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032B1 -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032B1
KR102199032B1 KR1020200004138A KR20200004138A KR102199032B1 KR 102199032 B1 KR102199032 B1 KR 102199032B1 KR 1020200004138 A KR1020200004138 A KR 1020200004138A KR 20200004138 A KR20200004138 A KR 20200004138A KR 102199032 B1 KR102199032 B1 KR 10219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tide
quay wall
ultrasonic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수
송창현
임건형
홍완기
Original Assignee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4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vertical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Abstract

본 발명은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석관측을 위한 조위계 설치시 표척 관측의 불편함과 오계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승하강되는 표척을 구현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개발하여 쉽고 편리하면서 정확한 조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Mounting frame assembly for topological observation}
본 발명은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석관측을 위한 조위계 설치시 표척 관측의 불편함과 오계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승하강되는 표척을 구현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개발하여 쉽고 편리하면서 정확한 조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조석현상은 지구, 달, 태양 등의 상대 위치에 따른 기조력에 의해 발생되는 바다 표면의 주기적 상승, 하강을 말하며; 조석관측은 이러한 조석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현상을 연속적으로 관측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조석관측 자료는 수심결정, 해안선 결정, 해수면 상승, 토목분야 등 여러분야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조석관측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비가 조위계로서, 통상 수압식 조위계(pressure type tide gage)가 사용된다.
수압식 조위계는 해수면의 수준을 측정하는데 압력 트랜스듀서 감지장치가 사용되는 조위계로서, 이 장치는 한 개의 상대적인 트랜스듀서를 대기와 통하게 하고 대기압을 측정하며 한 개의 절대 트랜스듀서는 그 위치에서 수압을 측정해 대기압 보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는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조위계의 설치는 통상 사각프레임에 조위계를 장착한 후 지반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대상 지반의 지지력에 따라 침하되어 자료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고, 또한 주변 선박운항에 따른 장비의 망실, 유실 등 위험요소가 항상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장비를 회수한 후 자료를 다운로드한 다음 다시 재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잠수부가 동원되어야 하며, 작업환경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가장 심플한 조위관측 방법으로는 표척관측을 들 수 있다.
표척관측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안벽에서 스타프를 수면선까지 내려 표척 눈금을 읽어 조위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가장 쉽고 저렴한 비용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조위 관측시 실족의 위험이 높고, 작업자가 일일이 스타프를 내려 수선면에 맞춰야 하는데 이 작업이 쉽지 않아 정확도를 높일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73788호(2006.06.29) '안벽용 실시간 조위계측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조석관측을 위한 조위계 설치시 표척 관측의 불편함과 오계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승하강되는 표척을 구현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개발하여 쉽고 편리하면서 정확한 조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위 계측지점의 안벽에 설치 고정되는 안벽고정프레임(100)과, 해수면의 변화에 의해 상기 안벽고정프레임(100)을 따라 승강되는 스타프(200)를 포함하는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안벽고정프레임(100)은 'ㄱ'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이고, 안벽의 설치면에 면접된 상태로 앵커볼팅되는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단에 직교되게 절곡 형성된 수직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120)에는 '⊂' 형상의 가이드브라켓(122)이 다수 설치되며;
상기 스타프(200)는 상단이 'ㄱ' 형상으로 절곡연장부(202)가 더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22)에 끼웠을 때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타프(200)가 상기 절곡연장부(202)에 걸렸을 때 상기 스타프(200)의 상단이 수평판(110)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는 나사공(204)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04)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브라켓(122)에는 체결공(124)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센서하우징(206)을 더 형성되고;
상기 센서하우징(206)은 하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이며,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가 삽입 설치되었을 때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의 하단이 상기 수평판(110)과 동일평면 상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타프(200)에는 하단을 통해 플로팅부재(500)가 끼워지고;
상기 플로팅부재(500)는 사각판상의 플라스틱으로서, 부재면을 관통하여 삽입공(5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510)에 스타프(200)의 하단이 끼워지며;
상기 스타프(200)의 하단에는 캡(220)이 씌워진 후 나사고정되고;
상기 플로팅부재(500)의 일측에는 돌출된 반사판부(520)가 더 형성되며;
반사판부(520)는 상기 센서하우징(206)의 수직하방에 위치하여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로부터 발진된 초음파를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석관측을 위한 조위계 설치시 표척 관측의 불편함과 오계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수면의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승하강되는 표척을 구현하고,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개발하여 쉽고 편리하면서 정확한 조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척관측식 조위관측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는 안벽고정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안벽고정프레임(100)은 'ㄱ'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서, 안벽의 설치면에 면접된 상태로 앵커볼팅되는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단에 직교되게 절곡 형성된 수직판(12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안벽 상에 견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판(120)에는 '⊂' 형상의 가이드브라켓(122)이 다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 돌출되고, 서로 상하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22)을 관통하여 스타프(200)가 끼워지며, 스타프(200)의 하단은 수면에 안착된다.
