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95B1 -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95B1
KR102199195B1 KR1020190048836A KR20190048836A KR102199195B1 KR 102199195 B1 KR102199195 B1 KR 102199195B1 KR 1020190048836 A KR1020190048836 A KR 1020190048836A KR 20190048836 A KR20190048836 A KR 20190048836A KR 102199195 B1 KR102199195 B1 KR 10219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aster pattern
shape
polygon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882A (ko
Inventor
송오성
김광배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제1 단계와, 3D 모델링된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와, 변환된 3D 파일에 따라 형상을 프린트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단계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관통된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3D SHAPE EQUIPPED WITH PENETRATED POLYGON PATTERN}
본 출원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팅 기술은 CAD(Computer Aided Design)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형상을 3D 모델링하고, 이를 3D 파일로 변환한 후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아크릴레이트계 액상수지가 도포된 층에 선택적으로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시켜 빛을 받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사시켜 이를 반복함으로써 목적하는 원하는 형상을 프린팅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서 프린팅되는 제품에는 상하가 관통된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마스터 패턴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마스터 패턴은 가능한 한 최상의 정밀도를 가지고 구현되어야 하나, 목적한 마스터 패턴의 정밀도가 떨어지면 다시 재가공을 실시해야 하나 이때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특히, 삼각형이나 사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변의 길이가 1㎝ 이하로 짧은 경우에는 꼭지점 부분이 왜곡되어 원형으로 표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6259호(“3차원 형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공개일: 2015년10월15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제1 단계; 3D 모델링된 상기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변환된 상기 3D 파일에 따라 상기 형상을 프린트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관통된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미 패턴의 중심은,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미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1㎝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각형 마스터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미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3D 모델링부; 3D 모델링된 상기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3D 파일변환부; 및 변화된 상기 3D 파일에 따라 상기 형상을 프린트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며, 상기 3D 모델링부는,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관통된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하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할 때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3D 모델링시 다각형 마스터 패턴에 추가되는 더미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삼각형 더미 패턴을, 도 2b는 사각형 더미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3D 프린팅 결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삼각형 마스터 패턴에 대하여, 목표로 삼각형 마스터 패턴과 프린팅된 꼭지점이 왜곡된 삼각형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b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삼각형 패턴으로,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과,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을 도시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제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삼각형 패턴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4a는 3D 프린팅 결과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사각형 마스터 패턴에 대하여, 목표로 삼각형 마스터 패턴과 프린팅된 꼭지점이 왜곡된 사각형 마스터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b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사각형 패턴으로,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과,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을 도시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제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사각형 패턴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제1 단계(S101)와, 3D 모델링된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S102)와, 변환된 3D 파일에 따라 형상을 프린트하는 제3 단계(S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술한 제1 단계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단계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S101). 3D 모델링을 위해 CAD(Computer Aided Design)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3D 모델링된 형상은 3D 파일로 변환될 수 있다(S102).
