-10-22 2023-05-02 한국전력공사 디지털 그리드 전력 중계 라우터를 활용한 전압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884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222B1 (ko)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무효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01770B2 (en)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primary frequency modul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Hernández et al. Enhanced utility‐scale photovoltaic units with frequency support functions and dynamic grid support for transmission systems
US9640997B2 (en) Power system stabilization using distributed inverters
US20210325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intelligent loads in microgrids
KR101706406B1 (ko) Ac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고전압 dc 시스템의 인버터 디바이스의 제어
US9502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plant dynamic var regulation and transient stability improvement
Majumder Aspect of voltage stability and reactive power support in active distribution
CN109698507A (zh) 一种调相机与静止无功补偿器协调控制方法和系统
CN105121841A (zh) 用于控制风电厂的方法
CN109906536B (zh) 与风力发电厂中的无功功率控制有关的改进
US20160028235A1 (en) Distributed Reactive Power Control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11264802B2 (en) Relating to reactive power control in wind power plants
US202101436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irculating currents in microgrids
JP2021168598A (ja) 自然エネルギー発電システム、無効電力コントローラまたは自然エネルギー発電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1512513A (zh) 用于混合功率装置的功率控制
Yu et al. Parallel operation of diode‐rectifier based HVDC link and HVAC link for offshore wind power transmission
CN108964120B (zh) 低压分布式光伏接入容量优化控制方法
CN111435788B (zh) 一种提高配电网接纳分布式电源能力的方法和装置
CN112039119B (zh) 一种含光伏接入的配电网电压控制方法及系统
KR102349365B1 (ko) 계통 연계형 인버터의 제어 방법
Huang et al. Research on coordinated reactive power control strategy of hybrid‐HVDC
CN113765160A (zh) 分布式能源及其并网的无功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CN114123281A (zh) 一种多端口直流配电网系统直流母线电压控制方法
US202400307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verload control in renewable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