이 경우, 상기 스타프(200)가 항상 수면상에 부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타프(200)의 하단에는 착탈식 부력구(21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타프(200)는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에 장착되는 부력구(210)는 상기 스타프(200)의 중공된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타프(200)의 하단이 수면위에 부유되었을 때 표척의 눈금이 항상 0(zero)이 되게 하여 스타프(200)의 눈금을 읽으면 바로 그것이 조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타프(200)의 눈금을 편하고 안전하게 읽을 수 있도록 상기 스타프(200)의 양측면에 눈금이 새겨지며, 수평판(110) 위로 돌출된 지점, 즉 수평판(110)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한 선과 스타프(200)의 눈금이 맞나는 지점의 눈금이 곧 조위가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아주 간단하면서도 비교적 정확한 조위 계측이 가능하고, 안전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스타프(200)의 자체 무게 및 바람이 불 때 해수면이 출렁거림으로 인해 스타프(200)가 너무 자주 승강되는 문제, 즉 요동됨에 따른 계측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또다른 실시예로, 항상 정확한 조위 계측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안벽고정프레임(100)과 스타프(200)를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구조를 약간 개량한다.
즉, 도 3의 예시와 같이, 가이드브라켓(122)중 상부의 것을 위치 조절하여 스타프(200)가 끼워진 후 걸렸을 때 스타프(200)의 상단이 수평판(110)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스타프(200)는 상단이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절곡연장부(202)가 더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22)에 끼워졌을 때 걸리도록 함으로써 스타프(200)가 최종 설치 후 걸려 고정된 구조를 갖도록 한다.
아울러, 스타프(200)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는 나사공(20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브라켓(122)에는 체결공(124)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센서하우징(206)을 더 형성한다.
상기 센서하우징(206)은 하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이며,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가 삽입 설치되었을 때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의 하단이 상기 수평판(110)과 동일평면 상에 있도록 배치 설계되어야 한다. 그래야, 정확한 조위계측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타프(200)에는 하단을 통해 플로팅부재(500)가 끼워진다.
상기 플로팅부재(500)는 사각판상의 경량 부재(플라스틱)로서, 부재면을 관통하여 삽입공(5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510)에 스타프(200)의 하단이 끼워진다.
때문에, 스타프(200)의 하단이 물에 잠기면 상기 플로팅부재(500)는 부력에 의해 떠올라 항상 수면에 위치하게 되면 수면의 변화에 따라 스타프(200)를 타고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플로팅부재(50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스타프(200)의 하단에는 캡(220)이 씌워진 후 나사고정되면 좋다.
특히, 상기 플로팅부재(500)의 일측에는 돌출된 반사판부(52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반사판부(520)는 상기 센서하우징(206)의 수직하방에 위치하여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로부터 발진된 초음파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조위를 계측하도록 하여 준다.
여기에서, 초음파는 본질적으로는 가청범위의 음파와 성질이 같으나, 주파수가 높고 따라서 파장이 짧기 때문에 상당히 강한 진동이 생기므로 보통의 소리에서는 볼 수 없 는 성질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 진로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짧은 펄스(pulse) 가 나오게 되는 것 등인데, 박쥐가 어두운 밤에 가느다란 물체까지 식별하는 것은 몸에서 초음파를 나오게 하여 장애물에 비추어 그 반사파를 감지하는 기 능을 가졌기 때문이다. 수심을 측정하는 소나(SONAR:sound navigation and ranging), 어군탐지기도 원리는 이것과 같으며, 물질에 의한 흡수도나 물질 중 에서의 전파속도의 차이를 측정하여 구조물 내의 손상을 찾아내는 초음파탐상 기나 초음파진단기 등도 초음파의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초음파를 이용한 센서의 경우 초음파를 발사하고, 다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 간을 계산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되는데, 사용주파수는 수십khz에서 수백khz까지이며, 이것은 전적으로 초음파센서의 공진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만약 40khz 초음파센서를 사용한다면 1파장 길이는 340m/40000 = 0.85cm 가 된다. 즉, 초음파센서의 공진주파수가 높을수록 정밀도도 높아진다.
이와 같은 정보를 토대로 초음파 발진 후 반사수신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속도 = 거리 / 시간의 공식으로부터 거리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의 상단에는 제어기(410)가 패널 형태로 더 구비되는데, 여기에는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WiFi나 블루투스 통신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를 통해 계측된 조위값이 인접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휴대폰으로 실시간 전송가능하게 하여 스타프(200)의 눈금을 측위하지 않고도 즉시에 알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다.