마지막으로, 변환된 3D 파일에 따라 형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S103). 프린트를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액상수지가 도포된 층에 선택적으로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시켜 빛을 받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사시켜 이를 반복함으로써 목적하는 원하는 형상을 프린팅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나, 플라스틱 재료를 녹여 노즐에서 분사하여 적층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계 S101에서의 3D 모델링시에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3D 모델링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으며, 상술한 더미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더미 패턴의 중심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1㎝ 이하이며, 더미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3D 모델링시 다각형 마스터 패턴에 추가되는 더미 패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삼각형 더미 패턴을, 도 2b는 사각형 더미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된 형상이 반지 형상일 경우 반지 형상에는 관통된 삼각형 마스터 패턴(Master Pattern, MP)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에는 삼각형 더미 패턴(Dummy Pattern, DP)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더미 패턴(DP)의 중심은, 관통된 삼각형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의 중심(O)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미 패턴(DP)의 한 변의 길이는 삼각형 마스터 패턴(MP)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된 형상이 반지 형상일 경우 반지 형상에는 관통된 사각형 마스터 패턴(Master Pattern, MP)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에는 사각형 더미 패턴(Dummy Pattern, DP)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더미 패턴(DP)의 중심은, 관통된 사각형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의 중심(O)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미 패턴(DP)의 한 변의 길이는 사각형 마스터 패턴(MP)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마스터 패턴(MP)과 더미 패턴(DP)은 동일한 형상임을 전제로 설명하나, 반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스터 패턴(MP)이 삼각형일 때 더미 패턴은 사각형일 수 있으며, 반대로 마스터 패턴(MP)이 사각형일 때 더미 패턴은 삼각형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스터 패턴(MP)의 한 변의 길이가 1㎝ 이하일 경우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프린팅할 경우에는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에 왜곡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3D 모델링시에 마스터 패턴(MP)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마스터 패턴(MP)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사각형 마스터 패턴(MP)의 한 변의 길이가 1㎝ 이하일 때 더미 패턴(DP)의 한 변의 길이는 사각형 마스터 패턴(MP)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때 마스터 패턴(MP)의 꼭지점 왜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3D 프린팅 결과 다양한 길이(1.5㎝, 1㎝, 0.8㎝, 0.6㎝)를 가지는 삼각형 마스터 패턴에 대하여, 목표로 삼각형 마스터 패턴과 프린팅된 꼭지점이 왜곡된 삼각형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a)는 위에서 바라본 관통된 삼각형 마스터 패턴의 다양한 길이를, (b)는 목표로 하는 삼각형 마스터 패턴을, (c)는 실제 프린팅된 삼각형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미설명된 부호 1은 눈(eye)이다.
도 3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된 삼각형 패턴에는 도면부호 301과 같이 왜곡이 생길 수 있다.
한편, 도 3b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삼각형 패턴으로,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과,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을 도시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a)는 프린팅된 반지 형상을, (b)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을, (c)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3c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제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삼각형 패턴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로, (a)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 중 [1]번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며, (b)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 중 [1]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3b의 (b) 및 도 3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의 경우 각도가 78.86도이며, 확대 이미지(301)에서 꼭지점 왜곡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3b의 (c) 및 도 3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의 경우 각도는 59.58도로 60도에 근접하며, 확대 이미지(302)에서 꼭지점 왜곡이 많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도 4a는 3D 프린팅 결과 다양한 길이(1.5㎝, 1㎝, 0.8㎝, 0.6㎝)를 가지는 사각형 마스터 패턴에 대하여, 목표로 삼각형 마스터 패턴과 프린팅된 꼭지점이 왜곡된 사각형 마스터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a)는 위에서 바라본 관통된 사각형 마스터 패턴의 다양한 길이를, (b)는 목표로 하는 사각형 마스터 패턴을, (c)는 실제 프린팅된 사각형 패턴을 위에서 바라본 것이다. 미설명된 부호 1은 눈(eye)이다.
도 3a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팅된 사각형 패턴에는 도면부호 303과 같이 왜곡이 생길 수 있다.
한편, 도 4b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사각형 패턴으로,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과,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을 도시한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a)는 프린팅된 반지 형상을, (b)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을, (c)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c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실제 프린팅된 반지 모양의 형상에 형성된 사각형 패턴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로, (a)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 중 [1]번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며, (b)는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 중 [1]을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4b의 (b) 및 도 4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의 경우 각도가 112.61.86도이며, 확대 이미지(303)에서 꼭지점 왜곡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4b의 (c) 및 도 4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델링시 더미 패턴을 형성한 후 프린팅된 반지의 마스터 패턴의 경우 각도는 92.00도로 90도에 근접하며, 확대 이미지(304)에서 꼭지점 왜곡이 많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할 때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시스템(500)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시스템(500)은 3D 모델링부(510), 3D 파일변환부(520), 3D 프린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3D 모델링부(510)는 CAD(Computer Aided Design)와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할 수 있다. 3D 모델링된 형상은 3D 파일변환부(520)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3D 모델링부(510)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으며, 상술한 더미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더미 패턴의 중심은,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1㎝ 이하이며, 더미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 3D 파일변환부(520)는 3D 모델링된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3D 파일은 3D 프린터(530)로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터(530)는 변환된 3D 파일에 따라 형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상술한 3D 프린터(530)는 프린트를 위해 아크릴레이트계 액상수지가 도포된 층에 선택적으로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시켜 빛을 받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조사시켜 이를 반복함으로써 목적하는 원하는 형상을 프린팅하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나, 플라스틱 재료를 녹여 노즐에서 분사하여 적층하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장비와 같은 3D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할 때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눈(EYE)
301, 303: 더미 패턴이 없는 경우의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302, 304: 더미 패턴이 있는 경우의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500: 3D 형상의 프린팅 시스템
510: 3D 모델링부
520: 3D 파일변환부
530: 3D 프린터
MP: 다각형 마스터 패턴
DP: 더미 패턴

Claims (7)

  1.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제1 단계;
    3D 모델링된 상기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및
    변환된 상기 3D 파일에 따라 상기 형상을 프린트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관통된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함으로써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꼭지점 왜곡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의 중심은,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의 3% 내지 20% 사이의 값을 가지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한 변의 길이는,
    1㎝ 이하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은,
    90도 이하의 각을 가지는 삼각형 패턴 또는 사각형 패턴인,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7.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형상을 3D 모델링하는 3D 모델링부;
    3D 모델링된 상기 형상을 3D 파일로 변환하는 3D 파일변환부; 및
    변화된 상기 3D 파일에 따라 상기 형상을 프린트하는 3D 프린터;
    를 포함하며, 상기 3D 모델링부는,
    상기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의 각 꼭지점에 관통된 더미 패턴을 더 형성시켜 모델링하는,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장치.
KR1020190048836A 2019-04-26 2019-04-26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36A KR102199195B1 (ko) 2019-04-26 2019-04-26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836A KR102199195B1 (ko) 2019-04-26 2019-04-26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882A KR20200130882A (ko) 2020-11-23
KR102199195B1 true KR102199195B1 (ko) 2021-01-07

Family

ID=736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836A KR102199195B1 (ko) 2019-04-26 2019-04-26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408B1 (ko) * 1998-01-21 2001-04-02 김영환 반도체용마스크
KR101582739B1 (ko) 2014-04-07 2016-01-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형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01153A (ko) * 2017-06-26 2019-01-04 헵시바주식회사 광중합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3차원 출력물의 형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중합 방식의 3차원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882A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5924A1 (en) Data processing
EP18808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computer and data carrier useful thereof
US76366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computer and data carrier useful therefor
US7290221B2 (e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object fabrication status
CN109153170B (zh) 造型装置、造型方法以及造型物
EP3271807B1 (en) Processing object part data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US200500385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daptive modification of rapid prototyping build files
KR101407048B1 (ko) 3차원 라인 스캔 조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형방법
JP6836897B2 (ja) 造形物および造形方法
EP3368972B1 (en) Halftoning of object data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JP201610740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立体物の生産方法
US20160052212A1 (en) Support posts for improved flexural strength in 3d-printed objects
US10409263B2 (en) Diffusing an error in three-dimensional contone model data
CN104057618A (zh) 利用3d打印平台形成所需物品及点阵图形的方法
KR102199195B1 (ko) 관통된 다각형 마스터 패턴을 가지는 3d 형상의 프린팅 방법 및 시스템
CN105881916A (zh) 一种基于大版面的3d快捷成型拼接方法及装置
KR101676576B1 (ko) 3차원 모델의 복셀화 및 각 복셀의 속성 할당 장치 및 방법
US11597157B2 (en) Methods of representing three dimensional articles to be produced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in digital file formats
Xu et al. Hopping light Vat photopolymerization for multiscale fabrication
JP6573335B2 (ja) 高速stlファイル変換を用いる3次元印刷
JP2020006679A (ja) インクジェット幅調整方法および3d印刷設備
WO2022110255A1 (zh) 浮雕模型的切片数据处理方法、系统及3d打印方法
US10943384B2 (en) Utilizing smooth shading patches in image rendering
CN107408310A (zh) 向印刷机提供编码指令的方法
JP6532378B2 (ja) 造形システム、造形動作の制御方法、造形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