물론,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는 휴대용으로서 필요시에만 삽입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100: 안벽고정프레임
200: 스타프
400: 초음파 조위계측센서

Claims (1)

  1. 조위 계측지점의 안벽에 설치 고정되는 안벽고정프레임(100)과, 해수면의 변화에 의해 상기 안벽고정프레임(100)을 따라 승강되는 스타프(200)를 포함하는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안벽고정프레임(100)은 'ㄱ'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이고, 안벽의 설치면에 면접된 상태로 앵커볼팅되는 수평판(110)과, 상기 수평판(110)의 일단에 직교되게 절곡 형성된 수직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120)에는 '⊂' 형상의 가이드브라켓(122)이 다수 설치되며;
    상기 스타프(200)는 상단이 'ㄱ' 형상으로 절곡연장부(202)가 더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122)에 끼웠을 때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타프(200)가 상기 절곡연장부(202)에 걸렸을 때 상기 스타프(200)의 상단이 수평판(110)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는 나사공(204)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04)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이드브라켓(122)에는 체결공(124)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되게 구성하며;
    상기 절곡연장부(202)의 길이 중앙에서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센서하우징(206)을 더 형성되고;
    상기 센서하우징(206)은 하면 일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이며,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가 삽입 설치되었을 때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의 하단이 상기 수평판(110)과 동일평면 상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타프(200)에는 하단을 통해 플로팅부재(500)가 끼워지고;
    상기 플로팅부재(500)는 사각판상의 플라스틱으로서, 부재면을 관통하여 삽입공(510)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510)에 스타프(200)의 하단이 끼워지며;
    상기 스타프(200)의 하단에는 캡(220)이 씌워진 후 나사고정되고;
    상기 플로팅부재(500)의 일측에는 돌출된 반사판부(520)가 더 형성되며;
    반사판부(520)는 상기 센서하우징(206)의 수직하방에 위치하여 초음파 조위계측센서(400)로부터 발진된 초음파를 반사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KR1020200004138A 2020-01-13 2020-01-13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KR10219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8A KR102199032B1 (ko) 2020-01-13 2020-01-13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8A KR102199032B1 (ko) 2020-01-13 2020-01-13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032B1 true KR102199032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138A KR102199032B1 (ko) 2020-01-13 2020-01-13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0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2994A (en) * 1989-05-17 1991-12-17 Voest-Alpine Zeltweg Gesellschaft M.B.H. Shearing machine with movable shearing drum and conveyor
KR20060073788A (ko) 2004-12-24 2006-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용 실시간 조위계측장치
KR102029339B1 (ko) * 2019-06-19 2019-10-07 (주)해양정보기술 조위계 설치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2994A (en) * 1989-05-17 1991-12-17 Voest-Alpine Zeltweg Gesellschaft M.B.H. Shearing machine with movable shearing drum and conveyor
KR20060073788A (ko) 2004-12-24 2006-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벽용 실시간 조위계측장치
KR102029339B1 (ko) * 2019-06-19 2019-10-07 (주)해양정보기술 조위계 설치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036B1 (ko) 실시간 조위관측을 위한 초음파 측정기
US8278929B2 (en) Determining orientation for seafloor electromagnetic receivers
KR100753774B1 (ko) 수위계의 표준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CN104061983A (zh) 倾摆式浮球液位计
JP2010249790A (ja) レーザー式水位計
US48559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ridge structures for scouring
KR102199032B1 (ko) 표척관측용 설치 프레임 조립체
CN105649080A (zh) 一种单桩沉桩的方法
RU2461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правок к глубинам, измеренным эхолотом при съемке рельефа дна акватории
US20220042839A1 (en) Subsidence sensing device with liquid replenishing mechanism
US6360599B1 (en) Device for measuring liquid level preferably measuring tide level in sea
CN115061147B (zh) 一种用于浑浊水域的水下激光测距装置
JP5648311B2 (ja) 逆打ち支柱の鉛直精度計測システム
CN107702767B (zh) 基于静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方法及其报警线的标定方法
JP3200347U (ja) 乾舷計測装置
KR101280251B1 (ko) 한 쌍의 수두측정부재 간의 수두차이의 검측을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구경 강관말뚝의 수직도 측정방법
US20040093940A1 (en) Tide staff system
CN209706913U (zh) 可调式地下水位监测装置
KR20090070864A (ko) 부유식 파고계 및 그 파고계를 이용한 이상 파고 및 주기경고방법
KR102026339B1 (ko)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CN212130480U (zh) 一种岩土勘察钻孔水位测量仪
JPH0886656A (ja) 傾斜測定器
RU53454U1 (ru) Подводный измеритель глубины водоема и средней по вертикали скорости звука в воде
CN104949739A (zh) 用于现场校准大尺寸液位传感器的直线基准结构
RU191059U1 (ru) Подводный измеритель глубины водо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